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8 아킬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88 아킬레스는 1906년 독일 천문학자 막스 볼프가 발견한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이다. 태양-목성 L4 라그랑주점에서 11년 11개월 주기로 공전하며, 0.15의 이심률과 10도의 궤도 경사각을 갖는다. 표면 반사율은 낮고, 7.3시간의 자전 주기를 가지며, D형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영웅 아킬레우스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발견한 천체 - IC 1613
- D형 소행성 - 279 툴레
279 툴레는 소행성대 최외곽에서 목성과 4:3 궤도 공명 상태를 보이는 소행성이며, 툴레 역학군의 첫 번째 구성원으로 이심률이 매우 작은 특징을 가진다. - 목성 트로이군 (그리스 측) - 3848 유리베이츠
3848 유리베이츠는 1973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1951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팔로마 천문대에서 촬영된 사진 건판에서 발견되었다. - 목성 트로이군 (그리스 측) - 9907 오일레우스
9907 오일레우스는 (문서 본문에 정의가 없으므로 정의를 내릴 수 없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 기술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특징, 관련 인물과 사건, 국제 관계, 현대적 응용, 비판 및 논란, 미래 전망 등을 다룬다.
588 아킬레스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588 아킬레스 |
가명 | 1906 TG |
발음 | IPA(영어): əˈkɪliːz |
형용사 | 아킬레우스의, 아킬레스건의 IPA(영어): ˌækɪˈliːən, əˈkɪliən |
명명 유래 | 아킬레우스 (그리스 신화) |
소행성 분류 |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 |
궤도 정보 | |
기준점 | 2018년 3월 23일 (JD 2458200.5) |
불확실성 | 0 |
관측 호 | 112.25년 (41,000일) |
원일점 | 5.9714 AU |
근일점 | 4.4467 AU |
궤도 긴반지름 | 5.2091 AU |
궤도 이심률 | 0.1463 |
공전 주기 | 11.89년 (4,343일) |
평균 겉보기 운동 | 0.0829°/일 |
궤도 경사 | 10.318° |
승교점 경도 | 316.54° |
근일점 인수 | 133.50° |
목성 MOID | 0.5704 AU |
티세랑 매개변수 | 2.9460 |
물리적 특성 | |
평균 지름 | 130.10 ± 0.55 km |
자전 주기 | 7.306 ± 0.002 시간 |
알베도 | 0.0328 ± 0.002 |
분광형 | Tholen DU |
B-V 색 지수 | 0.755 |
U-B 색 지수 | 0.216 |
V-I 색 지수 | 0.940 ± 0.019 |
절대 등급 | 8.47 |
발견 정보 | |
발견일 | 1906년 2월 22일 |
발견자 | M. F. 볼프 |
발견 장소 | 하이델베르크 천문대 |
기타 명칭 | |
MPC 명칭 | (588) Achilles |
소행성 분류 (MPC) |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 |
소행성 분류 (AstDys) | 배경 소행성 |
2. 발견
아킬레스는 1906년 2월 22일 독일 남부 하이델베르크 천문대에서 막스 볼프에 의해 발견되었다. 목성 트로이군의 최초 발견이지만, 2년 전 1999 RM11이 A904 RD로 관측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천체는 관측 기간이 짧아 궤도를 계산할 수 없었다. 그 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아우구스트 코프는 아킬레스 발견 8개월 후 617 파트로클로스를 발견했고, 1907년 초에는 목성 트로이군 중 가장 큰 624 헥토르를 발견했다.
2. 1. 최초 발견
아킬레스는 1906년 2월 22일 독일 남부의 하이델베르크-쾨니히슈투르 천문대에서 독일 천문학자 막스 볼프에 의해 발견되었다.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으로서는 최초의 발견이었지만, 2년 전에 이 로 관측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천체는 관측 기간이 궤도를 계산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확인되지 않았다. 볼프의 하이델베르크 동료인 아우구스트 코프는 아킬레스 발견 8개월 후에 617 파트로클로스를 발견했고, 1907년 초에는 모든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 중 가장 큰 624 헥토르를 발견했다.2. 2. 초기 관측
아킬레스는 1906년 2월 22일 독일 남부 하이델베르크 천문대에서 막스 볼프에 의해 발견되었다.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으로는 최초의 발견이었지만, 2년 전에 이 로 관측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 천체는 관측 기간이 짧아 궤도를 계산할 수 없었고,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아우구스트 코프는 아킬레스 발견 8개월 후 617 파트로클로스를 발견했고, 1907년 초에는 목성 트로이군 중 가장 큰 624 헥토르를 발견했다.3. 궤도 및 분류
588 아킬레스는 목성 트로이군의 거대한 소행성이다. 이 어두운 D형 소행성은 지름이 약 133km로 목성에서 가장 큰 10개의 트로이목마 중 하나이다. 588 아킬레스는 7.3시간의 자전 주기를 가지며 구형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킬레스는 태양-목성 간의 L4 라그랑주점에서 태양을 공전한다. 궤도는 이심률 0.15와 황도면으로부터 10도의 경사각을 보인다.
