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D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은 IP 주소 할당과 라우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IP 주소 지정 방식이다. IP 주소와 함께 슬래시(/)와 접두어 길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표현하며, IPv4와 IPv6에서 모두 사용된다. CIDR은 여러 개의 작은 IP 주소 블록을 묶어 하나의 큰 블록으로 만드는 '라우팅 접두어 집계' 기능을 통해 라우팅 테이블 크기를 줄이고 라우팅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P 주소 - IP 주소 스푸핑
IP 주소 스푸핑은 송신자 IP 주소를 변조하여 위장하는 기술로, 부정 접근, 서비스 거부 공격, 인증 우회 등에 악용되거나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와 같은 합법적 사용도 가능하며, 패킷 필터링 등으로 방어할 수 있다. - IP 주소 - 사설망
사설망은 공용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로, IPv4에서는 10.0.0.0/8, 172.16.0.0/12, 192.168.0.0/16 등의 주소 범위, IPv6에서는 fc00::/7 블록의 고유 로컬 주소(ULA)가 사용되며, 단일 네트워크 세그먼트 내에서만 유효한 링크 로컬 주소도 존재한다. - 인터넷 구조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인터넷 구조 - 사물인터넷
사물 인터넷은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키지만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인터넷 표준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 인터넷 표준 - IPv6
IPv6는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128비트 주소 체계를 통해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IP 주소를 제공하며, 주소 자동 설정, 패킷 처리 효율성 향상, 보안 기능 강화 등의 특징을 갖는다.
| CIDR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
| 영어 이름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 약칭 | CIDR (사이더, 씨아이디알) |
| 다른 이름 | 슈퍼넷팅(supernetting), 경로 집계(route aggregation) |
| 설명 | IP 주소 할당 및 라우팅 방법 |
| 기술 정보 | |
| 목적 | IP 주소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 라우팅 테이블 크기 축소 |
| 방법 |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를 사용하여 IP 주소 블록을 유연하게 할당 |
| 표기법 | IP 주소/접두사 길이 (예: 192.0.2.0/24, 2001:db8::/32) |
| 관련 RFC | RFC 1518 RFC 1519 |
| 특징 | |
| 특징 | 클래스 기반 주소 지정 방식의 단점 극복, 계층적 주소 지정 및 라우팅 가능 |
| 장점 | IP 주소 낭비 감소 라우팅 테이블 크기 축소 유연한 주소 할당 정책 지원 |
| 단점 | CIDR 자체의 직접적인 단점은 없음. 다만, VLSM과 함께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 설계 복잡성 증가 가능성 존재 |
| 활용 | |
| 활용 분야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주소 할당 기업 네트워크의 주소 관리 라우팅 프로토콜(예: BGP)에서 경로 집계 |
| 기타 | |
| 관련 기술 | VLSM (Variable Length Subnet Masking) Route Aggregation Subnetting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2. 역사적 배경
IP 주소는 원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IP 네트워크상에서 자료 교환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전통적으로 IP 주소 영역은 세 개의 네트워크 클래스로 나뉘었고, 각 클래스는 고정된 크기의 네트워크 주소를 가졌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주소에 나타난 클래스를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채우기 위한 접두어의 길이를 정할 수 있었다.[3]
