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디페르당주 0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디페르당주 03은 2003년 룩셈부르크 디페르당주 시의 FA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와 AS 디페르당주의 합병으로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룩셈부르크 컵에서 4회 우승했으며, 2023-24 시즌에는 룩셈부르크 내셔널 디비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1-12 UEFA 유로파 리그에서 3차 예선에 진출했고, 이후 유럽 대항전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 구단 - 죄네스 에슈
죄네스 에슈는 1907년 창단되어 룩셈부르크 내셔널 디비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룩셈부르크 컵에서도 13회 우승을 차지한 룩셈부르크 에슈-쉬르-알제트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 구단 - FC 프로그레스 니더코른
FC 프로그레스 니더코른은 룩셈부르크 니더코른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룩셈부르크 내셔널 디비전 3회 우승과 룩셈부르크 컵 5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여자팀은 다메스 리그 1에서 15회 우승한 최다 우승팀이다. - 룩셈부르크 축구에 관한 -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은 1909-10 시즌에 시작된 룩셈부르크 최상위 축구 리그로, F91 뒤들랑주와 주네스 에슈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16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하여 최하위 2팀은 강등, 14위 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룩셈부르크 축구에 관한 - 죄네스 에슈
죄네스 에슈는 1907년 창단되어 룩셈부르크 내셔널 디비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룩셈부르크 컵에서도 13회 우승을 차지한 룩셈부르크 에슈-쉬르-알제트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2003년 설립된 축구단 - 수원 FC
수원 FC는 2003년 수원시청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내셔널리그를 거쳐 K리그에 참가, K리그1에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수원 더비 등 다양한 경기를 치르고, 2010년 내셔널리그 우승을 포함한 컵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수원시 연고의 프로축구단이다. - 2003년 설립된 축구단 - FC 류큐
FC 류큐는 2003년 창단되어 오키나와현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오키나와 최초의 J리그 참가 클럽을 목표로 J3리그 우승 후 J2리그에 승격했으나 강등되었으며, 벵갈라 색상을 팀 컬러로 사용하고 오키나와현 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한다.
FC 디페르당주 03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Foussballclub Differdange 03 |
별칭 | 해당 없음 |
창단 | 2003년 |
홈구장 | Municipal Stadium vun der Stad Déifferdeng, 디페르당주 |
수용인원 | 3,800명 |
회장 | Fabrizio Bei |
감독 | Pedro Resende |
웹사이트 | FC Differdange 03 공식 웹사이트 |
클럽 통계 | |
리그 | BGL Ligue |
시즌 | 2023–24 |
순위 | 룩셈부르크 내셔널 디비전, 1위 (챔피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
기타 | |
프랑스어 표기 | FC Differdange 03 |
2. 역사
FC 디페르당주 03은 2003년 디페르당주 시의 두 클럽인 FA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와 AS 디페르당주가 합병하여 창단되었다. 합병 당시 레드 보이즈는 디비전 오브 아너 하위권에 머물렀고, AS는 룩셈부르크 축구 3부 리그에서 중위권에 있었다. 신생 클럽은 레드 보이즈의 리그 순위를 이어받았고, 2005-06 시즌에 1부 리그가 12개 클럽에서 14개 클럽으로 확장되면서 내셔널 디비전으로 승격되었다.[1]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는 과거 룩셈부르크 축구에서 가장 크고 성공적인 팀 중 하나였으며, 룩셈부르크 컵에서 다른 어떤 팀보다 많은 15회 우승을 차지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레드 보이즈는 스포라 룩셈부르크와 룩셈부르크 축구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는데, 1923년부터 1936년까지 13년 동안 13개의 트로피를 획득하며 더 성공적인 팀이었다.
