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형 소행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형 소행성은 낮은 알베도와 붉은색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소행성 분류이다. 유기질 규산염, 탄소, 무수 규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 얼음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 주로 외곽 소행성대와 목성 트로이군에서 발견되며, 카이퍼 대에서 기원했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152 아탈라, 944 히달고, 624 헥토르, 10199 카리클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행성 분광형 - A형 소행성
A형 소행성은 매우 희귀한 소행성으로, 특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2024년 8월 현재 17개만이 발견되었다. - D형 소행성 - 588 아킬레스
588 아킬레스는 막스 볼프가 발견한 최초의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으로, 태양-목성 간 L4 라그랑주점에서 11년 11개월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낮은 알베도와 130km 이상의 지름을 가진 D형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영웅 아킬레우스의 이름을 땄다. - D형 소행성 - 279 툴레
279 툴레는 소행성대 최외곽에서 목성과 4:3 궤도 공명 상태를 보이는 소행성이며, 툴레 역학군의 첫 번째 구성원으로 이심률이 매우 작은 특징을 가진다. - 소행성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소행성 - 243 이다
243 이다는 1884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위성 다크틸을 가지고 있다.
D형 소행성 | |
---|---|
분류 | |
소행성대 | 바깥쪽 소행성대 |
족 | 힐다족 (추정) 트로이군 소행성 (추정) |
명칭 | |
스펙트럼형 | D형 |
특징 | |
설명 | 매우 낮은 알베도, 붉은 색의 스펙트럼 |
구성 성분 | 유기 화합물이 풍부한 규산염, 탄소, 무수 규산염, 물 얼음 |
2. 특징
D형 소행성은 매우 낮은 알베도와 특징 없는 불그스름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152 아탈라, 944 히달고와 목성 트로이군 대부분이 D형 소행성에 속하며, 바깥쪽 소행성대와 그 너머에서 발견된다. 태기시호 운석은 D형 소행성의 파편이며, 화성의 위성인 포보스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니스 모형은 D형 소행성이 카이퍼 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돈키호테 3552, 히달고 944, 헥토르 624, 샤리클로 10199 등 46개의 D형 소행성이 알려져 있다.
2. 1. 구성 성분
D형 소행성은 매우 낮은 알베도와 특징 없는 불그스름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유기질이 풍부한 규산염, 탄소 및 무수 규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의 얼음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3. 분포
D형 소행성은 유기질이 풍부한 규산염, 탄소와 무수 규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의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태기시호 운석은 D형 소행성의 파편으로 여겨지며, 화성의 위성인 포보스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
3. 1. 주요 분포 지역
D형 소행성은 매우 낮은 알베도와 특징 없는 불그스름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이들은 주로 바깥쪽 소행성대와 그 너머에서 발견되며, 152 아탈라, 944 히달고, 목성 트로이군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1] 니스 모형에 따르면 D형 소행성은 카이퍼 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1] 돈키호테 3552, 944 히달고, 624 헥토르, 샤리클로 10199 등 46개의 D형 소행성이 알려져 있다.[1]4. 기원
D형 소행성은 매우 낮은 알베도와 특징 없는 불그스름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유기질이 풍부한 규산염, 탄소와 무수 규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의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D형 소행성은 바깥쪽 소행성대와 그 너머에서 발견되는데, 152 아탈라, 944 히달고, 목성 트로이군 등이 대표적이다. 태기시호 운석은 D형 소행성의 파편으로 여겨지며, 화성의 위성인 포보스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돈키호테 3552, 이달고 944, 헥토르 624, 샤리클로 10199 등 46개의 D형 소행성이 알려져 있다.[1]
4. 1. 니스 모형
니스 모형은 D형 소행성이 카이퍼 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5. 대표적인 D형 소행성
D형 소행성은 매우 낮은 알베도와 특징 없는 불그스름한 스펙트럼을 가진다. 돈키호테 3552, 이달고 944, 헥토르 624, 샤리클로 10199 등 46개의 D형 소행성이 알려져 있다.[3] 다음은 대표적인 D형 소행성 목록이다.[3]
소행성 이름 | SMASS | 톨렌 | 지름(km) | 지름 측정 방법 | 소행성 범주 |
---|---|---|---|---|---|
267 티르자 | D | DU | IRAS | 소행성대 소행성 | |
279 툴레 | X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336 라카디에라 | Xk | D | IRAS | 소행성대 소행성 | |
368 하이데아 | – | D | IRAS | 소행성대 소행성 | |
624 헥토르 | – | D | 직접 촬영 | 목성 트로이군 | |
721 타보라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773 이르민트라우드 | T | D | IRAS | 소행성대 소행성 | |
884 프리아무스 | – | D | Absmag | 목성 트로이군 | |
911 아가멤논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944 이달고 | – | D | Absmag | 켄타우루스 | |
1143 오디세우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1144 오다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1172 아이네아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1167 두비아고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1256 노르만니아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1269 롤란디아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1578 커크우드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1583 안틸로쿠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1746 브라우어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1867 데이포부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2207 안테노르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2241 알카토우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2311 엘 레온시토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2312 두보신 | – | D | IRAS | 외곽 소행성대 소행성 | |
2357 페레클로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2363 세브리오네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2674 판다루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2893 페이로스 | – | D | IRAS | 목성 트로이군 | |
10199 카리클로 | D | – | n.a. | 켄타우루스 |
참조
[1]
논문
The composition and origin of the C, P, and D asteroids: Water as a tracer of thermal evolution in the outer belt
https://dx.doi.org/1[...]
1990-11-01
[2]
논문
A spectroscopic survey of D-type asteroids
1994-02
[3]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spec. type
[4]
논문
On The Possibility Of Large KBOs Being Injected Into The Outer Asteroid Belt
http://adsabs.harvar[...]
2008-09
[5]
뉴스
Potato-Shaped Mars Moon Phobos May Be a Captured Asteroid
https://news.yahoo.c[...]
Space.com via Yahoo News
2014-01-19
[6]
간행물
コズミックフロントNext
2017-04-20
[7]
논문
The origin of Martian moons revisited
2011
[8]
간행물
On The Possibility Of Large KBOs Being Injected Into The Outer Asteroid Belt
https://ui.adsabs.ha[...]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08
[9]
서적
シリーズ 現代の天文学 第9巻 太陽系と惑星
日本評論社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