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K2 소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K2 소총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여 1984년 K2 자동소총으로 명명된 대한민국 제식 소총이다. 1985년부터 전방 전투 부대에 보급되어 한국군의 주력 제식 소총으로 사용되었으며, M16A1 소총을 대체했다. 7.62mm NATO 탄을 사용하려던 초기 개발 계획과 달리 5.56 × 45mm NATO 탄을 사용하며,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과 회전 노리쇠 방식을 채택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K2 소총은 대한민국 외에도 이라크, 나이지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K2C1, K2C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우 돌격소총 - K1A 기관단총
    K1A 기관단총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되어 1982년부터 대한민국 군에 보급된 기관단총으로, K2 소총 개발 중 파생되어 K1의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개선한 모델이며, 현재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현대화 노력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 대우 돌격소총 - K11 복합형소총
    S&T모티브에서 개발한 K11 복합 소총은 20mm 공중폭발탄과 5.56mm 소총탄을 사용하는 차세대 복합화기였으나, 결함과 논란으로 2019년 사업이 종료되며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문제점을 드러낸 사례로 남았다.
  • 대한민국의 소총 - MX 소총
  • 대한민국의 소총 - 대한식 소총
  • 대한민국의 화기 - K6 기관총
    K6 기관총은 M2 브라우닝 기관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신속한 총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대한민국에서 기존 M2를 대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관총이다.
  • 대한민국의 화기 - K201 유탄발사기
    K201 유탄발사기는 40mm 저속유탄을 사용하며 K2 소총에 장착되어 대한민국 육군과 해병대에서 운용된다.
K2 소총
개요
대우정밀 K2 소총
대우정밀 K2 소총
종류돌격소총 (K2 & K2C1)
원산지대한민국
사용 정보
사용 기간1985년–현재
사용 국가사용자 참고
참전걸프 전쟁
유엔 소말리아 2차 작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니제르 델타 분쟁
2006년 피지 쿠데타
이라크 내전
이라크 내전
시리아 내전
생산 정보
설계국방과학연구소
설계 기간1972년–1983년
제조사대우정밀 (1982–1999)
대우통신 (1999–2002)
대우정밀 (2002–2006)
S&T대우 (2006–2012)
S&T모티브 (2012–2021)
SNT모티브 (2021–현재)
다산기공 (2016–현재)
생산 기간1982년–현재
단가미화 727.00 달러
파생형변형 참고
제원
무게K2:
3.4 kg (탄창 제외)
K2C:
3.3 kg (탄창 제외)
K2C1:
3.6 kg (탄창 제외)
길이K2:
980 mm (개머리판 펼침)
730 mm (개머리판 접힘)
K2C:
880 mm (개머리판 펼침)
790 mm (개머리판 중간)
630 mm (개머리판 접힘)
K2C1:
1014 mm (개머리판 펼침)
940 mm (개머리판 중간)
730 mm (개머리판 접힘)
총열 길이K2 & K2C1:
465 mm
K2C:
310 mm
탄약5.56 × 45 mm NATO
.223 레밍턴
작동 방식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롱 스트로크 피스톤)
발사 속도700–900 발/분
총구 속도915 m/s (K100)
875 m/s (K101)
964 m/s (KM193)
75.3 m/s (K200 & KM433 유탄)
유효 사거리600 m (K100, K2 & K2C1)
500 m (K100, K2C)
460 m (KM193)
최대 사거리3,300 m (K100)
2,653 m (KM193)
급탄 방식다양한 STANAG 탄창
조준 장치아이언 사이트

2. 역사

대우정밀에서 면허 생산하던 M16A1을 대체하기 위해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K2 소총을 개발하였다. 1972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의 지시에 따라 XB 소총 개발 계획이 ADD 주관으로 진행되었다.[9]

1977년 6월부터 5.56mm 소총 개발을 시작하여 XB-7이 개발되었고, 1980년 XB-7B형, 1982년 XB-7C형(XK2)을 거쳐 1984년에 K2 자동소총으로 명명되면서 양산이 시작되었다.

1985년 전방 전투부대에 우선 보급되었고,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부대에 보급되어 한국군의 주력 제식소총으로 자리 잡았다. 이전의 M-16은 예비군 측에 반환되었다.[9]

1980년대 양산 당시 미국 콜트 사와 저작권 분쟁이 있었으나, 국방부 조병창이 승소하였다. K2 소총은 M16A1 소총보다 저렴했으며, 알루미늄 합금 캐스팅 설비를 활용하여 생산되었다. 초기에는 고정식 개머리판FN FAL과 비슷한 접철식 개머리판 모델이 시험 생산되었으나, 생산 단가와 무게 때문에 현재의 플라스틱 접철식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9]

K1A 기관단총과 K2 소총의 아랫몸통은 서로 호환되지만, K1A 기관단총은 가스직동식, K2는 가스 피스톤 방식으로 작동 방식이 다르다. 또한 K1A는 KM193탄을 사용하고, K2는 K100탄과 KM193탄을 모두 사용한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K1A도 K100탄 사용이 가능한 신형 총열로 교체되면서 5.56mm 탄약의 군수 호환성이 개선될 예정이다.[9]

K2 소총은 대한민국 외에도 이라크, 나이지리아, 세네갈, 피지, 레바논, 페루, 말라위, 파푸아뉴기니, 캄보디아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S&T 모티브는 K2A를 개발하여 K2C1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K2C1은 상부 리시버와 핸드 가드에 피카티니 레일을 적용하고, 콜트 M4 스타일의 접이식 개머리판을 활용했다. 2016년 기준 약 20만 정의 K2C1이 최전선 부대에서 사용되었다.