CIDR는 IP 주소와 네트워크 마스크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식이다. 1980년대에 필 카른에 의해 발명되었다.[9][10] IP 주소 뒤에 슬래시(/)와 접두어 길이(prefix length)를 덧붙이는 형식이다. (예: 192.168.0.0/16) 접두어 길이는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는 비트 수를 의미한다. IPv4와 IPv6 모두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1980년대 TCP/IP 네트워크가 인터넷으로 성장하면서, 더욱 유동적인 주소 체계가 필요해졌다. 이는 서브넷, 가변 길이 서브넷(Variable-Length Subnet), 그리고 CIDR의 개발을 야기하였다. 이전의 클래스 구분은 무시되었고, 새로운 시스템은 ''클래스 없는 라우팅''이라고 불렸으며, 상대적으로 이전의 시스템은 ''클래스 있는 라우팅''으로 불리게 되었다.[4]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발명 후 10년 이내에 클래스 기반 네트워크 방식은 확장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1993년,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는 IP 주소 블록 할당과 IPv4 패킷 라우팅을 위한 새로운 표준인 RFC 1518 및 RFC 1519를 발표했다. 2006년에는 업데이트된 버전인 RFC 4632가 발표되었다.[5]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은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를 기반으로 했다.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는 RFC 950에서 한 가지 대안으로 언급되었다.[6]
3. CIDR 표기법
CIDR는 기본적으로 비트 단위, 접두어 기반의 IP 주소 표준 분석 방식이다. 이는 일련의 주소를 묶어 하나의 라우팅 테이블 항목에 넣어 라우팅을 실행한다. '''CIDR 블록'''이라 불리는 그룹에 포함된 여러 IP 주소는 이진 표기를 하였을 때 동일한 일련의 초기 비트를 가진다. IPv4 CIDR 블록은 IPv4 주소와 비슷한 형태를 지니며, 점과 숫자로 이루어진 4부분의 주소와 ‘/’ 뒤의 0에서 32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다. 즉, ''A.B.C.D/N''과 같은 형태이다. 점과 숫자로 이루어진 부분은 IPv4 주소와 마찬가지로 4개의 8비트 단위 바이트로 이루어진 32비트 이진 숫자이다. ‘/’ 뒤의 숫자는 ''접두어 길이''라고 하며, 주소의 왼쪽으로부터 세어서 공유하는 초기 비트의 수를 가리킨다. 때로는 점과 숫자 부분은 생략되고 표현되는데, 즉 ''/20''은 언급되지 않은 20비트의 접두어를 가지는 CIDR 블록을 나타낸다.
만약 이진 형태로 변화한 IP 주소의 첫 자리 비트에서 CIDR 접두어 N 비트 길이만큼 일치한다면, 해당 IP 주소는 CIDR 블록의 일부라고 하며, CIDR 접두어와 ''일치''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CIDR를 이해하려면 IP 주소를 이진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IPv4의 경우, 주소의 길이가 32비트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N 비트의 CIDR 접두어는 사용되지 않은 비트의 주소를 남기며, 남은 비트를 사용하면 개의 조합을 구할 수 있는데, 이는 개의 IPv4 주소가 해당 N 비트의 CIDR 접두어에 일치함을 나타낸다. 짧은 CIDR 접두어는 더 많은 IP 주소와 일치하며, 긴 CIDR 접두어는 적은 주소와 일치한다. 하나의 주소는 서로 다른 길이의 여러 CIDR 접두어와 일치할 수 있다.
CIDR는 IPv6 주소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긴 주소로 말미암아 접두어 길이는 0에서 128까지의 범위를 지닌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문법이 사용된다. 접두어는 IPv6와 같은 형태로 쓰이고, ‘/’ 다음에 접두어의 길이가 표시된다.
'''CIDR 표기법'''은 IP 주소, 슬래시(/) 문자, 그리고 십진수를 지정한다. 십진수는 네트워크 마스크에서 연속된 선행 ''1'' 비트(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개수이다. 각 1 비트는 주어진 IP 주소와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주소 범위의 비트를 나타낸다. CIDR 표기법의 IP 주소는 항상 IPv4 또는 IPv6 표준에 따라 표현된다.
주소는 특정 인터페이스 주소를 나타낼 수 있으며(예: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 전체 네트워크의 시작 주소일 수도 있다(예: 또는 이에 상응하는 와 같이 호스트 식별자 0 사용). CIDR 표기법은 IP 주소가 전혀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비트 프리픽스와 8비트 호스트 번호를 가진 IPv4 네트워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를 참조하는 경우와 같다.
예를 들어:
IPv4에서 CIDR 표기법은 슬래시 뒤에 점분할십진법 서브넷 마스크 사양을 사용하여 문서화된 방식의 구현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가 있다.[2] 네트워크 접두사 너비를 단일 숫자()로 설명하는 것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개념화하고 계산하기 더 쉬웠다. 이 방식은 점차 후기 표준 문서 및 네트워크 구성 인터페이스에 통합되었다.
