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국제다큐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분단과 냉전의 상징인 DMZ를 배경으로 평화, 소통, 생명의 가치를 담은 다큐멘터리를 통해 사회적 소통을 확대하고자 2009년에 시작되었다. 매년 9월에 개최되며, 국제 경쟁, 한국 경쟁, 관객상, 청소년 경쟁 부문으로 시상한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총 16회 영화제가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시작된 영화제 - 오키나와 국제 영화제
오키나와 국제 영화제는 요시모토 흥업이 주최하며 "Laugh & Peace"를 주제로 코미디 영화를 상영하는 '웃음' 섹션과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는 '평화' 섹션으로 구성되었고, 코미디언들이 영화를 소개하는 특징이 있었으나 2024년을 마지막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 2009년 시작된 영화제 - 대구퀴어문화축제
대구퀴어문화축제는 대구에서 매년 열리는 성소수자 인권과 자긍심 고취를 위한 축제로, 퍼레이드, 공연, 영화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에서 두 번째로 큰 LGBT 축제이다. - 다큐멘터리 영화제 - EBS 국제다큐영화제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2004년 시작되어 다양한 국가의 다큐멘터리 영화 상영, 시상, 제작 지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다큐멘터리 영화의 발전과 대중화, 제작자와 관객 간 소통을 장려하는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제이다. - 다큐멘터리 영화제 - 빈 국제 영화제
빈 국제 영화제는 전 세계의 다양한 신작 영화와 여러 장르의 영화를 상영하고 오스트리아 영화 박물관과 협력하여 역사적인 회고전을 개최하며 영화제 기간 중 국제 영화 평론가 연맹상과 데어 슈탄다르트 독자상이 수여되는 영화제이다. - DMZ국제다큐영화제 -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는 2015년에 국제, 아시아, 한국, 청소년 경쟁 부문으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고 시상했으며, 분단 70년 기념 특별전과 청소년 다큐 제작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 DMZ국제다큐영화제 - 제5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제5회 DMZ국제다큐영화제는 2013년에 개최되어 다양한 섹션을 통해 여러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했으며, 조세영 감독의 《자, 이제 댄스타임》과 김미례 감독의 《산다》가 각각 흰기러기상과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다.
DMZ국제다큐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날짜 | 개막: 2024년 9월 26일 폐막: 2024년 10월 2일 |
회차 | 140회 |
창립 | 2009년 |
마지막 개최 | 2024년 |
주최 |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조직위원회 |
위치 | 고양시, 경기도, 대한민국 파주시, 경기도, 대한민국 |
웹사이트 | DMZ Docs 2024 팩트 시트 |
다음 영화제 | 제17회 DMZ Docs |
현재 영화제 | 제16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이전 영화제 | 제15회 DMZ Docs |
주요 행사 | |
개막작 | 《혁명 경작》 (니쉬타 자인 감독) |
폐막작 | 《필름러버스!》 (아르노 데플레생 감독) |
수상 | 흰기러기상 (대상) |
2. 역사
DMZ국제다큐영화제는 2009년 분단과 냉전의 상징인 비무장지대(DMZ)를 배경으로 평화, 소통, 생명의 가치를 담은 다큐멘터리를 통해 사회적 소통을 확대하고자 시작되었다.[4][5][6] 첫 회는 2009년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열렸으며, 33개국 61편의 영화가 상영되었다. 개막작은 리오 게르와 마르쿠스 베터 감독의 ''The Heart of Jenin|제닌의 심장de'' (독일)이었다. 이후 매년 개최되어 2024년 제16회 영화제까지 이어지고 있다.
