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가리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가리야는 1949년 덴소 축구 클럽으로 창단된 일본의 축구팀이다.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에서 주로 활동하며, 1995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우승으로 일본 풋볼 리그에 진출했다. 2006년 클럽화와 함께 FC 가리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2020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으로 JFL에 복귀했다. 2023년 샤카이진 컵 우승을 차지했다.
wikitext
2. 역사
1949년 일본 덴소 축구 클럽으로 창단되었다.[2] 주로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에서 활동하였으며, 1995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며 일본 풋볼 리그로 승격했다.[2] 1996년 덴소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덴소 축구부로 팀 이름을 변경했다.[2]
2000년에는 리그 3위를 차지했으며, 2001년에는 도쿠시게 다카아키가 일본 풋볼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연도 소속 순위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감독 비고 1989 도카이 5위 17 17 7 3 7 44 31 13 - 1990 7위 19 16 8 3 5 36 23 13 1991 2위 26 16 12 2 2 46 14 32 지역 리그 결승 대회 패퇴 1992 4위 22 16 9 4 3 36 22 14 1993 우승 29 16 14 1 1 61 7 54 지역 리그 결승 대회 우승・승강전 패퇴 1994 2위 26 16 11 4 1 54 10 44 지역 리그 결승 대회 패퇴 1995 우승 35 19 16 3 0 65 16 49 지역 리그 결승 대회 우승・구 JFL 승격 1996 구 JFL 15위 16 30 5 - 25 40 90 -50 연장 승 0/PK 승 3/연장 패 0/PK 패 1 1997 13위 27 30 11 - 19 29 49 -20 연장 승 2/PK 승 2/연장 패 2/PK 패 1 1998 10위 38 30 14 - 16 48 59 -11 연장 승 2/PK 승 1/연장 패 1/PK 패 0 1999 JFL 4위 34 24 11 4 9 46 38 8 야마시타 토시아키 연장 승 3/연장 패 3 2000 3위 44 22 16 1 5 43 23 20 연장 승 5/연장 패 3 2001 5위 54 30 17 3 10 70 54 16 2002 10위 21 17 6 3 8 32 30 2 2003 12위 32 30 9 5 16 41 51 -10 2004 16위 18 30 4 6 20 29 85 -56 2005 14위 19 30 4 7 19 33 63 -30
2005년, 덴소 축구부가 폐부되면서 팀을 인수, 2006년에 클럽화와 함께 '''FC 가리야'''로 명칭을 변경했다.[6] 운영 주체는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개구리 스포츠 클럽'이 맡았다.
2009년, 일본 풋볼 리그(JFL)에서 17위를 기록,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츠바이겐 가나자와에게 패배하며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2]
2015년,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에서 우승,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18년, 투자자이자 실업가인 나가세 하야토가 새로운 구단주로 취임했다.