수직 손잡이가 장착된 K2C1 소총


개머리판이 접힌 K2 소총


K201 하부 총류탄 발사기가 장착된 K2 소총


K2는 M203 유탄 발사기를 모델로 한 40×46mm 단발 유탄 발사기인 DPI K201을 장착할 수 있다.[2] 대한민국 국군은 K2를 S&T Daewoo K11로 교체하려 했으나, 높은 비용과 20mm 유탄의 화력 문제로 각 분대에 K11 2정과 K201 유탄 발사기 장착 K2 소총 2정을 지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의 표준 보병 소대는 K2 소총 2정, K201 장착 K2 소총 2정, K11 2정, K3 경기관총 1정 등으로 구성된다.

K2는 양각대와 4배율 조준경을 함께 사용하여 지정 사수 소총과 유사한 역할로 사용되기도 한다. K2와 K1에 PVS-4K 레일 통합 시스템을 장착하여 광학/레드 도트 및 야간 투시 조준경을 운용하기도 한다.

K2C 변형은 과열 문제가 있었고, 따라서 대부분의 K2는 총열이 대부분 노출된 오리지널 K2이다. K2는 탄피받이 바스켓을 장착할 수 있다. 대한민국 육군은 훈련 후 빈 탄피를 줍고 반납하도록 요구하는데, 이는 경제적, 보안상의 이유 때문이다.

경찰청 전투 경찰 대원들이 대우 K2로 무장하고 있다. 접힌 개머리판에 주목하라.


5.56 × 45 mm NATO탄을 사용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으로 대우정밀이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휴대성을 높였고, 개머리판을 접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1. 개발 배경

1972년 대통령이었던 박정희의 지시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XB 소총 개발 계획이 진행되었다. 이는 닉슨 독트린과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 정책으로 인해,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소총 개발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특히,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국방 자립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국산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9]

1970년대 초 대한민국은 경제적, 기술적, 산업적 한계로 인해 국산 소총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대 대한민국 국군은 미국의 군사 원조로 M1 개런드, M1 카빈 등을 사용했으나, 베트남 전쟁 참전 이후 M16A1 소총을 지원받았지만 모든 병력을 무장시키기에는 부족했다.[9]

이러한 상황에서 1974년 대한민국은 M16A1(콜트 모델 603K)을 면허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로열티 문제와 자체 무기 수요 충족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해 독자적인 소총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9]

초기에는 서방 진영의 표준 탄약인 7.62×51mm NATO 탄을 사용하는 프로토타입(XB-1 ~ XB-5)이 개발되었으며, AR-15 시리즈 소총과 유사한 형태였다. 설계자들은 시간과 비용 절약을 위해 가스 작동식 작동 방식, 조준 장치, 총열 덮개 등 최대한 많은 M16 부품을 사용하려 했다. 1975년에는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용한 XB-6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었고, 1977년에는 5.56×45mm NATO 탄약을 사용하는 XB-7로 개조되었다.[9]

1982년 최종 프로토타입 모델인 XB-7C(XK2)가 완성되었고, 소량이 야전 테스트를 거쳐 198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 대한민국 국군에 정식으로 보급되었다.[9]

2. 2. 개발 과정

1972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XB 소총 개발 계획이 시작되었다.[9] 초기에는 서방 진영의 표준 탄약이었던 7.62×51mm NATO 탄약을 사용하는 소총 개발이 추진되었으나, 1977년부터 5.56×45mm NATO 탄약을 사용하는 소총으로 변경되었다.[9]

M16A1 소총 부품을 활용하여 XB-1부터 XB-5까지 4가지 시험용 소총이 개발되었고, 1975년에는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용한 XB-6 시제 소총이 제작되었다. 1977년에 5.56mm 탄약을 사용하는 XB-7로 개조되었다.[9] 1982년에는 최종 시제 소총인 XB-7C (XK2)가 완성되었고, 소량이 야전 테스트를 위해 인도되었다. 1984년에 XK2는 K2 자동 소총으로 명명되어 대우정밀에서 양산이 시작되었다.[9] 198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 대한민국 국군에 정식으로 보급되었다.

K2 소총 개발 과정에서 FN FNC의 디자인을 참고하기도 했다.

XB 개발 과정에서 제작된 시제품은 다음과 같다.

시제품명설명
XB-1 ~ XB-5M16A1 소총의 부품을 활용하여 만든 시험용 소총
XB-6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용.
XB-7XB-6을 기반으로 5.56×45mm NATO 탄약을 사용하도록 개조.
XB-7B1980년에 완성.
XB-7C1982년에 완성된 최종 프로토타입 모델. XK2라고도 불림.


