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장크트갈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장크트갈렌은 1879년 창단된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으로,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2회 우승(1903-04, 1999-2000)을 차지했다. 1969년 스위스컵 우승, 2019-20 시즌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카이분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유럽 대항전에도 여러 차례 참가했으며, 2013-14 시즌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장크트갈렌 - 키분파르크
키분파르크는 스위스 장크트갈렌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FC 장크트갈렌의 홈 구장이자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경기 장소이며, 2024년 Kybun AG와의 명명 권리 계약에 따라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UEFA 여자 유로 2025 경기장 중 하나이다. - 1879년 설립된 축구단 - 풀럼 FC
풀럼 FC는 1879년에 창단되어 현재 프리미어리그에 소속된 잉글랜드의 프로 축구 클럽이며, 1896년부터 크레이븐 코티지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2009-10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 1879년 설립된 축구단 - 스윈던 타운 FC
1879년 창단된 잉글랜드 프로 축구 클럽 스윈던 타운 FC는 1969년 리그 컵 우승으로 주요 국내 타이틀을 획득하고 2019-20 시즌 리그 2 챔피언에 오른 팀이며, 1896년부터 카운티 그라운드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스위스 슈퍼리그 구단 - FC 취리히
FC 취리히는 1896년 창단되어 스위스 슈퍼리그 13회 우승, 스위스컵 10회 우승을 기록한 스위스 명문 축구 클럽으로,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FC 바젤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유러피언컵 준결승 진출, 2000년대 리그 우승 등 부침을 겪으며 스위스 축구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스위스 슈퍼리그 구단 - FC 아라우
FC 아라우는 1902년 창단되어 스위스 챔피언십과 슈퍼리그 우승, 스위스컵 우승 등 여러 차례 국내 대회 우승을 경험한 스위스 축구 클럽으로, 현재는 챌린지리그에서 브룬넨베르그 스타디온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FC 장크트갈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푸스발클럽 장크트갈렌 1879 |
애칭 | 에스펜 |
창단 | 1879년 4월 19일 |
경기장 | 키분파르크, 장크트갈렌 |
수용 능력 | 19,694명 |
회장 | 마티아스 휘피 |
회장 직함 | 회장 |
감독 | 엔리코 마ßen |
리그 | 스위스 슈퍼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스위스 슈퍼리그, 12개 팀 중 5위 |
웹사이트 | FC 장크트갈렌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패턴 (상의) | _stgallen2425h |
홈 유니폼 패턴 (몸통) | _stgallen2425h |
홈 유니폼 패턴 (오른쪽 팔) | _stgallen2425h |
홈 유니폼 왼쪽 팔 색상 | FFFFFF |
홈 유니폼 몸통 색상 | 00821D |
홈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 | FFFFFF |
홈 유니폼 바지 색상 | 00821D |
홈 유니폼 양말 색상 | 00821D |
원정 유니폼 패턴 (상의) | _stgallen2425a |
원정 유니폼 패턴 (몸통) | _stgallen2425a |
원정 유니폼 패턴 (오른쪽 팔) | _stgallen2425a |
원정 유니폼 왼쪽 팔 색상 | 000000 |
원정 유니폼 몸통 색상 | 000000 |
원정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 | 000000 |
원정 유니폼 바지 색상 | 000000 |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 | 000000 |
2. 역사
1879년 4월 19일에 창단된 FC 장크트갈렌은 스위스 축구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클럽이다. 그러나 다른 클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장크트갈렌은 1903-04 시즌과 1999-2000 시즌에 두 번 스위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지만, 팀은 대부분 중위권에 머물렀다. 장크트갈렌은 2007-08 시즌과 2010-11 시즌 종료 시점에 두 번이나 2부 리그인 스위스 챌린지리그로 강등되었다. 스위스 슈퍼리그로 승격된 이후 지난 12년 동안 최상위 리그에 머물며 다시 중위권 클럽으로 자리 잡았다. 2019-20 시즌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비교적 작은 도시에 기반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크트갈렌은 홈 경기와 원정 경기 모두에서 뛰어난 응원을 받기로 유명하다. 2016년 FC 장크트갈렌은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으로서 클럽 오브 파이어니어스의 회원이 되었다.
