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ve Trilogy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 Love Trilogy》는 1976년에 발매된 도나 서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피트 벨로테와 조르지오 모로더가 프로듀싱했으며, 앨범은 반복적인 리듬과 몽환적인 분위기의 17분 57초 곡인 "Try Me, I Know We Can Make It"을 포함한다. 앨범은 오스트레일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등 여러 국가에서 차트 상위권에 올랐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음반 - Rastaman Vibration
Rastaman Vibration은 1976년 발매된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의 앨범으로,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처음으로 10위 안에 진입하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Roots, Rock, Reggae"와 같은 싱글을 통해 레게 음악을 더욱 폭넓은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고,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연설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몽환적인 사운드가 특징이다. - 1976년 음반 - Children of the World
Children of the World는 비지스가 1976년 9월에 발표한 앨범으로, 배리 깁이 칼 리처드슨과 함께 프로듀싱하여 You Should Be Dancing, Love So Right 등의 싱글을 히트시키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1979년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979년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A Love Trilogy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종류 | 음반 |
가수 | 도나 서머 |
발매일 | 1976년 3월 5일 |
장르 | 디스코 |
길이 | 33분 49초 |
레이블 | Oasis/Casablanca |
프로듀서 | 조르조 모로더, 피트 벨로테 |
이전 음반 | Love to Love You Baby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1975년 |
다음 음반 | Four Seasons of Love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1976년 |
녹음 장소 | Musicland, 뮌헨 |
녹음 시기 | 1975년 8월 ~ 1975년 12월 |
싱글 | Could It Be Magic (1976년 1월 11일) Try Me, I Know We Can Make It (1976년 3월 30일) |
평가 | AllMusic: Christgau's Record Guide: B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2. 곡 목록
사이드 1 | ||
---|---|---|
1. | Try Me, I Know We Can Make It | 17:57 |
사이드 2 | ||
2. | Prelude to Love | 1:06 |
3. | Could It Be Magic | 5:19 |
4. | Wasted | 5:09 |
5. | Come With Me | 4:22 |
모든 트랙은 피트 벨로테와 조르지오 모로더가 프로듀싱했다.
2. 1. Side one
도나 서머, 피트 벨로테, 조르지오 모로더가 공동 작곡한 곡인 Try Me, I Know We Can Make It는 17분 57초 동안 반복적인 리듬과 몽환적인 분위기가 이어진다. 이 곡은 A Love Trilogy 음반의 첫 번째 사이드를 가득 채우고 있다.2. 1. 1. Try Me, I Know We Can Make It
Try Me, I Know We Can Make It는 도나 서머, 피트 벨로테, 조르지오 모로더가 공동 작곡한 곡으로, 17분 57초 동안 반복적인 리듬과 몽환적인 분위기가 이어진다.2. 2. Side two
도나 서머, 피트 벨로테, 조르지오 모로더가 공동 작곡한 1분 6초 길이의 짧은 곡이다.Could It Be Magic은 애드리엔 앤더슨과 배리 매닐로우가 작곡한 곡으로, 도나 서머의 커버 버전은 5분 19초 길이이다.
"Wasted"는 피트 벨로테와 조르지오 모로더가 작곡한 곡으로, 길이는 5분 9초이다.
"Come With Me"는 피트 벨로테와 조르지오 모로더가 작곡한 곡으로, 4분 22초 동안 재생된다.