2. 3. 콜트사와의 저작권 분쟁

1980년대 K2 소총 양산 당시, 미국 콜트 사와 저작권 분쟁이 발생했으나, 대한민국 국방부 조병창이 콜트를 상대로 승소하였다.[9] K2 소총은 콜트 사에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했던 M16A1 소총보다 저렴했다.[9] K2 소총은 M16A1 소총 라이선스 생산을 위해 갖춘 알루미늄 합금 캐스팅 설비를 활용하여 생산되었다.[9] 초기에는 고정식 개머리판FN FAL과 비슷한 접철식 개머리판을 가진 두 가지 모델이 시험 생산되었으나, 생산 단가와 무게 문제로 인해 현재의 플라스틱 접철식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9]

2. 4. 보급 및 교체

1985년 전방 전투부대에 우선적으로 보급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엔 후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대에 보급되어 한국군의 주력 제식소총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예전에 사용하던 M-16은 예비군 측에 반환되었다.[9] 이후 K2C1이 전방부대에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K2 소총은 점차 예비군용으로 전환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약 20만 정의 K2C1이 최전선 부대에서 현역으로 사용되었다.[9]

3. 특징

K2 소총은 M16A1의 디자인을 차용하여, 상부 및 하부 리시버를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하였다. 플라스틱 개머리판은 접을 수 있어 휴대성을 높였다.

총구 초속은 M193 탄 사용 시 960m/s, K100(SS109)탄 사용 시 920m/s이다. 유효 사거리는 M193탄 460m, K100탄 600m이다.

M7 총검을 장착하여 근접 전투를 할 수 있으며, K201 40mm 유탄발사기를 총 하부에 부착할 수 있다.

가늠쇠 덮개 상부에 야간 조준용 축광관이 있고, 일반 가늠자 앞에는 야간용 가늠자가 있어 세워서 사용 가능하다. 가늠자 받침대 뒤 탭을 앞으로 밀면 상하부 리시버를 접을 수 있다.

탄피 회수를 위해 탄피받이를 장착할 수 있다. 황동 탄피는 재활용이 가능하며, 발사 수를 속여 실탄을 훔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3. 1. 작동 방식

AK-47과 유사한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M16 소총과 유사한 회전 노리쇠 방식을 채택했다. K1과 M16A1의 가스직동식과 달리 롱 스트로크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여 신뢰성과 정비성이 개선되었다.[14] 발사 모드는 단발, 3점사, 연발을 지원한다.

3. 2. 장점


  • AK 소총에 쓰이는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택하여 가스직동식을 사용하는 M16 계열 소총에 비해 신뢰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가스직동식은 연소 가스의 그을음이 노리쇠와 약실 등에 쌓여 잦은 청소가 필요하고, 격발 가스의 열로 인해 과열되어 총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14]
  • 원형 가늠쇠울을 채택하여 M16 계열보다 조준이 빠르고 정확하다. 가늠쇠울의 구멍과 가늠자의 구멍을 맞추는 동심 원리를 채택하였다.
  • FN FAL 공수부대 버전 및 FN FNC와 유사한 접철식 개머리판을 채택하여 휴대가 용이하다. 개머리판이 접힌 상태에서도 사격이 가능하다.
  • AK 소총처럼 아랫 몸통에 위치하는 고정식 차개를 채용하여 신뢰성이 높고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탄피가 항상 우전방으로 배출되어 왼손잡이 사수도 탄피가 얼굴을 때릴 위험이 없다.
  • 전용 탄피받이를 사용할 수 있다.
  • K2 소총의 권총 손잡이 하단에 강중유, 윤활유를 넣을 수 있는 마개가 장착되어 있고 개머리판 안에 총기 손질도구를 넣을 수 있다. 개머리판은 K2 소총의 장전손잡이나 군용 포크숟가락 끝부분을 사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 총구앙등억제 소염기를 장착하여 연발 사격 시 총구 들림 현상을 감소시켰다.
  • 트리튬 가늠쇠를 가지고 있어 야간 사격이 용이하다.

3. 3. 단점


  • 몸통 힌지(hinge)의 풀림 방지 부분이 풀린 상태에서 사격하면, 몸통이 열리면서 노리쇠 뭉치가 사수에게 튀어나올 수 있다.[58]
  • 양산 초기에는 단가 절감을 위해 저가형 부품을 사용하여 장전 손잡이가 쉽게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했으나, 이후 개량되었다.[58]
  • 가스조절기 분실이 잦다.[58]
  • 개머리판 연결 부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유리섬유 등 더 강하고 저렴한 소재로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관리 소홀이 더 큰 문제라는 반론도 있다.[58]
  • 탄피 배출구 뒤쪽(장전 손잡이가 움직이는 홈)에 먼지 덮개가 없어 먼지나 흙이 유입되기 쉽다. FN FNC, AR-18 같은 소총은 이 부분에 먼지 덮개가 있고, AK 소총은 조정간이 먼지 덮개 역할을 한다.[58]
  • 초기 K2에는 레일 시스템이 없어 광학 장비 장착이 어려웠으나, K2C1에서 피카티니 레일을 채택하여 해결되었다.[59]
  • M16 소총 등 서구권 돌격소총(가스직동식 화기)에 비해 반동이 조금 더 강한 편이다.

