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냉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목차

1. 개요

냉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서방과 동구권 간의 지정학적 갈등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버나드 바루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조지 오웰도 핵전쟁 위협 속에서 '냉전'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냉전은 19세기부터 이어진 러시아와 서방 간의 긴장에서 기원하며,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본격화되었다는 시각도 있다. 얄타 회담을 통해 초강대국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고, 조지 케넌의 장문 전보는 미국의 반공 정책과 봉쇄 정책의 기초가 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트루먼 독트린, 마셜 플랜, 베를린 봉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 등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으며,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대리전 양상도 나타났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데탕트 시대를 거치며 긴장이 완화되기도 했으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신냉전이 시작되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동유럽 혁명을 거쳐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냉전은 종식되었다. 냉전은 세계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그 유산이 남아있다. 냉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며, 학계에서는 전통주의, 수정주의, 탈수정주의로 구분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대 신조어 - 레이더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반사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의 거리, 속도, 방향 정보를 얻는 기술이며,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신호 방식을 사용하고, 기상, 항공, 해상,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1940년대 신조어 - 비정부 기구
    비정부 기구(NGO)는 정부나 회원국이 아닌 민간 조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지만,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 외교 정책 수단으로 사용, 자금 조달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탈식민지화
    탈식민지화는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 결의안을 통해 식민지화된 국가들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
  • 지정학적 경쟁 - 시리아 내전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아사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시위에서 시작되어 무력 분쟁으로 확대, 다수 국가 개입과 극단주의 세력 부상으로 국제적인 대리 전쟁 양상을 띠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발생시켰으나, 2024년 반군 공세로 아사드 정권이 붕괴되며 종식되었다.
  • 지정학적 경쟁 - 군비 경쟁
    군비 경쟁은 국가 간 군사력 증강 경쟁으로, 전쟁의 원인이 되거나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이나 최근 동아시아 군사적 긴장 고조와 자율 무기 시스템 개발 경쟁 등의 양상을 보인다.
냉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기간트루먼 독트린 (1947년 3월 12일) – 소비에트 연방 해체 (1991년 12월 26일)
시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
주요 세력
주도 세력미국 (서방 진영)
소비에트 연방 (동방 진영)
주요 군사 동맹NATO (서방 진영)
바르샤바 조약 기구 (동방 진영)
주요 이념자유주의 (서방 진영)
공산주의 (동방 진영)
냉전 연대표
냉전의 시작1947년 ~ 1948년
냉전의 격화1948년 ~ 1953년
냉전의 절정기1953년 ~ 1962년
냉전의 완화1962년 ~ 1979년
제2차 냉전1979년 ~ 1985년
냉전의 종식1985년 ~ 1991년
관련 분쟁동결된 분쟁
주요 사건
관련 사건제2차 세계 대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전후 처리
동구권
서방권
철의 장막
관련 주제
관련 주제냉전 연대표
역사학
관련 분쟁
탈냉전 시대
1989년 이후 관계
제2차 냉전
탈소비에트 분쟁
아랍 냉전
아시아에서의 냉전
레이건 독트린
이념 대립과 영향
영향바나나 공화국

2. 용어의 기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서방 진영 사이의 지정학적 갈등을 일컫는 "냉전"[150] 이란 말은 미국의 금융업자이자 대통령 보좌관이었던 버나드 바루크가 처음으로 썼다고 한다.[151] 1947년 4월 16일,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바루크는 "속지 맙시다. 우리는 지금 냉전 중입니다."[152][153]라고 연설했다. 신문 기자인 월터 리프먼도 1947년 '냉전'이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이 말을 널리 퍼뜨렸다.[154]

이전에도 조지 오웰이 1945년 10월 19일 영국 트리뷴 지에 기고한 시론 "당신과 원자폭탄"에서 '냉전'이란 표현을 쓴 바 있다. 핵 전쟁의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세계에 대해 생각하였던 오웰은 "평화가 없는 평화"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며 이를 영구적인 "냉전"이라고 불렀으나,[155] 소련과 서방 사이의 이념 대립을 직접적으로 지칭한 말은 아니었다.[156] 1946년 3월 10일자 '옵서버' 지에서 오웰은 "지난 12월 모스크바 회담 이후로 소련은 영국 본토와 영국에 대해 냉전을 시작하였다."라고 썼다.[157]

3. 배경

냉전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151] 대부분의 역사가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를 기원으로 보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냉전이 시작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151] 19세기 중엽부터 러시아 제국, 여타 유럽 국가, 미국 사이에 긴장이 있긴 하였으나,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러시아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고, 소비에트 러시아가 국제 외교 무대에서 고립되면서 냉전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158]

러시아 내전에서 연합군이 개입하던 1918년 8월 블라디보스토크의 미군.


블라디미르 레닌은 소비에트 연방이 '적대적인 자본가 무리'에 둘러싸여 있다고 보았으며, 코민테른을 통해 혁명의 국제화를 주장했다.[159] 이오시프 스탈린은 국제 정치를 양극 세계로 보고, 소련은 공산주의로 기우는 나라들을, 자본주의 나라들은 자본주의로 기우는 나라들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자본주의의 일시적인 안정" 상태가 결국 무너질 것이라고 예측했다.[161]

소련은 자본주의에 대항하여, 1926년 영국의 노동자 총파업에 자금을 지원하여 영국과 소련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63] 샤흐티 공개 재판에서는 프랑스와 영국이 쿠데타를 사주하였다는 공모 진술이 나왔고,[165] 대숙청으로 50여만 명이 넘는 러시아인이 처형당했으며,[166] 모스크바 공개 재판에서는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의 간첩 행위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167]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1932~1933년의 기근(홀로도모르)으로 6~8백만여 명이 넘게 죽어 논란이 되었고,[168] 러시아 내전 당시 서방이 백군을 지원하였다. 미국은 1933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을 승인하지 않았으며,[168] 소련이 독일과 1922년에 라팔로 조약을 맺은[169] 것도 서방 세계와 소비에트 연방 간의 불신을 키웠다.[150]

냉전의 시작은 이념적으로는 10월 혁명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초강대국의 대립 구도는 얄타 체제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45년 2월 프랭클린 D. 루즈벨트(미국), 이오시프 스탈린(소련), 윈스턴 처칠(영국)의 얄타 회담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를 결정지었고, 7월 포츠담 회담에서 상호 불신은 더욱 깊어졌다.

1946년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에 근무했던 조지 케넌의 「장문 전보」는 해리 S. 트루먼 정권 내에서 대소 인식 형성에 기여했고, 미국의 냉전 정책의 근간이 되는 「반공·봉쇄 정책」으로 이어졌다.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은 유럽 여러 나라에서 공산주의 세력의 신장이 우려되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공산당이 지지를 얻고 있었다. 승전국이었던 영국도 독자적으로 소련에 대항할 힘은 없었기에, 서유럽에서 미국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1947년 3월 12일, 트루먼은 연두 교서에서 그리스와 터키의 방위를 맡겠다고 선언한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 전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이원론적 세계관이 현저해졌다. 6월 5일 조지 마셜 국무장관이 마셜 플랜을 발표,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대규모 원조를 실시하여 미국의 고립주의 탈피에 기여했다.

동유럽 국가들 중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슬로바키아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여 공산주의 중심 정부가 수립되었다. 얄타 회담에서 독립 회복이 약속되었던 폴란드에서도 런던 망명 정부와 공산당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망명 정부 계열은 배제되었다. 동유럽의 공산화를 결정짓고 서방 국가들에게 냉전의 현실을 일깨워 준 것은 1948년 2월의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였다.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는 파르티잔 투쟁에서 볼 수 있듯 토착 세력에 의한 내발적 요인이 더 컸고, 1948년 유고-소련 논쟁의 원인이 되어 유고슬라비아가 공산권에서 추방, 자주관리 사회주의와 비동맹주의 외교라는 독자 노선을 걷게 되었다.

추축국의 중심이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4분할하여 점령 통치하였다. 1949년, 서방 점령 지역에는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 소련 점령 지역에는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 수립된다.

4.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39~1947)



냉전의 시작은,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주목한다면 10월 혁명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초강대국의 대립이라는 구도는 얄타 체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로 유럽 분할을 다룬 1945년 2월 프랭클린 D. 루즈벨트(미국), 요시프 스탈린(소련), 윈스턴 처칠(영국)의 얄타 회담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를 결정했다. 7월의 포츠담 회담에서 상호 불신은 더욱 깊어졌다.

1946년,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에 근무했던 조지 케이넌의 「장문 전보」는 제임스 포레스터 해군장관을 통해 해리 S. 트루먼 정권 내에서 유포되어 대소 인식 형성에 기여했다. 후에 미국의 냉전 정책의 근간이 되는 「반공·봉쇄 정책」으로 이어졌다.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은 유럽 여러 나라에서 공산주의 세력의 신장이 우려되기 시작했다. 특히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공산당이 지지를 얻고 있었다. 승전국이었던 영국도 옛 대영제국의 모습은 없었고, 독자적으로 소련에 대항할 만한 힘은 남아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서유럽에서 미국의 존재와 역할이 불가피하게 중요해졌다. 1947년에 들어서 3월 12일, 트루먼은 연두 교서에서 영국을 대신하여 그리스와 터키의 방위를 맡겠다고 선언했다. 세계적인 반공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선언한 이른바 「트루먼 독트린」이며, 전체주의와 자유주의의 두 생활 방식이라는 이원론적 세계관이 현저해졌다. 6월 5일에는 하버드 대학교 졸업식에서 조지 마셜 국무장관이 유럽 부흥 계획(마셜 플랜)을 발표하여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대규모 원조를 실시했다. 이렇게 전후 미국은 지속적으로 유럽 대륙에 개입하게 되었고, 고립주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동유럽 국가들 중 나치 독일과 동맹 관계였던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슬로바키아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한 정부가 수립되었다. 처음에는 「반파시즘」을 슬로건으로 하는 사회민주주의 세력과의 연립 정부였지만, 사법, 내무 등 주요 요직은 공산당이 장악했다. 얄타 회담에서 독립 회복이 약속되었던 폴란드에서도 런던의 망명 정부와 공산당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선거 방해와 협박 등으로 망명 정부 계열 정당과 각료가 배제되었다. 이러한 동유럽의 공산화를 결정짓고 서방 국가들에게 냉전의 냉혹한 현실을 일깨워 준 것이 1948년 2월의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였다. 또한 그 전년 10월에는 코민폼이 결성되어 사회주의에 이르는 다양한 길이 부정되고 소련식 사회주의가 일률적으로 채택되었다. 한편,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에서의 공산당 체제 수립에서는 소련의 주도보다는 전쟁 중의 파르티잔 투쟁에서 볼 수 있는 토착 세력에 의한 내발적 요인이 더 컸다. 이 점이 1948년의 유고-소련 논쟁의 원인이 되어 유고슬라비아가 공산권에서 추방되고, 자주관리 사회주의와 비동맹주의 외교라는 독자 노선을 걷게 되었다.

추축국의 중심이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4분할하여 점령 통치하였다. 점령 행정 방식과 배상 문제 등에서 소련과 미·영·프의 대립이 심화되어 1949년, 서방 점령 지역에는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 소련 점령 지역에는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 수립된다.

4. 1. 독소 불가침 조약 (1939~1941)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1주일을 앞두고 소련과 독일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여 이에 따라 폴란드와 동유럽을 양국이 분할하기로 비밀 합의를 보았는데, 이로 말미암아 소련과 서방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170] 1주일 뒤인 1939년 9월, 독일과 소련은 폴란드와 동유럽 지역을 침략하여 조약에 따라 나눠 가졌다.[171][172]

이후 1년 반 동안 두 나라는 중요한 전쟁 물자를 교역하며 광범위한 경제 관계를 맺었으나[173][174],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여(바르바로사 작전) 조약을 깼다.[175]

4. 2. 추축국에 대항하는 연합국 (1941~1945)

소련은 1941년부터 참전 노력을 해왔지만, 영국과 미국이 나치 독일에 대한 공격을 늦추고 있다고 의심했다. 서방 연합국이 평화 협상을 노리고 마지막 순간에 개입하고자 서부 전선에서 개전하는데 일부러 늑장을 부린다는 것이었다.[176]

영국과 미국은 소련이 일본과 중립 조약을 맺은 것에 분개했다. 특히 미국은 히로시마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여 일본이 미국에게만 항복하자 그제서야 소련이 만주를 침략한 것에 분노했다.[177]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소련과 서방 연합국 사이에는 강한 긴장 및 적대 기류가 형성되었다.[177]

4. 3. 전후 유럽에 관한 전시 회담

연합국은 전후 유럽의 형세와 국경선 획정을 놓고 의견이 엇갈렸다.[150] 양측은 전후 안보 체제를 어떻게 구성하여 유지할 지에 대해서도 다른 생각을 품고 있었다.[150] 서방 연합국은 자유민주주의 & 자본주의 국가가 되도록 많이 참여하여 국제 기구를 통해 국가간의 이견을 평화로이 해결할 수 있는 안보 체제를 만들고자 하였다.[178]

그러나 소련은 과거 잦은 침략을 당했던 역사가 있었고,[150]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막대한 인명 손실(약 2천7백만여 명)을 당하고 심각한 손해를 입었으므로,[179] 자국과 국경을 맞댄 나라들의 내정을 통제하여 안전 보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150] [180] 얄타 회담에서 연합국은 유럽의 전후 체제 구상에 관해 확실히 합의하지 못하였다.[150]

유럽 분할을 다룬 1945년 2월 프랭클린 D. 루즈벨트(미국), 요시프 스탈린(소련), 윈스턴 처칠(영국)의 얄타 회담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를 결정했다.

얄타 회담의 핵심 쟁점 중 하나가 폴란드 문제였다. 미국과 영국에게 있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직접적인 이유는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었고, 소련에게는 안보의 관점에서 자국에 우호적인 정권이 폴란드에 수립되는 것이 바람직했다. 스탈린이 언급했듯이, 폴란드 문제는 영토 문제이면서 동시에 정권 문제라는 측면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폴란드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됨으로써, 전후 폴란드 정치에 소련의 영향력이 커지는 요인이 되었다. 얄타 회담에서 미국과 영국은 스탈린에게 폴란드에서의 자유 선거 실시를 요구하고 동의를 얻어냈지만, 소련에게 폴란드 문제는 “안보상의 사활 문제”였기 때문에 스탈린은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

연합국이 유럽 전선에서 승리한 뒤 미국과 서방 연합군은 서유럽에서 버티고 있을 때 소련은 사실상 중앙 유럽을 장악하였다.[150]

연합군 점령하 독일의 최종도. 미국, 소련, 프랑스, 영국, 폴란드에게 분할하였다.


소련과 미국, 영국, 프랑스가 독일 영토를 점령하고 점령지에 군정을 실시하였다.[150] 연합국은 세계 평화 유지를 위해 유엔을 창설했으나 안전보장이사회의 집행 능력은 각 회원국의 거부권 행사로 마비되다시피 하였다.[182] 그리하여 유엔은 탁상공론의 장으로 전락했으며 소련은 유엔을 선전 수단 따위로 여겼다.[183]

4. 4. 동구권 형성

전쟁 막바지에 소비에트 연방은 독소 불가침 조약을 통해 독일에게서 할양받은 나라들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직접 편입하여 동구권(공산권)을 형성하였다. 동구권에는 폴란드 동부(두 개의 서로 다른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184], 라트비아(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된다)[185][185][186],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185][186],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185][186], 핀란드 동부(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172], 루마니아 동부(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187][188])가 포함되었다.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은 종전 무렵 거대한 소련군이 유럽에 배치된 것에 우려를 표했고, 이오시프 스탈린을 믿지 않았으며, 소련이 서유럽의 위협이라고 생각했다.[189] 1945년 4월과 5월, 영국 내각의 합동 기획 참모 위원회는 "소련에 미국과 대영 제국의 의지를 내세우기 위해" 언싱커블 작전을 계획했다.[190] 그러나 영국군 참모 총장은 이 계획이 군사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작전이라며 거부했다.[189]

얄타 회담의 핵심 쟁점 중 하나는 폴란드 문제였다. 미국과 영국에게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직접적인 이유는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었고, 소련에게는 안보의 관점에서 자국에 우호적인 정권이 폴란드에 수립되는 것이 중요했다. 스탈린이 밀로반 질라스에게 언급했듯이, 폴란드 문제는 영토 문제이면서 동시에 정권 문제였다. 폴란드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됨으로써, 전후 폴란드 정치에 소련의 영향력이 커졌다. 얄타 회담에서 미국과 영국은 스탈린에게 폴란드에서의 자유 선거 실시를 요구하고 동의를 얻어냈지만, 스탈린은 폴란드 문제를 “안보상의 사활 문제”로 여겨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

트루먼은 얄타에서의 합의를 소련이 파기하고 있다고 보고, 유엔 창설 회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에게 항의했다. 이후 미국과 소련은 대립하게 된다.