2020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020에서 준우승, 12년 만에 JFL로 복귀했다.[12]
2021년, 운영 주체가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개구리 스포츠 클럽에서 '''미카와 베이 풋볼 클럽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4] J3리그 참가를 목표로 했으나,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021에서 패배, 다시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15]
2022년, 오부시를 새로운 홈 타운으로 추가했다.[17]연도 소속 순위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전사 준우승, 지역CL 3위 2019 우승 36 14 12 0 2 44 14 30 1회전 탈락 전사 베스트 8, 지역CL 1차 라운드 탈락 2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으로 중지 현 예선 탈락 몬다 코지 TSL 토너먼트 1부 우승, 지역CL 2위 2021 JFL 17위 18 32 4 6 22 26 55 -29 1회전 탈락 몬다 코지(-6월)/무라타 카즈히로 (8월-) 승강전 탈락 2022 도카이 1부 우승 36 16 11 3 2 39 11 28 현 예선 탈락 무라타 카즈히로 지역CL 4위 2023 2위 33 14 10 3 1 27 9 18 이마이 마사타카 전사 우승, 지역CL 1차 라운드 탈락 2024 2위 31 14 10 1 3 29 14 15 모니와 테루유키 전사 4위, 지역CL 1차 라운드 탈락
2. 1. 일본 덴소 · 덴소 (1949년 ~ 2005년)
1949년 일본 덴소 축구 클럽으로 창단되었다.[2] 주로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에서 활동하였으며, 1995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며 일본 풋볼 리그로 승격했다.[2] 1996년 덴소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덴소 축구부로 팀 이름을 변경했다.[2]
2000년에는 리그 3위를 차지했으며, 2001년에는 도쿠시게 다카아키가 일본 풋볼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
연도 | 소속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감독 | 비고 |
1989 | 도카이 | 5위 | 17 | 17 | 7 | 3 | 7 | 44 | 31 | 13 | - | |
1990 | 7위 | 19 | 16 | 8 | 3 | 5 | 36 | 23 | 13 | |||
1991 | 2위 | 26 | 16 | 12 | 2 | 2 | 46 | 14 | 32 | 지역 리그 결승 대회 패퇴 | ||
1992 | 4위 | 22 | 16 | 9 | 4 | 3 | 36 | 22 | 14 | |||
1993 | 우승 | 29 | 16 | 14 | 1 | 1 | 61 | 7 | 54 | 지역 리그 결승 대회 우승・승강전 패퇴 | ||
1994 | 2위 | 26 | 16 | 11 | 4 | 1 | 54 | 10 | 44 | 지역 리그 결승 대회 패퇴 | ||
1995 | 우승 | 35 | 19 | 16 | 3 | 0 | 65 | 16 | 49 | 지역 리그 결승 대회 우승・구 JFL 승격 | ||
1996 | 구 JFL | 15위 | 16 | 30 | 5 | - | 25 | 40 | 90 | -50 | 연장 승 0/PK 승 3/연장 패 0/PK 패 1 | |
1997 | 13위 | 27 | 30 | 11 | - | 19 | 29 | 49 | -20 | 연장 승 2/PK 승 2/연장 패 2/PK 패 1 | ||
1998 | 10위 | 38 | 30 | 14 | - | 16 | 48 | 59 | -11 | 연장 승 2/PK 승 1/연장 패 1/PK 패 0 | ||
1999 | JFL | 4위 | 34 | 24 | 11 | 4 | 9 | 46 | 38 | 8 | 야마시타 토시아키 | 연장 승 3/연장 패 3 |
2000 | 3위 | 44 | 22 | 16 | 1 | 5 | 43 | 23 | 20 | 연장 승 5/연장 패 3 | ||
2001 | 5위 | 54 | 30 | 17 | 3 | 10 | 70 | 54 | 16 | |||
2002 | 10위 | 21 | 17 | 6 | 3 | 8 | 32 | 30 | 2 | |||
2003 | 12위 | 32 | 30 | 9 | 5 | 16 | 41 | 51 | -10 | |||
2004 | 16위 | 18 | 30 | 4 | 6 | 20 | 29 | 85 | -56 | |||
2005 | 14위 | 19 | 30 | 4 | 7 | 19 | 33 | 63 | -30 |
2. 2. FC 가리야 (2006년 ~ 현재)
2005년, 덴소 축구부가 폐부되면서 팀을 인수, 2006년에 클럽화와 함께 '''FC 가리야'''로 명칭을 변경했다.[6] 운영 주체는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개구리 스포츠 클럽'이 맡았다.2009년, 일본 풋볼 리그(JFL)에서 17위를 기록,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츠바이겐 가나자와에게 패배하며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2]
2015년,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에서 우승,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18년, 투자자이자 실업가인 나가세 하야토가 새로운 구단주로 취임했다.