2011-12 UEFA 유로파 리그에서 디페르당주 03은 레바디아 탈린을 합계 1-0으로 꺾고 대회 3차 예선에 진출했는데, 이는 룩셈부르크 클럽이 유럽 대회에서 거둔 역사적인 승리 중 하나였다.[3] 3차 예선에서 올림피아코스 볼루에 합계 6-0으로 패했지만, 올림피아코스 볼루가 부정부패 사건에 연루되면서 UEFA는 2011년 8월 11일 디페르당주가 파리 생제르맹과 맞붙는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하도록 결정했다.[3]
2012년 BGL 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며 부진한 시즌을 보낸 후, FCD03은 파올로 아모디오 감독을 면직하고, F91 뒤델랑주와 유네스 에슈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미셸 레플로크모안을 새 감독으로 임명했다.[4]
2012년 7월, FCD03은 유로파 리그 예선 1라운드에서 NSÍ 루나비크를 상대로 합계 6-0으로 승리하고, 2라운드에서 벨기에 클럽 헨트에 합계 2-4로 탈락했다. 2013년 7월에는 UEFA 유로파 리그 2차 예선에서 네덜란드 클럽 위트레흐트를 합계 5-4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2. 1. 합병 이전
FA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는 룩셈부르크 내셔널 디비전에서 7회 우승, 14회 준우승을 차지했고, 룩셈부르크 컵에서는 20회 우승(최다 우승)과 11회 준우승을 차지했다.2. 1. 1. FA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는 UEFA 유럽 클럽 대항전에 10번 진출했다.
대회 | 진출 횟수 | 시즌 |
---|---|---|
UEFA 챔피언스리그 | 1회 | 1979–80 |
UEFA 컵 위너스컵 | 3회 | 1972–73, 1982–83, 1985–86 |
UEFA컵 | 6회 | 1974–75, 1976–77, 1977–78, 1980–81, 1981–82, 1984–85 |
레드 보이스는 유럽 대회에서 1차전을 넘지 못했다. 1979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오모니아 니코시아를 상대로 1차전에서 2-1로 승리했지만, 키프로스에서 6-1로 패했다. 1984년 UEFA컵에서 아약스를 상대로 0-0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2차전에서 14-0으로 대패했는데, 이는 UEFA컵 기록으로 남아 있다.
2. 2. 합병 이후 (2003년 ~ 현재)
FC 디페르당주 03은 2003년 디페르당주 시의 두 클럽인 FA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와 AS 디페르당주가 합병하여 창단되었다.[1] 합병 당시 레드 보이즈는 디비전 오브 아너 하위권이었고, AS는 룩셈부르크 축구 3부 리그 중위권이었다.[1] 새 클럽은 레드 보이즈의 리그 순위를 이어받았고, 2005-06 시즌 1부 리그가 12개 클럽에서 14개 클럽으로 확장되면서 내셔널 디비전으로 승격되었다.[1]2011-12 UEFA 유로파 리그에서 디페르당주 03은 레바디아 탈린을 합계 1-0으로 꺾고 3차 예선에 진출했는데, 이는 룩셈부르크 클럽이 유럽 대회에서 거둔 역사적인 승리 중 하나였다.[3] 3차 예선에서 올림피아코스 볼루에 합계 6-0(1, 2차전 모두 3-0 패)으로 패했으나,[3] 올림피아코스 볼루가 부정부패 사건에 연루되면서 UEFA는 2011년 8월 11일 디페르당주가 파리 생제르맹과 맞붙는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하도록 결정했다.[3] 이는 룩셈부르크 클럽이 유럽 대회에서 도달한 최고 기록이었다.[3]
2012년 6월, BGL 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며 부진한 시즌을 보낸 후, FCD03은 파올로 아모디오 감독을 면직하고,[4] F91 뒤델랑주와 유네스 에슈에서 여러 차례 우승한 미셸 레플로크모안을 새 감독으로 임명했다.[4]
2012년 7월 5일과 12일, FCD03은 유로파 리그 예선 1라운드에서 NSÍ 루나비크를 상대로 합계 6-0(3-0, 3-0)으로 승리했다. 2라운드에서는 벨기에 클럽 헨트에 합계 2-4로 탈락했다.
2013년 7월 18일, UEFA 유로파 리그 2차 예선 1차전에서 네덜란드 클럽 위트레흐트를 2-1로 꺾었다. 오마르 에르 라피크가 두 골을 모두 넣었다. 2013년 7월 25일, 위트레흐트와의 2차전에서 3-3 무승부를 기록하며 위트레흐트를 UEFA 유로파 리그에서 탈락시켰다.
