ATLAS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TLAST는 NASA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우주 망원경 프로젝트이다. HDST와 함께 2015년 7월 공개되었으며, 8m, 9.2m, 16m의 세 가지 컨셉으로 나뉜다. 넓은 시야의 사진 관측을 목적으로 하며, 주경, 부경, 카메라, 전력 공급 장치, 주경 덮개, 트랜스폰더, 반작용 휠, 태양 전지 등 다양한 과학 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2035년 델타 IV 헤비 로켓으로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며, AADS에서도 중요한 프로젝트로 언급되었다. 대한민국은 ATLAST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 요소 개발 및 제작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LAST | |
|---|---|
| 기본 정보 | |
![]() | |
| 관리 기관 |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
| 제작일 | 2016년 |
| 별명 | 미정 |
| 위치 | 라그랑주 점 2 |
| 궤도 유형 | 미정 |
| 고도 | 미정 |
| 주기 | 미정 |
| 속도 | 미정 |
| 중력 가속도 | 미정 |
| 발사일 | 2035년 |
| 발사 위치 | 케네디 우주센터 |
| 발사체 | 델타 IV 헤비 |
| 임무 기간 | 미정 |
| 첫 관측 | 2036년 |
| 탈궤도일 | 미정 |
| 질량 | 미정 |
| 출력 | 미정 |
| 크기 | 미정 |
| 홈페이지 | ATLAST 웹사이트 |
| 망원경 정보 | |
| 유형 | 적외선 우주망원경, 자외선 우주망원경, 가시광선 우주망원경 |
| 파장 |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
| 구경 | 미정(현재 토의 중) |
| 분해능 | 미정 |
| 집광부 | 미정 |
| 초점 거리 | 미정 |
| 장비 | |
| 장비 1 이름 | 미정 |
| 장비 1 특징 | 미정 |
| 장비 2 이름 | 미정 |
| 장비 2 특징 | 미정 |
| 장비 3 이름 | 미정 |
| 장비 3 특징 | 미정 |
| 장비 4 이름 | 미정 |
| 장비 4 특징 | 미정 |
| 장비 5 이름 | 미정 |
| 장비 5 특징 | 미정 |
| 장비 6 이름 | 미정 |
| 장비 6 특징 | 미정 |
| 장비 7 이름 | 미정 |
| 장비 7 특징 | 미정 |
2. 역사와 제작 배경
LUVOIR가 플래그쉽 프로그램에 편입된 이후 컨셉트는 크게 HDST와 ATLAST 두 가지로 나뉘었다. ATLAST는 2015년 7월에 공개되었으며, 8m, 9.2m, 16m의 세 가지 컨셉트로 나뉜다. 이후 작동 방식, 세부 모습, 부품 등은 여전히 논의 중이다.
2. 1. HDST와의 관계
LUVOIR가 플래그쉽 프로그램에 편입된 이후 컨셉트(설계도)는 크게 2개로 나뉘었다. 하나는 HDST고, 다른 하나가 ATLAST이다. ATLAST는 HDST와 마찬가지로 2015년 7월에 공개되었으며, 3개의 컨셉트로 나뉘며, 8m, 9.2m, 16m으로 나뉜다. 그 뒤에도 작동 방식, 자세한 모습과 부품 등은 아직도 토의 중이다.[1]3. 과학 장비
ATLAST의 과학 장비로는 주경, 부경, 카메라, 전력공급장치, 주경 덮개, 트랜스폰더, 반작용 휠, 태양전지 등이 있다. 각 장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주경
탐사선의 주경은 넓은 시야의 사진을 관측하는 것이 목적이다.3. 2. 부경
부경은 주경이 모은 빛을 다시 카메라로 찍을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목적이다.3. 3. 카메라
부경이 다시 반사한 사진을 찍는 것이 목적이다.3. 4. 전력 공급 장치
우주망원경에 전력을 배분해서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다.[1] 태양전지를 통해 태양에너지를 공급한다.[1]3. 5. 주경 덮개
주경을 보호할 때 쓰며, 거의 사용할 일은 없다.3. 6. 트랜스폰더
트랜스폰더는 탐사선이 찍은 사진을 지구로 송신하는 장치이다.[1]3. 7. 반작용 휠
망원경의 자세를 조정할 때 사용한다.3. 8.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우주망원경에 공급한다.[1]4. 발사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2035년 델타 IV 헤비로 발사될 예정이다.[7] 발사할 때 주경이 매우 커서 로켓에 접어서 넣는다.[8][9]
5. 지원, 개발, 투자
ATLAST는 NASA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고 있으며, 케네디 우주 센터와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가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AADS의 지원도 받고 있다.
참조
[1]
웹인용
NASA Team Lays Plans to Observe New Worlds
https://www.nasa.gov[...]
2018-05-29
[2]
웹인용
advanced technology large-aperture space telescope (atlast) - arXiv
https://arxiv.org/ft[...]
2018-05-29
[3]
웹인용
advanced technology large-aperture space telescope (atlast) - arXiv
https://arxiv.org/ft[...]
2018-05-29
[4]
웹인용
ATLAST: A Potential Large-Aperture UVOIR Space Observatory Reference Design
https://asd.gsfc.nas[...]
2018-05-29
[5]
웹인용
A Future Large-Aperture UVOIR Space Observatory: Reference Designs
https://asd.gsfc.nas[...]
2018-05-29
[6]
웹인용
Atlast_concepts
https://upload.wikim[...]
2018-05-29
[7]
웹인용
ATLAST: A Potential Large-Aperture UVOIR Space Observatory Reference Design
https://asd.gsfc.nas[...]
2018-05-29
[8]
문서
[9]
웹인용
A Cost-effective and Serviceable ATLAST 9.2m Telescope Architecture
https://asd.gsfc.nas[...]
2018-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