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2019 Y4 (아틀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2019 Y4 (아틀라스)는 2019년 12월 28일 하와이 마우나로아산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처음 발견된 혜성이다. 발견 당시 겉보기 등급은 19.6이었으며, 2020년 3월까지 밝기가 4천 배 증가했으나 4월 초에 쪼개지면서 급격히 어두워졌다. 혜성은 2020년 5월 31일 태양에 가장 가까워질 예정이었으며, 궤도는 약 4,400년에서 6,000년의 공전 주기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4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혜성의 핵이 25~30개의 조각으로 붕괴된 모습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발견한 천체 - 2I/보리소프
    2I/보리소프는 겐나디 보리소프가 발견한 두 번째 성간 천체로, 태양계 혜성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보이나 특이한 화학적 구성을 가지며, 매우 쌍곡선 궤도를 따라 2019년 12월 근일점을 통과했다.
  • 2019년 발견한 천체 - 2019 OK
    2019 OK는 2019년 7월 24일에 발견된 소행성으로, 지구형 행성의 궤도를 가로지르는 궤도를 가지며, 지구와 매우 가까운 거리를 통과하여 잠재적으로 도시 지역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2020년 혜성 - 엥케 혜성
    엥케 혜성은 약 3.3년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진 주기 혜성으로, 1786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요한 프란츠 엥케가 과거 기록 분석으로 귀환을 예측했고, 황소자리 유성군의 모체로 여겨지며 궤도 불안정으로 섭동 영향을 많이 받아 과거 에테르 존재 검증에 사용되기도 한 과학사적으로 중요한 혜성이다.
  • 2020년 혜성 - C/2020 F3 (니오와이즈)
    C/2020 F3 (니오와이즈)는 2020년 3월 NEOWISE에 의해 발견되어 2020년 7월 맨눈으로 관측될 정도로 밝게 빛났던 혜성으로, 두 개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우주 관측 자료를 통해 다양한 물리적 특성이 밝혀졌고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 비주기 혜성 - 1729년의 혜성
    1729년에 니콜라스 사라바트 신부가 발견한 혜성은 지구에서 3.1 AU 거리에 있었고,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았으며, 근일점은 목성 궤도 안쪽, 핵 크기는 약 100km로 추정된다.
  • 비주기 혜성 - C/1999 F1
C/2019 Y4 (아틀라스)
기본 정보
C/2019 Y4 (ATLAS)
2020년 3월 14일에 촬영된 C/2019 Y4 (ATLAS)
발견2019년 12월 28일
발견자ATLAS-MLO
명칭C/2019 Y4 (ATLAS)
다른 명칭C/2019 Y4-A; C/2019 Y4-B; C/2019 Y4-C; C/2019 Y4-D; C/2019 Y4-E
궤도 정보
궤도 기준 시점2020년 3월 7일 (JD 2458915.5)
관측 호115일
관측 횟수1250
원일점 거리660.9626 ± 3.2491 AU
근일점 거리0.2528 AU
궤도 긴반지름330.6077 ± 1.6252 AU
궤도 이심률0.99924
공전 주기6,011.43 ± 44.33 년
궤도 경사45.3839°
승교점 경도120.5721°
근일점 인수177.4084°
티주프 파라미터0.454
지구 최소 궤도 교차 거리0.631177 AU ()
목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1.39373 AU
마지막 근일점 통과2020년 5월 31일
물리적 특성
M19.9 ± 0.9
M213.1 ± 0.7

2. 발견

C/2019 Y4 (아틀라스)는 2019년 12월 28일 하와이 마우나로아산 정상의 0.5m 반사 망원경에서 촬영된 CCD 사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34] 이 사진은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의 관측 작업 중 촬영되었다. 발견 당시 지구에서 보았을 때 큰곰자리 위치에 있었으며 겉보기 등급은 19.6 등급이었다.[33][32] 래리 데니우(Larry Denneau)가 처음으로 혜성임을 알아차렸고,[33] 이 천체를 소행성체 센터의 혜성 추정체 확인 페이지에 올려 다른 천문학자들에게 알렸다. 이후 수 일 간의 추가 관측 결과 혜성의 코마가 보이기 시작했고, 코마는 관측을 이어나갈수록 점점 길어졌다.[34]