3. 4. 사용 탄약

K2 소총은 5.56 × 45mm NATO 표준탄(K100)을 기준으로 개발되었으며, KM193탄도 사용 가능하다. K100탄은 M16A1 소총이 사용하는 KM193탄보다 탄알이 무겁고 장약이 강하여 유효 사거리가 길고 탄도가 안정적이다. 일반적으로 탄알이 무겁고 길수록 더 많은 회전을 주어야 탄도가 안정되는데, K100의 탄알은 KM193의 탄알보다 무겁고 길다.[60] 이러한 이유로 K2 소총의 강선은 7.3인치에 1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12인치에 1회전하는 M16A1 소총보다 탄알에 더 많은 회전을 준다.

K2 소총에 KM193탄 사용 시 탄알에 필요 이상의 회전을 주어(과안정화, over-stabilization) M16A1보다 정확도가 약간 떨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61] 그러나 M16A2에 M193탄, SS109/M855탄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500m 정도까지는 정확도에 큰 차이가 없었던 것처럼, K2 소총에서도 KM193탄 사용이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100탄은 K3 기관총용 탄이기 때문에 K2 소총에서 다량 사용 시 탄매 때문에 작동 불능을 초래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K3 기관총 역시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므로 탄매에 의한 작동 불능 문제는 K3 기관총에도 해당되는 문제이기에 근거가 부족하다.

미군의 경우 M16A2, M16A3, M16A4 소총, M4 카빈, M249 분대지원화기 모두 SS109/M855 탄을 사용하며, 대부분의 NATO 회원국들도 제식 소총탄으로 SS109탄을 사용한다. K2 소총은 M16과 동일한 탄창을 사용한다.

4. 변형

K2 소총은 다양한 변형 모델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국군 제식 소총인 K2를 기본으로, 민수용, 수출용, 특수부대용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개량되었다.

민간용으로는 K2를 기반으로 한 "MAX-2", "AR-100", "DR-200", "DR-300" 등의 모델이 있다. 이 모델들은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며, DR-300은 AK-47용 탄약인 7.62 × 39 mm 탄을 사용한다. 특히 미국의 총기 규제 법안인 브레다 법의 영향을 받아 외형과 기능에 차이가 있는 모델들이 출시되었다.

미국에 수출된 모델들은 브레다 법의 시행(1994년)을 기준으로 차이가 있다. 맥스2는 법 시행 이전에 수출된 모델로, 군용 K2와 외형상 큰 차이가 없으며 자동 개조가 어려운 반자동이라는 점, 개머리판, 강선 등이 한국군용 K2와 거의 동일하다. 브레다 법 시행 이후에는 맥스1 (K1A 기관단총)은 수출이 중단되었다. DR-200은 브레다 법 시행 이후에 수출된 모델로, 착검 장치가 없고, 개머리판이 고정식이며, 소염기 기능이 없는 등 여러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구분맥스2DR-200
착검장치있음없음
개머리판군용, 접이식민수용, 고정식 (권총 손잡이와 일체형)
가늠자군용 K2와 동일군용 K2와 동일
소염기기능 작동기능 없음 (모양만 유사)
탄창20발 들이 (실제 5발 들이), M16용 탄창 호환20발 들이 (실제 5발 들이), M16용 탄창 호환



2012년에는 M4 카빈에 대응하는 카빈 소총으로 K2C가 개발되었다. K2C는 총열을 단축하고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했으며, M4 카빈 형태의 개머리판을 장착했다. 한국군에는 채용되지 않았으나, 특수부대를 중심으로 보급되었고, 말라위, 파푸아뉴기니 등에 수출되었다.

2014년에는 K2C1이 발표되어 2016년 3월에 정식으로 생산이 시작되었고, 2016년 6월에는 한국군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K2C1은 신축식 개머리판을 총기 우측으로 접을 수 있게 되었으며,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하고, 총신에는 465mm와 305mm의 두 가지 길이가 준비되어 있다.

대한민국 전쟁 기념관의 K2 소총


K2 소총과 실험용 시제품 소총 전시

  • : 이라크군으로부터 노획.[35] 또한 ISEA[51] 및 아프리카 전역의 다양한 IS 관련 무장 단체에서 사용.[52]
  • : 시리아 반군의 손에서 발견됨[53]
  • 보코 하람: 보코 하람에 의해 노획되거나 사용되는 모습이 발견됨[54]

4. 1. K2C

K2 소총의 카빈 버전으로, 총열을 단축하고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했으며, M4 카빈 형태의 개머리판을 장착한 모델이다. 20mm 레일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9] 무게는 3.3kg이며, 개머리판을 펼쳤을 때 길이는 880mm이고 접었을 때는 630mm이다.[5] 특수부대를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말라위파푸아뉴기니 등에 수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카빈 버전 K2C, 수직 손잡이 및 조준경 장착


2013년에는 Magpul CTR 개머리판과 분리형 후방 조준경이 장착된 새로운 탄색 K2C가 공개되었지만 실제로 생산되지는 않았다.[11] 2017년에는 접이식 전방 조준경과 양손 조작형 셀렉터 스위치를 갖춘 새로운 K2C-1/2 변형 모델이 공개되었다.[12] 2018년에는 새로운 K2C-1 변형 모델의 이름이 K2C CQB로 변경되었다.