4. 5. 포츠담 선언과 일본 제국의 패망

6월 말 나치 독일의 항복 직후 열린 포츠담 회담에서 독일과 중부 유럽의 장래 발전을 놓고 심각한 의견차가 드러났다.[191] 참가자들은 거칠고 적대적인 언사를 써가며 서로가 자신을 적대하는 뜻을 품고 있다고 의심하고 자신들의 입장을 고수하였다.[192] 회담장에서 트루먼은 스탈린에게 미국이 강력한 신무기(원자폭탄)를 보유함을 알렸다.[150]

스탈린은 미국이 원자 폭탄을 개발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으며, 이에 대항하는 소련의 자체 계획이 진행되고 있었으므로 그는 이 소식에 신중하게 반응했다. 스탈린은 이 소식을 기쁘게 생각하며, 이 무기가 일본에 쓰이길 바란다는 뜻을 피력했다.[150] 포츠담 회담이 끝나고 일주일 뒤 미국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을 투하했다. 그 직후 스탈린은 미국이 일본 제국을 점령하면서 트루먼이 소련의 일본에 영향력을 행사할 여지를 거의 주지 않자 미국 정부 관계자에게 항의하였다.[193]

4. 6. 긴장 조성

1946년 2월 조지 F. 케넌은 모스크바에서 "긴 전보"를 보내어 미국 정부가 점차 소련에 대해 강경책으로 굳히는 데 일조했으며, 냉전 중 미국의 對소련 전략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194] 이 전보는 트루먼 행정부의 소련 정책을 형성하게 될 정책 논쟁을 촉발했다.[3] 같은 해 9월, 소련 측에서는 주미 소련 대사가 보내고 뱌체슬라프 몰로토프가 위임받아 "함께 쓴" 노비코프 전보가 나왔는데, 그 내용을 보면 "새로운 전쟁에서 세계 패권을 쥘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군사적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독점 자본주의자 세력의 손아귀에 미국이 놀아나고 있다고 나와 있다.[195]

1946년 9월 6일, 제임스 F. 번즈는 독일에서 연설을 하며 모건소 플랜(전후 독일을 분할하고 산업화를 막자는 계획)을 거부하였으며, 소련에 대해 미국은 유럽에 무기한으로 군사력을 유지하고자 한다고 경고하였다.[150] 번즈가 한 달 뒤 언급했듯이, "우리 프로그램의 핵심은 독일 국민을 얻는 것이었다... 그것은 우리와 러시아 사이의 정신에 대한 싸움이었다..."[5]

"긴 전보"가 나온 지 몇 주 뒤 처칠은 미주리풀턴에서 유명한 "철의 장막" 연설을 했다.[150] 연설에서 처칠은 소련에 대항하는 영국과 미국의 동맹을 주장하며, 소련이 "발트 해슈테틴에서 아드리아 해트리에스테에 이르기까지 소련이 "철의 장막"을 세우고 있음"을 비난했다.[197][198] 일주일 후인 3월 13일, 스탈린은 이 연설에 대해 강력하게 반박하며 처칠은 영어권 국가의 인종적 우월성을 주장하여 세계 지배에 대한 욕망을 충족하려 했던 점에서 아돌프 히틀러와 비교될 수 있으며, 그러한 선언은 "소련에 대한 전쟁 선포"라고 말했다.[4]

2014년 체코의 "철의 장막" 잔해

5. 한국 전쟁 이전의 봉쇄 정책 (1947~195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은 점령한 여러 동유럽 국가들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편입하고, 동독,[199]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199],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200],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201] 등을 위성국으로 만들어 동구권에 편입시켰다.[150] 이들 국가는 소련식 통제 경제 체제를 도입하고 스탈린식 정책과 비밀 경찰 제도를 채택하여 반대파를 억압했다.[202]

1938년 당시 지도.(녹색선) 변경된 국경선은 검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1945년 이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영토는 어두운 붉은 색으로, 이후 여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편입된 지역은 밝은 붉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소련의 위성 국가는 분홍색으로 표시.


아시아에서는 붉은 군대가 만주를 장악하고, 북위 38도선 이북의 한국 영토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203] 1947년 9월, 소련은 코민포름을 결성하여 동구권 내 공산당의 협력을 통해 위성국들을 정치적으로 통제하려 했다.[217] 그러나 이듬해 티토와 스탈린이 결렬하여 유고슬라비아가 코민포름을 탈퇴하면서 난관에 빠졌다.[204] 유고슬라비아는 공산주의를 유지하되 비동맹 노선을 취했다.

소련은 동구권 지배를 위해 라브렌티 베리야가 이끈 내무인민위원회(NKVD)를 통해 반공 저항을 진압하고, 반대파를 억압했다.[205] 동구권에서 반소 움직임이 나타나면, 스탈린식 방식에 따라 반대파는 권력을 빼앗기고, 재판을 받아 투옥되거나 처형당했다.[206]

티토-스탈린 분열 이전에는 서방 세력과 동유럽 진영은 서로 타협하지 않았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외에도 이탈리아인과 슬로베니아인, 군주제 지지자와 공화제 지지자, 전쟁 승자와 패자들이 종종 서로 화해할 수 없이 대립했다. 1947년 유엔에 의해 설립된 중립 완충국가인 트리에스테 자유 지역은 서방과 티토 사이의 긴장 완화로 인해 1954년과 1975년에 분할되어 해체되었다.

1947년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의 보좌관들은 소련이 자본가들의 대립을 부추겨 전쟁을 일으키게끔 미국을 음해하고 있다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7] 그해 2월, 영국 정부는 그리스 내전을 벌이고 있는 그리스 왕국의 왕당파 군사 정권에 더 이상 자금을 지원할 여력이 없다고 발표했다. 이에 미국 정부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를 선언했다.[208] 트루먼은 연설에서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했는데, 이 독트린은 자유 국민과 전체주의 정권의 대립 구도를 기본 틀로 삼았다.[208] 미국의 민주당공화당은 봉쇄와 억제에 초점을 맞춘 국방 및 외교 정책에 초당적으로 합의했으며, 이러한 흐름은 베트남 전쟁으로 약화되긴 했으나 꾸준하게 이어졌다.[209]

2차대전 이후 유럽의 군사 동맹.


유럽의 중도, 보수 정당은 서방 동맹을 지지했고,[210] 유럽과 미국의 공산주의자는 국가보안위원회(KGB)의 지원을 받아 첩보 작전에 관여했으며[211] 소련의 노선을 지지했으나 1956년 이후부터 의견차가 생겨났다.[212] 베트남 전쟁의 반전 활동가와 핵 군축 운동, 핵 동결 운동에서도 미국 양당의 합의 정치를 비판하였다.[212]

1947년 초, 영국과 프랑스, 미국은 독일의 경제 자립 구상 계획을 놓고 소련과 합의를 보는데 실패했다.[213] 같은 해 6월, 미국은 트루먼 독트린에 따라 마셜 플랜(유럽 부흥 계획)을 실행하여, 소련을 비롯한 참가를 원하는 모든 유럽 국가에 경제 원조를 약속했다.[213]
마셜 플랜 원조를 받은 국가들을 보여주는 냉전 시대 유럽과 근동 지도. 붉은색 막대는 국가별 총 원조액의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 계획의 목적은 유럽의 자유민주주의 &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재건하고, 혁명이나 선거로 공산당이 집권하는 등 유럽에서 힘의 균형이 위협받는 일을 방지하는 것이었다.[214] 유럽 부흥 계획에서는 독일 경제가 회복해야 유럽도 번영한다는 내용도 있었다.[215]

스탈린은 서방과 경제적으로 통합하면 동구권 국가들이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며, 미국은 돈으로 유럽에 친미 세력을 구축하고 있다고 생각했다.[217] 그리하여 스탈린은 동구권 국가들이 마셜 플랜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막았다.[217] 소련은 마셜 플랜의 대안으로, 중앙 유럽에 지원금을 주고 교역도 하기로 한 몰로토프 플랜을 세웠고,이는 1949년 1월에 코메콘으로 제도화되었다.[150]

1948년 초,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다.[219][220]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로 공공연한 참상이 벌어지자 서방 국가는 어느 때보다 큰 충격을 받았고, 미국 의회 내에서는 마셜 플랜에 대해 그나마 있던 반대하고 있던 사람들도 자취를 감추었다.[221]

마셜 플랜 경제 원조에 사용된 라벨링


트루먼 독트린과 마셜 플랜을 통해 미국은 서유럽과 그리스, 터키의 경제 및 군사 원조에 수십억을 쏟아 부었다. 미국의 원조 덕분에 그리스 군부는 내전에서 승리했으며[150], 이탈리아 기독교 민주당은 1948년 선거에서 공산주의자-사회주의자 연합을 이겼다.[222]

미국과 영국은 자신들의 서독 점령지를 "양자 구역"으로 통합했고, 나중에 프랑스 점령 지역도 포함되어 '삼자 구역'이 되었다.[224] 독일 경제 재건의 일환으로 1948년 초에 미국과 여러 서유럽 정부의 대표단은 서방 연합국의 독일 점령지를 연방 정부 체제로 통합하는 협정을 발표했다.[225] 게다가 마셜 플랜에 따라 서방 국가는 독일 경제를 재건하고 재산업화하는 데 착수했는데, 그 일환으로 소련이 평가절하했던 라이히스마르크화를 대체할 새 독일 마르크화가 도입되었다.[226]

그 직후에 스탈린은 서베를린에 식량과 물자 공급을 막는 베를린 봉쇄를 감행했다.[227] 이는 냉전 초기에 벌어진 큰 위기 중 하나였다.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은 대규모 "베를린 공수 작전"으로 서베를린에 식량과 물자를 공수했다.[228]
베를린 봉쇄 당시,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에서 하역 작업 중인 미군 C-47 수송기


소련은 이러한 정책 변화에 반대하는 선전 공세를 폈고, 이전 서베를린 선거에서 대패했던 공산주의자들은 1948년 선거를 망치려 들었다.[229] 그러나 300,000 여명의 베를린 시민은 국제 공수 작전을 계속 실시하라고 시위를 벌였다.[230] 미국은 공수 작전 중 우연히 독일 어린이들에게 사탕을 공수하기도 했다.[231] 1949년 5월 스탈린은 한 발 물러나 봉쇄를 해제했다.[232][233]

트루먼이 국가 안전보장법에 서명하고 있다.


트루먼 대통령이 오벌 오피스에서 손님들과 함께 북대서양 조약에 서명하고 있다.


1949년 4월, 영국, 프랑스, 미국, 캐나다 등 서유럽 8개국은 북대서양 조약을 체결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창설하였다.[205] 같은 해 8월, 스탈린은 소련 최초의 핵무기 폭발 실험을 카자흐 SSR 세미팔라틴스크에서 명령하였다.[150]

1948년 서유럽 국가들이 추진한 독일 재건 계획에 소련이 참여하기를 거부하자,[225][234] 미국, 영국, 프랑스는 1949년 5월 '삼자 구역'에서 서독을 창설하는데 앞장섰다.[150] 소련은 그해 10월에 자국의 독일 점령지에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을 세웠다.[150]

동구권 내의 언론 매체는 국가 기관으로서 공산당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었으며, 인쇄 매체는 보통 지역 공산당과 같은 정치 기관이 소유했지만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은 국가 소유였다.[235] 소련의 선전 매체는 마르크스주의적 수사법을 사용하여 공산주의를 내걸어 자본주의가 제도적으로 노동을 착취하고 전쟁을 부추기는 제국주의 체제라며 비판하였다.[236]

영국방송회사(BBC)와 미국의 소리와 더불어[237] 동구권의 공산당 체제를 평화적으로 해체하기 위해 자유 유럽 방송이 1949년에 선전 활동을 개시하였다.[238] 자유 유럽 방송은 본국 라디오 방송을 대신하여 공산당이 통제하는 지역 언론의 대안이 되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238] 조지 F. 케넌 등 미국의 초기 냉전 전략을 설계한 일부 사람들은 냉전이 결국은 군사적 수단이 아닌 정치적 수단을 가지고 싸우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239]

케넌이나 존 포스터 덜레스 등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냉전이 본질적으로 이념 전쟁이라고 보았다.[239] 미국은 중앙정보국(CIA)을 통해 유럽과 개발도상국의 지식인들이 공산주의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막고자 수많은 사업에 자금 지원을 했다.[240]

1950년대 초, 미국은 서독 재군비를 추진하고, 1955년에는 서독을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정식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150] 콘라트 아데나워 서독 총리는 재군비의 주요 추진자였고, 프랑스는 주요 반대국이었다. 새로운 군대는 나토 지휘하에 동맹 체제 내에서 운영되어야 했다. 1953년 5월, 라브렌티 베리아는 서독이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독일의 중립화 통일을 제안했으나 실패했다.[241] 이러한 사건들은 1955년 서독군(분데스베어)의 창설로 이어졌다.

1955년 11월 테오도르 블랑크가 아돌프 하우징거와 한스 슈파이델 장군에게 신설된 분데스베어 장교 임관 선서를 시키는 모습


1949년 마오쩌둥의 인민해방군이 미국의 지원을 받던 국민당을 국공 내전에서 물리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자, 소련은 즉각 신생 중화인민공화국과 동맹을 맺었다.[242] 패배한 국민당은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섬으로 옮겼다.[242] 1950년 2월에는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을 맺어 소련의 동맹국이 되었다. 같은 해, 미국은 NSC 68호를 통해 봉쇄 정책을 강화하고, 국방 예산을 4배로 늘렸다.[150]

1949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의 지도


미국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로 봉쇄 조치를 확대했는데, 이는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혁명적 민족주의 운동 세력들이 소련의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다.[244] 미국은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과 SEATO 등을 통해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타이, 필리핀과 동맹을 맺고 군사 기지를 확보하였다.[150]

모스크바에서 만난 마오쩌둥(毛澤東)과 스탈린(Stalin), 1949년 12월


한반도는 얄타 회담에 따라 북위 38선을 경계로 북쪽은 소련, 남쪽은 미국이 점령하여 분단 국가가 되었다. 1950년 6월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대한민국을 갑자기 침략하여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다.[150] 한국 전쟁에는 “의용군”이라는 명목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인민 해방군도 참전하여 전투 상태는 1953년까지 지속되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후 1954년에 프랑스가 패배하여 베트남이 독립하였지만,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위 17도선으로 남부를 분할하고, 미국의 괴뢰 군사 정권이 통치하는 남베트남을 건국하였다.

이러한 공산 세력의 아시아 대두에 위협을 느낀 미국은 1951년 8월에 필리핀과 미·필 상호 방위 조약, 9월에는 일본과 미일 안보 조약,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태평양 안보 조약(ANZUS), 1953년 8월에는 한국과 미·한 상호 방위 조약, 1954년에는 중화민국과 미·화 상호 방위 조약을 맺고, 1954년 9월에는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를 설립하였다.

5. 1. 소비에트 위성 국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은 점령한 여러 동유럽 국가들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편입하고, 동독[199],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199],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200],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201] 등을 위성국으로 만들어 동구권에 편입시켰다.[150] 이들 국가는 소련식 통제 경제 체제를 도입하고 스탈린식 정책과 비밀 경찰 제도를 채택하여 반대파를 억압했다.[202]

아시아에서는 붉은 군대가 만주를 장악하고, 북위 38도선 이북의 한국 영토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203] 1947년 9월, 소련은 코민포름을 결성하여 동구권 내 공산당의 협력을 통해 위성국들을 정치적으로 통제하려 했다.[217] 그러나 이듬해 티토와 스탈린이 결렬하여 유고슬라비아가 코민포름을 탈퇴하면서 난관에 빠졌다.[204] 유고슬라비아는 공산주의를 유지하되 비동맹 노선을 취했다.

소련은 동구권 지배를 위해 라브렌티 베리야가 이끈 내무인민위원회(NKVD)를 통해 반공 저항을 진압하고, 반대파를 억압했다.[205] 동구권에서 반소 움직임이 나타나면, 스탈린식 방식에 따라 반대파는 권력을 빼앗기고, 재판을 받아 투옥되거나 처형당했다.[206]

티토-스탈린 분열 이전에는 서방 세력과 동유럽 진영은 서로 타협하지 않았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외에도 이탈리아인과 슬로베니아인, 군주제 지지자와 공화제 지지자, 전쟁 승자와 패자들이 종종 서로 화해할 수 없이 대립했다. 1947년 유엔에 의해 설립된 중립 완충국가인 트리에스테 자유 지역은 서방과 티토 사이의 긴장 완화로 인해 1954년과 1975년에 분할되어 해체되었다.