2. 3. 유럽 대회에서의 활약
FC 디페르당주 03은 2013–14 UEFA 유로파리그에서 합계 5–4로 위트레흐트를 꺾고 3차 예선에 진출하는 등 유럽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활약을 펼쳤다.FC 디페르당주 03의 유럽 대항전 통산 전적은 다음과 같다. (2013년 7월 26일 기준)
클럽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레드 보이스 디페르당주 | 20 | 1 | 1 | 18 | 8 | 103 | −95 |
FC 디페르당주 03 | 31 | 10 | 4 | 17 | 30 | 49 | −19 |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UEFA 챔피언스 리그 | 2 | 1 | 0 | 1 | 3 | 7 |
UEFA 컵 위너스 컵 | 6 | 0 | 0 | 6 | 2 | 28 |
UEFA컵/UEFA 유로파리그 | 28 | 6 | 4 | 18 | 23 | 94 |
UEFA 인터토토컵 | 2 | 0 | 0 | 2 | 0 | 5 |
시즌 | 대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2007 | UEFA 인터토토컵 | 1R | ŠK Slovan Bratislava|슬로반 브라티슬라바sk | 0–2 | 0–3 | 0–5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2Q | HNK Rijeka|리예카hr | 1–0 | 0–3 | 1–3 |
2010–11 | UEFA 유로파리그 | 2Q | FK Spartak Zlatibor Voda|스파르타크 즈라티보르 보다sr | 3–3 | 0–2 | 3–5 |
2011–12 | UEFA 유로파리그 | 2Q | FC Levadia Tallinn|레바디아 탈린et | 0–0 | 1–0 | 1–0 |
3Q | Olympiacos Volou 1937 F.C.|올림피아코스 볼루el | 0–3 | 0–3 | 0–6[1] | ||
PO[2] | Paris Saint-Germain F.C.|파리 생제르맹프랑스어 | 0–4 | 0–2 | 0–6 |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1Q | NSÍ Runavík|NSÍ 루나빅fo | 3–0 | 3–0 | 6–0 |
2Q | K.A.A. Gent|KAA 헨트nl | 0–1 | 2–3 | 2–4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1Q | KF Laçi|라치sq | 2–1 | 1–0 | 3–1 |
2Q | FC Utrecht|위트레흐트nl | 2–1 | 3–3 | 5–4 | ||
3Q | Tromsø IL|트롬쇠no | 1–0 | 0–1 | 1–1 (승부차기 3–4) | ||
2014–15 | UEFA 유로파리그 | 1Q | FK Atlantas|아틀란타스lt | 1–0 | 1–3 | 2–3 |
2015–16 | UEFA 유로파리그 | 1Q | Bala Town F.C.|발라 타운cy | 3–1 | 1–2 | 4–3 |
2Q | Trabzonspor|트라브존스포르tr | 1–2 | 0–1 | 1–3 | ||
2016–17 | UEFA 유로파리그 | 1Q | Cliftonville F.C.|클리프턴빌영어 | 1–1 | 0–2 | 1–3 |
2017–18 | UEFA 유로파리그 | 1Q | Zira FK|지라az | 1–2 | 0–2 | 1–4 |
2020–21 | UEFA 유로파리그 | 1Q | HŠK Zrinjski Mostar|즈린스키 모스타르bs | 0–3 |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Q | NK Olimpija Ljubljana|올림피야 류블랴나sl | 1–2 (aet) | 1–1 | 2–3 |
2023–24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Q | NK Maribor|마리보르sl | 1–1 | 3–4 (aet) | 4–5 |
rowspan="2"| | UEFA 챔피언스 리그 | 1Q | KÍ|KÍ 클락스비크fo | 0–0 | 0-2 | 0-2 |
UEFA 컨퍼런스 리그 | 2Q | FC Ordabasy|오르다바시kk | 1-0 | 3-4 | 4-4 (p. 3-4) |
FC 디페르당주 03은 2003년 창단 이후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과 룩셈부르크 컵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은 2006-07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의 리그 및 컵 대회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 참고