2. 2. 1. Prelude to Love
도나 서머, 피트 벨로테, 조르지오 모로더가 공동 작곡한 1분 6초 길이의 짧은 곡이다.2. 2. 2. Could It Be Magic
Could It Be Magic은 애드리엔 앤더슨과 배리 매닐로우가 작곡한 곡으로, 도나 서머의 커버 버전은 5분 19초 길이이다.2. 2. 3. Wasted
"Wasted"는 피트 벨로테와 조르지오 모로더가 작곡한 곡으로, 길이는 5분 9초이다.2. 2. 4. Come With Me
"Come With Me"는 피트 벨로테와 조르지오 모로더가 작곡한 곡으로, 4분 22초 동안 재생된다.3. 참여진
- 도나 서머 – 보컬
- 조르지오 모로더 – 신시사이저, 베이스 기타, 프로듀서
- 피트 벨로테 – 프로듀서
- 미드나잇 레이디스: 매들린 벨, 써니 레슬리, 수 글로버 – 백킹 보컬
- 뮌헨 머신: 토르 발두르손 – 키보드, 스트링 편곡, 프랭크 디에즈 – 기타, 키스 포시 – 드럼, 마틴 해리슨 – 드럼, 몰리 몰 – 기타, 게리 언윈 – 베이스 기타, 레스 허들 – 베이스 기타
"뮌헨 머신"으로 알려진 뮤지션들은 이 시기 모로더/벨로테 프로덕션의 다양한 작업에 참여했다.
'''제작'''
- 프로듀서: 조르지오 모로더, 피트 벨로테
- 엔지니어: 위르겐 코퍼스, 맥 & 한스
- 음악 편곡: 조르지오 모로더, 토르 발두르손
3. 1. 보컬
도나 서머가 앨범의 모든 곡에서 리드 보컬을 맡았다. 매들린 벨, 써니 레슬리, 수 글로버로 구성된 미드나잇 레이디스가 백킹 보컬을 담당했다.3. 2. 백킹 보컬
도나 서머가 보컬을 담당했다. 매들린 벨, 써니 레슬리, 수 글로버로 구성된 미드나잇 레이디스가 백킹 보컬로 참여했다.3. 3. 연주
- 도나 서머 – 보컬
- 조르지오 모로더 – 신시사이저, 베이스 기타, 프로듀서
- 피트 벨로테 – 프로듀서
- 미드나잇 레이디스: 매들린 벨, 써니 레슬리, 수 글로버 – 백킹 보컬
- 뮌헨 머신: 토르 발두르손 – 키보드, 스트링 편곡, 프랭크 디에즈 – 기타, 키스 포시 – 드럼, 마틴 해리슨 – 드럼, 몰리 몰 – 기타, 게리 언윈 – 베이스 기타, 레스 허들 – 베이스 기타
"뮌헨 머신"으로 알려진 뮤지션들은 이 시기 모로더/벨로테 프로덕션의 다양한 작업에 참여했다.
'''제작'''
- 프로듀서: 조르지오 모로더, 피트 벨로테
- 엔지니어: 위르겐 코퍼스, 맥 & 한스
- 음악 편곡: 조르지오 모로더, 토르 발두르손
3. 3. 1. 뮌헨 머신
"뮌헨 머신"으로 알려진 뮤지션들은 이 시기 모로더/벨로테 프로덕션의 다양한 작업에 참여했다.3. 4. 프로듀싱
《A Love Trilogy》의 프로듀싱은 조르지오 모로더와 피트 벨로테가 담당했다. 조르지오 모로더는 신시사이저와 베이스 기타 연주도 맡았다. 엔지니어는 위르겐 코퍼스와 맥 & 한스였다. 음악 편곡은 조르지오 모로더와 토르 발두르손이 담당했다.3. 5. 엔지니어링
《A Love Trilogy》의 엔지니어링은 위르겐 코퍼스, 맥 & 한스가 담당했다.담당 | 이름 |
---|---|
엔지니어 | 위르겐 코퍼스, 맥 & 한스 |
3. 6. 편곡
- 조르지오 모로더와 토르 발두르손이 음악 편곡을 담당했다.
- 조르지오 모로더는 신시사이저, 베이스 기타, 프로듀서를 담당하였다.
- 토르 발두르손은 키보드와 스트링 편곡을 담당하였다.
- "뮌헨 머신"으로 알려진 뮤지션들이 참여하였다.