4. 2. K2C1

K2C1은 K2 소총의 개량형으로, 피카티니 레일을 적용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형 개머리판 등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확장성을 높였다. 2016년부터 대한민국 국군 전방부대를 시작으로 보급되었다.[22]

K2C1은 총열덮개 부분에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하여 조준경, 표적 지시기, 전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장비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머리판은 6단계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형으로 바뀌었다. 내부 구조는 K2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22] 당초 K2A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나, 최종적으로 K2C1으로 명칭이 확정되었다.

K2C1은 성능 향상 없이 외형 디자인만 변경된 모델로, 대한민국 국방 규격(KDS)에 따른 것이다.[21] 쿼드 액세서리 레일, 전체 길이 1913 피카티니 옵틱 레일, AR-15 스타일의 6단계 길이 조절식 개머리판, 마그풀(Magpul) 기반의 접이식 개머리판을 갖추고 있다.[22] 총열 길이는 305mm와 465mm 두 가지가 제공된다.[23][24]

K2C1은 2016년 3월에 공식 생산에 들어갔으며, 같은 해 6월부터 대한민국 국군에 인도되기 시작했다.[25] 2016년 기준으로 약 20만 정의 K2C1이 최전선 부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4. 3. 기타 변형


  • DR100: K2의 스나이퍼 버전으로, AR100이라고도 불린다.
  • DR200: 미국 민간 시장용 소총으로, FN F2000과 비슷한 개머리판을 가지고 있다. 공격무기 금지법에 따라 착검장치가 없다.[62]
  • DR300: AK-47용 탄약인 7.62 × 39 mm 탄을 사용한다.
  • 맥스2: 1994년 미국 브레다 법 시행 이전에 수출된 모델로, 군용 K2와 외형상 큰 차이가 없다. 자동 개조가 어려운 반자동이며, 개머리판, 강선 등은 한국군용 K2와 거의 동일하다. 브레다 법 시행 이후에는 맥스1 (K1A 기관단총)은 수출이 중단되었다.
  • 맥스2와 DR-200의 차이점 (브레다 법 준수 여부):

구분맥스2DR-200
착검장치있음없음
개머리판군용, 접이식민수용, 고정식 (권총 손잡이와 일체형)
가늠자군용 K2와 동일군용 K2와 동일
소염기기능 작동기능 없음 (모양만 유사)
탄창20발 들이 (실제 5발 들이), M16용 탄창 호환20발 들이 (실제 5발 들이), M16용 탄창 호환


  • K2C1: 2016년부터 전방 부대에 보급된 개량형 모델이다. K2 소총의 개머리판(길이 조절 가능)과 총열덮개(피카티니 레일 장착)를 개선했다. K2A라는 명칭으로 알려졌으나 K2C1으로 공식 확정되었다. K2C1의 발열 논란은 다른 돌격소총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며, 방열 덮개, 수직 손잡이 등으로 해결 가능하다. 기존 K2 소총은 M16A1과 함께 예비군용으로 전환되었다.
  • K2C: K2 소총의 카빈 버전으로, 총열 단축, 피카티니 레일, M4 형태의 개머리판을 장착했다. 특수부대 중심으로 보급되었고, 말라위, 파푸아뉴기니 등에 수출되었다.

  • K2C CQB: 2018년에 K2C-1 변형 모델의 이름이 변경된 것이다. 접이식 전방 조준경과 양손 조작형 조정간을 갖추고 있다.[12]


5. 대중 문화

K2 소총은 여러 영화와 게임에서 등장한다.


  • 영화
  • 부산행: 마지막 장면에서 한국군이 K2 소총을 사용한다.[1] 이야기 후반부, 바리케이드를 경비하는 한국 군인이 사용하며, ACOG 스코프와 양각대가 장착되어 있다.[6]
  • 반도: 이야기 초반, 항구와 난민선을 경비하던 한국 군인들이 사용하였으며, 이야기 중반 이후에는 주인공 정석이 민정에게서 받은 것을 사용한다. 또한 민병 집단 631 부대의 민병들도 사용하고 있다.[8]
  • 감기: 한국 군인들이 장비한다. 팬데믹이 발생한 분당구 내에 투입된 병사들과, 동 구역을 봉쇄한 병사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야기 후반부, 봉쇄를 돌파하려던 동 구역 주민들을 향해 일제히 발포된다.[3]
  • 사랑의 불시착: 에피소드 1에 등장한다. 비무장 지대에서 리정혁이 이끄는 조선인민군 제5중대와 대치하고 있던 한국군 병사가 사용한다.[5]
  • 지금 우리 학교는...: 특수 부대 외의 한국 군인들이 사용한다. 좀비가 만연한 효산시 및 양동시 주변을 경비하던 한국 군인들과, 구조된 피난민 격리 시설을 경비하는 한국 군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후자는 격리 시설 내에서 갑자기 날뛰는 무증상 감염자에게 총 개머리판으로 구타를 가하지만 거의 효과가 없었다. 발포 장면은 없다.[6]
  • 서울역: 영화 부산행의 전일담에 해당하는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이야기 후반부, 수도방위사령부 지휘 하에 출동한 한국 군인들이 사용한다. 봉쇄선을 돌파하려는 생존자들과 좀비를 향해 발포한다.[7]
  • 군발이[9]
  • 사막의 보우즈: 제6권에 등장한다.[10]
  • 제2차 한국 전쟁 유기오II: 한국군 병사의 장비로 전반적으로 등장한다. 남침 초반, 주인공들이 속한 한국군 부대가 아군과 조우하지만, 사실은 변장한 북한군 특수 부대였으며, 직후에 총격을 받아 후퇴하게 된다. 주인공들은 이 아군을 수상하게 여겼는데, K2 배치 전의 주력 소총인 M16을 소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1]