시즌 | 리그전 | 스위스컵 | ||||||||
---|---|---|---|---|---|---|---|---|---|---|
디비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2003-04 | 스위스 슈퍼리그 | 36 | 14 | 8 | 14 | 54 | 57 | 50 | 5위 | 준결승 탈락 |
2004-05 | 34 | 8 | 12 | 14 | 51 | 60 | 36 | 7위 | 8강 탈락 | |
2005-06 | 36 | 11 | 7 | 18 | 51 | 56 | 40 | 6위 | 2라운드 탈락 | |
2006-07 | 36 | 14 | 13 | 9 | 47 | 44 | 55 | 5위 | 8강 탈락 | |
2007-08 | 36 | 9 | 7 | 20 | 39 | 69 | 34 | 9위 | 2라운드 탈락 | |
2008-09 | 스위스 챌린지리그 | 30 | 25 | 3 | 2 | 78 | 22 | 78 | 1위 | 8강 탈락 |
2009-10 | 스위스 슈퍼리그 | 36 | 13 | 7 | 16 | 53 | 56 | 46 | 6위 | 준결승 탈락 |
2010-11 | 36 | 8 | 7 | 21 | 34 | 67 | 31 | 10위 | 16강 | |
2011-12 | 스위스 챌린지리그 | 30 | 19 | 7 | 4 | 67 | 31 | 64 | 1위 | 8강 탈락 |
2012-13 | 스위스 슈퍼리그 | 36 | 17 | 8 | 11 | 54 | 36 | 59 | 3위 | 16강 |
2013-14 | 36 | 11 | 12 | 13 | 37 | 47 | 45 | 7위 | 8강 탈락 | |
2014-15 | 36 | 13 | 8 | 15 | 57 | 65 | 47 | 6위 | 준결승 탈락 | |
2015-16 | 36 | 10 | 8 | 18 | 41 | 66 | 38 | 7위 | 16강 | |
2016-17 | 36 | 11 | 8 | 17 | 43 | 57 | 41 | 7위 | 16강 | |
2017-18 | 36 | 14 | 3 | 19 | 52 | 72 | 45 | 5위 | 8강 탈락 | |
2018-19 | 36 | 13 | 7 | 16 | 49 | 58 | 46 | 6위 | 16강 | |
2019-20 | 36 | 21 | 5 | 10 | 79 | 56 | 68 | 2위 | 2라운드 탈락 | |
2020-21 | 36 | 11 | 11 | 14 | 45 | 48 | 44 | 7위 | 준우승 | |
2021-22 | 36 | 14 | 8 | 14 | 68 | 63 | 50 | 5위 | 준우승 | |
2022-23 | 36 | 11 | 12 | 13 | 66 | 52 | 45 | 6위 | 8강 탈락 | |
2023-24 | 38 | 16 | 9 | 13 | 60 | 51 | 57 | 5위 | 2라운드 탈락 |
2. 1. 창단 초기 (1879년 ~ 1910년대)
FC 장크트갈렌은 1879년 4월 19일에 창단된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이다. 클럽의 초기 역사는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았으며, 1896년에 이르러서야 첫 기록이 등장한다. 1903-04 시즌, 장크트갈렌은 스위스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첫 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1909-10 시즌, 장크트갈렌은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었다. FC 빈터투어와의 경기에서 1-0으로 패배한 후, 장크트갈렌은 승점 1점 차이로 FC 블루 스타스 취리히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클럽 내에서 분열이 발생했고, 일부 선수들이 탈퇴하여 FC 블루 스타스 취리히에 합류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2. 2. 중흥기와 침체기 (1920년대 ~ 1990년대)
FC 장크트갈렌은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중흥기와 침체기를 겪었다. 이 시기 동안 장크트갈렌은 리그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스위스컵에서도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시즌 | 리그전 | 스위스컵 | ||||||||
---|---|---|---|---|---|---|---|---|---|---|
디비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2003-04 | 스위스 슈퍼리그 | 36 | 14 | 8 | 14 | 54 | 57 | 50 | 5위 | 준결승 탈락 |
2004-05 | 34 | 8 | 12 | 14 | 51 | 60 | 36 | 7위 | 8강 탈락 | |
2005-06 | 36 | 11 | 7 | 18 | 51 | 56 | 40 | 6위 | 2라운드 탈락 | |
2006-07 | 36 | 14 | 13 | 9 | 47 | 44 | 55 | 5위 | 8강 탈락 | |
2007-08 | 36 | 9 | 7 | 20 | 39 | 69 | 34 | 9위 | 2라운드 탈락 | |
2008-09 | 스위스 챌린지리그 | 30 | 25 | 3 | 2 | 78 | 22 | 78 | 1위 | 8강 탈락 |
2009-10 | 스위스 슈퍼리그 | 36 | 13 | 7 | 16 | 53 | 56 | 46 | 6위 | 준결승 탈락 |
2010-11 | 36 | 8 | 7 | 21 | 34 | 67 | 31 | 10위 | 16강 | |
2011-12 | 스위스 챌린지리그 | 30 | 19 | 7 | 4 | 67 | 31 | 64 | 1위 | 8강 탈락 |
2012-13 | 스위스 슈퍼리그 | 36 | 17 | 8 | 11 | 54 | 36 | 59 | 3위 | 16강 |