3. 1. 궤도 특성
아킬레스는 태양-목성 간의 L4 라그랑주점에서 4.4-6.0 AU 거리에서 태양을 11년 11개월에 한 번씩 공전한다. 궤도는 이심률 0.15와 황도면으로부터 10도의 경사각을 보여준다.3. 2. 라그랑주 점과 트로이군
1006 라그랑주(Lagrangea)는 1772년 프랑스 수학자 조제프 라그랑주가 계산한 삼체 문제의 안정적인 해의 첫 번째 예시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비슷한 궤도 특징을 가진 다른 소행성들이 발견된 후, 이들은 트로이 전쟁의 영웅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트로이 소행성" 또는 "목성 트로이군"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라그랑주점 L4는 "그리스 진영"으로, 라그랑주점 L5는 "트로이 진영"으로 규정되었는데, 각 진영에 "첩자"(그리스 진영의 헥토르와 트로이 진영의 파트로클로스)가 배정되기 전부터였다.아킬레스는 태양-목성간의 L4 라그랑주점에서 4.4-6.0AU 거리에서 태양을 11년 11개월에 한 번씩 공전한다. 궤도는 이심률 0.15와 황도면으로부터 10도의 경사각을 보여준다. 아킬레스는 태양으로부터 4.4~6.0 천문단위(AU) 거리에서 태양-목성계의 라그랑주점에서 공전하며, 11년 11개월(4,343일; 궤도 장반축 5.21 AU)의 주기를 갖는다.
4. 물리적 특성
588 아킬레스는 목성 트로이군에 속하는 거대한 소행성이다. 어두운 D형 소행성인 588 아킬레스는 지름이 약 133km로, 목성에서 가장 큰 10개의 트로이군 소행성 중 하나에 속한다.
4. 1. 분광형
톨렌 분류 체계에서 588 아킬레스는 특이한 스펙트럼(DU)을 가진 D형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588 아킬레스의 V–I 색지수는 0.94로 대부분의 큰 목성 트로이 소행성과 유사하다.4. 2. 자전 주기
588 아킬레스의 자전 주기는 7.3시간으로, 다른 대부분의 큰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보다 다소 짧지만 911 아가멤논, 3451 멘토르, 3317 파리스와 비슷하며, 이들은 크기가 유사하다. 낮은 밝기 진폭은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나타낸다.2007년 7월부터 2008년 9월까지 광도 측정 관측이 시메이즈(크리미아), 로젠(불가리아), 마이다낙(우즈베키스탄), 하르키우(우크라이나) 천문대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공동으로 수행되었다. 얻어진 광곡선 분석 결과, 0.02~0.11 등급의 밝기 진폭을 가진 7.306 ± 0.002 시간의 주기가 결정되었다. 클라우디아 안젤리(7.0시간), 로버트 스테픈스(7.312시간), 스테파노 모톨라(7.32시간), 빈첸초 자팔라(12시간)가 결정한 대체 주기는 대부분 잘 일치한다.