2020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020에서 준우승, 12년 만에 JFL로 복귀했다.[12]
2021년, 운영 주체가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개구리 스포츠 클럽에서 '''미카와 베이 풋볼 클럽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4] J3리그 참가를 목표로 했으나,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021에서 패배, 다시 도카이 사회인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15]
2022년, 오부시를 새로운 홈 타운으로 추가했다.[17]
연도 | 소속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전사 준우승, 지역CL 3위 | ||
2019 | 우승 | 36 | 14 | 12 | 0 | 2 | 44 | 14 | 30 | 1회전 탈락 | 전사 베스트 8, 지역CL 1차 라운드 탈락 | ||
2020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으로 중지 | 현 예선 탈락 | 몬다 코지 | TSL 토너먼트 1부 우승, 지역CL 2위 | |||||||||
2021 | JFL | 17위 | 18 | 32 | 4 | 6 | 22 | 26 | 55 | -29 | 1회전 탈락 | 몬다 코지(-6월)/무라타 카즈히로 (8월-) | 승강전 탈락 |
2022 | 도카이 1부 | 우승 | 36 | 16 | 11 | 3 | 2 | 39 | 11 | 28 | 현 예선 탈락 | 무라타 카즈히로 | 지역CL 4위 |
2023 | 2위 | 33 | 14 | 10 | 3 | 1 | 27 | 9 | 18 | 이마이 마사타카 | 전사 우승, 지역CL 1차 라운드 탈락 | ||
2024 | 2위 | 31 | 14 | 10 | 1 | 3 | 29 | 14 | 15 | 모니와 테루유키 | 전사 4위, 지역CL 1차 라운드 탈락 | ||
3. 클럽 정보
3. 1. 경기장
FC 가리야는 주로 가리야 시립 육상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지만, 도요하시 시 이와타 종합구기장과 나고야 시 항만 축구장도 1년에 몇 차례 사용한다. 훈련은 덴소 이케다 공장 부지 내에 있는 덴소 이케다 공장 그라운드에서 진행하며, 일반에는 공개되지 않는다.
3. 2. 유니폼
FC 가리야의 유니폼은 빨간 띠(일본어로 ''아카 다스키'')가 특징이다. 이 디자인은 다이쇼 시대에 이 지역에 축구를 처음 도입한 아이치현립 가리야 고등학교 축구부의 디자인을 채택한 것으로, 가리야 축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유니폼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게시 위치 | 스폰서 명 | 표기 | 게시 연도 | 비고 |
가슴 | 스기 약국 | 스기 약국 | 2018년 - | 2018년에는 가슴과 소매 소매는 "약" 표기 |
---|---|---|---|---|
쇄골 | [https://www.inaki.co.jp/ 고무 이나키] | 고무 이나키 | 2021년 - | 오른쪽에 게시 |
[https://www.digitalwallet.co.jp/ 디지털 월렛] | Smiles | 2024년 - | 왼쪽에 게시 | |
등 상단 | [https://sanotokouten.co.jp/ 사노 도공점] | SANO | 2023년 - | |
등 하단 | [https://osuga-orthopaedics.com/ 의료법인 사단 오스가 병원 오스가 정형외과] | 오스가 정형외과 | 2024년 - | 2018년 - 2019년에는 등 하단 2020년에는 등 상단 |
소매 | 없음 | - | - | |
바지 앞면 | [https://www.unerry.co.jp/ unerry] | unerry | 2024년 - | |
바지 뒷면 | 없음 | - | - |
유니폼 공급 업체는 다음과 같다.
