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2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AR-21은 S&T 모티브가 개발한 불펍 방식의 소총으로, 대한민국 국군의 K2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2003년 시제품이 개발되었으며, K1의 노후화와 K11 복합형 소총의 배치 계획 철회 등으로 인해 K2의 갱신을 목표로 했지만, K2C 및 K2C1이 주력 소총으로 운용되면서 DAR-21은 대량 생산되지 못했다. K2와 달리 숏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의 가스 작동 방식을 사용하며, 피카티니 레일을 통해 다양한 부착물 장착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우 돌격소총 - K1A 기관단총
K1A 기관단총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되어 1982년부터 대한민국 군에 보급된 기관단총으로, K2 소총 개발 중 파생되어 K1의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개선한 모델이며, 현재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현대화 노력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 대우 돌격소총 - K2 소총
K2 소총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고 S&T 모티브에서 생산한 대한민국의 제식소총으로, M16A1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5.56×45mm NATO탄을 사용하고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용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 대한민국의 소총 - K2 소총
K2 소총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고 S&T 모티브에서 생산한 대한민국의 제식소총으로, M16A1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5.56×45mm NATO탄을 사용하고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용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 대한민국의 소총 - MX 소총
- 불펍 화기 - 발터 WA2000
발터 WA2000은 독일 발터사가 개발한 고정밀 반자동 저격총이며,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 이후 서독 경찰의 요구로 개발되었으나 높은 가격과 무게로 인해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소량 생산되었다. - 불펍 화기 - QBZ-95
QBZ-95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제식 소총으로, 5.8×42mm DBP87탄을 사용하고 불펍 방식 설계를 채택한 자동소총이며, 다양한 파생형과 수출용 모델, 개량형 모델이 존재한다.
| DAR-21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불펍 돌격소총 |
| 원산지 | 대한민국 |
| 설계 | S&T 모티브 |
| 제조사 | S&T 모티브 |
| 생산량 | 시제품만 생산 |
| 제원 | |
| 무게 (탄창 제외) | 3.50kg |
| 전체 길이 | 780mm |
| 총열 길이 | 508mm |
| 구경 | 5.56mm |
| 탄약 | 5.56×45mm NATO |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태핏 방식 |
| 발사 속도 | 분당 850발 |
| 총구 속도 | 940m/s |
| 유효 사거리 (점표적) | 600m |
| 급탄 방식 | 다양한 STANAG 탄창 |
| 조준 장치 | 피카티니 레일을 통해 다양한 조준경 장착 가능 |
| 사용 정보 | |
| 사용 국가 | (정보 없음) |
| 사용된 전쟁 | (정보 없음) |
2. 역사
DAR-21(XK8)은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인 K2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소총이다. S&T 모티브(구 대우정밀)가 국방과학연구소의 기술 지원을 받아 2003년 시제품을 개발했다.[2] 그러나 대한민국 국방부는 야전 테스트 결과 K11 복합형 소총을 선호하여 채택되지 못했다.[3][4] 이후 K11 복합형 소총의 배치 계획이 철회되었지만, 국방부는 K2의 개량형인 K2C, K2C1을 주력 소총으로 운용할 방침이어서 DAR-21의 채택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5][6]
2. 1. 개발 과정
S&T 모티브는 국방과학연구소의 기술 지원을 받아 2003년에 DAR-21 시제품 개발을 시작했다.[2] K1의 유지 보수 비용과 신뢰성이 20년 대량 생산 이후 악화되면서, S&T 모티브는 차세대 소총으로 K2 소총을 대체하여 대량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 시제품은 연말 전에 개발이 완료되어 공개되었다.[3] S&T 모티브는 대한민국 국방부에 야전 테스트를 요청했으나, 국방부는 K11을 선호했다.[3][4]XK8은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거부되어 대량 생산되지 않았고 수출 주문도 받지 못했다.[3] XK8은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인 K2 갱신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S&T대우가 독자적으로 기획·개발했다.[5]
2005년 S&T대우가 대한민국 국방부에 XK8의 야전 테스트를 제안했지만, 당시 국방부는 K11 복합형 소총 (일명 한국판 OICW)을 K2의 후계로 운용할 것을 상정했기 때문에 실시되지 않았다.[6] K11 복합형 소총의 배치 계획이 사실상 철회된 현재에도, 국방부는 K2의 개량형인 K2C 및 K2C1을 주력 소총으로 운용할 방침이며, XK8이 K2 시리즈를 갱신할 가능성은 낮다.