5. 2. 봉쇄와 트루먼 독트린

1947년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의 보좌관들은 소련이 자본가들의 대립을 부추겨 전쟁을 일으키게끔 미국을 음해하고 있다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7] 그해 2월, 영국 정부는 그리스 내전을 벌이고 있는 그리스 왕국의 왕당파 군사 정권에 더 이상 자금을 지원할 여력이 없다고 발표했다. 이에 미국 정부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를 선언했다.[208] 트루먼은 연설에서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했는데, 이 독트린은 자유 국민과 전체주의 정권의 대립 구도를 기본 틀로 삼았다.[208] 미국의 민주당공화당은 봉쇄와 억제에 초점을 맞춘 국방 및 외교 정책에 초당적으로 합의했으며, 이러한 흐름은 베트남 전쟁으로 약화되긴 했으나 꾸준하게 이어졌다.[209]

유럽의 중도, 보수 정당은 서방 동맹을 지지했고,[210] 유럽과 미국의 공산주의자는 국가보안위원회(KGB)의 지원을 받아 첩보 작전에 관여했으며[211] 소련의 노선을 지지했으나 1956년 이후부터 의견차가 생겨났다.[212] 베트남 전쟁의 반전 활동가와 핵 군축 운동, 핵 동결 운동에서도 미국 양당의 합의 정치를 비판하였다.[212]

5. 3. 유럽 부흥 계획과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1947년 초, 영국과 프랑스, 미국은 독일의 경제 자립 구상 계획을 놓고 소련과 합의를 보는데 실패했다.[213] 같은 해 6월, 미국은 트루먼 독트린에 따라 마셜 플랜(유럽 부흥 계획)을 실행하여, 소련을 비롯한 참가를 원하는 모든 유럽 국가에 경제 원조를 약속했다.[213]

이 계획의 목적은 유럽의 자유민주주의 &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재건하고, 혁명이나 선거로 공산당이 집권하는 등 유럽에서 힘의 균형이 위협받는 일을 방지하는 것이었다.[214] 유럽 부흥 계획에서는 독일 경제가 회복해야 유럽도 번영한다는 내용도 있었다.[215]

스탈린은 서방과 경제적으로 통합하면 동구권 국가들이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며, 미국은 돈으로 유럽에 친미 세력을 구축하고 있다고 생각했다.[217] 그리하여 스탈린은 동구권 국가들이 마셜 플랜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막았다.[217] 소련은 마셜 플랜의 대안으로, 중앙 유럽에 지원금을 주고 교역도 하기로 한 몰로토프 플랜을 세웠고,이는 1949년 1월에 코메콘으로 제도화되었다.[150]

1948년 초,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다.[219][220]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로 공공연한 참상이 벌어지자 서방 국가는 어느 때보다 큰 충격을 받았고, 미국 의회 내에서는 마셜 플랜에 대해 그나마 있던 반대하고 있던 사람들도 자취를 감추었다.[221]

트루먼 독트린과 마셜 플랜을 통해 미국은 서유럽과 그리스, 터키의 경제 및 군사 원조에 수십억을 쏟아 부었다. 미국의 원조 덕분에 그리스 군부는 내전에서 승리했으며[150], 이탈리아 기독교 민주당은 1948년 선거에서 공산주의자-사회주의자 연합을 이겼다.[222]

5. 4. 베를린 봉쇄와 공수 작전

미국과 영국은 자신들의 서독 점령지를 "양자 구역"으로 통합했고, 나중에 프랑스 점령 지역도 포함되어 '삼자 구역'이 되었다.[224] 독일 경제 재건의 일환으로 1948년 초에 미국과 여러 서유럽 정부의 대표단은 서방 연합국의 독일 점령지를 연방 정부 체제로 통합하는 협정을 발표했다.[225] 게다가 마셜 플랜에 따라 서방 국가는 독일 경제를 재건하고 재산업화하는 데 착수했는데, 그 일환으로 소련이 평가절하했던 라이히스마르크화를 대체할 새 독일 마르크화가 도입되었다.[226]

그 직후에 스탈린은 서베를린에 식량과 물자 공급을 막는 베를린 봉쇄를 감행했다.[227] 이는 냉전 초기에 벌어진 큰 위기 중 하나였다.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은 대규모 "베를린 공수 작전"으로 서베를린에 식량과 물자를 공수했다.[228]

소련은 이러한 정책 변화에 반대하는 선전 공세를 폈고, 이전 서베를린 선거에서 대패했던 공산주의자들은 1948년 선거를 망치려 들었다.[229] 그러나 300,000 여명의 베를린 시민은 국제 공수 작전을 계속 실시하라고 시위를 벌였다.[230] 미국은 공수 작전 중 우연히 독일 어린이들에게 사탕을 공수하기도 했다.[231] 1949년 5월 스탈린은 한 발 물러나 봉쇄를 해제했다.[232][233]

5. 5. 북대서양 조약기구와 자유 유럽 방송



1949년 4월, 영국, 프랑스, 미국, 캐나다 등 서유럽 8개국은 북대서양 조약을 체결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창설하였다.[205] 같은 해 8월, 스탈린은 소련 최초의 핵무기 폭발 실험을 카자흐 SSR 세미팔라틴스크에서 명령하였다.[150]

1948년 서유럽 국가들이 추진한 독일 재건 계획에 소련이 참여하기를 거부하자,[225][234] 미국, 영국, 프랑스는 1949년 5월 '삼자 구역'에서 서독을 창설하는데 앞장섰다.[150] 소련은 그해 10월에 자국의 독일 점령지에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을 세웠다.[150]

동구권 내의 언론 매체는 국가 기관으로서 공산당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었으며, 인쇄 매체는 보통 지역 공산당과 같은 정치 기관이 소유했지만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은 국가 소유였다.[235] 소련의 선전 매체는 마르크스주의적 수사법을 사용하여 공산주의를 내걸어 자본주의가 제도적으로 노동을 착취하고 전쟁을 부추기는 제국주의 체제라며 비판하였다.[236]

영국방송회사(BBC)와 미국의 소리와 더불어[237] 동구권의 공산당 체제를 평화적으로 해체하기 위해 자유 유럽 방송이 1949년에 선전 활동을 개시하였다.[238] 자유 유럽 방송은 본국 라디오 방송을 대신하여 공산당이 통제하는 지역 언론의 대안이 되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238] 조지 F. 케넌 등 미국의 초기 냉전 전략을 설계한 일부 사람들은 냉전이 결국은 군사적 수단이 아닌 정치적 수단을 가지고 싸우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239]

케넌이나 존 포스터 덜레스 등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냉전이 본질적으로 이념 전쟁이라고 보았다.[239] 미국은 중앙정보국(CIA)을 통해 유럽과 개발도상국의 지식인들이 공산주의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막고자 수많은 사업에 자금 지원을 했다.[240]

1950년대 초, 미국은 서독 재군비를 추진하고, 1955년에는 서독을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정식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150] 콘라트 아데나워 서독 총리는 재군비의 주요 추진자였고, 프랑스는 주요 반대국이었다. 새로운 군대는 나토 지휘하에 동맹 체제 내에서 운영되어야 했다. 1953년 5월, 라브렌티 베리아는 서독이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독일의 중립화 통일을 제안했으나 실패했다.[241] 이러한 사건들은 1955년 서독군(분데스베어)의 창설로 이어졌다.

5. 6. 국공 내전과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1949년 마오쩌둥의 인민해방군이 미국의 지원을 받던 국민당을 국공 내전에서 물리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자, 소련은 즉각 신생 중화인민공화국과 동맹을 맺었다.[242] 패배한 국민당은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섬으로 옮겼다.[242] 1950년 2월에는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을 맺어 소련의 동맹국이 되었다. 같은 해, 미국은 NSC 68호를 통해 봉쇄 정책을 강화하고, 국방 예산을 4배로 늘렸다.[150]

미국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로 봉쇄 조치를 확대했는데, 이는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혁명적 민족주의 운동 세력들이 소련의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다.[244] 미국은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과 SEATO 등을 통해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타이, 필리핀과 동맹을 맺고 군사 기지를 확보하였다.[150]

한반도는 얄타 회담에 따라 북위 38선을 경계로 북쪽은 소련, 남쪽은 미국이 점령하여 분단 국가가 되었다. 1950년 6월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대한민국을 갑자기 침략하여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다.[150] 한국 전쟁에는 “의용군”이라는 명목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 인민 해방군도 참전하여 전투 상태는 1953년까지 지속되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후 1954년에 프랑스가 패배하여 베트남이 독립하였지만,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위 17도선으로 남부를 분할하고, 미국의 괴뢰 군사 정권이 통치하는 남베트남을 건국하였다.

이러한 공산 세력의 아시아 대두에 위협을 느낀 미국은 1951년 8월에 필리핀과 미·필 상호 방위 조약, 9월에는 일본과 미일 안보 조약,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태평양 안보 조약(ANZUS), 1953년 8월에는 한국과 미·한 상호 방위 조약, 1954년에는 중화민국과 미·화 상호 방위 조약을 맺고, 1954년 9월에는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를 설립하였다.

5. 7.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대한민국을 기습 침공하여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245]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대한민국을 방어하기로 결정하고,[246] 미국, 영국, 터키, 캐나다 등 여러 국가가 국제연합군으로 참전하였다.[247] 한국 전쟁은 북대서양 조약기구가 군사 기구로 발전하는데 영향을 끼쳤다.[248]

1950년 9월, 미 해병이 서울 해방 작전 중 거리 전투를 벌이고 있다.


1950년 9월 15일,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좌석)이 미 해군 함정 마운트 맥킨리호에서 한국 인천에 대한 해상 포격을 감시하고 있다.


1953년 7월, 한국 정전 협정이 승인되었고,[150] 김일성은 북한에서 극단적으로 집중화된 잔인한 독재 정권을 수립하였다.[250][251]

6. 위기와 냉전의 심화 (1953~1962)

미국을 방문하여 아이젠하워 대통령을 만난 흐루쇼프 총리


서로를 끊임없이 “가상 적국”으로 간주하며, 가상 적국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보장하려는 노력으로 양국 모두 세력 확장을 경쟁하고 군비 확장이 계속되었다. 이의 상징적인 존재가 핵무기 개발과 우주 개발 경쟁이다. 양 진영은 ‘눈에는 눈, 핵에는 핵을’이라는 생각에서 각각 핵무기를 대량으로 보유하게 된다. 또한 대륙간탄도미사일과 공통 기술을 가진 로켓이나 U-2와 같은 고고도 비행 정찰기, 우주에서 적을 감시하기 위한 인공위성 개발에 몰두하고, 국위 선양을 위해 유인 우주 비행과 달 탐사 활동을 활발하게 했다.

그러나 소련과 미국의 직접적인 충돌은, 아이러니하게도 핵 위협에 의한 억제로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1962년의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소 양국의 전면 핵전쟁 위기가 현실화되었기 때문에, 이듬해부터 긴장 완화 외교 활동이 시작되었다.

한편, 제3세계 국가들에서는 각 진영의 지원 하에 실제 전투가 벌어졌다. 이것은 두 강대국의 뜨거운 전쟁을 대신하는 '''대리 전쟁'''이라고 불렸다. 또한 쿠바 미사일 위기를 계기로 “미국의 안마당”이라고 불리는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얻으려 했던 소련의 움직임에 대해, 미국은 브라질, 볼리비아, 우루과이 등 각국의 친미 군사 독재 정권을 지원하고 공산 세력을 배제했으며, 그 결과 공산 세력 배제에 성공했다. 그러나 그 이후 냉전 종식까지 오랜 기간 동안 이들 중남미 국가에서는 군사 정권에 의한 내전과 부패, 군사 세력 간의 쿠데타가 횡행하고, 민중은 빈곤에 시달리게 된다.

6. 1. 흐루쇼프와 아이젠하워, 그리고 탈스탈린화

1953년, 미소 양측의 지도자가 바뀌면서 냉전의 양상도 바뀌었다.[252]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는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냉전 대립을 이어갔지만 국방 예산을 1/3로 삭감했다.[150] 소련에서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죽고, 니키타 흐루쇼프라브렌티 베리야를 처형하고 권력을 장악했다.[253] 흐루쇼프는 1956년 2월 25일, 제20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스탈린의 범죄를 비판하며 탈스탈린화 운동을 추진했다.[150]

흐루쇼프는 1956년 11월 18일, 모스크바의 폴란드 대사관에서 열린 환영회에서 "당신네들이 좋아하건 그렇지 않건, 역사는 우리의 편이다. 우리들은 당신을 파묻어버릴 것이다."라는 발언[254]을 했으나, 이는 핵 전쟁이 아닌 공산주의의 최종 승리를 의미한다고 해명하였다.[255] 그는 1961년에 소련이 10년 내에 주택 부족을 해결하고, 20년 내에 "절정에 이르러" 자본주의 주요국들을 앞설 것이라고 주장했다.[256]

아이젠하워 정부의 국무 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는 봉쇄 전략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대규모 보복 독트린을 선언했다.[150] 미국은 핵 우위를 바탕으로 1956년 수에즈 위기 중 소련의 중동 간섭 위협을 제압할 수 있었다.[150]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면서 냉전이 완화될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같은 해 한국 전쟁 휴전이 합의되었고, 1955년에는 NATO에 대항하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결성되었다. 오스트리아는 영구 중립을 선언하여 동서의 완충 지대가 되었고, 연합군이 철수했다. 또한 제네바에서 미·소·영·불 정상이 회담을 가졌고, 소련과 서독이 국교를 수립했으며, 소련은 이듬해 일본과도 국교를 회복했다. 1959년에는 흐루쇼프가 미국을 방문했다.

바르샤바 조약기구 국가 지도.


1959년 유럽의 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 병력


왼쪽부터: 소련 국가 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소련 제1서기 니키타 흐루쇼프, 그리고 핀란드 대통령 우르호 케코넨 (1960년 모스크바)


이 시기 동구권에서는 소련의 패권이 흔들리고 있었다. 흐루쇼프는 1956년 제20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스탈린 비판을 가했다. 이 연설의 반향은 컸고, 소련의 위성국들에게 큰 충격을 주어 동유럽 각지에서 반소 폭동이 일어났다. 폴란드에서는 반소 폭동 이후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가 당 제1서기가 되었다. 폴란드의 움직임에 자극받은 헝가리에서도 정권 교체가 일어나 나지 임레가 정계에 복귀했으나, 국민의 개혁 요구에 휩쓸려 공산당 체제 포기, 바르샤바 조약 기구 탈퇴, 중립화를 선언하게 되면서 소련군의 개입을 초래했다(헝가리 혁명).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은 스탈린 비판에 반발했다. 1960년대에는 카리브 해 위기와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둘러싸고 대립이 잦았고, 다만스키 섬 사건 등의 국경 분쟁까지 발생했다.

6. 2. 바르샤바 조약과 헝가리 혁명

1953년에 스탈린이 사망하면서 긴장이 약간 완화되었으나, 유럽 상황은 여전히 불안한 정전 상태였다.[257] 1949년에 이미 동유럽에 상호 원조 조약망을 구축한 소련은[258] 1955년에 바르샤바 조약을 맺어 NATO에 대항하는 소비에트 세력의 공식 동맹을 구축했다.[150]

공산주의 문장이 잘린 헝가리 국기(1949~1956)는 반소 혁명의 상징이었다.


흐루쇼프가 개입하여 헝가리의 스탈린주의자 지도자 마티아스 라코시를 축출하자,[16]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일어났다.[259] 대중 봉기에[260] 새 정권은 비밀경찰을 공식적으로 해산하였고,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할 뜻이 있음을 발표하였으며, 자유 선거 복원을 약속하였다. 그러자 소련의 붉은 군대가 헝가리를 침공하였다.[261] 헝가리 사람 수천 명이 체포되거나 투옥되고 소련으로 강제 이송되었으며,[262] 약 200,000여 명의 헝가리 사람들이 혼란 중에 나라를 등졌다.[263] 헝가리 지도자 임레 너지 등이 비밀 재판에서 처형되었다.[264]

1957년부터 1961년까지 흐루쇼프는 공개적으로 계속 핵 무기로 서방을 위협하였다. 그는 소련의 미사일 능력이 미국보다 우세하며, 미국과 유럽의 어떤 도시라도 없애버릴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흐루쇼프는 스탈린처럼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새로운 목적은 "평화 공존"이라고 선언하였다.[265] 스탈린 시대의 소련의 태도는 국제적인 계급 투쟁이란 서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필연적으로 충돌하여 공산주의가 세계 전쟁을 통해 승리하리라는 것이었으나, 흐루쇼프의 언설은 변화를 보여 이제 평화 상태에서 자본주의는 스스로 무너질 것이며,[266] 그 동안 소련은 군사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267]

미국의 입장은 해외에서 미국의 세력을 유지하고 자유 민주주의가 성공하는 데 집중하였다.[269]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1961년 케네디가 말한 두 체제의 "사상 싸움"은 끝나다시피 하였으며, 이후의 긴장 상태는 이념이 아닌 주로 지정학적 목적 때문에 일어났다.[270]

헝가리에서 발생한 사건은 특히 서유럽의 세계 공산당 내에서 이념적 균열을 초래하여, 서방과 사회주의 국가 모두에서 많은 사람들이 소련의 잔혹한 대응에 환멸을 느끼면서 회원 수가 크게 감소했다. 서방의 공산당은 헝가리 혁명이 회원 수에 미친 영향으로부터 결코 회복되지 못했는데, 이는 유고슬라비아 정치인 밀로반 딜라스와 같은 일부 사람들이 혁명이 진압된 직후 "헝가리 혁명이 공산주의에 입힌 상처는 결코 완전히 치유될 수 없다"고 말한 사실에서 즉각적으로 인식되었다.