네트워크의 주소 수는 2주소 길이 − 접두사 길이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주소 길이''는 IPv6의 경우 128이고 IPv4의 경우 32이다. 예를 들어, IPv4에서 접두사 길이 는 다음과 같다: 23 = 8개의 주소.
4. CIDR 블록
CIDR 블록은 공통된 접두어를 가진 IP 주소들의 집합이다. IP 주소의 이진 표현에서 앞부분의 비트들이 일치하는 주소들로 구성된다. CIDR 블록은 IPv4와 IPv6 주소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CIDR은 기본적으로 비트 단위, 접두어 기반의 IP 주소 표준 분석 방식이다. 일련의 주소를 묶어 하나의 라우팅 테이블 항목에 넣어 라우팅을 실행한다. CIDR 블록에 포함된 여러 IP 주소는 이진 표기를 하였을 때 동일한 일련의 초기 비트를 가진다.
IPv4 CIDR 블록은 'A.B.C.D/N'과 같은 형태를 지닌다. 점과 숫자로 이루어진 부분은 IPv4 주소와 마찬가지로 4개의 8비트 단위 바이트로 이루어진 32비트 이진 숫자이다. '/' 뒤의 숫자 N은 접두어 길이라고 하며, 주소의 왼쪽으로부터 세어서 공유하는 초기 비트의 수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20'은 언급되지 않은 20비트의 접두어를 가지는 CIDR 블록을 나타낸다.
IP 주소가 이진 형태로 변화했을 때 첫 자리 비트에서 CIDR 접두어 N 비트 길이만큼 일치한다면, 해당 IP 주소는 CIDR 블록의 일부라고 하며, CIDR 접두어와 일치한다고 한다. CIDR을 이해하려면 IP 주소를 이진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CIDR 접두어 일치 예에서 10.10.1.44는 10.10.1.32와 초기 27비트가 같으므로 CIDR 블록 10.10.1.32/27에 일치하며, 10.10.1.90은 10.10.1.32와 26, 27번째의 비트가 다르므로 해당 블록에 일치하지 않는다.
IPv4의 경우, 주소의 길이가 32비트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N 비트의 CIDR 접두어는 사용되지 않은 비트의 주소를 남기며, 남은 비트를 사용하면 개의 조합을 구할 수 있다. 이는 개의 IPv4 주소가 해당 N 비트의 CIDR 접두어에 일치함을 나타낸다. 짧은 CIDR 접두어는 더 많은 IP 주소와 일치하며, 긴 CIDR 접두어는 적은 주소와 일치한다. 하나의 주소는 서로 다른 길이의 여러 CIDR 접두어와 일치할 수 있다.
CIDR는 IPv6 주소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긴 주소로 말미암아 접두어 길이는 0에서 128까지의 범위를 지닌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문법이 사용된다. 접두어는 IPv6와 같은 형태로 쓰이고, '/' 다음에 접두어의 길이가 표시된다.
4. 1. CIDR 블록의 할당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관(IANA)은 지역 인터넷 레지스트리(RIR)에 큰 CIDR 블록을 할당한다. RIR은 할당받은 블록을 하위 레지스트리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분배한다. ISP는 최종 사용자에게 CIDR 블록을 할당한다.예를 들어, 1600만 개 이상의 주소를 지니는 62.0.0.0/8은 RIPE (유럽 RIR)에서 관리한다. 각 RIR은 유럽이나 북아메리카와 같은 하나의 큰 지정학적 위치를 관리하며, 할당받은 블록을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분배한다. 이러한 분배 과정은 여러 수준으로 반복된다. 대형 ISP는 일반적으로 RIR로부터 CIDR 블록을 얻어서 이를 가입자 수에 따라 지역 공급자에게 나누어 준다. 인터넷 국제 표준화 기구는 동일 ISP에 속해있는 네트워크는 직접 주소 공간을 얻어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반면, 여러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네트워크는 해당 RIR로부터 직접 독립적인 CIDR 블록을 얻는 것을 권장한다.
