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9년의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29년의 혜성은 1729년 8월 1일 니콜라스 사라바트 신부에 의해 조랑말자리에서 발견된 혜성이다. 지구에서 3.1 AU 떨어진 상태에서 육안으로 관측되었으며, 파리에 있던 자크 카시니는 1730년 1월 18일까지 혜성을 관측했다. 궤도 계산 결과, 근일점은 목성 궤도 안쪽 4.05 AU 지점이며, 절대 등급은 -3.0으로 매우 밝았다. 혜성 핵의 크기는 100km에 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심률은 1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729년의 혜성 | |
---|---|
1729년의 혜성 정보 | |
![]() | |
이름 | 1729년의 혜성 |
공식 이름 | C/1729 P1 |
발견자 | 니콜라스 사라바트 |
발견일 | 1729년 8월 1일 |
로마자 이름 | Comet of 1729 |
다른 이름 | 사라바트 혜성 |
다른 이름 (영어) | Comet Sarabat |
궤도 요소 | |
역기점 | 2352731.148 (1729년 6월 16일) |
근일점 | 4.05054 AU |
궤도 경사 | 77.095° |
이심률 | 1.0 (추정치) |
최근 접근 날짜 | 1729년 6월 16일 |
다음 접근 날짜 | (탈출 궤도 진입 추정) |
물리적 특징 | |
지름 | ≈100 km |
2. 발견
조랑말자리에서 1729년 8월 1일 아침 님에 있던 니콜라스 사라바트 신부가 1729년의 혜성을 발견하였다. 당시 혜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상태로, 지구에서 3.1 AU 떨어져 있었으며, 태양과의 이각은 155°였다.[3]
존 러셀 하인드가 혜성의 궤도를 계산한 결과, 근일점이 목성 궤도 바로 안쪽인 4.05 AU 지점이었다.[1] 이 거리에서도 비록 옅긴 했지만 6개월 동안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혜성의 절대등급이 비정상적으로 밝아 -3.0에 달했다. 이 혜성의 핵 크기는 100km에 달할 정도로 컸을 가능성이 있다.[4] 이 혜성의 이심률은 1로 추정되며,[1] 섭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고려하면 이 혜성이 태양계 안으로 다시 들어올지, 아니면 바로 탈출할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C/1729 P1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1-07-26
사라바트는 육안으로만 관측하였으며, 처음에는 자신이 성운과 비슷한 별을 보았는데, 혜성인지 우리은하 내에 있는 천체인지 정확히 구분하지 못했다. 8월 9일까지는 달빛 때문에 확실하게 보지 못했지만, 이후 사라바트는 천체가 움직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자 자신이 혜성을 발견한 것이라는 확신을 얻었다.[3]
파리에 있던 자크 카시니는 혜성 발견 소식을 들은 직후 혜성의 위치를 확인하였는데, 발견 후 1달이 지났음에도 혜성의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 카시니는 혜성이 여우자리까지 이동한 1730년 1월 18일까지 혜성을 관측하였는데, 이는 혜성치고는 상당히 장기간 관측이 이루어진 것이었다.
3. 궤도
참조
[2]
서적
The Data Book of Astronomy
CRC
2000
[3]
서적
Cometography: A Catalog of Come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
서적
Comet
https://books.google[...]
Ballantine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