해외 판매도 진행하고 있지만, 운용 실적이 전무하여 채용된 사례는 현재까지 없다.[5]
2. 2. 채택 실패
S&T 모티브는 국방과학연구소(ADD)의 기술 지원을 받아 2003년에 DAR-21 시제품 개발을 시작했다.[2] K1의 유지 보수 비용과 신뢰성이 20년 대량 생산 이후 악화되면서, S&T 모티브는 차세대 소총으로 K2 소총을 대체하여 대량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 시제품은 연말 전에 개발이 완료되어 공개되었다.[3] S&T 모티브는 국방부에 야전 테스트를 요청했으나, 테스트 이후 국방부는 K11을 선호했다.[3][4]DAR-21은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거부된 후, 대량 생산되지 않았고 수출 주문도 받지 못했다.[3] DAR-21은 한국군의 주력 소총인 K2의 갱신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과거 K2 개발 계획과는 달리, S&T대우가 독자적으로 기획·개발한 것이다.[5]
2005년 S&T대우가 국방부에 DAR-21의 야전 테스트를 제안했지만, 당시 국방부는 K11 복합형 소총(일명 한국판 OICW)을 K2의 후계로 운용할 것을 상정했기 때문에 실시되지 않았다.[6] K11 복합형 소총의 배치 계획이 사실상 철회된 현재에도, 국방부는 K2의 개량형인 K2C 및 K2C1을 주력 소총으로 운용할 방침이며, DAR-21이 K2 시리즈를 갱신할 가능성은 낮다.
해외 판매도 진행하고 있지만, 운용 실적이 전무하다는 점도 영향을 미쳐, 채용된 사례는 현재까지 전혀 없다.[5]
3. 특징
K2 소총을 불펍화했다는 오해가 있으나, 개발사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피카티니 레일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어 여러 부가 장비 부착이 용이하다. 과거 불펍 소총이 관심을 받을 때 개발되었으나, 제식 채용은 거부되었다.[3][4][5]
3. 1. 작동 방식
XK8은 K2를 불펍 방식으로 개조한 것으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K2는 롱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XK8은 숏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을 채용하는 등 차이가 있다. 제조사 측 담당자는 XK8을 신규 설계라고 밝혔다.[5]XK8의 프레임은 폴리머 소재를 사용하며, 탄피 배출구는 오른쪽에, 코킹 레버는 왼쪽에 있다. 셀렉터는 안전, 반자동, 3점사, 완전 자동의 4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XK8은 M16 및 K2와 공용인 STANAG 탄창을 사용한다.
피카티니 레일에는 3배율 조준경과 레이저 사이트가 표준 부착물로 장착되어 있다.
3. 2. 재질 및 구조
XK8은 오른쪽에 탄피 배출구, 왼쪽에 장전 손잡이가 있으며 고강도 플라스틱 및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졌다.[3][4] 사격 조정간은 반자동, 3점사, 자동 사격으로 구성된다.[3] K2 소총을 그대로 불펍 방식으로 개조한 것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지만, K2의 작동 방식은 롱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인 반면, XK8은 숏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을 채용하는 등 차이가 있어, 제조사 측 담당자는 어디까지나 신규 설계라고 말하고 있다.[5]프레임은 폴리머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탄피 배출구는 오른쪽, 코킹 레버는 왼쪽에 있다. 셀렉터는 안전, 반자동, 3점사, 완전 자동의 4가지 위치가 있다. 사용 탄창은 M16 및 K2와 공용인 STANAG 탄창이다. 피카티니 레일에는 표준 부착물로 3배율 조준경과 레이저 사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3. 3. 부가 장비
피카티니 레일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어 여러 가지 부가 장비 부착이 용이하다. 표준 부착물로는 3배율 조준경과 레이저 사이트가 피카티니 레일에 장착되어 있다.[5]3. 4. 호환성
M16 및 K2와 공용으로 STANAG 탄창을 사용한다.[5]3. 5. 게임
크로스파이어 (PC용 FPS 게임)에 DAR-21로 등장한다.참조
[1]
웹사이트
SALW Guide
https://salw-guide.b[...]
2021-04-07
[2]
웹사이트
Guest Post: Korean K2 Rifle Upgrade History (2005-2017) -
https://www.thefirea[...]
2018-01-09
[3]
웹사이트
Daewoo XK8 Assault Rifle | Military-Today.com
http://www.military-[...]
[4]
웹사이트
S&T Motiv Ready for Global Stage Small Arms Featured at DX Korea – Small Arms Defense Journal
http://www.sadefense[...]
[5]
웹사이트
XK8
https://namu.wiki/w/[...]
2020-01-21
[6]
웹사이트
Guest Post: Korean K2 Rifle Upgrade History (2005-2017)
https://www.thefirea[...]
2020-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