2013-14 | 36 | 11 | 12 | 13 | 37 | 47 | 45 | 7위 | 8강 탈락 | |
2014-15 | 36 | 13 | 8 | 15 | 57 | 65 | 47 | 6위 | 준결승 탈락 | |
2015-16 | 36 | 10 | 8 | 18 | 41 | 66 | 38 | 7위 | 16강 | |
2016-17 | 36 | 11 | 8 | 17 | 43 | 57 | 41 | 7위 | 16강 | |
2017-18 | 36 | 14 | 3 | 19 | 52 | 72 | 45 | 5위 | 8강 탈락 | |
2018-19 | 36 | 13 | 7 | 16 | 49 | 58 | 46 | 6위 | 16강 | |
2019-20 | 36 | 21 | 5 | 10 | 79 | 56 | 68 | 2위 | 2라운드 탈락 | |
2020-21 | 36 | 11 | 11 | 14 | 45 | 48 | 44 | 7위 | 준우승 | |
2021-22 | 36 | 14 | 8 | 14 | 68 | 63 | 50 | 5위 | 준우승 | |
2022-23 | 36 | 11 | 12 | 13 | 66 | 52 | 45 | 6위 | 8강 탈락 | |
2023-24 | 38 | 16 | 9 | 13 | 60 | 51 | 57 | 5위 | 2라운드 탈락 |
2. 3. 콜러 감독 시대와 두 번째 리그 우승 (1999년 ~ 2001년)
마르셀 콜러 감독은 1999년 7월 FC 장크트갈렌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1999-2000 시즌, 장크트갈렌은 전반기에 해당하는 1, 2 라운드에서 14승 5무 3패(승점 47점)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이어진 3, 4 라운드에서 7승 3무 4패(승점 24점)를 기록, 최종 순위 1위를 차지하며 1903-04 시즌 이후 96년 만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2000-01 시즌, 장크트갈렌은 UEFA 챔피언스리그 3차 예선에서 갈라타사라이 SK에 합계 3-4로 패배하였다. 이후 UEFA컵 1라운드에서 클뤼프 브뤼허 KV에 합계 2-3으로 패하며 유럽 대항전을 마무리했다. 리그에서는 전반기 1, 2 라운드에서 10승 8무 4패(승점 38점)로 3위를 기록했고, 3, 4 라운드에서 5승 5무 4패(승점 20점)로 최종 3위를 기록했다. 콜러 감독은 2002년 1월, 독일 분데스리가의 1. FC 쾰른으로 자리를 옮겼다.
2. 4. 2000년대 이후 (2002년 ~ 현재)
2003-04 시즌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5위를 기록하고, 스위스컵에서는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2004-05 시즌에는 리그 7위,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05-06 시즌에는 리그 6위, 스위스컵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06-07 시즌 리그 5위,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07-08 시즌에는 리그 9위를 기록하여 스위스 챌린지리그로 강등되었고, 스위스컵에서는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2008-09 시즌 스위스 챌린지리그에서 30경기 25승 3무 2패, 승점 78점으로 1위를 기록하여 스위스 슈퍼리그로 승격했고,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09-10 시즌 스위스 슈퍼리그 6위, 스위스컵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2010-11 시즌에는 리그에서 10위를 기록하여 다시 스위스 챌린지리그로 강등되었고, 스위스컵 16강에서 탈락했다. 2011-12 시즌 스위스 챌린지리그에서 1위를 기록하며 다시 스위스 슈퍼리그로 승격했고,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12-13 시즌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3위를 기록했고, 스위스컵 16강에서 탈락했다. 2013-14 시즌 리그 7위,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14-15 시즌 리그 6위, 스위스컵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2015-16 시즌 리그 7위, 스위스컵 16강에서 탈락했다. 2016-17 시즌 리그 7위, 스위스컵 16강에서 탈락했다. 2017-18 시즌 리그 5위,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18-19 시즌 리그 6위, 스위스컵 16강에서 탈락했다. 2019-20 시즌 리그 2위를 기록하였고, 스위스컵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20-21 시즌 리그 7위, 스위스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1-22 시즌 리그 5위, 스위스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2-23 시즌 리그 6위, 스위스컵 8강에서 탈락했다. 2023-24 시즌에는 리그 5위를 기록했고, 스위스컵에서는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3. 경기장
FC 장크트갈렌은 홈 경기를 카이분파크에서 치른다. 이 경기장은 19,694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도시 서쪽에 위치해 있다. 이 경기장은 동쪽에 있던 이전 에스펜모스 경기장을 대체했다.