3. 역대 성적
시즌 디비전 컵 리그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2006-07 내셔널 디비전 3위 26 14 6 6 71 41 48 2007-08 내셔널 디비전 7위 26 11 2 13 43 43 35 2008-09 내셔널 디비전 2위 26 15 6 5 51 37 51 준결승 패배 2009-10 내셔널 디비전 4위 26 12 6 8 41 30 42 우승 2010-11 내셔널 디비전 4위 26 12 7 7 51 37 43 우승 2011-12 내셔널 디비전 4위 26 13 9 4 64 26 48 준결승 패배 2012-13 내셔널 디비전 4위 26 14 5 7 54 34 47 준우승 2013-14 내셔널 디비전 3위 26 17 0 9 53 23 51 우승 2014-15 내셔널 디비전 2위 26 18 5 3 61 31 59 우승 2015-16 내셔널 디비전 3위 26 17 4 5 63 32 55 6회전 패배 2016-17 내셔널 디비전 2위 26 20 5 1 65 21 65 8강 패배 2017-18 내셔널 디비전 5위 26 11 5 10 48 38 38 준결승 패배 2018-19 내셔널 디비전 5위 26 13 5 8 35 33 44 4회전 패배 2019-20 내셔널 디비전 3위 17 11 2 4 36 25 35 중지 2020-21 내셔널 디비전 2위 30 20 6 4 70 29 66 2021-22 내셔널 디비전 2위 30 19 5 6 58 28 62 4회전 패배 2022-23 내셔널 디비전 5위 30 14 3 13 60 43 45 2023-24 내셔널 디비전 1위 30 19 9 2 70 23 66
3. 1.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 시절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는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에서 7회 우승(1922–23, 1925–26, 1930–31, 1931–32, 1932–33, 1978–79, 2023-24)과 13회 준우승(1910–11, 1926–27, 1933–34, 1934–35, 1957–58, 1973–74, 1975–76, 1979–80, 1980–81, 1983–84, 1984–85, 2008–09, 2014–15)을 차지했다. 룩셈부르크 컵에서는 19회 우승(1924–25, 1925–26, 1926–27, 1928–29, 1929–30, 1930–31, 1933–34, 1935–36, 1951–52, 1952–53, 1957–58, 1971–72, 1978–79, 1981–82, 1984–85, 2009–10, 2010–11, 2013–14, 2014–15)과 11회 준우승(1923–24, 1931–32, 1934–35, 1947–48, 1949–50, 1954–55, 1969–70, 1976–77, 1985–86, 1989–90, 2012–13)을 기록했다.
레드 보이즈 디페르당주는 UEFA 유럽 클럽 대항전에 10번 진출했지만, 1차전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1979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오모니아 니코시아를 상대로 1차전에서 2-1로 승리했지만, 키프로스에서 6-1로 패했다. 1984년 UEFA컵에서는 아약스를 상대로 0-0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2차전에서 14-0으로 대패하며 UEFA컵 기록을 남겼다.
대회 | 단계 |
---|---|
UEFA 챔피언스리그 | 1라운드 (1979–80) |
UEFA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1972–73, 1982–83, 1985–86) |
UEFA컵 | 1라운드 (1974–75, 1976–77, 1977–78, 1980–81, 1981–82, 1984–85) |
3. 2. FC 디페르당주 03 (합병 이후)