  • 게임
  • 배틀그라운드: 태이고 맵에서 똑같은 이름으로 5.56mm 필드드랍 AR 총기로 등장한다.[2]
  • 소녀전선: 5성 돌격소총으로 나오며 인기가 많다.[4] 모에화된 것이 별 5개 전술 인형 'K2'로 등장하며, 한국판에서 선행 구현되었으며, 이후 중국판과 일본판에도 구현되었다.[20]
  • 로블록스: 로블록스의 팬텀포스에서 레벨이 높은 총으로 나온다.[3]
  • Alliance of Valiant Arms (Windows용 FPS 게임): 한국산 온라인 게임이다.[12]
  • Ironsight (Windows용 FPS 게임): 초기 무기로 등장한다.[13]
  • MASSIVE ACTION GAME (PlayStation 3용 FPS 게임): 다운로드 콘텐츠 제4탄에서 '탐센 Mk2'라는 이름으로 세이버의 어설트 라이플에 추가되었다.[14]
  • OPERATION7 (Windows용 FPS 게임): 초기 무기로 등장한다.[15]
  • PUBG: BATTLEGROUNDS (배틀로얄 게임): PC 버전을 포함한 콘솔 버전에서만 구현된 맵 'Taego' 한정으로 등장한다.[16]
  • SPECIAL FORCE (Windows용 FPS 게임)[17]
  • Takedown: Red Sabre (Windows용 FPS 게임)[18]
  • WarRock (Windows용 FPS 게임): 일본어 버전에서는 미구현.[19]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Xbox 360・PlayStation 3・Windows용 FPS 게임): 게임 중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캠페인 브리핑에서 비치는 사진 속 테러리스트가 소지하고 있다.[20]
  • 서든어택 (Windows용 FPS 게임)[20]
  • 메비우스 온라인 (Windows용 TPS 게임)[21]


위 게임 작품 중 『테이크다운』, 『WarRock』, 『서든어택』, 『SPECIAL FORCE』, 『OPERATION7』, 『Alliance of Valiant Arms』는 공통적으로 한국산 온라인 게임이다. K2가 유럽 FPS 게임 등에 등장하는 빈도는 적다.[21]