1990년대 후반, 208.130.29.33은 `www.freesoft.org` 웹 서버에 할당되어 있었다. 이 주소를 분석해보면, 3개의 CIDR 접두어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CIDR 접두어 | 할당 기관 | 설명 |
|---|---|---|
| 208.128.0.0/11 | ARIN(북미 RIR) -> MCI | 2백만 개 이상의 주소를 포함하는 큰 CIDR 블록 |
| 208.130.28.0/22 | MCI -> Automation Research Systems (ARS) | 버지니아주의 재판매업자인 ARS에 할당된 블록 (1000개 이상의 장치 처리 가능) |
| 208.130.29.0/24 | ARS | ARS의 공공 서버용으로 할당된 블록 (208.130.29.33 포함) |
하나의 주소에 대한 이러한 여러 CIDR 접두어는 네트워크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각각 사용된다. MCI 네트워크 외부에서는 208.128.0.0/11 접두어가 MCI 트래픽 영역으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접두어는 208.130.29.33뿐만 아니라 초기 11비트가 동일한 약 200만 개 이상의 주소에 대해서 사용된다. MCI 네트워크 내부에서는 208.130.28.0/22가 사용되며, 패킷을 ARS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반면 208.130.29.0/24는 ARS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된다.[1]
한국은 아시아 태평양 네트워크 정보 센터(APNIC)로부터 주소 블록을 할당받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국내 IP 주소 할당을 관리한다.
4. 2. IPv4 CIDR 블록
CIDR은 IP 주소와 라우팅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방식이다. 특히 IPv4 CIDR 블록은 IPv4 주소와 비슷한 형태로 표현되며, 'A.B.C.D/N'과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A.B.C.D'는 일반적인 IPv4 주소처럼 점과 숫자로 이루어진 4부분의 주소를 나타내고, '/N'은 접두어 길이를 의미한다. 접두어 길이는 주소의 왼쪽부터 세어서 공유하는 초기 비트의 수를 가리키며, 0부터 32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10.10.1.32/27은 앞에서부터 27비트가 같다는 의미이다. 즉, 10.10.1.44는 10.10.1.32와 초기 27비트가 같으므로 10.10.1.32/27 블록에 속한다. 하지만 10.10.1.90은 27번째 비트가 다르므로 이 블록에 속하지 않는다.
IPv4에서 N 비트 CIDR 접두어는 개의 IP 주소를 포함한다. 접두어가 짧을수록 더 많은 IP 주소를 포함하고, 길수록 더 적은 주소를 포함한다.
다음은 IPv4 CIDR 블록의 예시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 CIDR 블록 | 호스트 수 | 마스크 | 클래스 |
|---|---|---|---|
| /32 | 1 | 255.255.255.255 | 1/256 C |
| /31 | 2 | 255.255.255.254 | 1/128 C |
| /30 | 4 | 255.255.255.252 | 1/64 C |
| /29 | 8 | 255.255.255.248 | 1/32 C |
| /28 | 16 | 255.255.255.240 | 1/16 C |
| /27 | 32 | 255.255.255.224 | 1/8 C |
| /26 | 64 | 255.255.255.192 | 1/4 C |
| /25 | 128 | 255.255.255.128 | 1/2 C |
| /24 | 256 | 255.255.255.0 | 1 C |
| /23 | 512 | 255.255.254.0 | 2 C |
| /22 | 1,024 | 255.255.252.0 | 4 C |
| /21 | 2,048 | 255.255.248.0 | 8 C |
| /20 | 4,096 | 255.255.240.0 | 16 C |
| /19 | 8,192 | 255.255.224.0 | 32 C |
| /18 | 16,384 | 255.255.192.0 | 64 C |
| /17 | 32,768 | 255.255.128.0 | 128 C |
| /16 | 65,536 | 255.255.0.0 | 256 C, 1 B |
| /15 | 131,072 | 255.254.0.0 | 512 C, 2 B |
| /14 | 262,144 | 255.252.0.0 | 1024 C, 4 B |
| /13 | 524,288 | 255.248.0.0 | 2048 C, 8 B |
| /12 | 1,048,576 | 255.240.0.0 | 4096 C, 16 B |