'''레드 보이스 디페르당주''' 시절의 기록을 포함하여, 룩셈부르크 내셔널디비전에서 7회 우승(1922–23, 1925–26, 1930–31, 1931–32, 1932–33, 1978–79, 2023-24)과 13회 준우승(1910–11, 1926–27, 1933–34, 1934–35, 1957–58, 1973–74, 1975–76, 1979–80, 1980–81, 1983–84, 1984–85, 2008–09, 2014–15)을 기록했다. 룩셈부르크 컵에서는 19회 우승(1924–25, 1925–26, 1926–27, 1928–29, 1929–30, 1930–31, 1933–34, 1935–36, 1951–52, 1952–53, 1957–58, 1971–72, 1978–79, 1981–82, 1984–85, 2009–10, 2010–11, 2013–14, 2014–15)과 11회 준우승(1923–24, 1931–32, 1934–35, 1947–48, 1949–50, 1954–55, 1969–70, 1976–77, 1985–86, 1989–90, 2012–13)을 차지했다. 특히, 룩셈부르크 컵에서 2009-10, 2010-11, 2013-14, 2014-15 시즌에 우승하였다.4. 유럽 대항전 기록
FC 디페르당주 03은 2013–14 UEFA 유로파리그에서 합계 5–4로 위트레흐트를 꺾고 3차 예선에 진출했다.[1]
FC 디페르당주 03의 유럽 대항전 통산 전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UEFA 챔피언스 리그 | 2 | 1 | 0 | 1 | 3 | 7 |
UEFA 컵 위너스 컵 | 6 | 0 | 0 | 6 | 2 | 28 |
UEFA컵/UEFA 유로파리그 | 28 | 6 | 4 | 18 | 23 | 94 |
UEFA 인터토토컵 | 2 | 0 | 0 | 2 | 0 | 5 |
FC 디페르당주 03의 유럽 대항전 시즌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2007 | UEFA 인터토토컵 | 1R | Slovan Bratislava|슬로반 브라티슬라바sk | 0–2 | 0–3 | 0–5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2Q | HNK Rijeka|리예카hr | 1–0 | 0–3 | 1–3 |
2010–11 | UEFA 유로파리그 | 2Q | FK Spartak Zlatibor Voda|스파르타크 즈라티보르 보다sr | 3–3 | 0–2 | 3–5 |
2011–12 | UEFA 유로파리그 | 2Q | FC Levadia Tallinn|레바디아 탈린et | 0–0 | 1–0 | 1–0 |
3Q | Olympiacos Volou|올림피아코스 볼루el | 0–3 | 0–3 | 0–6[2] | ||
PO | Paris Saint-Germain F.C.|파리 생제르맹프랑스어 | 0–4 | 0–2 | 0–6 |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1Q | NSÍ Runavík|루나빅fo | 3–0 | 3–0 | 6–0 |
2Q | KAA Gent|헨트nl | 0–1 | 2–3 | 2–4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1Q | KF Laçi|라치sq | 2–1 | 1–0 | 3–1 |
2Q | FC Utrecht|위트레흐트nl | 2–1 | 3–3 | 5–4 | ||
3Q | Tromsø IL|트롬쇠no | 1–0 | 0–1 | 1–1 (p. 3–4) | ||
2014–15 | UEFA 유로파리그 | 1Q | FK Atlantas|아틀란타스lt | 1–0 | 1–3 | 2–3 |
2015–16 | UEFA 유로파리그 | 1Q | Bala Town F.C.|발라 타운cy | 3–1 | 1–2 | 4–3 |
2Q | Trabzonspor|트라브존스포르tr | 1–2 | 0–1 | 1–3 | ||
2016–17 | UEFA 유로파리그 | 1Q | Cliftonville F.C.|클리프톤빌영어 | 1–1 | 0–2 | 1–3 |
2017–18 | UEFA 유로파리그 | 1Q | Zira FK|지라az | 1–2 | 0–2 | 1–4 |
2020–21 | UEFA 유로파리그 | 1Q | HŠK Zrinjski Mostar|즈린스키 모스타르bs | 0–3 | 0–3 |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Q | NK Olimpija Ljubljana|올림피야 류블랴나sl | 1–2 | 1–1 | 2–3 |
2023–24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Q | NK Maribor|마리보르sl | 1–1 | 3–4 | 4–5 |
rowspan="2"| | UEFA 챔피언스 리그 | 1Q | KÍ Klaksvík|KÍfo | 0-0 | 0-2 | 0-2 |
UEFA 컨퍼런스 리그 | 2Q | FC Ordabasy|오르다바시kk | 1-0 | 3-4 | 4-4 (p. 3-4) |
: 2011-12 시즌 올림피아코스 볼루와 관련된 스캔들[2]로 인해 3차 예선에서 자격을 획득했다. 이후 승부 조작 연루로 올림피아코스 볼루가 실격되면서 UEFA는 디페르당주를 플레이오프에 진출시켰다.