6. 3. 베를린 최후 통첩과 유럽 통합

1958년 11월, 니키타 흐루쇼프는 베를린 전체를 독립적인 비무장 "자유 도시"로 만들고자 미국, 영국, 프랑스에 6개월간 서베를린 주둔군 철수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으나 실패했다.[271] 흐루쇼프는 이전에 마오쩌둥에게 "베를린은 서방의 불알이다. 서방을 소리지르게 하고 싶을 때면 나는 베를린을 쥐어짠다."고 말한 바 있다.[271] 12월 중순,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는 소련의 최후통첩을 공식적으로 거부했고, 흐루쇼프는 독일 문제에 관한 제네바 회담에서 이를 철회했다.[272]

1950년대 유럽 통합은 냉전의 산물로서, 미국이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조장했지만, 이후 미국은 독립된 통일 유럽이 소련과 단독으로 화친할 것을 우려하기도 했다.[273]

1949년 이후 분단 상황이 기정사실화되던 독일 문제가 잠정적인 형태나마 해결을 본 것은 1958년부터 시작된 베를린 위기였다. 당시 동독의 사회주의화 정책으로 숙련 노동자와 지식인 계층의 반발이 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서베를린을 통해 서독으로 탈출하였다. 사회주의 건설의 핵심 계층 유출에 위기감을 느낀 발터 울브리히트는 흐루쇼프에게 독일 문제 해결을 호소했고, 서방과의 협상 결렬 시 인구 유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흐루쇼프의 요구에 서방 진영은 거부 입장을 고수했고, 1961년 8월 서베를린을 둘러싸는 형태로 철조망이 설치되어, 후에 베를린 장벽으로 발전하였다. 당시 베를린 시장이었던 빌리 브란트는 1969년 총리로서 동방 정책을 추진했다. 그의 동방 정책 배경에는 베를린 위기 경험이 반영되어 있었다.

6. 4. 전 세계에 걸친 분쟁

과테말라, 이란, 필리핀, 인도차이나 등 몇몇 지역의 민족주의 운동 세력은 종종 공산주의자 집단과 동맹을 맺기도 하였으며,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서방 입장에서는 공산주의자들과 연합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였다.[150] 이런 가운데 미국과 소련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탈식민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던 제3세계에서 점차 이들을 내세워 서로 다투었다.[274] 또 소련은 과거 제국주의 열강이 계속 영토를 잃자 이를 두고 공산주의가 결국 이기게 될 전조라고 여겼다.[275]

미국 정부는 자국을 적대하는 여러 제3세계 정부를 제거하고 동맹국을 지원하기 위해 중앙정보국(CIA)을 이용하였다.[150] 미국은 중앙정보국을 통해 친(親)소련파로 의심받는 정부를 전복하였는데, 이란에서 최초로 민주 선거로 들어선 모하마드 모사데그 총리의 이란 정부(1953년 이란 쿠데타)나 과테말라의 민선 대통령 하코보 아르벤스(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가 그 예이다.[243] 1954년에서 1961년까지 미국은 친(親)서방 정권인 남베트남의 몰락을 막기 위하여 경제 원조와 군사 고문을 제공하였다.[150]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신생국들은 이러한 동서 경쟁에서 어느 한쪽 편에 서기를 거부하였다. 1955년, 인도네시아의 반둥 회담에서 제3세계 수십 개국 정부가 냉전 대립에서 벗어나기로 결의하였다.[276] 이 합의는 반둥에서 1961년 비동맹 운동 창설로 정점에 이르렀다.[150] 그러는 사이 흐루쇼프는 인도와 여타 중요한 중립국과 관계를 넓혔다. 제3세계의 독립 운동 덕분에 전후 질서는 아프리카와 중동,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더욱 다원적인 세계로 바뀌었다.[150]

6. 5. 중공-소련 분쟁, 우주 경쟁, 대륙간 탄도미사일

1956년 이후, 중국-소련 분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동맹이 사실상 깨졌다.[277] 마오쩌둥은 흐루쇼프를 비판하고, 중소 동맹 복원 제안을 거부했다.[277]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은 공산 세력 내에서 선전 대립을 벌이고,[278]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주도권을 놓고 갈등했으며,[279] 1969년에는 군사 충돌을 빚었다.[280]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dab2d996_02baf0de.svg|thumb|left|upright=1.35|1980년 중소 분쟁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들의 관계:

]]

한편, 미국과 소련은 핵 무기로 대립하면서 핵 재무장을 추구하고 상대 영토를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무기를 개발하였다.[150] 1957년 8월, 소련은 세계 최초로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는데 성공하였으며,[281] 10월에는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호를 발사하였다.[282] 스푸트니크 쇼크를 일으킨 스푸트니크 호 발사로 미소 양국의 우주 경쟁이 시작되었다.

시계 방향으로 왼쪽 상단부터: 스푸트니크 1호, 아폴로 11호 달 착륙, 우주 정거장 미르


우주 경쟁은 아폴로 호의 달 착륙에서 정점에 이르렀는데, 나중에 우주 비행사 프랭크 보먼은 우월한 우주비행 로켓이 곧 우월한 대륙간 탄도미사일이라며 이를 "냉전 중에 벌어진 한 전투"라고 썼다.[283]

6. 6. 1961년 베를린 위기

1961년 베를린 위기는 냉전 중 전후 독일과 베를린의 지위를 놓고 벌인 마지막 대사건이었다.[284] 1950년대 초, 소련의 이주 제한 정책은 동구권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었다.[284] 그러나 동독 사람들은 동서 베를린 사이에 있던 "작은 구멍"(loophole)을 통하여 서독으로 이주하였다.[285]

이는 동독의 교육받은 젊은 전문인들이 서독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두뇌 유출"을 야기했고, 1961년까지 동독 인구의 약 20%가 서독으로 이주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86] 1961년 6월, 소련은 서방 연합군이 서베를린에서 철수하라는 새로운 최후 통첩을 보냈다.[287] 이 요구는 거부되었고,[288] 미국은 서베를린에 대한 안보 보장을 제한했다. 8월, 동독은 베를린 장벽 건설로 확대된 가시 철사 벽을 세워 "작은 구멍"을 막았다.[288]

1961년 베를린 위기 당시 체크포인트 찰리에서 대치하고 있는 소련과 미국 전차


1949년 이후 분단 상황이 기정사실화되던 독일 문제가 잠정적인 형태로나마 해결을 본 것은 1958년부터 시작된 베를린 위기였다. 당시 동독의 가혹한 사회주의화 정책으로 숙련 노동자와 지식인 계층의 반발이 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서베를린을 경유하여 서독으로 탈출하였다. 사회주의 건설의 핵심 계층 유출에 위기감을 느낀 발터 울브리히트는 독일 문제 해결을 흐루쇼프에게 호소하는 한편, 서방과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인구 유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선택지로 제시했다. 흐루쇼프의 요구에 서방 진영은 거부 입장을 고수했고, 1961년 8월 서베를린을 둘러싸는 형태로 철조망이 설치되어, 후에 장벽으로 발전하였다. 당시 베를린 시장이었던 빌리 브란트는 1969년 총리로서 동방 정책을 추진했으며, 그의 동방 정책 배경에는 베를린 위기 경험이 반영되어 있었다.

6. 7. 쿠바 미사일 위기와 흐루쇼프 실각

소련은 1959년 쿠바 혁명 이후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쿠바와 동맹을 맺었다.[289] 체 게바라 (왼쪽)와 피델 카스트로 (오른쪽)는 쿠바 혁명을 이끌었고, 특히 체 게바라는 중앙은행 총재를 거쳐 산업부 장관을 역임했다. 쿠바는 1960년 3월 동구권으로부터 무기 구매 협상을 시작했고,[30] 미국은 쿠바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피그스 만 침공을 감행했으나 실패했다.

1962년 11월 1일 미국의 정찰기가 촬영한 쿠바의 소련 미사일 기지 항공 사진


1962년, 미국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의 핵 미사일 설치에 해상봉쇄로 대응하여 쿠바 미사일 위기가 발생했고, 세계는 핵전쟁 위협에 직면했다.[290] 이 사건은 핵 무기 보유국 어느 쪽도 섣불리 핵 무기를 썼다가 보복 공격을 당해 양쪽 모두 완전히 파괴되는 사태를 우려하여 핵 무기를 쓸 수 없다는 상호 확실 파괴의 개념을 드러내었다.[291] 카리브 해 위기(1962년 10월~11월)는 세계를 그 어느 때보다 핵전쟁에 가까이 몰고 갔다.[290][291][150]

쿠바 미사일 위기 직후 핵 군비 경쟁에서 핵 군축과 관계 개선을 처음으로 도모하게 되었다.[150] 1964년, 흐루쇼프의 크렘린 동료들은 그를 축출하는 데 성공했지만, 평화로운 은퇴를 허락했다.[293] 그는 무례함과 무능함으로 비난받았고, 소련 농업을 망치고 세계를 핵전쟁 직전까지 몰아넣었으며, 베를린 장벽 건설을 승인하면서 "국제적인 망신"을 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93]

6. 8. 1961년 2월 3일

냉전이 한창이던 1961년 2월 3일, 미국 공군의 전략 공군 사령부는 전면 핵공격을 대비한 지휘통제부의 공중대기 초계비행, 즉 "Operation Looking Glass" 작전을 실시했다. 이 작전은 핵공격 시의 지휘통제를 위해 KC-135 공중급유기를 개조한 EC-135 지휘통제기를 항시 1기 이상 투입했다. 각 기체에는 장관급 장교와 참모들이 동승하여, 적의 핵공격으로 미군의 지상 핵무기 통제시설이 파괴되어 전략공군사령관과의 연락이 두절되어도 핵무기 운용부대에 대한 지휘통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Looking Glass는 전략 공군 사령부 측 기체에 대한 코드명이었고, 이와 연동되는 타 사령부 소속 지휘통제기들은 다음과 같은 코드명을 가졌다.

사령부코드명
유럽사령부Silk Purse
대서양사령부Scope Light
태평양사령부Blue Eagle
대통령 및 국방부Nightwatch



Looking Glass 항공초계는 1980년 3월 4일 기상 문제로 단 한 차례 작전 투입이 중지된 것을 제외하고는 1990년 7월 24일까지 24시간 공중대기가 이어졌다. 이후 전략 공군 사령부가 통합군인 전략사령부로 개편된 후, 미 해군 E-6 통신중계기에 의한 TACAMO (Take Charge & Move Out) 임무로 계승되었다.

7. 데탕트 시대의 대립 (1962~1979)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각국은 기존의 두 세력으로 양분된 냉전 대립 구도에서 변화하여 더욱 복잡해진 새 국제 질서에 적응해야 하였다.[150] 전후 초부터 서유럽일본 경제는 급속히 회복하였으며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일인당 국내총생산이 미국 수준에 근접하게 되었으나, 그러는 사이 동유럽권의 경제는 정체를 면치 못하였다.[216][294]

1973년 석유 파동이 일어나고 석유 수출국 기구(OPEC)이나 비동맹 운동과 같은 제3세계 연대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국력이 열세인 나라들이 자신의 독립을 주장할 여지가 커졌으며 두 초강대국의 압력에 저항을 보이기도 하였다.[244] 이 시기 알렉세이 코시긴이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같은 소련 지도자들은 데탕트의 개념을 받아들였다.[150]

1967년 글래스보로 정상회담에서 소련의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과 미국의 린든 B. 존슨 대통령


1969년 미국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였다. 이 사건은 우주 경쟁의 상징적인 이정표였다.


1970년대 초 미국 해군 F-4 팬텀 III기가 소련의 투폴레프 Tu-95기를 요격하고 있다.


1973년 유럽의 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사력


쿠바 미사일 위기를 통해 핵전쟁 직전 상황을 경험한 미국과 소련은 핵전쟁 회피라는 공통 이익을 발견했다. 그 결과, 미국, 영국, 소련 3국 간에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 핫라인 협정 등이 체결되었다. 그러나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은 중국과 프랑스의 반대로 동서 양측이 하나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샤를 드골이 통치하는 프랑스는 미국 주도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반대했고, 1964년에는 마찬가지로 미국과 소련과 거리를 두던 중국을 (영국령 홍콩을 가진 영국을 제외하고) 서방 국가 중 가장 빨리 국가 승인했다. 또한, 1967년 드골은 캐나다 방문 중 열린 몬트리올 세계 박람회에서 “자유 케베크 만세!”라고 연설하여 현재까지도 이어지는 케베크 독립 운동에 불을 지폈다.

미국과 소련의 군비 경쟁이 진행되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한 반전 운동, 흑인의 시민권 운동과 이에 대항하는 인종차별주의자들의 대립 등으로 국내는 혼란에 빠졌고, 마틴 루터 킹 목사와 로버트 F. 케네디 등 주요 인사들의 암살이 잇따르면서 사회 불안에 휩싸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미국을 제외한 주요 참전국들은 전쟁으로 인해 심각하게 피폐해져 있었기 때문에 세계 경제 규모에 대한 미국의 경제 규모 비율은 압도적으로 컸다. 하지만 전쟁으로부터 재건된 일본서독이 전례 없는 경제 성장을 이룩하고 서유럽이 경제적으로 부흥하면서 세계 경제 규모에 대한 미국의 경제 규모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체코슬로바키아프라하의 봄이라고 불리는 민주화, 개혁 노선을 취했지만, 소련은 제한 주권론에 근거하여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의 군사 개입으로 이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이끄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이었으면서도 소련의 개입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독자 노선을 걸었으며, 미국 등 서방 국가들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 또한, 알바니아는 스탈린 비판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편에 서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탈퇴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리처드 닉슨의 방중을 계기로 미국에 가까워지면서 소련과 결별했으며, 북한은 주체사상을 내걸고 소련으로부터 이탈했다.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등 서방 국가들의 공산당 중 일부는 소련식 사회주의에 반발하여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났다(유로 공산주의). 이렇게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공산주의의 다극화가 발생했다.

주요 사건
1960년대 후반부터 긴장 완화, 소위 데탕트 시대에 돌입했다. 미국과 소련은 전략무기제한협상(SALT)을 시작하여 1972년 협정으로 핵무기의 양적 감축이 이루어졌고, 세계는 긴장 완화를 체감할 수 있었다.

이 무렵, 같은 공산 진영이면서도 소련과 중국의 노선 대립은 모든 면에서 갈등을 빚기 시작했고, 중소 국경 분쟁 등 무력 충돌까지 발생하게 되었다.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중소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띠었다.

이러한 중소의 대립을 본 미국은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리처드 닉슨파키스탄루마니아 등의 중재를 통해 1972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고 외교 및 무역을 시작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의 냉전 대립축이었던 미중 관계가 개선되었고, 1972년에는 일본도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 정상화를 이루었다.

또한, 1973년에 북베트남과 미국은 평화 협정에 조인하고, 미군은 베트남에서 철수했다. 미국은 건국 이래 처음으로 굴욕적인 패배를 맛보게 되었다. 이후 1975년 4월 남베트남의 수도인 사이공은 북베트남의 손에 넘어갔고, 동시에 라오스, 캄보디아에서도 공산주의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인도차이나 반도는 완전히 적화되었다.

일반 시민의 일상생활과 직업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개발·공급되었고, 세계의 경제, 재정, 무역, 투자, 통화 발행이 현저하게 확대되었기 때문에, 금본위제와 외국환의 고정 환율제 유지가 불가능해지면서, 관리 통화 제도와 변동 환율제로 이행하였다.

유럽에서는, 1969년에 출범한 서독의 브란트 정권이 동방 정책을 추진하여 동구권과의 관계 개선에 나섰다. 또한 1972년에 소련이 오래전부터 제안해 온 유럽 전체의 안보를 협의하는 "헬싱키 프로세스"가 시작되어 1975년유럽 안보 협력 기구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핵을 감축하는 한편, 소련은 1977년부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배치했다. 이에 대항하여 미국은 1979년 12월 중거리 핵전력(INF)을 서유럽에 배치한다고 발표했다. 또 같은 달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 침공했기 때문에 동서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데탕트 시대는 막을 내렸다.

중동에서는 제4차 중동 전쟁이 발생하여 주로 소련의 지원을 받는 아랍 국가들이 정치적 성과를 거두었고, 석유 파동으로 서방 선진국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4차례에 걸친 중동 전쟁을 주도해 온 이집트는 전쟁 전에 소련의 군사 고문단을 추방했고[113], 전쟁 후에는 소련과 관계를 단절하고 소련과 대립하는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군사적·경제적 지원을 받기 시작했으며,[114][115][116][117] 미국의 주도로 캠프 데이비드 합의가 성립되었다. 더욱이 미국은 서방에 대한 석유 금수 조치를 주도한 사우디아라비아가 달러 결제로 원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과 맞바꾸어 안보를 제공하는 협정(워싱턴-리아드 비밀 협약)을 맺어 석유 달러를 확립함으로써 달러 방어에 성공했다.[118][119][120][121][122] 단순한 미소 대립이 반영되어 왔던 중동에서도 새로운 냉전 구도가 형성되고 있었다.

아프리카에서는 1978년부터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 사이에 오가덴 전쟁이 발생했는데, 에티오피아가 1974년 군사 쿠데타로 사회주의를 선포했기 때문에 소련과 쿠바가 에티오피아를, 미국과 중국, 루마니아, 이집트 등이 소말리아를 지원했다. 앙골라1975년 독립 직후부터 3개의 무장 세력이 대립하여 내전이 발생했고, 여기에 남아프리카와 자이르 그리고 쿠바가 개입하여 소련, 중국, 미국이 간접적으로 지원하면서 혼란이 장기화되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공산주의 국가 간의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이 발생하여 소련 편인 베트남의 침공으로 친중의 민주 캄푸치아가 붕괴되었지만, 민주 캄푸치아의 망명 정부는 중국, ASEAN, 일본, 미국의 지원으로 유엔 총회 의석을 유지했고, 태국과의 국경에서 친베트남의 헨 삼린 정권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벌여 캄보디아 내전이 장기화되었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칠레에서 민주적인 사회주의 정권인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을 전복시킨 칠레 쿠데타로 수립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이 중국과 루마니아를 제외한 공산권과 단교했고, 친미 군사 정권의 남미 여러 국가들은 공산주의 세력 배제를 위해 연대하는 콘도르 작전을 개시했다.