6. 사용 국가

국가내용
대한민국1985년부터 대한민국 국군제식소총으로 사용되었다.[2] 2016년부터 K2C1으로 교체되기 전까지 제식 소총이었으며, 현재는 향토 예비군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K2C1은 최전방부터 배치되고 있어, 사실상 K2를 정규군이 대부분 쓰는 상황이다. 항구적 자유 작전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한국군에서 널리 사용되었다.[2]
레바논군에서 개량형 K2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36]
페루해병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46]
피지방위군이 사용하고 있다.[33][34]
나이지리아경찰이 사용하고 있다. 1984년에 3,000정을 구매하여 1985년에 인도받았고,[40][41] 1996년에 추가 구매,[42] 2006년에는 30,000정을 추가로 구매했다.[43] K2 소총의 최초 고객이다.[57]
세네갈2003년에 100정을 구매했다.[42][49][50][57]
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해군 특수부대에서 운용되고 있다.[55]
에콰도르2011년에 구매했다.[32]
인도네시아2008년과 2011년에 210정의 K2 소총을 구매했다.[31][32] 2019년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 소화기 보고서에 따르면 806정의 K2가 이전되었다.[31] 대우정밀에서 수입해서 사용하며, K2가 제식소총이라는 소문이 있었으나, 실제로 납품받은 K2가 1000정을 넘지 않아 거짓으로 밝혀졌다.
말라위2012년에 K2 1,100정과 K2C 1,000정을 구매했다.[37][38] 2012~2013년에 5,200정의 K2C가 인도되었다. 유엔 안정화 임무단에 참여한 말라위 군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멕시코2011년에 구매했다.[32]
이라크정부군이 사용하고 있다. K2C는 이라크 특수 작전 부대 골든 디비전에서 사용한다.[35][3]
캄보디아2012년 제911 특수 부대 연대에 K2가 제공되었다.[29] K2C도 특수 부대를 위해 구매되었다.[30] 2019년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 소화기 보고서에 따르면 128정의 K2가 이전되었다.[31] 캄보디아 왕립군 제911특수부대 연대가 K2C를 사용한다.[56]
필리핀2018년 계약에 따라 필리핀 경찰청에서 2019년에 K2C1을 구매하여 사용한다.[47][48]
태국2019년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 소화기 보고서에 따르면 403정의 K2가 이전되었다.[31]
북한해외에서 민간용 MAX2와 DR200 등을 들여와 연구를 거치고 불법복제하여 대한민국 국군 위장용으로 사용 중이다. 적어도 1990년대부터 특수 부대에서 사용했다.[44] 일부 정예 부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자세한 수나 상세한 입수 경로는 불명이다. 2015년 서부 전선에서 북한군과 대한민국 육군 간의 포격전 당시, 한국군 병사들은 한국군 스타일의 디지털 위장복을 입고 K2 소총(불법 복제품)을 사용하는 북한군 특수 부대를 보고했다.
중국국군 위장용으로 사용한다.[63]
ISIL이라크군이 쓰던 K2C를 노획하여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허허벌판에 부대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 https://web.archive.[...] 2021-01-30
[2] 간행물 Infantry Weapons: The Future Beckons for Asia http://www.asianmili[...]
[3] 웹사이트 무기 토론방 - 유용원의 군사세계 http://bemil.chosun.[...] 2018-11-25
[4] 웹사이트 Daewoo Precision Industries K2 – Survival And Prosperity https://web.archive.[...] survivalandprosperity.com 2014-01-11
[5] 웹사이트 Defense Products https://www.sntmotiv[...] SNT Motiv 2024-06-29
[6] 뉴스 [e-무기]60만 장병의 개인화기 'K2' 2020년 퇴역 https://www.edaily.c[...] Edaily 2024-06-29
[7] 간행물 화기별·탄종별 사격장 안전기준 정립 연구 https://dl.nanet.go.[...]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2021-10-14
[8] 웹사이트 The 5.56 X 45mm: 1980-1985 https://web.archive.[...] The Gun Zone 2008-10-30
[9]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K1/K2 Families in the ROK Military http://www.sadefense[...] 2017-12-01
[10] 웹사이트 K2C: South Korea's Latest Carbine http://www.sadefense[...] 2017-09-29
[11] 웹사이트 MilitaryBook [플래툰 2013년 06월호] http://www.militaryb[...] 2019-10-05
[12] 웹사이트 Where Does S&T Motiv Go From Here? K2C-2 and K2C-1 Variants, Coyote Tan and SPW Stocks - https://www.thefirea[...] 2019-10-05
[13] 뉴스 내년부터 軍장병 맞춤형 소총 보급 http://m.asiae.co.kr[...] 아시아경제 2014-06-14
[14] 웹사이트 Daewoo K2 Assault Rifle http://www.gunsworld[...] Gun's World 2008-10-30
[15] 웹사이트 Rifles n Guns' Daewoo K1 Page. http://www.riflesngu[...] 2008-10-27
[16] 웹사이트 Daewoo K2 assault rifle and K1 assault carbine (South Korea) https://web.archive.[...] 2022-01-15
[17] 뉴스 K계열 6가지 소총 직접 쏴보니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1-05-19
[18] 웹사이트 Weapons of the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http://www.sadefense[...] 2015-09-04
[19] 문서 S&T Motiv Defense Products catalog IDEX 2017
[20] 웹사이트 Where Does S&T Motiv Go From Here? K2C-2 and K2C-1 Variants, Coyote Tan and SPW Stocks - The Firearm Blog https://www.thefirea[...] 2018-08-23
[21] 웹사이트 K2소총 개량형 첫번째... 야전에 더욱 강해진 K2C1 - 1boon https://1boon.daum.n[...] Defense Media Agency 2017-09-08
[22] 웹사이트 Guest Post: Korean K2 Rifle Upgrade History (2005-2017) - https://www.thefirea[...] 2018-01-09
[23] 웹사이트 S&T Motiv Shows Off K2C1 Improved Daewoo Rifle at KDECIF 2016 http://www.thefirear[...] 2016-06-16
[24] 웹사이트 DX Korea 2016- Modified K2C1 rifle, Korean Corner Shot - The Firearm Blog http://www.thefirear[...] 2016-09-30
[25] 웹사이트 DX Korea 2016: S&T; Motiv details updated RoKA 5.56 mm service assault rifle - IHS Jane's 360 https://www.janes.co[...] 2016-12-17
