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See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iteSeer는 1997년 NEC 연구소에서 개발된 자동 인용 색인 및 인용 연결을 제공하는 최초의 디지털 도서관 겸 검색 엔진이다. 컴퓨터 및 정보공학 분야의 자료를 중심으로, 과학 및 학술 지식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자동인용색인, 인용 통계, 참조 링킹, 관련 문헌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화된 검색 환경 설정과 논문 수집 기능도 지원한다. 또한, 인용 검색 외에 인용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쿠키 서비스를 통해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한다. CiteSeer의 모든 콘텐츠는 무료로 이용 가능하며, 연구자들의 직접 제출과 웹 크롤러를 통해 문서를 수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용하는 학술지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로, 논문 유사도 검사 및 DOI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며 RISS와 연계된 검색 서비스를 통해 학술지 논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 결과 발표의 주요 경로로 활용된다. -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 엠포리스
엠포리스는 건축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였으며, 1996년 설립되어 고층 건물 및 도시 서식지 위원회와 제휴를 맺고, 건물 데이터베이스 외 건축 관련 뉴스 및 이미지, 어워드를 제공하다가 2020년 인수되었고 2022년 콘텐츠가 삭제되었다. - 인터넷 검색 엔진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인터넷 검색 엔진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CiteSeer |
---|
2. 역사
CiteSeerˣ는 자율 인용 색인을 통해 자동 인용 색인 및 인용 연결을 제공하는 최초의 디지털 도서관 겸 검색 엔진으로, 1997년 뉴저지 프린스턴에 있는 NEC 연구소에서 Steve Lawrence, Lee Giles, Kurt Bollacker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후 2003년부터는 Lee Giles 교수의 주도하에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의 IST(College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서비스하고 있다.[4][5]
CiteSeerˣ는 과학 및 학술 지식 접근에 대한 기능성, 유용성, 이용 가능성, 비용, 편의성, 유효성, 적시성 제고 및 과학 문헌의 배포 향상을 목적으로 구축되었다. 주로 컴퓨터와 정보공학에 관한 자료를 중심으로 축적하고 있다.[6]
CiteSeerˣ는 자동 인용 색인, 인용 통계, 참조 링킹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7] 인용 검색 및 분석 기능을 통해 학술 연구를 지원하며,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한다.[8]
3. 목적
4. 서비스
CiteSeerˣ는 이용자의 관심 분야를 저장하는 쿠키(Cookies)를 활용하여 접근 패턴을 추적하고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한다.[9] 모든 콘텐츠는 웹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10]
4. 1. 핵심 서비스
CiteSeerˣ는 자동 인용 색인, 인용 통계, 참조 링킹, 인용 상황 서비스 및 트랙킹, 관련 문헌 제공, 전문 색인, 질의 기반 요약, 논문 하비스팅, 메타데이터 자동 추출, 개인 서고, RSS, 소셜 북마킹, 소셜 네트워크 개인별 검색 환경 설정 등의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7] 인용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인용 분석 기능도 일부 제공하여, 앞으로 이 서비스를 더욱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8]
CiteSeerˣ는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이용자의 관심 분야를 저장하는 Cookies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접근 패턴을 추적하여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9] 모든 콘텐츠는 웹을 통해 일반 이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10]4. 2. 추가 서비스
CiteSeerˣ는 자동 인용 색인, 인용 통계, 참조 링킹, 인용 상황 서비스 및 추적, 관련 문헌 제공, 전문 색인, 질의 기반 요약, 논문 하비스팅, 메타데이터 자동 추출, 개인 서고, RSS, 소셜 북마킹, 소셜 네트워크 개인별 검색 환경 설정 등의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7] 또한, 인용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인용 분석 기능을 일부 제공하여 향후 이쪽 서비스를 더욱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8]
CiteSeerˣ는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위해 이용자의 관심 분야를 저장하는 쿠키(Cookies)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접근 패턴을 추적하여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9] 모든 콘텐츠는 웹을 통해 일반 이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10]
CiteSeerˣ에서 제공하는 추가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 설명 |
---|---|