소련은 1970년대에 세계적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통일 베트남, 캄보디아(친베트남 정권), 라오스, 에티오피아, 남예멘의 공산주의 정부와 협력 관계를 맺었고, 앙골라, 모잠비크, 니카라과 등에서 공산주의 세력을 지원하여 분쟁에 개입했으며, 시리아와 이라크 등 미국이 접근하기 어려운 국가에 접근하여 우호 관계를 맺었다. 소련의 영향력은 1980년대에 걸쳐 제3세계로 확대되었다.

7. 1. 미국의 도미니카 공화국 침공과 프랑스의 나토 탈퇴

미국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쿠바식 혁명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며 병력 22,000명을 보내어 도미니카 공화국을 침공하였다.[150]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은 소련의 침공 위험에 대한 자국 국방을 주로 미국의 군사력에 의존하였으나, 프랑스 샤를 드 골은 1966년에 북대서양 조약기구에서 탈퇴하고, 북대서양 조약군을 자국 영내 밖으로 내보내었다.[295]

7. 2.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프라하의 봄이라는 자유화 시기를 맞아 알렉산데르 둡체크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자유화 "행동 계획"이 나타났다.[296][297] 이 계획에는 출판, 언론,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고, 경제면에서는 소비재 생산에 중점을 두며, 다당제를 인정하고, 비밀 경찰의 권력을 억제하며 장래에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할 수도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298]

소련의 붉은 군대는 바르샤바 조약의 동맹군 대부분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였다.[299] 이 침공으로 대규모 이주가 발생하였으며, 처음에는 70,000여 명의 체코인이 탈출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나 나중에는 그 수가 300,000여 명에 이르렀다.[300][44]
1968년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대륙에서 벌어진 가장 큰 군사 작전 중 하나였다.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중화인민공화국과 서유럽 공산당들의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301][43]

7. 3. 브레즈네프 독트린

1968년 9월,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한 달 뒤에 열린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5차 회의에서 브레즈네프 독트린이 발표되었다. 브레즈네프는 이 독트린을 통해 민주주의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려는 나라에 대해서는 주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98] 브레즈네프는 연설에서 "공산주의에 적대적인 세력이 일부 공산주의 국가를 민주주의로 이끌어 들인다면, 이는 해당국의 문제 뿐만이 아닌 전체 공산주의 국가들의 문제가 된다."라고 말했다.[298]

동독, 헝가리, 폴란드 등에서는 서독 등 중앙유럽의 경제적 번영과 대비되며 생활 수준이 낮았고, 이러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실패에서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302]

7. 4. 제3세계 문제

미국은 아시아의 우호적인 제3세계 정권을 지원하는 데 계속 돈을 많이 들였다.[303] 특히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을 물리치기 위해 575,000여 명의 병력을 보냈지만, 1975년에 패배했다.[150]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절, 미군의 베트남 주둔 병력은 군사원조자문단 프로그램에 따라 1959년 1,000명 미만에서 1963년 16,000명으로 증가했다.[32][33] 1964년, 톤킨만 사건 이후 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미군 병력 증강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하여 최초로 지상 전투 부대를 배치하고 병력을 18만 4천 명으로 증가시켰다.[150]

1965년 11월, 남베트남 이아드랑 전투 당시 미군 작전


남아메리카 독재자들이 좌익 반대파를 억압하기 위해 벌인 콘도르 작전은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304] 미국은 소련이나 쿠바가 좌익 운동 세력을 지원한다고 의심했다.[304] 소련의 경제 침체는 막대한 군사비 지출 탓이기도 하였다.[150]

중동은 여전히 분쟁의 온상이었고, 소련은 6일 전쟁과 1967~1970년의 국지전에서 미국의 동맹국인 이스라엘에 대항하여 이집트를 지원했다.[305]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도 간접적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306]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소련의 개입 소문으로 미국은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데탕트는 위기를 맞았다.[307]

7. 5. 미·중 관계의 개선

중소 국경 분쟁으로 1969년 공산권은 중국이 주도하는 친중파와 소련이 주도하는 친소파로 분열되었으며, 미국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둘의 분쟁을 이용하여 힘의 균형을 서방쪽으로 움직이고자 하였다.[309] 중국중앙유럽소련의 주도로 공산권에서 철저히 고립 받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미국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1979년 미•중 양국은 미중 수교로 이러한 이해관계를 충족 시켰다.[309]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 베이징 수도국제공항에서 중국 총리 저우언라이와 악수하고 있다.


중소 분쟁의 결과로 중국-소련 국경을 따라 긴장이 고조되어 1969년 중소 국경 분쟁이 정점에 달했다.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은 이 분쟁을 이용하여 1972년 중국 방문으로 시작하여 1979년 미중 수교 공동 성명에 지미 카터 대통령과 중국 공산당 지도자 덩샤오핑이 서명함으로써 정점에 달한 중국과의 협력 정책을 통해 냉전에서 서방 세력으로의 권력 균형 이동을 도모하기로 결정했다.[45]

7. 6. 닉슨과 브레즈네프 그리고 데탕트

1972년 닉슨은 베이징 방문에 이어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브레즈네프를 비롯한 소련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졌다.[310] 이 회담에서 전략 무기 제한 협상을 통해 두 가지 중요한 무기 제한 조약이 체결되었다. 첫 번째는 초강대국 두 정상이 체결한 최초의 포괄적인 군축 조약인 제1단계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I)이었고,[311] 두 번째는 요격 미사일 개발을 금지한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협정이었다.[150] 이러한 협정들은 값비싼 탄도탄 요격 미사일과 핵 미사일 개발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150]

닉슨과 브레즈네프는 "평화적 공존"의 새로운 시대와 양국의 ''데탕트''(détente, 협력) 정책을 선언하였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양측은 무역 증대 협정을 맺는 등 경제 관계를 강화하는 데 합의하였다.[150] 이러한 회담을 통해 데탕트는 냉전 세력 간의 적대 관계를 대체하고, 두 나라는 서로 공생하게 될 것이었다.[310]

한편, 서독의 빌리 브란트 총리는 동방 정책을 추진하였다.[301] 또한 유럽의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1975년 유럽 안보 협력 기구 회담에서 헬싱키 협정이 체결되었다.[312]

7. 7. 1970년대 말의 관계 악화

1970년대에 유리 안드로포프가 이끄는 국가보안 위원회(KGB)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나 안드레이 사하로프 등 소련 지도층을 신랄하게 비판한 소련의 명사를 계속 박해하였다.[313] 또 데탕트 시기에도 중동, 칠레, 에티오피아, 앙골라 등 제3세계에서도 미국과 소련간의 간접적인 분쟁이 계속되었다.[314]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은 1979년에 제2단계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II)에서 군비 경쟁을 더욱 제한하고자 노력하였으나,[315] 그 해 이란 혁명니카라과 혁명으로 두 나라의 친미 정권이 무너지고, 12월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자 이에 미국이 보복하면서 이러한 노력은 빛을 잃었다.[150] 미국은 오랫동안 소련과의 무역을 소련의 인권 정책과 연계해 왔으며, 특히 1980년대 초 이후로는 더욱 그러했다. 1974년 무역법에 첨부된 잭슨-바닉 수정안은 소련에 대한 최혜국 대우 부여를 박해받는 소련 유대인의 이민 권리와 연계하여, 소련이 유대인 거부자들의 이민 권리를 거부했기 때문에 대통령이 소련에 최혜국 대우 무역 지위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었다.

8. 신냉전 (1979~1985)

1975년의 냉전 관계 지도


'''신냉전'''은 일부 역사가들이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 사이 냉전 대립이 다시 극심해진 시기를 이르는 말로 쓴다. 양자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군사 개입도 커졌다.[150]

1981년, 유럽에 배치되는 퍼싱 II 미사일 반대 시위(암스테르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은 냉전 긴장과 갈등이 격렬하게 재연된 시기를 보여준다. 양측 모두 더욱 호전적으로 변하면서 주요 강대국 간의 긴장은 크게 고조되었다. 존 패트릭 디긴스는 "레이건은 제3세계의 반란을 지원함으로써 제2차 냉전을 치르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고 말한다. 마이클 콕스는 "'제2차' 냉전의 강도는 지속 기간이 짧았던 것만큼이나 컸다"고 말한다.

1978년 수립된 공산주의 정권을 지원하기 위해 1979년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 침공했다. 이로 인해 서방 여론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동서 긴장이 다시 고조되었고, 그 영향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 대한 서방을 비롯한 중국, 그리고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등 친미 아랍·이슬람 국가들의 보이콧으로 나타났다. 동구권은 보복으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보이콧했다. 미국은 CIA와 찰스 윌슨 등을 통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비밀 무기 공급 등을 지원하여 아프가니스탄의 반공 무슬림 무장 세력인 「무자헤딘」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등과 함께 지원했다.[123] 또한, 소련과 대립하는 중국도 무기와 훈련으로 무자헤딘을 지원했다.[124] 소련의 단기간 전쟁 종결 계획은 실패했고, 침공 장기화로 소련 재정은 압박을 받았으며, 미국은 간접적으로 소련을 약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사람들은 이 아프가니스탄 소란을 통해 동서 진영 외에 또 다른 세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것은 이슬람주의라 불리는 세력이었고, 두 이데올로기 대립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국은 소련을 무너뜨리기 위해 이 세력을 지원했지만, 1979년 이란 혁명 당시에는 국제법을 무시하고 미국 대사관이 1년 넘게 점거되었다. 미국은 대사관원 구출을 위해 군대를 개입시켰지만 실패하여 미군의 무능력을 드러냈다(이글클로 작전). 이슬람교를 창시한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사이이드)이자 이란의 최고 지도자가 된 루홀라 호메이니는 "소련은 작은 악마, 미국은 큰 악마다. 우리는 서방도 동방도 아니다"라고 하며 이슬람주의 시대를 선언했다.[125]

이란 혁명으로 아랍 국가들과 동서 국가들은 동요했고,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했다. 서구, 소련, 중국은 이슬람 혁명이 세계로 확산되고 추가적인 석유 위기를 우려하여 이라크를 지원하여 중동 최대의 군사 강국으로 만들었다. 전쟁은 장기화되었고, 1987년에는 미군이 개입했지만 결착을 보지 못하고 끝났다. 그러나 당시 미국의 중동 정책은 이후 21세기 세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소련은 국내 정세 변화로 1989년 궁지에 몰린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히 철수했고, 세계에서 소련의 영향력이 급속히 약해지고 있었다.

주요 사건

  • 이란 혁명 (1979년)
  • 이란-이라크 전쟁 (1980년-1988년)
  • 위스키 온 더 록 (1981년)
  • 포클랜드 전쟁 (1982년)
  • 로널드 레이건의 "악의 제국 발언"과 전략방위구상 (1983년)

8. 1.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년 12월, 소련은 공산주의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316] 이 공산주의 정권은 그해 12월에 당내 정적에 암살당한 전 수상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가 세운 것이었다.[316] 소련의 침공에 대해 지미 카터미국 상원에서 제2단계 전략무기 제한협정안을 철회하고, 소련에 대한 곡물 및 기술 수출을 금지했으며, 군비 지출 인상을 요구하고, 1980년 하계 올림픽 불참을 발표했다.[317] 그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개입을 "2차 세계대전 이래 평화에 대한 가장 심각한 위협"이라고 말했다.[317]

1978년 4월, 사우르 혁명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이 아프가니스탄에서 권력을 장악했다. 몇 달 만에 공산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이 봉기를 일으켰고, 이는 무자헤딘이 전국적으로 벌인 내전으로 확대되었다.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 이슬람 연합 반군은 파키스탄중국으로부터 군사 훈련과 무기를 지원받았다. 소련은 PDPA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군사 고문을 파견했다. 1979년 중반까지 미국은 무자헤딘을 지원하는 비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1979년 9월,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는 하피줄라 아민이 주도한 쿠데타로 암살당했고, 아민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소련은 1979년 12월 폭풍-333 작전에서 특수부대를 통해 아민을 암살했다.[53] 작전 이후, 소련군에 항복한 총 1,700명의 아프간 군인들이 포로로 잡혔다.[54] 그리고 소련은 바브락 카르말을 아민의 후계자로 임명했다.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을 소련의 통제하에 두기 위해 더 많은 수의 병력을 배치했고, 결국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내전에 직접 개입하게 되었다.

1979년 12월 26일 폭풍-333 작전 당시 소련의 침공


1983년 백악관에서 아프간 무자헤딘 지도자들과 만나는 레이건 대통령.


카터는 소련의 침공에 대응하여 SALT II 조약의 비준을 철회하고 소련에 대한 곡물 및 기술 수출을 금지하고 군비 증강을 요구했으며, 더 나아가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을 발표했고 65개국이 이에 동참했다.

미국은 CIA와 찰스 윌슨 등을 통해 비밀 무기 공급 등을 지원하여 아프가니스탄의 반공 무슬림 무장 세력인 「무자헤딘」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등과 함께 지원했다.[123] 또한, 소련과 대립하는 중국도 무기와 훈련으로 무자헤딘을 지원했다.[124]

8. 2. 레이건과 대처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로널드 레이건은 군비 지출 인상 및 소련과의 대결을 공약하며 지미 카터를 누르고 승리하였다.[318] 레이건과 새 영국 총리 마거릿 대처는 소련과 그 이념을 비난하였다. 레이건은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 불렀으며, 공산주의는 결국 "역사의 잿더미"로 남으리라 예언하였다.[319] 1977년 1월, 대통령이 되기 4년 전, 로널드 레이건은 리처드 V. 앨런과의 대화에서 "우리가 이기고 그들이 지는 것"이라며 냉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1982년, 레이건은 소련의 서유럽 가스관 건설 계획을 방해하여 소련 경제에 타격을 주려 했으나, 유럽 동맹국들의 불만을 야기하여 이 문제에서 물러섰다. 1985년 초, 레이건의 반공주의적 입장은 레이건 독트린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기존 공산 정권 전복 권리를 명시했다. CIA는 소련 중앙아시아 무슬림 지역에서 이슬람주의를 장려하고, 파키스탄 ISI가 전 세계 무슬림들을 훈련시켜 소련에 대한 지하드에 참여하도록 지원했다.

1984년 12월 캠프 데이비드에서 오찬 중인 레이건 대통령과 대처 수상


1980년 군사 동맹의 세계 지도

8. 3. 폴란드 연대 운동

폴란드 출신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79년 조국을 방문하여 반공주의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연대 운동을 중심으로 종교ㆍ민족 감정을 자극하여 반대 세력을 일으켰다. 일각에서는 소련이 요한 바오로 2세 암살 미수 사건의 배후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320]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는 1981년 12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위기에 대응했고, 레이건은 폴란드에 대한 경제 제재를 가했다.[321] 미하일 수슬로프는 폴란드가 연대 운동으로 무너지더라도, 소련 경제에 재앙이 될 강력한 경제 제재를 우려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소련 지도자들에게 조언하였다.[321]

8. 4. 소련과 미국의 군사·경제 문제

소련은 소비재와 민간 부문 투자에 소련 국내총생산의 약 25%를 지출하면서 군사력을 유지하였다.[322] 소련의 군비 경쟁과 다른 냉전 관련 지출은 브레즈네프 시대의 경제 침체의 원인이 되었다.[323] 소련의 국방 부문 투자는 군사적 필요성보다는 자신의 권력과 특권을 지키는데 급급한 거대한 당과 국가 조직에 좌우되었다.[323] 소비에트 연방 육군은 부대 수, 병력, 무기, 표면상의 군수 산업면에서 세계 최대 규모였다.[324]

1980년대 초, 소련은 미국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군대와 군수품 비축을 늘렸다.[325] 로널드 레이건은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미국 군대를 대규모로 증강하였다.[326] 1980년대 레이건은 B-1기 계획을 재개하고 LGM-118A 피스키퍼를 생산했으며[327] 미국의 순항 미사일을 유럽에 설치하고, 전략 방위 구상을 발표하면서 긴장 상태는 여전히 심해졌다.[328]

미국-소련이 서로 대립하고, 소련이 서유럽을 겨냥하여 RSD-10 파이어니어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자, 북대서양 조약기구는 MGM-31 퍼싱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을 유럽, 특히 서독에 배치하게 되었다.[329]

레이건의 군비 증강에 소련도 군비 증강으로 대응했는데,[331] 비효율적인 계획 경제와 집단 농업에다가 막대한 군비 지출은 소비에트 경제를 침체에 빠뜨렸다.[335] 1980년대 석유 과잉 현상으로 유가는 떨어지고 막대한 군비 지출은 점차 소련 경제를 침체에 빠뜨렸다.[335]

1983년 9월 1일 소련은 대한항공 007편을 격추하였고, 레이건은 이를 "학살"로 표현하였다.[336] 1983년 11월 에이블 아처 83 연습은 소련의 지도자들이 핵 전쟁이 임박한 것으로 여겨 쿠바 미사일 위기 이래 가장 위험한 순간으로 회자되기도 하였다.[337]

해외 분쟁에 대한 미국의 국내 여론은 베트남 전쟁 종식을 요구하였다.[338] 레이건 정부는 해외 분쟁에 개입하면서 신속하고 비용이 저렴한 치안전 전술 이용한다고 강조하였다.[338] 1983년 레이건 행정부는 레바논 내전에 개입하고 그레나다를 침공하며 리비아를 폭격하고, 중앙 아메리카의 콘트라 반군을 지원하였다.[244]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소련의 베트남"으로 불리는 상황에 직면했고, 국내 문제와 위기가 동시에 발생했다.[340]

9. 냉전의 종식 (1985~1991)

1987년 미하일 고르바초프로널드 레이건이 백악관에서 중거리 핵전력 협정에 서명하고 있다.