3. 초기 관측 및 밝기 변화

이원자 탄소의 방출로 보이는 초록색과 아쿠아색 꼬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꼬리의 길이는 태양 크기의 2배인 1.2°10' 각도에 3300000km였다. 아틀라스 혜성의 꼬리 바깥쪽은 희미했지만 가스 필라멘트가 별을 가로질러 쓸어내리는 것이 관측되었다.[37] 2월 초에서 3월 말 사이 아틀라스 혜성은 겉보기등급이 17에서 8로 밝기가 4천 배 정도 증가했으며,[35] 2020년 3월 한 달 동안에만 밝기가 4배 증가하였다.[32] 일반인이 육안으로 확산체인 혜성을 보기 위해서는 겉보기 등급이 대략 3-4까지 되어야 한다. 4월 초 혜성이 쪼개지면서 급격하게 어두워졌다.[36] 2020년 4월 14일, 혜성의 초기 물 생산량 추정치가 보고되었으며, "100,000 km 구경 내에서 1.25×1028 +/− 5×1025 mol/sec의 물 생산율"을 보였다.[13]

4. 궤도

발견 당시 아틀라스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거의 3 AU 정도 떨어져 있었다.[32] 2019년 12월 28일과 2020년 1월 9일 두 번의 관측을 토대로 소행성체 전자천문력에서는 공전 주기가 4,400년, 근일점은 0.25 AU로 계산하였다. C/2019 Y4의 궤도가 1844년 대혜성(C/1844 Y1)과 매우 유사하여, 아틀라스 혜성이 이 대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34][37]

JPL 소행성체 데이터베이스는 2020년 2월 18일을 역기점으로 사용한 분석에서 공전 주기가 약 6천년이라고 계산하였으나, 이는 행성계 안에서 일어나는 섭동을 포함해 계산한 값이다. 혜성이 행성의 중력 범위 내로 들어가기 전, 즉 근일점으로 돌아올 때의 주기(인바운드 주기)는 4,800년 정도이다.[27] 이 혜성은 2020년 5월 31일 태양에 가장 가까운 근일점에 도달할 예정이었다.[38] 행성계를 떠난 후에는 혜성이 약 5,200년의 주기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아틀라스 혜성은 파편으로 쪼개졌으며, 각 파편의 속도는 10 m/s 정도 달라졌다. 이러한 속도 변화는 현재 거의 포물선에 가까운 궤도가 장기간에 걸쳐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1. 혜성 붕괴 및 파편 궤도

2020년 3월 말 C/2019 Y4 (아틀라스)의 파편화[15]로 인해 파편의 속도가 최대 10m/s (25000km/월) 변경되었다. 이 작은 속도 변화는 거의 포물선 궤도를 갖는 이러한 파편의 장기적인 공전 주기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파편 D와 E에 대한 ~10일의 짧은 관측 호는 공전 주기에 큰 불확실성을 초래한다. 파편 B가 가장 오랫동안 관측되었다. 파편 D가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수 있지만 짧은 관측 호로 인해 근접 거리에 ±2백만 km의 불확실성이 있다.[18]

파편의 공전 주기
파편공전 주기
(년)
지구
최대 접근
관측 호
(일)
C/2019 Y4-A방출[19]0.7858 AU27
C/2019 Y4-B0.7816 AU40
C/2019 Y4-C방출[21]0.7824 AU26
C/2019 Y4-D0.7777 AU8
C/2019 Y4-E0.7794 AU6



2020년 4월 하순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된 아틀라스 혜성의 파편

5. 위치 변화

7일 간격으로 좌표를 찍어 나타낸 혜성의 이동 모습.


2020년 1월에서 3월 사이엔 아틀라스 혜성이 큰곰자리 인근에 있었다. 4월에는 혜성이 점점 이동하며 기린자리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5월 12일부터는 페르세우스자리 쪽으로 넘어가 이동하였다. 5월 23일에는 지구로부터 최근접점에 있었는데, 이때가 신월인데다 태양으로부터 17도 정도에 있었다. 근일점에 닿는 5월 31일에는 태양으로부터 12도 정도 떨어진 황소자리 부근에 있을 예정이었다.[43] 이후 6월과 7월에는 오리온자리외뿔소자리를 지나갔다.[24]