- 2002년: [https://ennerre.com/ 에네레]
- 2003년 - 2005년: 디아도라
- 2006년 - 2015년: 험멜
- 2016년 - 2018년: [https://www.duelo.jp/ 듀에로]
- 2019년 - 2022년: [https://bonera.jp/ 보네라]
- 2023년: 페널티
- 2024년 - : 스피다
3. 3. 클럽 컬러
FC 가리야의 유니폼은 빨간 띠(일본어로 아카 다스키/赤襷일본어)가 특징이다. 이 디자인은 원래 다이쇼 시대에 이 지역에 축구를 처음 도입한 가리야 고등학교 축구부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 때문에 빨간 띠는 가리야 축구의 상징적인 디자인으로 여겨진다. 클럽 컬러는 흰색, 빨간색이다.4. 선수 명단
2023년 8월 23일 기준 FC 가리야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 선수들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하나의 FIFA 회원국 국가대표팀에서만 뛸 수 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시라이 타카유키 | 시라이 다카유키/白井 貴之일본어 |
2 | DF | 오시마 료스케 | 오시마 료스케/大島 遼介일본어 |
3 | DF | 모니와 데루유키 | 모니와 데루유키/茂庭 照幸일본어 |
4 | MF | 하마다 유야 | 하마다 유야/浜田 祐也일본어 |
5 | MF | 이즈카 슈토 | 이즈카 슈토/飯塚 脩斗일본어 |
6 | DF | 이시다 카즈나리 | 이시다 가즈나리/石田 和成일본어 |
7 | MF | 오누마 타츠키 | 오누마 다쓰키/大沼 達輝일본어 |
8 | MF | 사이토 마사유키 | 사이토 마사유키/齋藤 将基일본어 |
9 | FW | 스즈키 나오토 | 스즈키 나오토/鈴木 直人일본어 |
10 | MF | 오자키 료 | 오자키 료/尾崎 僚일본어 |
11 | FW | 와타야 코헤이 | 와타야 고헤이/綿矢 航平일본어 |
13 | DF | 치시마 아오이 | 지시마 아오이/千島 葵일본어 |
14 | MF | 오자와 겐토 | 오자와 겐토/小澤 賢登일본어 |
15 | FW | 노무라 마사토 | 노무라 마사토/野村 政人일본어 |
16 | GK | 나리타 유세이 | 나리타 유세이/成田 雄聖일본어 |
17 | MF | 후쿠다 료 | 후쿠다 료/福田 凌일본어 |
18 | MF | 모치즈키 유신 | 모치즈키 유신/望月 湧心일본어 |
19 | DF | 아키모토 마나토 | 아키모토 마나토/秋本 愛斗일본어 |
20 | FW | 이토 유타카 | 이토 유타카/伊藤 豊일본어 |
21 | GK | 코지마 타쿠야 | 고지마 다쿠야/小島 拓也일본어 |
22 | DF | 이마사카 슌고 | 이마사카 슌고/今坂 駿吾일본어 |
23 | MF | 소노다 신이치로 | 소노다 신이치로/園田 真一郎일본어 |
24 | DF | 시라이 케이신 | 시라이 게이신/白井 恵新일본어 |
25 | DF | 니시카와 키미아키 | 니시카와 기미아키/西川 公章일본어 |
26 | MF | 키노시타 카이토 | 기노시타 가이토/木下 海斗일본어 |
28 | MF | 이이지마 렌 | 이이지마 렌/飯島 蓮일본어 |
29 | MF | 오토모 치히로 | 오토모 지히로/大友 千尋일본어 |
30 | MF | 카미야 료토 | 가미야 료토/神谷 椋士일본어 |
4. 1. 현재 선수 명단
FC 가리야의 현재 선수 명단은 2023년 8월 23일 기준이다.[3]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선수들은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한다. 선수들은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질 수 있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3 | DF | 모니와 데루유키 | 일본 |
참고: 위에 명시된 선수들 외에도, 시라이 타카유키(GK), 오시마 료스케(DF), 하마다 유야(MF), 이즈카 슈토(MF), 이시다 카즈나리(DF), 오누마 타츠키(MF), 사이토 마사유키(MF), 스즈키 나오토(FW), 오자키 료(MF), 와타야 코헤이(FW), 치시마 아오이(DF), 오자와 겐토(MF), 노무라 마사토(FW), 나리타 유세이(GK), 후쿠다 료(MF), 모치즈키 유신(MF), 아키모토 마나토(DF), 이토 유타카(FW), 코지마 타쿠야(GK), 이마사카 슌고(DF), 소노다 신이치로(MF), 시라이 케이신(DF), 니시카와 키미아키(DF), 키노시타 카이토(MF), 이이지마 렌(MF), 오토모 치히로(MF), 카미야 료토(MF) 등이 FC 가리야 선수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5. 역대 성적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사회인 선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