=== 고르바초프의 개혁 ===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공산당 서기장에 오를 당시,[319] 1980년대 유가 하락으로 외화 수입이 감소하고 소련 경제는 침체 상태였다.[342]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페레스트로이카''(재편)라는 경제 개혁 의제를 발표하였다.[343] 페레스트로이카는 생산 할당제를 완화하여 기업의 사적 소유를 허용하고, 해외 투자의 물꼬를 텄다.[343]

이와 동시에 고르바초프는 ''글라스노스트''(개방)를 추진하여 출판의 자유와 국가 기관의 투명성을 높였다.[345] 글라스노스트로 그는 공산당 지도층의 부패를 줄이고, 중앙 위원회의 권력 남용을 조절하고자 하였다.[346] 또한 소련 시민이 서방 세계에 접촉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되어 양자 간의 데탕트 가속화에 기여하였다.[347]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과 일대일 회담을 하고 있다.


=== 군사 감축 ===

소련의 군사적, 정치적 양보로 레이건은 경제 현안과 군비 경쟁 축소에 관한 회담 재개에 동의했다.[348] 1985년 11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 회담이 열렸고,[348] 두 지도자는 양국의 핵 비축량을 50%로 줄이는 원칙에 합의했다.[349] 레이캬비크 정상회담에서 협상은 실패했으나, 1987년 중거리 핵전력 협정이 타결되어 사정거리가 500에서 5,500km에 이르는 지상 발사 탄도 및 순항 핵 미사일과 인프라를 제거하였다.[351] 1989년 모스크바 정상회담에서 고르바초프와 조지 H. W. 부시는 제1차 전략무기 감축협상을 체결하였다.[352]

1989년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했고,[354] 1990년에 고르바초프는 독일 통일에 동의했다.[356]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자 고르바초프의 "모두의 유럽" 개념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357] 1989년 12월 3일, 몰타 회담에서 고르바초프와 조지 H. W. 부시는 냉전의 종식을 선언했고,[358] 이듬해 두 지도자는 걸프 전쟁에서 서로 협력했다.[359]

=== 동유럽 혁명 ===

1989년 동구권의 동맹 체제는 붕괴 직전에 내몰렸고, 소련의 군사 지원을 받지 못한 바르샤바 조약 국가의 공산당 지도자들은 권력을 잃었다.[354] 소련 내부에서도 글라스노스트로 소비에트 공화국 간의 유대가 약화되었으며,[353] 1991년 12월 소련이 해체되면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은 국가 권력을 내놓아야 했다.[360]

글라스노스트에 따른 출판과 이의(dissent)의 자유가 주어지고, "국적 문제"가 불거지면서 연방내 공화국들은 자치를 요구했으며, 발트 3국은 소련에서 완전히 독립하고자 하였다.[361]

1989년 혁명의 파도로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와 같은 중앙유럽의 소련식 공산 국가들이 무너졌으며,[362] 루마니아의 경우 공산당 정부는 폭력을 통해 전복되었고, 국가 지도자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처형당하였다.[363]

베를린 장벽이 1989년 무너지고 난 후의 모습.


1989년 8월 헝가리-오스트리아 국경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이다.


1989년 8월 동독 지도자 에리히 호네커는 통제력을 잃었다.


1989년 8월 헝가리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은 동유럽 사회주의권 지배자들이 막을 수 없는 평화적인 운동을 시작했다. 이는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동독에서 가장 큰 규모의 난민 이동이었으며 궁극적으로 철의 장막의 붕괴를 가져왔다. 피크닉의 후원자인 오토 폰 합스부르크와 헝가리 국무장관 임레 포즈가이(Imre Pozsgay)는 이 계획된 행사를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반응을 시험할 기회로 보았다. 당시 카를 폰 합스부르크(Karl von Habsburg)가 이끌던 범유럽 연합의 오스트리아 지부는 헝가리에 있는 동독 휴양객들에게 쇼프론 근처 국경 부근 피크닉에 참여하도록 초청하는 수천 장의 브로슈어를 배포했다. 그러나 범유럽 피크닉에서 대규모 탈출이 일어나면서 동독 사회주의통일당의 이후 주저하는 태도와 소련의 불개입은 둑을 무너뜨렸다. 이제 수만 명의 언론에 정통한 동독인들이 더 이상 국경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국경수비대가 무력을 사용하도록 강요할 의사가 없는 헝가리로 향했다. 한편 이는 동유럽 국가들 사이에 불화를 야기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유럽 주민들에게 정부가 더 이상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명확해졌다.[70][71][72][73]

1989년 폴란드와 헝가리의 공산당 정부는 경쟁적인 선거를 조직하기 위한 협상을 처음으로 시작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에서는 대규모 시위로 기존의 공산당 지도자들이 실각했다.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공산 정권도 붕괴되었는데, 루마니아의 경우 루마니아 혁명과 같은 폭력적인 봉기의 결과였다.

변화의 거대한 물결은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로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유럽 공산주의 정부의 붕괴를 상징하고 유럽을 분열시켰던 철의 장막을 시각적으로 종식시켰다. 1989년 혁명동독,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를 평화적으로 전복시켰다.[362] 루마니아는 공산 정권을 폭력적으로 전복하고 국가 원수를 처형한 유일한 동유럽 국가였다.[363]

폴란드에서는 1989년 선거에서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이 실각하고 정권이 교체되었으며,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에서도 소련식 공산당 체제가 잇따라 무너지면서, 여름에는 동독 국민이 이들 국가를 거쳐 서독으로 대량 탈출하였다.

동독은 끝까지 강경한 사회주의 노선을 취하며 민중을 억압하려 하였으나, 10월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월요 시위에는 10만 명이 참가하였고, 상황을 수습하지 못한 사회주의 통일당 내부에서는 간부였던 에리히 호네커의 구심력이 저하되어 곧 총사퇴로 몰렸다. 후임 지도부도 민주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을 막을 수 없었고, 동독은 정치·경제적으로 붕괴 상태에 빠졌다.

11월 9일 동독은 베를린 장벽의 개방을 선언하고, 냉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베를린 장벽이 붕괴하였다. 루마니아에서도 혁명이 발발하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 부부가 사살되고, 공산당 정권이 무너졌다. 1989년 12월에는 지중해의 몰타에서 고르바초프와 조지 H. W. 부시회담을 갖고 '''냉전의 종식'''을 선언하였다.[126]

=== 소련 해체 ===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페레스트로이카를 통해 소련 경제를 개혁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발트 3국의 독립 요구가 거세졌고, 1988년 11월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주권 선언을 하는 등 연방 이탈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74] 고르바초프는 중앙유럽에 대해서는 관대한 입장을 보였지만, 소련 영토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1991년 라트비아리투아니아에서 유혈 사태가 발생하자,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경제 관계 동결을 경고하며 압박했다.[364]

1990년 3월부터 6월까지 동유럽 각국에서 공산당 정권이 붕괴되는 동안, 발트 3국에서도 독립 선언이 채택되었다. 소련은 1991년 1월 리투아니아 피의 일요일 사건 등 군사 행동으로 저지하려 했으나, 오히려 국제적 지지만 강화되었다.

소련은 1991년 3월 국민투표를 통해 연방 유지를 시도했으나, 발트 3국 등은 보이콧했다. 같은 해 6월 보리스 옐친이 러시아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주권 선언을 발표하며 연방 탈퇴를 가속화했다.

8월 쿠데타 실패 이후, 발트 3국은 독립을 달성했고, 다른 공화국들도 독립 움직임을 보였다. 1991년 12월 8일, 러시아의 옐친, 우크라이나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벨라루스의 스타니슬라프 슈슈케비치는 벨라베자 숲에서 회담을 갖고 독립국가연합(CIS) 결성에 합의했다. 결국 1991년 12월 25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사임과 함께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365]

러시아 연방의 초대 대통령 보리스 옐친


1991년 모스크바 푸쉬킨 광장에 있는 최초의 러시아 맥도날드


T-80 전차가 8월 쿠데타 당시 붉은 광장에 배치됨

9. 1. 고르바초프의 개혁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공산당 서기장에 오를 당시,[319] 1980년대 유가 하락으로 외화 수입이 감소하고 소련 경제는 침체 상태였다.[342]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페레스트로이카''(재편)라는 경제 개혁 의제를 발표하였다.[343] 페레스트로이카는 생산 할당제를 완화하여 기업의 사적 소유를 허용하고, 해외 투자의 물꼬를 텄다.[343]

이와 동시에 고르바초프는 ''글라스노스트''(개방)를 추진하여 출판의 자유와 국가 기관의 투명성을 높였다.[345] 글라스노스트로 그는 공산당 지도층의 부패를 줄이고, 중앙 위원회의 권력 남용을 조절하고자 하였다.[346] 또한 소련 시민이 서방 세계에 접촉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되어 양자 간의 데탕트 가속화에 기여하였다.[347]

9. 2. 군사 감축

소련의 군사적, 정치적 양보로 레이건은 경제 현안과 군비 경쟁 축소에 관한 회담 재개에 동의했다.[348] 1985년 11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 회담이 열렸고,[348] 두 지도자는 양국의 핵 비축량을 50%로 줄이는 원칙에 합의했다.[349] 레이캬비크 정상회담에서 협상은 실패했으나, 1987년 중거리 핵전력 협정이 타결되어 사정거리가 500에서 5,500km에 이르는 지상 발사 탄도 및 순항 핵 미사일과 인프라를 제거하였다.[351] 1989년 모스크바 정상회담에서 고르바초프와 조지 H. W. 부시는 제1차 전략무기 감축협상을 체결하였다.[352]

1989년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했고,[354] 1990년에 고르바초프는 독일 통일에 동의했다.[356]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자 고르바초프의 "모두의 유럽" 개념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357] 1989년 12월 3일, 몰타 회담에서 고르바초프와 조지 H. W. 부시는 냉전의 종식을 선언했고,[358] 이듬해 두 지도자는 걸프 전쟁에서 서로 협력했다.[359]

9. 3. 동유럽 혁명

1989년 동구권의 동맹 체제는 붕괴 직전에 내몰렸고, 소련의 군사 지원을 받지 못한 바르샤바 조약 국가의 공산당 지도자들은 권력을 잃었다.[354] 소련 내부에서도 글라스노스트로 소비에트 공화국 간의 유대가 약화되었으며,[353] 1991년 12월 소련이 해체되면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은 국가 권력을 내놓아야 했다.[360]

글라스노스트에 따른 출판과 이의(dissent)의 자유가 주어지고, "국적 문제"가 불거지면서 연방내 공화국들은 자치를 요구했으며, 발트 3국은 소련에서 완전히 독립하고자 하였다.[361]

1989년 혁명의 파도로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와 같은 중앙유럽의 소련식 공산 국가들이 무너졌으며,[362] 루마니아의 경우 공산당 정부는 폭력을 통해 전복되었고, 국가 지도자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처형당하였다.[363]

1989년 8월 헝가리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은 동유럽 사회주의권 지배자들이 막을 수 없는 평화적인 운동을 시작했다. 이는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동독에서 가장 큰 규모의 난민 이동이었으며 궁극적으로 철의 장막의 붕괴를 가져왔다. 피크닉의 후원자인 오토 폰 합스부르크와 헝가리 국무장관 임레 포즈가이(Imre Pozsgay)는 이 계획된 행사를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반응을 시험할 기회로 보았다. 당시 카를 폰 합스부르크(Karl von Habsburg)가 이끌던 범유럽 연합의 오스트리아 지부는 헝가리에 있는 동독 휴양객들에게 쇼프론 근처 국경 부근 피크닉에 참여하도록 초청하는 수천 장의 브로슈어를 배포했다. 그러나 범유럽 피크닉에서 대규모 탈출이 일어나면서 동독 사회주의통일당의 이후 주저하는 태도와 소련의 불개입은 둑을 무너뜨렸다. 이제 수만 명의 언론에 정통한 동독인들이 더 이상 국경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국경수비대가 무력을 사용하도록 강요할 의사가 없는 헝가리로 향했다. 한편 이는 동유럽 국가들 사이에 불화를 야기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유럽 주민들에게 정부가 더 이상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명확해졌다.[70][71][72][73]

1989년 폴란드와 헝가리의 공산당 정부는 경쟁적인 선거를 조직하기 위한 협상을 처음으로 시작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에서는 대규모 시위로 기존의 공산당 지도자들이 실각했다.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공산 정권도 붕괴되었는데, 루마니아의 경우 루마니아 혁명과 같은 폭력적인 봉기의 결과였다.

변화의 거대한 물결은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로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유럽 공산주의 정부의 붕괴를 상징하고 유럽을 분열시켰던 철의 장막을 시각적으로 종식시켰다. 1989년 혁명동독,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를 평화적으로 전복시켰다.[362] 루마니아는 공산 정권을 폭력적으로 전복하고 국가 원수를 처형한 유일한 동유럽 국가였다.[363]

폴란드에서는 1989년 선거에서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이 실각하고 정권이 교체되었으며,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에서도 소련식 공산당 체제가 잇따라 무너지면서, 여름에는 동독 국민이 이들 국가를 거쳐 서독으로 대량 탈출하였다.

동독은 끝까지 강경한 사회주의 노선을 취하며 민중을 억압하려 하였으나, 10월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월요 시위에는 10만 명이 참가하였고, 상황을 수습하지 못한 사회주의 통일당 내부에서는 간부였던 에리히 호네커의 구심력이 저하되어 곧 총사퇴로 몰렸다. 후임 지도부도 민주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을 막을 수 없었고, 동독은 정치·경제적으로 붕괴 상태에 빠졌다.

11월 9일 동독은 베를린 장벽의 개방을 선언하고, 냉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베를린 장벽이 붕괴하였다. 루마니아에서도 혁명이 발발하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 부부가 사살되고, 공산당 정권이 무너졌다. 1989년 12월에는 지중해의 몰타에서 고르바초프와 조지 H. W. 부시회담을 갖고 '''냉전의 종식'''을 선언하였다.[126]

9. 4. 소련 해체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페레스트로이카를 통해 소련 경제를 개혁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발트 3국의 독립 요구가 거세졌고, 1988년 11월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주권 선언을 하는 등 연방 이탈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74] 고르바초프는 중앙유럽에 대해서는 관대한 입장을 보였지만, 소련 영토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1991년 라트비아리투아니아에서 유혈 사태가 발생하자,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경제 관계 동결을 경고하며 압박했다.[364]

1990년 3월부터 6월까지 동유럽 각국에서 공산당 정권이 붕괴되는 동안, 발트 3국에서도 독립 선언이 채택되었다. 소련은 1991년 1월 리투아니아 피의 일요일 사건 등 군사 행동으로 저지하려 했으나, 오히려 국제적 지지만 강화되었다.

소련은 1991년 3월 국민투표를 통해 연방 유지를 시도했으나, 발트 3국 등은 보이콧했다. 같은 해 6월 보리스 옐친이 러시아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주권 선언을 발표하며 연방 탈퇴를 가속화했다.

8월 쿠데타 실패 이후, 발트 3국은 독립을 달성했고, 다른 공화국들도 독립 움직임을 보였다. 1991년 12월 8일, 러시아의 옐친, 우크라이나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벨라루스의 스타니슬라프 슈슈케비치는 벨라베자 숲에서 회담을 갖고 독립국가연합(CIS) 결성에 합의했다. 결국 1991년 12월 25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사임과 함께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365]

10. 냉전의 여파

독립 국가 연합 회원국.


1991년 12월 21일 창설된 독립 국가 연합은 소비에트 연방의 뒤를 이은 체제로 여겨졌으나, 러시아의 지도자들에 따르면 그 목적은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들의 "온건한 이혼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느슨한 국가 연합과 비슷하다.[366]

냉전이 끝나고 소련이 붕괴되자 러시아는 군비 지출을 크게 삭감하였는데, 과거 소련 성인의 1/5이 군수 산업에 종사하였으므로,[367] 수백만의 실업자가 발생했다. 1990년대 러시아는 시장 경제 개혁을 개시하면서, 과거 대공황 때 미국과 독일이 겪었던 것보다 더욱 심각한 금융 위기와 경기 침체에 시달렸다.[368] 1999년부터 러시아 경제는 다시 발전하였지만, 국민의 생활 수준은 냉전 이후 전반적으로 악화되었다.