자동 인용 색인 (ACI) | ACI를 사용해 자동 인용을 추출하고 문헌 조사 및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용 색인을 생성한다. 기존의 인용 지수에 비해 비용, 가용성, 포괄성, 효율성 및 적시성 면에서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
인용 통계 | 인용 통계 및 데이터베이스에 인용된 모든 기사뿐만 아니라 색인된 기사와 관련된 문서도 계산한다. |
참조 링킹 | 자동으로 생성된 인용 링크를 사용하여 검색 문서를 허용한다. |
관련 문헌 제공 | 인용과 단어 기반 방식을 사용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문서와 관련된 각 문서의 업데이트된 참고 문헌을 찾고 표시한다. |
전문 색인 | 전체 문서의 기사 인용을 색인하고, 전체 boolean, 구문 및 근접 검색을 지원한다. |
질의 기반 요약 |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일반적인 요약 대신 기사에 대한 질문을 사용하는 방법의 문서를 제공한다. |
메타데이터 자동 추출 | 자동적으로 저자, 제목, 분석 및 문서 검색을 위한 기타 관련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
개인 서고 | 개인 컬렉션, RSS와 같은 알림, 소셜 북마크, 소셜 네트워크 장비 등의 특정 기능을 제공한다. 개인화된 검색 설정 및 기관 데이터 추적이 가능하다. 사용자 문서는 문서 제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쉽게 제출할 수 있다. |
논문 하비스팅 | 자동으로 공용 웹으로부터 연구 논문을 수확하고 제출 시스템을 통해 제출된 것도 포함한다. |
인용 상황 서비스 및 추적 | 논문의 새로운 인용과 새 논문이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해 일치하면 자동으로 알림을 제공한다.[11] |
5. 서비스 사용 절차
CiteSeerˣ는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있으며, 검색을 위해서는 별도의 이용자 등록이 필요없지만, CiteSeerˣ로부터 정보를 받거나 보낼 때, 특히 질문하거나 의견을 제시하고 정보 갱신을 요구할 때는 간단한 등록 절차가 필요하다.[12] CiteSeerˣ는 좀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위해 이용자 관심 분야를 저장하는 Cookies 서비스를 제공한다.[12] 본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접근 패턴을 추적하여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12]
6. 문서의 수집
CiteSeerˣ의 문서 수집은 연구자의 직접 제출과 cite-seerxbot이라 불리는 크롤러가 담당한다. 연구자들은 CiteSeerˣ에 부합하는 주제 콘텐츠라면 무엇이든 제출할 수 있다. 제출을 위해 지원하는 파일 포맷은 PDF, PostScript, 압축 파일(zip, gz, z)로 다양하지만 PDF 파일을 권장하고 있다.[13]
7. 특징
CiteSeerˣ는 유사도(%)를 통해 비슷한 문헌을 찾아주는 Similar Documents와 co-Citation 등 관련 문헌을 검색하는 Related Documents 기능을 제공하며, 최신 자료도 함께 검색할 수 있다.[14] 또한, 논문 전문 검색 및 온라인 출판사의 citation link를 통해 각 DB 내 통합 검색을 지원하는 Reference Linking 기능을 제공한다.[14] CiteSeerˣ는 DBLP, ACM Digital library로 링크되어 인덱스된 모든 논문의 메타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한다.[14] CiteSeerˣ는 검색 엔진이자 디지털 도서관으로서 다른 디지털 도서관을 위한 리소스도 제공한다.[14]
8. 사용성 평가
CiteSeerˣ는 특정 논문에 대해 연도별 인용 횟수를 그래프로 보여주지만, 이는 단순 통계 서비스일 뿐 논문의 주제별 분류 정보를 활용하지는 못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단순 검색 결과보다는 전문적인 정보 제공 측면에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Thinking-aloud 기법으로 사용자들을 관찰한 결과, CiteSeerˣ를 이용할 때 사용자 자신의 직관이나 기존 경험에서 얻어진 휴리스틱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사용자 간 작업 수행의 편차를 크게 만들고, 이는 결국 작업 결과로 제시되는 결과들의 편차를 크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15]
참조
[1]
웹사이트
http://citeseerx.ist[...]
[2]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30
[3]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0
[4]
웹사이트
www.psu.edu
[5]
웹인용
CiteSeerX Homepage
http://eprints.rclis[...]
2013-06-14
[6]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30
[7]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30
[8]
학술논문
인용 정보를 활용한 학술 정보 서비스 고도화 전략
韓國情報管理學會 學術大會論文集
2009
[9]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30
[10]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0
[11]
웹인용
About CiteSeerX
http://citeseerx.ist[...]
2010-05-07
[12]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30
[13]
논문
성공적인 리포지터리의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2010-12-30
[14]
학술발표자료
KISTI의 차세대 정보 서비스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2008
[15]
논문
Journal of KIISE.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정보과학회논문지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