4. 3. 지름과 반사율
IRAS, 아카리 위성, NASA의 광시야 적외선 탐사 망원경의 NEOWISE 임무에 의해 수행된 조사에 따르면, 588 아킬레스 표면은 0.0328에서 0.043 범위의 매우 낮은 알베도를 가지고 있으며, 약 8.57의 절대 등급은 130.1에서 135.5 킬로미터의 지름에 해당한다.트로이군 소행성 | 지름 (km) |
---|---|
624 헥토르 | 225 |
617 파트로클로스 | 140 |
911 아가멤논 | 131 |
588 아킬레스 | 130 |
3451 멘토르 | 126 |
3317 파리스 | 119 |
1867 데이포보스 | 118 |
1172 아이네이아스 | 118 |
1437 디오메데스 | 118 |
1143 오디세우스 | 115 |
출처: [https://ssd.jpl.nasa.gov/sbdb_query.cgi?obj_group=all;obj_kind=all;obj_numbered=all;ast_orbit_class=TJN;OBJ_field=0;ORB_field=0;c1_group=OBJ;c1_item=Ap;c1_op=%3E;c1_value=50;table_format=HTML;max_rows=100;format_option=comp;c_fields=AcBhBgBjBiBnBsAiAp;.cgifields=format_option;.cgifields=ast_orbit_class;.cgifields=table_format;.cgifields=obj_kind;.cgifields=obj_group;.cgifields=obj_numbered;.cgifields=com_orbit_class&query=1&c_sort=ApD JPL 소행성 데이터베이스], NEOWISE 자료 |
아킬레스는 IRAS와 아카리에 따르면 6번째로 큰 목성 트로이 소행성이며, NEOWISE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때는 4번째로 크다.
4. 4. 크기 비교
588 아킬레스는 목성 트로이군에서 상당히 큰 소행성으로, 지름이 약 133km에 달한다. 이는 목성 트로이군 소행성 중에서도 큰 편에 속한다.IRAS, 아카리, NEOWISE의 관측 자료에 따르면 588 아킬레스는 표면 반사율(알베도)이 0.0328~0.043으로 매우 낮고, 절대 등급은 약 8.57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정한 지름은 130.1km~135.5km이다.
아래는 여러 관측 자료에서 나타난 588 아킬레스의 크기 비교이다.
트로이군 소행성 | 지름 (km) |
---|---|
624 헥토르 | 225 |
617 파트로클로스 | 140 |
911 아가멤논 | 131 |
588 아킬레스 | 130 |
3451 멘토르 | 126 |
3317 파리스 | 119 |
1867 데이포보스 | 118 |
1172 아이네이아스 | 118 |
1437 디오메데스 | 118 |
1143 오디세우스 | 115 |
출처: https://ssd.jpl.nasa.gov/sbdb_query.cgi?obj_group=all;obj_kind=all;obj_numbered=all;ast_orbit_class=TJN;OBJ_field=0;ORB_field=0;c1_group=OBJ;c1_item=Ap;c1_op=%3E;c1_value=50;table_format=HTML;max_rows=100;format_option=comp;c_fields=AcBhBgBjBiBnBsAiAp;.cgifields=format_option;.cgifields=ast_orbit_class;.cgifields=table_format;.cgifields=obj_kind;.cgifields=obj_group;.cgifields=obj_numbered;.cgifields=com_orbit_class&query=1&c_sort=ApD JPL 소행성 데이터베이스, NEOWISE 자료 |
위 표에서 588 아킬레스는 4번째로 큰 천체로 기록되어 있다.
5. 이름
이 소행성의 이름은 오스트리아의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가 제안했다.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자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아킬레우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5. 1. 유래
이 소행성의 이름은 오스트리아의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가 제안했다.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자 트로이아 전쟁을 다룬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인 아킬레우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아킬레우스는 아기였을 때 어머니 테티스에게 스틱스 강에 담가졌는데, 이로 인해 발꿈치를 제외한 전신이 무적이 되었다. 그는 트로이 최고의 전사인 헥토르를 죽였고, 결국 파리스가 쏜 발꿈치에 꽂힌 화살에 맞아 죽었다.5. 2. 신화 속 아킬레우스
이 소행성의 이름은 오스트리아의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가 제안했다.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자 트로이아 전쟁을 다룬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인 아킬레우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아킬레우스는 아기였을 때 어머니 테티스에게 스틱스 강에 담가졌는데, 이로 인해 발꿈치를 제외한 전신이 무적이 되었다. 그는 트로이 최고의 전사인 헥토르를 죽였고, 결국 파리스가 쏜 발꿈치에 꽂힌 화살에 맞아 죽었다.참조
[1]
사전
Achillean, achillea
[2]
웹사이트
全世界の観測成果 ver.2
http://sendaiuchikan[...]
薩摩川内市せんだい宇宙館
2019-03-11
[3]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