5. 선수 명단
FC 디페르당주 03은 룩셈부르크의 축구 클럽으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임대 선수
- 루카스 타베이라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과거 선수
- 다비드 플로리발 (2016-2018)
- 플로랑 말루다 (2018)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3일 업데이트.''[1]포지션 | 국가 | 이름 |
---|---|---|
GK | Lëtzebuerg|뤽셈부르크LUX | 에반 다 코스타 |
DF | Brasil|브라질BRA | 치아고 프레이타스 (AVS에서 임대) |
MF | Lëtzebuerg|뤽셈부르크LUX | 케빈 단지코 |
DF | France|프랑스FRA | 테오 브루스코 |
MF | Portugal|포르투갈POR | 디오고 실바 |
FW | Lëtzebuerg|뤽셈부르크LUX | 아르투르 아브레우 |
MF | Lëtzebuerg|뤽셈부르크LUX | 파비오 세르퀘이라 |
FW | Deutschland|독일GER | 안드레아스 부흐 |
MF | France|프랑스FRA | 기욤 트라니 |
FW | Brasil|브라질BRA | 구스타보 시모에스 (Avai FC에서 임대) |
DF | Argentina|아르헨티나ARG | 후안 베두레 |
MF | Portugal|포르투갈POR | 조카 |
FW | Portugal|포르투갈POR | 알리손 코엘료 |
MF | France|프랑스FRA | 루도비치 라우흐 |
DF | Portugal|포르투갈POR | 곤살루 리샤 |
DF | Brasil|브라질BRA | 리첼미 |
DF | France|프랑스FRA | 제프리 프란조니 |
MF | Lëtzebuerg|뤽셈부르크LUX | 알린도 바르보사 |
FW | Portugal|포르투갈POR | 조르지뉴 |
GK | Portugal|포르투갈POR | 루이 니브라 |
DF | France|프랑스FRA | 딜런 르렝페러 |
FW | Nederland|네덜란드NED | 아담 엘 이드리시 |
MF | Portugal|포르투갈POR | 라파엘 리베이로 |
MF | Argentina|아르헨티나ARG | 안드레스 바스케토 |
MF | Brasil|브라질BRA | 레안드로 |
DF | Lëtzebuerg|뤽셈부르크LUX | 잔루카 베이 |
GK | Brasil|브라질BRA | 펠리페 |
MF | Portugal|포르투갈POR | 페드로 멘데스 알베스 |
5. 2. 임대 선수
- 루카스 타베이라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5. 3. 과거 선수
- 다비드 플로리발 2016-2018
- 플로랑 말루다 2018
6.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Pedro Resende|페드루 헤젠드pt |
수석 코치 | José Leiras|조제 레이라스pt |
골키퍼 코치 | Rúben Araújo|후벤 아라우주pt |
피트니스 코치 | Romain Cazzavenda|로맹 카차벤다프랑스어 |
7. 역대 감독
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
단 테이스 | Dan Theis|단 테이스lu | 2003년 11월 20일 ~ 2006년 6월 30일 |
롤랑 샤크 | Roland Schaack|롤랑 샤크lu | 2008년 7월 1일 ~ 2009년 6월 30일 |
단 테이스 | Dan Theis|단 테이스lu | 2009년 7월 1일 ~ 2011년 4월 10일 |
모리스 스피토니 (임시 감독) | Maurice Spitoni|모리스 스피토니lu | 2011년 4월 10일 ~ 2011년 6월 30일 |
파올로 아모디오 | Paolo Amodio|파올로 아모디오lu | 2011년 7월 1일 ~ 2012년 6월 30일 |
미셸 르 플로흐모앙 | Michel Le Flohic Moan|미셸 르 플로흐모앙프랑스어 | 2012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마르크 토메 | Marc Thomé|마르크 토메lu | 2014년 7월 1일 ~ 2016년 6월 30일 |
파스칼 카르자니가 | Pascal Carzaniga|파스칼 카르자니가프랑스어 | 2016년 7월 1일 ~ 2019년 |
참조
[1]
웹사이트
Kader
https://www.fcd03.lu[...]
2024-10-01
[2]
웹사이트
Stadien
https://www.fcd03.lu[...]
FCD03.lu
2019-02-13
[3]
문서
Luxembourg 2002/03
http://www.rsssf.com[...]
[4]
문서
Luxembourg 2005/06
http://www.rsssf.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