6. 갤러리

Comet ATLAS - 2020년 4월 15일에 촬영된, 코마가 축소된 ATLAS 혜성


참조

[1]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https://ssd.jpl.nasa[...]
[2] 웹사이트 Comet Y4 Atlas in Outburst: First Good Comet for 2020? https://www.universe[...] 2020-02-25
[3] 뉴스 ATel #13622: C/2019 Y4 ATLAS – confirmation of nuclear change http://www.astronome[...] 2020-04-06
[4] 뉴스 ATel #13629: The fragmentation of comet C/2019 Y4 (Atlas) observed at Lulin observatory http://www.astronome[...] 2020-04-13
[5] 문서 Philipp Keller (Astrooptik) RC 900mm F/10 https://www.astrobin[...]
[6] 뉴스 ATel #13651: Continuing Fragmentation of C/2019 Y4 (ATLAS) http://www.astronome[...] 2020-04-21
[7] 웹사이트 Hubble Watches Comet ATLAS Disintegrate Into More Than Two Dozen Pieces https://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20-04-28
[8] 웹사이트 Comet ATLAS may soon be visible to the naked eye https://astronomy.co[...] Kalmbach Media 2020-03-25
[9] 웹사이트 MPEC 2020-A112 : COMET C/2019 Y4 (ATLAS)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20-01-10
[10] 간행물 COMET C/2019 Y4 (ATLAS) http://mail.spaceobs[...] 2020-01-11
[11] 웹사이트 Comet ATLAS may put on quite a show https://phys.org/new[...] Science X Network 2020-03-23
[12] 웹사이트 Comet C/2019 Y4 (ATLAS): after an unexpected, a bit irregular, rising in brightness the comet is now fading http://cara.uai.it/c[...]
[13] 뉴스 ATel #13634: First Estimate of Water Production Rates of Comet C/2019 Y4 (ATLAS) from SWIFT/UVOT observations http://www.astronome[...] 2020-04-14
[14] 웹사이트 Comet Atlas May Have Been a Blast From the Past https://www.nasa.gov[...] NASA 2021-08-19
[15] 논문 Observations of Disintegrating Long-period Comet C/2019 Y4 (ATLAS): A Sibling of C/1844 Y1 (Great Comet)
[16] 웹사이트 Comet ATLAS: Will it Become a Naked-Eye Object? https://skyandtelesc[...] AAS Sky Publishing, LLC 2020-03-25
[17] 웹사이트 C/2019 Y4 (ATLA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18] 문서 JPL Horizons Fragment D https://ssd.jpl.nasa[...]
[19] 문서 JPL SBDB: C/2019 Y4-A https://ssd.jpl.nasa[...]
[20] 문서 JPL SBDB: C/2019 Y4-B https://ssd.jpl.nasa[...]
[21] 문서 JPL SBDB: C/2019 Y4-C https://ssd.jpl.nasa[...]
[22] 문서 JPL SBDB: C/2019 Y4-D https://ssd.jpl.nasa[...]
[23] 문서 JPL SBDB: C/2019 Y4-E https://ssd.jpl.nasa[...]
[24] 웹사이트 Newfound Comet ATLAS is getting really bright, really fast https://www.space.co[...] 2020-03-16
[25] 웹인용 Comet Y4 Atlas in Outburst: First Good Comet for 2020? https://www.universe[...] 2020-02-25
[26] 뉴스 C/2019 Y4 ( ATLAS ) http://www.aerith.ne[...] 2020-04-14
[27] 문서 JPL Horizons barycentric solution for epoch 1950 (before entering planetary region)
[28] 뉴스 "[우주를 보다] 맨눈으로도 보인다…초승달처럼 빛나는 혜성 온다"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20-03-21
[29] 웹인용 Comet Observation database (COBS) http://www.cobs.si/
[30] 뉴스 ATel #13620: Possible Disintegration of Comet C/2019 Y4 (ATLAS) http://www.astronome[...] The Astronomer's Telegram 2020-04-06
[31] 뉴스 ATel #13622: C/2019 Y4 ATLAS - confirmation of nuclear change http://www.astronome[...] 2020-04-06
[32] 웹인용 Comet ATLAS may soon be visible to the naked eye https://astronomy.co[...] Kalmbach Media 2020-03-25
[33] 웹인용 MPEC 2020-A112 : COMET C/2019 Y4 (ATLAS)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20-01-10
[34] 간행물 COMET C/2019 Y4 (ATLAS) http://mail.spaceobs[...] 2020-01-11
[35] 웹인용 Comet ATLAS may put on quite a show https://phys.org/new[...] Science X Network 2020-03-23
[36] 웹인용 Comet C/2019 Y4 (ATLAS): after an unexpected, a bit irregular, rising in brightness the comet is now fading http://cara.uai.it/c[...] 2020-04-10
[37] 웹인용 Comet ATLAS: Will it Become a Naked-Eye Object? https://skyandtelesc[...] AAS Sky Publishing, LLC 2020-03-27
[38] 웹인용 C/2019 Y4 (ATLA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0-03-24
[39] JPL SBDB C/2019 Y4-A https://ssd.jpl.nasa[...]
[40] JPL SBDB C/2019 Y4-B https://ssd.jpl.nasa[...]
[41] JPL SBDB C/2019 Y4-C https://ssd.jpl.nasa[...]
[42] JPL SBDB C/2019 Y4-D https://ssd.jpl.nasa[...]
[43] 웹인용 Newfound Comet ATLAS is getting really bright, really fast https://www.space.co[...] 2020-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