냉전의 유산은 세계에 계속 영향을 주었다.[150]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탈냉전 세계는 미국이 유일한 초강대국인 단극 체제로 여겨지고 있다.[369][370][371] 냉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세계에 미국의 역할을 규정하였는데, 1989년 당시 미국은 50개국과 군사 동맹 관계가 있었고, 해외 117개국에 150만 병력을 주둔하고 있었다.[150] 또한 냉전으로 영구적인 평시 군산복합체와 대규모 군사 부문의 과학 지원이 세계적으로 제도화되었다.[372]

냉전 중 미국이 지출한 군비는 8조$로 추산되며,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인 100,00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373] 소련군 병사의 인명 피해는 추산하기 어렵지만, 소련의 국내총생산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재정적 지출은 미국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374] 전투원의 인명 피해뿐 아니라, 강대국간의 대리전으로 지구상에서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수백만이 죽었다.[375]

냉전 종식 이후 국경 변화


대리전과 지역 분쟁 지원은 냉전과 함께 끝났으며, 냉전 이후에 내전과 종족간 전쟁, 혁명 전쟁과 그에 따른 난민과 실향 사태의 빈도는 급격히 줄었다.[376] 그러나 냉전의 영향은 언제나 쉽게 지워지는 것은 아닌데, 제3세계 일부 지역의 냉전 대립을 악화시켰던 여러 경제ㆍ사회 갈등은 여전히 심하게 남아있다. 구 유고슬라비아 등 과거 공산당 정부들이 지배하던 여러 지역에 국가 통제가 무너지면서 새로운 내전과 종족간 분쟁이 일어났다.[150] 냉전이 끝나면서 중앙유럽은 경제가 발전하고 자유 민주주의도 신장되었으나, 아프가니스탄 등 세계 다른 지역의 나라에서는 독립과 더불어 국가 실패(state failure)로 이어졌다.[150]

블라디슬라프 주복은 이러한 사건들의 국제적 영향을 요약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소비에트 제국의 붕괴는 지정학적, 군사적, 이념적, 경제적 의미에서 시대를 초월하는 사건이었다."

발트 해 연안 국가들을 제외한 공산당은 불법화되지 않았고, 당원들은 기소되지 않았다. 몇몇 지역에서만 공산당 비밀경찰 출신들을 의사결정에서 배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일부 국가에서는 공산당이 이름을 바꾸고 계속 활동했다.[77]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 모두 유고슬라비아의 안정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어 동서 분열에서 완충 국가로 유지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냉전이 끝나자 이러한 외부 지원은 사라졌고, 유고슬라비아는 내부 분열에 더 취약해졌다.[93][94] 유고슬라비아가 분열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시작되었고 보스니아 전쟁은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가장 잔혹한 전쟁이었으며, 민족 청소와 집단 학살이 특징이었다. NATO는 작전명 결연한 힘(Operation Deliberate Force)과 작전명 동맹군(Operation Allied Force)을 통해 군사 개입을 하였다.

|thumb|냉전 종식 이후 EU는 동쪽으로 확장하여 전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과 전 소련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베를린 장벽 붕괴와 냉전 종식 전후로, 그동안 반공주의 때문에 군사정권이나 독재 정권, 장기 집권의 존재가 용인되었던 일부 서방 국가들(인도네시아, 대만, 한국, 자이르 등)이 미국으로부터의 자금, 군사, 정치적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잇따라 정권 붕괴를 맞았고, 선거 실시와 정권 교체를 강요받았다. 일본에서도 55년 체제가 붕괴하고 비자민·비공산 연립 정권이 수립되었다. 또한 반공주의를 조건으로 미국의 지원을 받았던 군사 정권이나 독재 정권, 장기 집권이 대부분을 차지했던 중남미 국가들에서도 칠레,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주요국에서 잇따라 민정화가 진행되었다. 또한 소련의 중남미에 대한 교두보로서, 군사 원조와 바터 무역 등의 방법으로 소련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던 쿠바는 냉전이 끝나 미국과의 대결의 필연성이 사라진 러시아에게 전략적 가치를 잃고, 지원이 중단되어 경제 위기에 빠졌다.

미·소 냉전이 종식된 초기인 1990년대 초,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역사의 종언』을 발표하고 정치 체제로서 리버럴 민주주의의 최종 승리를 선언했다. 냉전 종식 직후인 1991년, 냉전의 주도국 중 하나였던 소련이 붕괴하면서 세계의 균형이 무너지고, 미국이 유일 초강대국이 되었다. 소련식 국영 계획 경제·통제 경제 모델의 사회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경제권이 붕괴하고, 세계 경제가 자본주의 경제·시장 경제에 의해 통합되면서 세계화가 진행되었다. 냉전 종식으로 그동안 크렘린이나 백악관에 의해 억압되었던 세계 각지의 민족 문제가 재점화되었다.

동유럽을 보면, 1993년에 체코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로 평화적으로 분리된 반면, 1993년에 일어난 유고슬라비아 분쟁은 민족 간의 증오에 불을 지펴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카프카스 지역에서는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에서 내전이 발생하고, 체첸을 비롯한 각 소수 민족이 독립 투쟁을 일으켜 각국에서 내전으로 발전했다(제1차 체첸 전쟁).

서유럽의 냉전은 끝났지만, 동아시아에서는 몽골의 민주화, 베트남과 미국의 화해를 제외하면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대립,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립(한국 전쟁)이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일본 국내에서는 일본 공산당과 조선총련이 현재도 공안 당국(공안조사청, 공안경찰)에 감시당하는 등 해결의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

미국은 “냉전의 승전국”이라는 자신감에서 1991년의 걸프 전쟁에 이어 중동 개입을 심화시켰고, 빌 클린턴 행정부는 쌍둥이 적자를 개선하는 한편 팔레스타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노르웨이의 중재로 최초로 평화 협정을 이끌어냈다(오슬로 협정). 그러나 이스라엘의 급변으로 평화는 암초에 부딪혔고, 팔레스타인 급진파의 테러와 이스라엘군의 학살로 팔레스타인은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였다(팔레스타인 문제). 또한 아프가니스탄과 수단에는 1998년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고, 특히 아프가니스탄에는 4차례에 걸친 경제 제재를 가했다. 아프리카에 대해서는 수단 외에 소말리아에서도 국제연합의 힘으로 내전에 개입했지만 실패했고, 이로 인해 클린턴 행정부는 지상군 파병을 꺼리게 되었다. 이라크에 대해서는 걸프 전쟁 이후로 적대 관계였고, 이라크 무장 해제 문제에 대해서도 무기 사찰이 지연될 때마다 폭격을 가했다. 이러한 미국의 중동 개입과 세계화에 반감을 가진 알카에다는 2001년에 '''미국 동시다발 테러'''를 일으켜, 대테러 전쟁이라 불리는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졌다.

특히 이라크 전쟁에 관해서는 개전 당시 첫 번째 이유로 제기되었던 대량살상무기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미국 외교의 신뢰에 큰 상처를 입혔다.[127] 조지 W. 부시 대통령도 퇴임 직전에 대량살상무기 정보 수집이 행정부의 최대 실패 중 하나였다는 것을 인정했다.

핵 개발 경쟁으로 생산된 고성능 핵탄두를 현재도 미국과 러시아가 수천 발 보유하고 있다. 냉전 초기 핵의 미국 일극 집중을 우려한 일부 과학자들은 핵의 억제력으로 세계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소련과 영국과 프랑스에 개발 방법을 전수했고, 소련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도 계승되어 현재의 핵 5개국이 형성되었다.

2008년 8월에는 남오세티야 분쟁이 발생하여 미러 간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냉전의 재래”, “신냉전” 등으로 불리는 상황이 되어 긴장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같은 해 세계 금융 위기에서 재정 투입으로 경기를 회복시켜 영향력을 높인 중화인민공화국도 미중 냉전이라 불리는 긴장 상태에 있다고 여겨지며, 중러는 NATO와 대립하는 상하이 협력 기구를 조직하고 있다. 러시아는 소련이 붕괴하면서 공화제 국가로 부활하여 보리스 옐친 정권 하에서 경제 재건과 자본주의화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역효과를 내어 러시아 경제는 악화되었고, 특히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1998년에는 러시아 금융 위기가 발생하여 더욱 악화되는 등 “냉전의 패전국”으로서 서구의 경제 원조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2003년경부터 원유 가격 급등의 혜택으로 경제가 호전되었고, 이를 배경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은 다시 “강한 러시아”의 부활을 외치며, EU와 NATO에 대한 구소련 가맹국의 편입을 추진하고 있던 서구에 대해 시리아 내전에 개입하는 등 견제의 움직임을 보이게 되었다.

1989년 - 1991년에 일어난 “소련식 사회주의 체제”의 소멸로 다국적 기업은 지구 규모로 시장과 이익을 쟁탈하는 세계화가 진행되었다. 냉전 시대 말기의 IMF 불황과 1990년대의 세계화에 직면한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2000년대가 되면서 반미·좌파의 정권이 속속 등장하여 사회주의가 부활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대표적인 베네수엘라의 차베스 대통령이 사망함으로써 2012년경부터 친미 노선으로 회귀하는 국가도 늘고 있다. 또한 2015년에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미국과 쿠바의 국교가 회복되었다.

11. 냉전을 보는 시각

"냉전"이라는 표현은 미국소련 간의 전후 긴장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377] 이 갈등의 기원과 과정을 놓고 역사가, 정치학자, 언론인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377] 특히 역사가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미국의 동맹 분열의 원인, 냉전의 불가피성 여부, 냉전의 정의 및 근원 등에 대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378][150]

나토와 집단 안보 조약 기구의 대립도.


학계에서는 냉전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전통주의", "수정주의", "탈수정주의"의 세 가지 학파로 구분한다.[150]

전통주의는 냉전의 책임을 소련의 동유럽 팽창에서 찾는다.[150] 이들은 소련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따라 서방 세계에 공격적인 노선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고 보았다.[379] 조지 캐넌, 존 포스터 덜레스 등 미국 정부 고위 관리들이 이러한 해석을 지지했다.[379]

1960년대에 등장한 수정주의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소련과 거리를 두며 대립했던 점을 지적하며, 전후 대립의 원인을 미국에서 찾는다.[150][380] 이들은 스탈린의 정책이 제국주의적 의도가 아니라 소련의 유지를 위한 목적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380] 또한, 미국의 경제 구조가 새로운 시장 개척을 추구했기 때문에 냉전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380]

1970년대 이후 등장한 탈수정주의는 냉전의 미묘한 면을 파악하고, 두 시각을 절충하여 균형 있는 시각을 찾고자 한다.[150][381] 이들은 양 진영의 오판이 냉전을 급속도로 조장하고 위험한 양상으로 발전시켰다고 본다.[381] 최근 기밀 해제된 문서들이 탈수정주의 해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381] 그러나 냉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며, 새로운 사실들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382]