2. 1. 연도별 개최 현황
연도 | 개최 기간 | 상영작 | 개막작 | 폐막작 | 비고 |
---|---|---|---|---|---|
제1회 | 2009년 10월 21일 ~ 26일[4][5][6] | 33개국 61편 | The Heart of Jenin|제닌의 심장de, 리오 게르(Lior Geller)와 마르쿠스 베터(Marcus Vetter), 독일 | ||
제2회 | 2010년 9월 9일 ~ 13일[2][7] | 35개국 74편 | Peace|평화일본어, 소다 카즈히로, 일본 | ||
제3회 | 2011년 9월 22일 ~ 28일[8][9][10] | 30개국 101편 | After the Apocalypse|종말 이후영어, 앤토니 버츠(Antony Butts), 영국[11] | The Tiniest Place|가장 작은 장소es, 타티아나 후에조(Tatiana Huezo), 멕시코 | |
제4회 | 2012년 9월 21일 ~ 27일[12][13][14] | 36개국 115편 | Ping Pong|핑퐁영어, 휴 하트포드(Hugh Hartford), 캐나다 | ||
제5회 | 2013년 10월 17일 ~ 23일[15][16][17][18][19] | 38개국 119편 | 만신|萬神한국어 (Manshin: Ten Thousand Spirits), 박찬경, 대한민국[20][21] | ||
제6회 | 2014년 9월 17일 ~ 24일[22][23] | 33개국 163편 | 울보 복서한국어 (Crying Boxers), 이일하, 대한민국[24] | ||
제7회 | 2015년 9월 17일 ~ 24일[25] | 43개국 102편 | I Am Sun Mu|나는 선무다영어, 아담 쇼베르그(Adam Sjöberg), 미국 | ||
제8회 | 2016년 9월 22일 ~ 29일[26] | 36개국 116편 | 어느 따뜻한 봄날한국어 (One Warm Spring Day), 정수은, 대한민국[27] | ||
제9회 | 2017년 9월 21일 ~ 27일[28] | 42개국 114편 | 올드 마린 보이한국어, 진모영, 대한민국 | ||
제10회 | 2018년 9월 13일 ~ 20일 | 39개국 142편 | 너에게 가는 길 - 미누한국어 (Coming to You, Minu), 지혜원, 대한민국 | ||
제11회 | 2019년 9월 20일 ~ 27일 | 46개국 151편 | 사막을 건너 호수를 지나, 평화를!한국어 (Across the Desert, Through the Lake Let's Peace!), 박소현, 대한민국 | ||
제12회 | 2020년 9월 17일 ~ 24일 | 33개국 122편 | 학교 가는 길한국어 (A Long Way to School), 김정인, 대한민국 | ||
제13회 | 2021년 9월 9일 ~ 16일[29] | 39개국 126편 | 수프와 이데올로기한국어 (Soup and Ideology), 양영희, 대한민국 | ||
제14회 | 2022년 9월 22일 ~ 29일[30] | 53개국 137편 | Keep Stepping|계속 스텝영어, 루크 코니쉬(Luke Cornish) | 대상: Disturbed Earth|혼돈의 땅영어 | |
제15회 | 2023년 9월 14일 ~ 21일[31] | 54개국 148편 | The Eternal Memory|영원한 기억영어, 칠레 | 대상: Obscure Night – Goodbye Here, Anywhere|어둠의 밤 - 안녕, 여기, 어디든프랑스어, 실뱅 조지(Sylvain George) | |
제16회 | 2024년 9월 26일 ~ 10월 2일[32] | 43개국 140편 | Farming the Revolution|혁명을 일구는 농부영어, 니쉬타 자인, 인도, 프랑스, 노르웨이 | 영화 애호가! (Filmlovers!) by 아르노 데스플레섕 | 대상: 미결 (In Limbo) by 알리나 막시멘코 |
DMZ국제다큐영화제는 국제 경쟁, 한국 경쟁, 청소년 경쟁 부문 등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국제 경쟁 부문에서는 대상인 흰기러기상(1500만원)과 심사위원 특별상(700만원)을 수여하며, 한국 경쟁 부문에서는 최우수 한국 다큐멘터리상(1000만원)과 심사위원 특별상(500만원)을 수여한다. 관객에게 주어지는 관객상은 300만원이며,[33] 청소년 경쟁 부문에서는 최우수 청소년 다큐멘터리상(100만원)과 우수상(50만원)을 수여한다.[34]
3. 수상 부문
3. 1. 경쟁 부문
2010 《체코에 평화를》 Cesky mir|체스키 미르cs 비트 클루사크, 필립 레문다 2011 《깊은 산 작은 마을》 El lugar más pequeño|엘 루가르 마스 페케뇨es 타티아나 우에소 2012 《당신에게 내가 없다면》 Trong Hay Ngoai Tay Em|트롱 하이 응오아이 따이 엠vi 트란 푸옹 타오, 스완 두버스 2013 《자, 이제 댄스타임》 조세영 2014 《9월의 새들》 طيور أيلول|투유르 아일룰ar 사라 프란시스 2015 《이라크영년》 وطن: العراق السنة صفر|와탄: 알 이라크 앗 싸나 시프르ar 압바스 파델 2016 《점프》 Les sauteurs|레 소퇴르프랑스어 아부 바카 시디베, 모리츠 시버트, 에스테판 바그너 2017 《성찬식》 Komunia|코무니아pl 안나 자메츠카 2018 《자화상: 47km 너머의 스핑크스》 自画像: 47公里斯芬克斯|쯔화샹: 47궁리 쓰펀커쓰중국어 장 멩치 2019 《143 사하라 스트리트》 143 rue du désert|143 뤼 뒤 데제르프랑스어 하센 페르하니 2020 《아수왕》 알릭스 아인 아름팍 2021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