4. 차트 성적
wikitable
차트 (1976년)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Kent Music Report)[7] | 32 |
오스트리아 앨범 | 8 |
핀란드 앨범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8] | 14 |
독일 앨범 | 24 |
이탈리아 앨범 (Musica e dischi)[9] | 4 |
노르웨이 앨범 | 14 |
포르투갈 앨범 (Musica & Som)[10] | 4 |
스페인 앨범 (AFE)[11] | 1 |
스웨덴 앨범 | 18 |
영국 앨범 | 41 |
빌보드 200 | 21 |
4. 1. 주간 차트
wikitable차트 (1976년)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Kent Music Report)[7] | 32 |
오스트리아 앨범 | 8 |
핀란드 앨범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8] | 14 |
독일 앨범 | 24 |
이탈리아 앨범 (Musica e dischi)[9] | 4 |
노르웨이 앨범 | 14 |
포르투갈 앨범 (Musica & Som)[10] | 4 |
스페인 앨범 (AFE)[11] | 1 |
스웨덴 앨범 | 18 |
영국 앨범 | 41 |
빌보드 200 | 21 |
4. 1. 1.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차트
wikitable
4. 1. 2. 오스트리아 앨범 차트
wikitable오스트리아 앨범 | 8 |
---|
4. 1. 3. 핀란드 앨범 차트
wikitable핀란드 앨범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8] | 14 |
---|
4. 1. 4. 독일 앨범 차트
wikitable독일 앨범 차트 | 24 |
4. 1. 5. 이탈리아 앨범 차트
wikitable
4. 1. 6. 노르웨이 앨범 차트
wikitable노르웨이 앨범 | 14 |
---|
4. 1. 7. 포르투갈 앨범 차트
wikitable
4. 1. 8. 스페인 앨범 차트
wikitable
4. 1. 9. 스웨덴 앨범 차트
wikitable스웨덴 앨범 | 18 |
---|
4. 1. 10. 영국 앨범 차트
wikitable영국 앨범 | 41 |
---|
4. 1. 11. 미국 빌보드 200
''A Love Trilogy''는 빌보드 200에서 21위를 기록했다.5. 인증
5. 1. 프랑스
도나 서머의 앨범 《A Love Trilogy》는 1976년에 발매되어 프랑스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14] 1977년에 인증을 받았으며, 373,200장의 판매고를 올렸다.[13]5. 2. 필리핀
도나 서머의 앨범 ''A Love Trilogy''는 1976년에 발매되어 1977년에 필리핀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15]5. 3. 영국
도나 서머의 앨범 ''A Love Trilogy''는 1976년에 발매되어 1977년 영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15]5. 4. 미국
도나 서머의 ''Love Trilogy''는 1976년에 발매되어 골드 인증을 받았다.[14]6. 평가
AllMusic은 A Love Trilogy 앨범에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다.[16]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1970년대 록 앨범을 다루는 ''Christgau's Record Guide''에서 이 앨범에 B 등급을 부여했다.[17]
6. 1. AllMusic
AllMusic은 A Love Trilogy 앨범에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다.[16]6. 2. Christgau's Record Guide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1970년대 록 앨범을 다루는 ''Christgau's Record Guide''에서 이 앨범에 B 등급을 부여했다.[17]참조
[1]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
AllMusic
2011-08-29
[3]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13
[4]
서적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Random House
1992
[5]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A Love Trilogy
http://www.officialc[...]
officialcharts.com
2016-09-14
[6]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Could It Be Magic
http://www.officialc[...]
officialcharts.com
2016-09-14
[7]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8]
서적
Sisältää hitin - 2. laitos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1.1.1960–30.6.2021
https://musiikkiarki[...]
Kustannusosakeyhtiö Otava
2022-08-24
[9]
서적
M&D Borsa Album 1964–2019
2019
[10]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worldradiohi[...]
2021-11-17
[11]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12]
간행물
Donna Summer A Hit In Philippines
https://worldradiohi[...]
2023-02-04
[13]
웹인용
Les Meilleures Ventes de CD/Albums depuis 1968
http://www.infodisc.[...]
infodisc.fr
2016-09-14
[14]
웹인용
Les Certifications & Les Ventes
http://infodisc.fr/A[...]
infodisc.fr
2016-09-14
[15]
웹인용
Summer Awards
https://www.american[...]
2019-11-30
[16]
올뮤직
2011-08-29
[17]
서적 인용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