| /11 | 2,097,152 | 255.224.0.0 | 8192 C, 32 B |
| /10 | 4,194,304 | 255.192.0.0 | 16384 C, 64 B |
| /9 | 8,388,608 | 255.128.0.0 | 32768 C, 128 B |
| /8 | 16,777,216 | 255.0.0.0 | 65536 C, 256 B, 1 A |
| /7 | 33,554,432 | 254.0.0.0 | 131072 C, 512 B, 2 A |
| /6 | 67,108,864 | 252.0.0.0 | 262144 C, 1024 B, 4 A |
| /5 | 134,217,728 | 248.0.0.0 | 524288 C, 2048 B, 8 A |
| /4 | 268,435,456 | 240.0.0.0 | 1048576 C, 4096 B, 16 A |
| /3 | 536,870,912 | 224.0.0.0 | 2097152 C, 8192 B, 32 A |
| /2 | 1,073,741,824 | 192.0.0.0 | 4194304 C, 16384 B, 64 A |
| /1 | 2,147,483,648 | 128.0.0.0 | 8388608 C, 32768 B, 128 A |
4. 3. IPv6 CIDR 블록
CIDR은 IPv6 주소에도 사용되며 구문 의미는 동일하다. 접두사 길이는 주소의 비트 수가 더 많기 때문에 0에서 128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관례적으로, 브로드캐스트 MAC 계층 네트워크의 서브넷은 항상 64비트 호스트 식별자를 갖는다.[13] 더 긴 접두사(/127)는 보안 및 정책상의 이유로 라우터 간의 일부 지점 간 링크에서만 사용된다.[14]| 접두사 크기 | 해당하는 서브넷 수 | 인터페이스 ID 비트 | ||
|---|---|---|---|---|
| /48 | /56 | /64 | ||
| /24 | 16M | 4G | 1T | 104 |
| /25 | 8M | 2G | 512G | 103 |
| /26 | 4M | 1G | 256G | 102 |
| /27 | 2M | 512M | 128G | 101 |
| /28 | 1M | 256M | 64G | 100 |
| /29 | 512K | 128M | 32G | 99 |
| /30 | 256K | 64M | 16G | 98 |
| /31 | 128K | 32M | 8G | 97 |
| /32 | 64K | 16M | 4G | 96 |
| /33 | 32K | 8M | 2G | 95 |
| /34 | 16K | 4M | 1G | 94 |
| /35 | 8K | 2M | 512M | 93 |
| /36 | 4K | 1M | 256M | 92 |
| /37 | 2K | 512K | 128M | 91 |
| /38 | 1K | 256K | 64M | 90 |
| /39 | 512 | 128K | 32M | 89 |
| /40 | 256 | 64K | 16M | 88 |
| /41 | 128 | 32K | 8M | 87 |
| /42 | 64 | 16K | 4M | 86 |
| /43 | 32 | 8K | 2M | 85 |
| /44 | 16 | 4K | 1M | 84 |
| /45 | 8 | 2K | 512K | 83 |
| /46 | 4 | 1K | 256K | 82 |
| /47 | 2 | 512 | 128K | 81 |
| /48 | 1 | 256 | 64K | 80 |
| /49 | 128 | 32K | 79 | |
| /50 | 64 | 16K | 78 | |
| /51 | 32 | 8K | 77 | |
| /52 | 16 | 4K | 76 | |
| /53 | 8 | 2K | 75 | |
| /54 | 4 | 1K | 74 | |
| /55 | 2 | 512 | 73 | |
| /56 | 1 | 256 | 72 | |
| /57 | 128 | 71 | ||
| /58 | 64 | 70 | ||
| /59 | 32 | 69 | ||
| /60 | 16 | 68 | ||
| /61 | 8 | 67 | ||
| /62 | 4 | 66 | ||
| /63 | 2 | 65 | ||
| /64 | 1 | 64 | ||
| K = 1,024 | ||||
| M = 1,048,576 | ||||
| G = 1,073,741,824 | ||||
| T = 1,099,511,627,776 | ||||
IPv6의 큰 주소 공간은 전 세계적인 라우팅 요약과 각 사이트에서 충분한 주소 풀을 보장한다. IPv6 네트워크의 표준 서브넷 크기는 /64 블록이며, 이는 무상태 주소 자동 설정의 작동에 필요하다.[17]
5.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와 유사한 방식으로 접두어의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32비트 길이로, 접두어 길이만큼 1로 시작하고 나머지는 0으로 채워지며, 4개의 숫자로 표현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접두어 길이와 동일한 정보를 나타내지만, CIDR보다 먼저 개발되었다.