참조

[1] 뉴스 Where did banana republics get their name? https://www.economis[...] 2013-11-21
[2] 웹사이트 INFCIRC/397 – Note to the Director General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iaea.org/[...] 2003-11-23
[3]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George Kennan Sends "Long Telegram" https://www.trumanli[...] 2021-02-22
[4] 웹사이트 Interview to "Pravda" Correspondent Concerning Mr. Winston Churchill's Speech https://www.marxists[...] 1946-03-01
[5]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James Byrnes. Restatement of Policy on Germany. September 6, 1946 https://usa.usembass[...]
[6] 웹사이트 8 Spies Who Leaked Atomic Bomb Intelligence to the Soviets https://www.history.[...] 2023-07-21
[7] 웹사이트 Did Truman Know about Venona? https://fas.org/irp/[...]
[8] 웹사이트 Secrets of the Teheren Archive https://www.edwardja[...]
[9] 웹사이트 Secrets of the Teheren Archive (page 2) https://www.edwardja[...]
[10] 웹사이트 KGB Active Measures – Russia / Soviet Intelligence Agencies https://irp.fas.org/[...]
[11] 웹사이트 Inside the KGB: An interview with retired KGB Maj. Gen. Oleg Kalugin http://www3.cnn.com/[...] CNN
[12] 블로그 The Soviet-Chinese Spy Wars in the 1970s: What KGB Counterintelligence Knew, Part II https://www.wilsonce[...] 2021-04-22
[13] 보고서 Hearings on Federal Government's Handling of Soviet and Communist Bloc Defectors before the United States Senate Permanent Subcommittee on Investigations of the Committee on Governmental Affairs, United States Senate, One Hundredth Congress, first session, October 8, 9, 21, 1987 https://babel.hathit[...] 1988
[14] 잡지 We Will Bury You! http://www.time.com/[...] 1956-11-26
[15] 웹사이트 U.S. Cold War Nuclear Target Lists Declassified for First Time http://nsarchive.gwu[...] National Security Archive 2015-12-22
[16] 뉴스 1956: Soviet troops overrun Hungary http://news.bbc.co.u[...] BBC 1956-11-04
[17] 보고서 Report of the Special Committee on the Problem of Hungary http://mek.oszk.hu/0[...] UN General Assembly 1957
[18] 웹사이트 1989: Hungary reburies fallen hero Imre Nagy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19] 뉴스 1957: Sputnik satellite blasts into space http://news.bbc.co.u[...] BBC 1957-10-04
[20] 웹사이트 DOC_0000124270 https://www.cia.gov/[...]
[21]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Archive Electronic Briefing Book No. 501 https://nsarchive2.g[...] National Security Archive 2015-02-04
[22] 웹사이트 The Almaz program https://www.russians[...] 2024-12-08
[23] 웹사이트 The USSR begins enduring space station program https://www.russians[...] 2024-12-08
[24] 웹사이트 Space Force - The Soviets Launched the Only Known Armed Spacecraft {{!}} The Vintage News https://www.thevinta[...] 2018-07-17
[25] 웹사이트 Diamond in the Rough: The USSR's Military Space Station Almaz https://www.spacefli[...] 2020-06-25
[26] 웹사이트 This is How the Space Race Changed the Great Power Rivalry Forever https://nationalinte[...] 2017-07-27
[27] 웹사이트 UNODA Treaties Database https://treaties.uno[...] 2024-12-08
[28] 웹사이트 The Historic Beginnings Of The Space Arms Race https://www.spacewar[...] 2024-12-08
[29] 웹사이트 U.S.-Soviet Cooperation in Outer Space, Part 1: From Yuri Gagarin to Apollo-Soyuz https://nsarchive.gw[...] National Security Archive
[30] 웹사이트 It's Time to Stop Saying that JFK Inherited the Bay of Pigs Operation from Ike https://historynewsn[...] 2015-12-05
[31] 백과사전 Berlin Wall https://www.britanni[...] 2023-08-09
[32] 웹사이트 Military Advisors in Vietnam: 1963 https://www.jfklibra[...]
[33] 웹사이트 Vietnam War Statistics and Facts 1 http://25thaviation.[...]
[34] 서적 Nuclear Weapons and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9
[35] 웹사이트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nd International Law http://www.inesap.or[...] 2008-03-18
[36] 웹사이트 Limited or Partial Test Ban Treaty (LTBT/PTBT) - Nuclear Museum https://ahf.nuclearm[...] 2024-12-11
[37] 웹사이트 Limited Test Ban Treaty https://2009-2017.st[...] 2024-12-11
[38] 웹사이트 Operation Dominic https://nuclearweapo[...] 2024-12-11
[39] 웹사이트 OPERATION DOMINIC 1962 https://www.dtra.mil[...]
[40] 웹사이트 UNODA Treaties Database https://treaties.uno[...] 2024-12-11
[41] 웹사이트 UK Government Web Archive https://webarchive.n[...] 2024-12-11
[42] 웹사이트 Space Law https://www.unoosa.o[...] 2024-12-11
[43] 뉴스 1968: Russia brings winter to Prague Spring http://news.bbc.co.u[...] BBC 2008-06-10
[44] 웹사이트 Warsaw Pact invasion of Czechoslovakia http://www.enrs.eu/e[...] 2022-11-05
[45] 논문 People's Republic of China-United States: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1979-01-01
[46] 웹사이트 Détente and Arms Control, 1969–1979 https://history.stat[...] 2023-11-09
[47] 뉴스 1972: President Nixon arrives in Moscow http://news.bbc.co.u[...] BBC 1972-05-22
[48] 웹사이트 Расходы на оборону и численность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СССР https://su90.ru/defe[...]
[49] 잡지 The Riddle of Armand Hammer https://www.nytimes.[...] 1981-11-29
[50] 논문 The Legitimation of the Nixon-Kissinger Grand Design and Grand Strategy https://academic.oup[...] 2009-01-01
[51] 뉴스 NIXON IN APPEAL ON SOVIET TRADE https://www.nytimes.[...] 1973-10-05
[52] 뉴스 1979: Leaders agree arms reduction treaty http://news.bbc.co.u[...] BBC 1979-06-18
[53] 웹사이트 How Soviet troops stormed Kabul palace http://news.bbc.co.u[...] 2009-12-27
[54] 웹사이트 Afghanistan: Lessons from the Last War https://nsarchive2.g[...] 2023-03-23
[55] 웹사이트 Pope who changed Poland https://poland.pl/hi[...] 2024-12-11
[56] 웹사이트 Stasi Files Implicate KGB in Pope Shooting – DW – 04/01/2005 https://www.dw.com/e[...] 2024-12-11
[57] 논문 Pope John Paul II, the Assassination Attempt, and the Soviet Union https://cupola.getty[...] 2007-01-01
[58] 뉴스 Desert Storm Filled Soviet Military With Awe https://www.chicagot[...] 2021-08-10
[59] 웹사이트 The 1983 War Scare in US-Soviet Relations http://www2.gwu.edu/[...] National Security Archive
[60] 웹사이트 War Games: Soviets, Fearing Western Attack, Prepared for Worst in '83 http://www.cnn.com/S[...] CNN
[61] 웹사이트 LGM-118A Peacekeeper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62] 웹사이트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SDI) - Nuclear Museum https://ahf.nuclearm[...] 2024-12-11
[63] 보도자료 KAL Tapes To Be Handed Over To ICAO http://legacy.icao.i[...]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993-01-01
[64] 뉴스 Stanislav Petrov – the man who quietly saved the world – has died aged 77 http://metro.co.uk/2[...] 2017-09-18
[65] 뉴스 What Guilt Does the U.S. Bear in Guatemala? https://www.nytimes.[...] 2013-05-19
[66] 뉴스 Toward the Summit; Previous Reagan-Gorbachev Summits https://www.nytimes.[...] 1988-05-29
[67] 웹사이트 Intermediate-Range Nuclear Forces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68] 뉴스 1989: Malta summit ends Cold War http://news.bbc.co.u[...] BBC 1989-12-03
[69] 서적 Beyond Oil: The View from Hubbert's Peak
[70] 서적 Deutschland einig Vaterland – Die Geschichte der Wiedervereinigung 2009-01-01
[71] 뉴스 DDR-Massenflucht: Ein Picknick hebt die Welt aus den Angeln Die Presse 2018-08-16
[72] 뉴스 Paneuropäisches Picknick: Die Generalprobe für den Mauerfall Profil 2014-08-09
[73] 뉴스 Die Berliner Mauer begann im Burgenland zu bröckeln Wiener Zeitung 1999-08-16
[74] 웹사이트 National Review: The red blues - Soviet politics http://findarticles.[...] 2024-03-25
[75] 웹사이트 РСПП: Статьи http://www.rspp.su/s[...] 2024-03-25
[76] 웹사이트 Facts + Stats of the Yeltsin Era https://www.pbs.org/[...] PBS 2019-08-22
[77] 웹사이트 After socialism: where hope for individual liberty lies http://www.icer.it/d[...]
[78] 웹사이트 Что и почему переименовывали в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og47.ru/2018[...] 2024-12-11
[79] 웹사이트 DECISION OF THE RSFSR Supreme Council http://pravo.levonev[...] 2024-12-11
[80] 웹사이트 The Great Britain - Russia Society Reviews http://www.gbrussia.[...] 2024-12-11
[81] 간행물 Decommunizing Ukraine https://www.foreigna[...] 2015-04-28
[82] 뉴스 Порошенко підписав закони про декомунізацію http://www.pravda.co[...] 2015-05-15
[83] 뉴스 Poroshenko signs laws on denouncing Communist, Nazi regimes http://en.interfax.c[...] 2015-05-15
[84] 뉴스 В Україні перейменують 22 міста і 44 селища http://www.pravda.co[...] 2015-06-04
[85] 웹사이트 Decommunization reform: 25 districts and 987 populated areas in Ukraine renamed in 2016 https://www.ukrinfor[...] 2016-12-27
[86] 뉴스 Ukraine lawmakers ban 'Communist and Nazi propaganda http://www.dw.de/ukr[...] Deutsche Welle 2015-04-09
[87] 웹사이트 New laws in Ukraine potential threat to free expression and free media, OSCE Representative says http://www.osce.org/[...] 2015-05-18
[88] 뉴스 Ukraine's Justice Ministry outlaws Communists from elections http://www.kyivpost.[...] 2015-07-24
[89] 웹사이트 The European Court has begun consideration of a complaint against the KPU's ban http://pda.pravda.co[...] 2016-12-30
[90] 웹사이트 Kiev has a nasty case of anti-communist hysteria http://www.theguardi[...] 2015-12-18
[91] 웹사이트 Ukraine court bans Communist Party https://www.dnaindia[...] 2015-12-17
[92] 웹사이트 leaflets https://www.nato.int[...]
[93] 논문 The Balkans in the Cold War https://direct.mit.e[...] 2020-02-01
[94] 웹사이트 Background: Tito's Yugoslavia https://europe.unc.e[...] 2024-12-11
[95] 웹사이트 Balkan Wars, 1991–2001 https://academic.oup[...]
[96] 웹사이트 US Intervention in the Balkans: The 1990s Yugoslav Wars Explained https://www.thecolle[...] 2024-12-11
[97]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news.bbc.co.u[...] 2007-03-11
[98] 웹사이트 U.S. Military Deployment 1969 to the present https://www.pbs.org/[...] PBS 2010-11-30
[99] 웹사이트 冷戦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1-24
[100] 웹사이트 ウクライナ危機であらわになった深刻なNATO軍の弱体ぶり https://seikeidenron[...] 経済電論 2023-01-02
[101] 간행물 You and the Atomic Bomb Tribune 1945-10-19
[102] 간행물 あなたと原子爆弾 Tribune 1945-10-19
[103] 간행물 The Observer 1946-03-10
[104] 문서 2005
[105] 웹사이트 www.census.gov https://www.census.g[...] 2010-08-27
[106]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http://lcweb2.loc.go[...] Lcweb2.loc.gov 2010-08-27
[107] 웹사이트 The Largest Countries In The World https://www.worldatl[...] 2019-11-08
[108] 웹사이트 1990 CIA World Factbook http://www.umsl.edu/[...]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10-12
[109] 웹사이트 A Guide to Statistics on Historical Trends in Income Inequality http://www.cbpp.org/[...]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2012-10-02
[110] 웹사이트 1990 CIA World Factbook http://www.umsl.edu/[...]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10-12
[111] 웹사이트 World Wide Military Expenditur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08-27
[112] 웹사이트 A Balanced Strategy: Reprogramming the Pentagon or a New Age https://www.foreign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5-05-31
[113] 뉴스 エジプト基礎情報~歴史 https://www.eg.emb-j[...] 2019-07-15
[114] 논문 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2004
[115] 서적 In Search of a Peace Settlement: Egypt and Israel Between the Wars, 1967-1973 Palgrave Macmillan 2012
[116] 웹사이트 EGYPT AND CHINA SIGN ARMS PACT, HAIL CLOSER TIES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즈 1976-04-22
[117] 뉴스 China Will Sell Arms to Egypt, Sadat Announces https://www.washingt[...] 1979-06-06
[118] 웹사이트 The Untold Story Behind Saudi Arabia's 41-Year U.S. Debt Secret https://www.bloomber[...] 2016-05-30
[119] 서적 Petrodollar Warfare: Oil, Iraq and the Future of the Dollar New Society Publishers 2005
[120] 뉴스 Petrodollar power The Economist 2006-12-07
[121] 웹사이트 ‘MILESTONE’ PACT IS SIGNED BY U.S. AND SAUDI ARABIA https://www.nytimes.[...] 1974-06-09
[122] 웹사이트 What Is The Petrodollar? https://www.fxcm.com[...]
[123] 뉴스 チャーリー・ウィルソン米元議員が死去、ソ連アフガン侵攻でCIAに協力 写真1枚 国際ニュース:AFPBB News https://www.afpbb.co[...]
[124]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M.E. Sharpe 2004
[125] 뉴스 米国の「怨念」とは? https://mainichi.jp/[...] 2019-03-15
[126] 뉴스 Malta summit ends Cold War http://news.bbc.co.u[...] BBC News 1989-12-03
[127] 웹사이트 http://jp.wsj.com/US[...]
[128] 문서 스하르토 정권 이후에도 군의 장비 등의 면에서 소비에트의 지원을 받았다.
[129] 웹사이트 湾岸戦争のポリティクス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130] 웹사이트 The China-Iran Strategic Partnership: 40 Years in the Making https://thediplomat.[...]
[131] 문서 냉전의 기원과 수정주의 연구에 대한 설명 및 참고문헌 제시
[132] 문서 냉전사 연구가 2차 세계대전 전시 외교 연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설명
[133] 문서 소련 행동 동기 해석에 대한 상이한 관점 제시
[134] 서적 다수의 냉전 관련 서적 목록 및 번역본 정보 제공
[135] 서적 냉전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제시
[136] 서적 냉전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는 서적
[137] 서적 냉전 기원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을 제시하는 서적
[138] 논문 The Emerging Post-Revisionist Synthesis on the Origins of the Cold War 1983
[139] 서적 냉전 기원에 대한 서적
[140] 서적 냉전 기원에 대한 서적
[141] 논문 Empire by Invitatio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1945-1952
[142] 서적 The Cold War and Soviet Insecurity: the Stalin Years Oxford University Press
[143] 서적 Триумф и трагедия: политический портрет И.В. Сталина Изд-во Агентства печати Новости
[144] 서적 We Now Know: Rethinking Cold War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45] 논문 Rethinking Cold War History 東京大学社会科学研究所
[146] 논문 Rethinking the Cold War: a Letter to the British Historian
[147] 서적 Britain and the Cold War, 1941-1947 Cape
[148] 웹사이트 UNC Press - The New Cold War History http://uncpress.unc.[...]
[149] 서적 Venona: Decoding Soviet Espionage in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150] 사전 Dictionary Random House
[151] 서적 The Cold War: A New Histor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152] 뉴스 Bernard Baruch coins the term "Cold War" http://www.history.c[...] 1947-04-16
[153] 뉴스 Islamofascism Anyone? http://www.iht.com/a[...] 뉴욕 타임스 2006-10-01
[154] 서적 Cold War http://books.google.[...] Harper 2008-09-02
[155] 서적 The Columbia Guide to the Cold Wa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156] 서적 Britain and the Economic Problem of the Cold War Ashgate Publishing 2004
[157] 논문 1946-03-10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Communism: A History (Modern Library Chronicles)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A Political and Economic Dictionary of Eastern Europe
[171] 서적
[172] 서적 Stalin's Cold Wa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뉴스 Leaders mourn Soviet wartime dead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5-09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Lithuania 1940 : revolution from above Rodopi
[187] 서적
[188] 서적
[189] 뉴스 The secret strategy to launch attack on Red Army http://www.telegraph[...] telegraph.co.uk 1998-10-01
[190] 웹인용 Operation Unthinkable: Russia: Threat to Western Civilization http://www.history.n[...] Department of History, Northeastern University 2008-06-28
[191] 백과사전 Cold War (entire chapter)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16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웹인용 Southern Partnership: James F. Byrnes, Lucius D. Clay and Germany, 1945-1947 http://www.daz.org/e[...] James F. Byrnes Institute 2008-07-05
[197] 웹인용 Churchill and...Politics: The True Meaning of the Iron Curtain Speech http://www.winstonch[...] Winston Churchill Centre 1987-12-01
[198] 백과사전 Cold War (1945–91): Causes [entire chapter]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16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The Sword and the Shield: The Mitrokhin Archive and the Secret History of the KGB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뉴스 Pas de Pagaille! http://www.time.com/[...] 타임 2008-05-28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The Two Germanies Since 1945: East and West Yale University Press
[230] 서적 Confronting the German Question: Germans on the East-West Divide Berg publishers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Post-communism and the Media in Eastern Europe Routledge
[236] 서적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245]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Korean War Harper Perennial
[246] 서적
[247] 서적 This Kind of War: The Classic Korean War History Brasseys
[248] 서적
[249] 간행물 Harper's Magazine
[250]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251] 서적 A MiG-15 to Freedom: Memoir of the Wartime North Korean Defector who First Delivered the Secret Fighter Jet to the Americans in 1953 McFarland
[252] 서적
[253] 서적
[254] 뉴스 We Will Bury You! http://www.time.com/[...] 타임 1956-11-26
[255] 서적
[256] 서적
[257] 서적
[258] 서적
[259] 뉴스 Soviet troops overrun Hungary http://news.bbc.co.u[...] BBC News 1956-11-04
[260] 비디오 Revolt in Hungary http://files.osa.ceu[...] CBS
[261] 문서 UN General Assembly Special Committee on the Problem of Hungary http://mek.oszk.hu/0[...]
[262] 웹사이트 Report by Soviet Deputy Interior Minister M. N. Holodkov to Interior Minister N. P. Dudorov (15 November 1956)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2002-11-04
[263] 저널 The '56 Exodus to Austria http://www.hungarian[...] Society of the Hungarian Quarterly 1999-06-01
[264] 뉴스 On This Day 16 June 1989: Hungary reburies fallen hero Imre Nagy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269]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281] 서적 Lackey
[282] 뉴스 Sputnik satellite blasts into space http://news.bbc.co.u[...] BBC News 1957-10-04
[283] 웹인용 To Boldly Go http://www.airspacem[...] Air & Space 2008-12-19
[284] 서적 Dowty 1989
[285] 서적 Harrison 2003
[286] 서적 Dowty 1989
[287] 서적 Gaddis 2005
[288] 서적 Pearson 1998
[289] 서적 Gaddis 2005
[290] 서적 Gaddis 2005
[291] 서적 Gaddis 2005
[292] 서적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ttee on Antarctic Policy and Science
[293] 서적 Gaddis 2005
[294] 서적 Hardt, Kaufman 1995
[295] 서적 Muravchik
[296] 간행물 Dubcek’s Blueprint for Freedom: His original documents leading to the invasion of Czechoslovakia William Kimber & Co. 1968
[297] 웹사이트 The Soviet-led Intervention in Czechoslovakia http://soviethistory[...] Soviethistory.org 2008-03-07
[298] 서적 Gaddis 2005
[299] 뉴스 Russia brings winter to Prague Spring http://news.bbc.co.u[...] BBC News 1968-08-21
[300] 웹사이트 Den, kdy tanky zlikvidovaly české sny Pražského jara http://www.britskeli[...] Britské Listy 2008-01-23
[301] 서적 Gaddis 2005
[302] 서적 Gaddis 2005
[303] 서적 Gaddis 2005
[304] 서적 McSherry
[305] 서적 Stone
[306] 서적 Friedman
[307] 서적 Kumaraswamy
[308] 서적 Porter
[309] 서적 Dallek, Robert 2007
[310] 뉴스 President Nixon arrives in Moscow http://news.bbc.co.u[...] BBC News 1972-05-22
[311] 웹사이트 The President http://www.nixonlibr[...] Richard Nixon Presidential Library 2009-03-27
[312] 서적 Gaddis 2005
[313] 서적 Gaddis 2005
[314] 서적 Gaddis 2005
[315] 뉴스 Leaders agree arms reduction treaty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18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320] 서적
[321] 서적
[322] 서적
[323] 서적
[324] 서적
[325] 웹인용 New Evidence of Moscow's Military Threat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1983-06-23
[326] 뉴스 Caspar W. Weinberger, 88; Architect of Massive Pentagon Buildup https://web.archive.[...] Encyclopedia.com 2006-03-29
[327] 웹인용 LGM-118A Peacekeeper http://www.fas.org/n[...]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0-08-15
[328] 서적
[329] 서적
[330] 서적
[331] 뉴스 The Cowboy who Roped in Russia http://www.businessw[...] Business Week 2004-06-21
[332] 웹사이트 Official Energy Statistics of the US Government http://www.eia.doe.g[...] 2008-07-04
[333] 웹인용 Public Expectations and Trust towards the Government: Post-Revolution Stab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http://www.iet.ru/fi[...] The Institute for the Economy in Transition
[334] 서적
[335] 서적
[336] 뉴스 Atrocity in the skies http://www.time.com/[...] Time 1983-09-12
[337] 서적
[338] 서적
[339] 서적 The Reader's companion to American history http://books.google.[...] Houghton Mifflin Books
[340] 서적
[341] 서적
[342] 서적
[343] 서적
[344] 서적
[345] 서적
[346] 서적
[347] 서적
[348] 서적
[349] 뉴스 1985: "Superpowers aim for 'safer world'" http://news.bbc.co.u[...] BBC News 1985-11-21
[350] 뉴스 Toward the Summit; Previous Reagan-Gorbachev Summits http://query.nytimes[...] 뉴욕 타임스 1988-05-29
[351] 웹인용 Intermediate-Range Nuclear Forces http://www.fas.org/n[...]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8-06-21
[352] 서적
[353] 서적
[354] 서적
[355] 서적
[356] 서적
[357] 웹인용 Address given by Mikhail Gorbachev to the Council of Europe http://www.ena.lu/?d[...] European NAvigator|Centre Virtuel de la Connaissance sur l'Europe 2007-02-11
[358] 뉴스 Malta summit ends Cold War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11
[359] 서적
[360] 서적
[361] 서적
[362] 서적
[363] 서적
[364] 서적
[365] 서적
[366] 뉴스 Soviet Leaders Recall ‘Inevitable’ Breakup Of Soviet Union http://rferl.org/fea[...]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8-05-20
[367] 서적
[368] 서적
[369] 뉴스 Country profil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3-11
[370] 서적
[371] 서적
[372] 백과사전 Cold War (entire chapter)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16
[373] 서적
[374] 서적
[375] 서적
[376] 간행물 Peace and Conflict 2005 http://www.systemicp[...] Center for Systemic Peace 2008-06-14
[377] 백과사전 Cold War (1945–91): Changing Interpretations (entire chapter)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16
[378] 서적
[379] 서적
[380] 서적
[381] 서적
[382] 서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