[26] 웹사이트 김찬우 기자의 총기 이야기(23) 국산 유일의 불펍 소총, XK8 https://www.platoon.[...] Platoon 2023-03-10
[27] 뉴스 내년부터 軍장병 맞춤형 소총 보급 https://view.asiae.c[...] Asia Economy 2014-06-12
[28] 뉴스 [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 이야기] '신형 경기관총' 2020년부터 분대 배치…K12는 소대지원화기 https://www.sedaily.[...] Sedaily 2018-06-08
[29] 뉴스 캄보디아 '인권유린' 부대 훈련시킨 국내 경비업체 https://www.seoul.co[...] 2014-03-28
[30] 웹사이트 캄보디아 군대가 도입한 한국제군장비 http://bemil.chosun.[...]
[31] 웹사이트 Trade Update 2019: Transfers, Transparency, and South-east Asia Spotlight https://web.archive.[...]
[32] 뉴스 [파워 경제인] 김택권 S&T대우 대표 https://web.archive.[...] 서울경제 2011-09-15
[33] 서적 Under the Gun: The Small Arms Challenge in the Pacific Victoria University Press 2004
[34] 웹사이트 Task Force Koa Moana: Live fire training with Fiji https://www.marines.[...]
[35] 웹사이트 Korean K2C in Iraq, on both sides - The Firearm Blog http://www.thefirear[...] 2016-09-30
[36] 웹사이트 [펌]레바논군에서 사용하는 K2 RIS http://bemil.chosun.[...] 2017-12-10
[37] 웹사이트 아프리카 말라위에 K2 소총 및 신형 K2C 소총 2,100정 본격 수출 https://www.sntmotiv[...] 2023-11-13
[38] 웹사이트 유용원의 군사세계 http://bemil.chosun.[...] bemil.chosun.com 2014-01-11
[39] 간행물 New-model African armies http://www.janes.com[...] Jane's 2017
[40] 웹사이트 [SNT모티브] 명품 총기 생산 K방산 위상 강화 https://kookbang.dem[...] 2023-11-13
[41] 뉴스 M16생산 事実無根 大宇精密 https://newslibrary.[...] 1988-08-29
[42] 웹사이트 한국의 무기 이야기 http://www.segye.com[...] Segye.com 2011-05-31
[43] 웹사이트 한국일보 : 나이지리아, K2 소총 3만정 수입키로 https://web.archive.[...] news.hankooki.com 2014-01-11
[44] 웹사이트 시사저널 - 북한 5만 특공대, 저공 침투 대기중 http://www.sisapress[...] sisapress.com 1996-09-19
[45] 웹사이트 S&T모티브, 멕시코, 파푸아뉴기니 軍․警에 총기 수출 https://archive.toda[...] S&T Motiv 2013-04-10
[46] 웹사이트 .DintelGID. Fotografías Desfile Militar día Nacional del Perú, 2007 http://www.dintel-gi[...]
[47] 웹사이트 PNP upgrades firepower with acquisition of P3 billion worth of guns, choppers, UAVs | Rene Acosta https://businessmirr[...] 2019-11-19
[48] 웹사이트 United Defense https://web.archive.[...] United Defense Manufacturing Corporation 2021-04-09
[49] 웹사이트 세네갈군의 K-2 소총과 K201 http://bemil.chosun.[...]
[50] 웹사이트 Mali: Ban urges immediate end to fighting amid rapidly deteriorating situation in Kidal https://news.un.org/[...] 2014-05-21
[51] 트윗 Eid al-Fitr pics from ISEA. They've been a neglected branch recently in terms of media, but observe the Daewoo K2 w/ orange furniture (!) Also a typical Colt 603/613P on the wall. Rather symbolic below the black standard. 3rd pic is the orange K2 on socmed (📸 @Flava13_v7) https://t.co/INGwJjo3Xt 2019-06-07
[52] 트윗 Amaq released a new pic of militants of the ISIS Wilayah Central Africa branch (Also known as City of Monotheism & Monotheists)- in the image there's 2 Daewoo K2 rifles. These are quite unusual- I'm not aware of any local forces using the K2 rifle unless anyone can enlighten me. https://t.co/k8xhG32N3y 2019-05-30
[53] 트윗 #Idlib: Something really interesting for sale recently: a South Korean Daewoo K2, with a rare Orlite mag. According to a local source, this rifle has a very interesting story; it was seized from UN Peacekeepers in Quneitra back in 2014, and made {{as written|i|t's [sic]}} way to Idlib via JaN. https://t.co/1FJJM6HCYc 2021-11-13
[54] 트윗 In a recent Boko Haram video (Not ISWA) there's as usual an interesting selection of arms. BH seems to put more effort into this, whereas IS prefers standardisation. 2x Galil ACE 21 (Captured frm Cameroonian/Chadian forces, most likely) Daewoo K2 (Used by NA) G3A3 (Widely used) https://t.co/4BXHmt6Yq6 2020-07-08
[55] 웹사이트 Bangladesh Navy Special Warfare Diving And Salvage (SWADS) http://www.bdmilitar[...]
[56] 웹사이트 캄보디아 군대가 도입한 한국제군장비 http://bemil.chosun.[...] 2017-11-28
[57] 웹사이트 한국의 무기 이야기 http://www.segye.com[...]
[58] 뉴스 ‘보병의 애인’K-2 소총 http://nownews.seoul[...] 서울신문
[59] 문서 피카티니 레일 PDF(미군 제식 명칭 : MIL-STD-1913) https://web.archive.[...]
[60] 웹인용 Analysis of M16A2 Rifle Characteristics and Recommended Improvements https://web.archive.[...] 2006-05-02
[61] 웹사이트 FM3-22.9 Chapter 5 Downrange Feedback (Phase II of Basic Rifle Marksmanship) http://www.globalsec[...]
[62] 문서 공격무기 금지법 관련 K2 소총 정보
[63] 웹사이트 38항공육전여단 출신 최승찬의 증언 https://web.archiv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