CIDR 표기법에서 접두어 비트는 항상 연속적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950[6]에서 비연속 비트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4632[5]는 마스크가 왼쪽에서 연속적이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러한 제약 조건을 고려하면 서브넷 마스크와 CIDR 표기법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비트 마스크의 일종으로, 접두사 길이를 IP 주소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낸다. 32비트의 이진수에서 처음부터 접두사 길이에 해당하는 비트열을 모두 1로 하고 나머지를 0으로 한 후, 점으로 4분할한 10진 형식으로 나타낸다. 서브넷 마스크와 접두사 길이는 같은 정보를 다른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지만, CIDR이 고안되기 전부터 존재했다.
6. 접두어 집계 (Prefix Aggregation)
CIDR의 다른 이점은 ''라우팅 접두어 집계''(routing prefix aggregation, 혹은 summarization)이다. 예를 들어 16개의 연속된 /24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주소의 처음 20비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외부에는 하나의 /20 네트워크로 보일 수 있다. 두 개의 연속된 /20 네트워크는 차례로 하나의 /19 네트워크로 묶일 수 있으며, 이는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인터넷상에서 노선의 수를 많이 감소시켜주며, 라우팅 테이블이 라우터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는 여러 개의 작은 CIDR 블록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묶는 기술로,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이고, 라우팅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네트워크 효율성 증대를 위해 접두어 집계 기술 활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지지한다.
참조
[1]
간행물
An Architecture for IP Address Allocation with CIDR
1993-09
[2]
간행물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an Address Assignment and Aggregation Strategy
1993-09
[3]
간행물
Assigned Numbers
1985-04
[4]
간행물
Applicability Stat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1993-09
[5]
간행물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The Internet Address Assignment and Aggregation Plan
2006-08
[6]
간행물
Internet Standard Subnetting Procedure
1985-08
[7]
문서
"Internet Cluster Addressing Scheme and its Application to Public Data Networks"
Proc.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 (ICCC' 88)
1988-10
[8]
기타
Cluster Addressing and CIDR
http://www.ietf.org/[...]
IETF
[9]
웹사이트
Re: Stupid Question maybe?
https://seclists.org[...]
North American Network Operators Group
2018-12
[10]
웹사이트
Re: Stupid Question maybe?
https://seclists.org[...]
North American Network Operators Group
2018-12
[11]
간행물
Variable Length Subnet Table For IPv4
1995-12
[12]
간행물
Referral Whois (RWhois) Protocol V1.5
1997-06
[13]
간행물
Significance of IPv6 Interface Identifiers
2014-02
[14]
간행물
Using 127-Bit IPv6 Prefixes on Inter-Router Links
2011-04
[15]
간행물
Broadcasting Internet Datagrams in the Presence of Subnets
1984-10
[16]
간행물
Requirements for IP Version 4 Routers
1995-06
[17]
간행물
[18]
간행물
IAB/IESG Recommendation on IPv6 Address Allocations to Sites
IAB/IESG
2001-09
[19]
간행물
IPv6 Address Assignment to End Sites
2011-03
[20]
웹사이트
ARIN IPv6 Addressing Plans
http://www.getipv6.i[...]
Getipv6.info
2016-03-25
[21]
웹사이트
RIPE IP Allocation Rates
https://www.ripe.net[...]
[22]
웹사이트
IANA IPv6 unicast address assignments
https://www.iana.org[...]
Iana.org
2018-03-12
[23]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用語1分解説~CIDRとは~
https://www.nic.ad.j[...]
JPNIC
2023-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