4. 대한민국과의 관계
5. 우승 기록
-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 2회 (1903–1904, 1999-2000)
- 스위스컵: 우승 1회 (1969), 준우승 3회 (1945, 1977, 1998)
- 스위스 챌린지리그: 우승 1회 (2009)
- 스위스 리그 컵: 우승 1회 (1978), 준우승 1회 (1982)
- 앵글로 컵: 준우승 1회 (1910)
5. 1. 국내 대회
FC 장크트갈렌은 스위스 슈퍼리그에서 2회 우승(1903–04, 1999-2000)하였다. 2019-20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스위스 챌린지리그에서는 1970-71, 2008-09, 2011-12 시즌에 우승했다. 1967-68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스위스컵에서는 1968-69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44-45, 1976-77, 1997-98, 2020-21, 2021-22 시즌에는 준우승에 머물렀다. 스위스 리그컵에서는 1977-78 시즌 우승, 1981-82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다.5. 2. 기타 대회
앵글로컵에서 1910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6. 선수 명단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30일 기준)
2024년 8월 30일 기준 FC 장크트갈렌의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1 | GK | 로렌스 아티-지기 |
3 | DF | 무사 누후 |
4 | DF | 요조 스타니치 |
5 | DF | 스테판 암브로시우스 |
7 | MF | 크리스티안 비치히 |
8 | MF | 호르디 킨틸라 |
9 | FW | 빌렘 게벨스 |
10 | FW | 차드라크 아콜로 |
11 | FW | 무스타파 시세 (아탈란타 BC에서 임대) |
13 | MF | 그레고리 칼렌 |
14 | MF | 노아 야니크 |
15 | DF | 압둘라예 디아비 |
16 | MF | 루카스 괴틀러 (주장) |
18 | FW | 펠릭스 맘빔비 |
20 | DF | 알베르트 발치 |
22 | DF | 콘라드 파버 |
23 | MF | 베팀 파즐리유 |
24 | MF | 바스티앙 토마 |
25 | GK | 루카스 바트코비악 |
28 | DF | 위고 반데르메르쉬 |
30 | MF | 빅토르 루이스 |
35 | GK | 벨라 둠라트 |
36 | DF | 치마 오코로지 |
63 | MF | 코르신 코니에츠케 |
64 | MF | 미하일로 스테바노비치 |
70 | MF | 노아 프로브스트 |
77 | FW | 케빈 초보트 |
90 | FW | 요반 밀로셰비치 (슈투트가르트에서 임대) |
참고: 선수 국적 표기는 FIFA의 규정에 따른 대표 자격 규칙에 근거한다.
6. 2. 임대 선수
등번호 | 포지션 | 선수명 | 비고 |
---|---|---|---|
베하르 네지리/Behar Nezirikvx | MFmul | 빌에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
제이슨 파렌테/Jason Parentede | MFmul | 빌에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
린돈 이비시/Lindon Ibishide | FWmul | 린트 04에서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대 | |
니콜라이 묄러 | FWmul | 스트룀스고드세트에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
4 | MFmul | 마지드 아시메루 | 레드불 잘츠부르크에서 임대 |
5 | DFmul | 레오넬 모세비치 |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에서 임대 |
14 | MFmul | 뱅상 시에로 | 프라이부르크에서 임대 |
27 | FWmul | 시모네 랩 | FC 로잔 스포르에서 임대 |
93 | MFmul | 악셀 모하메드 바카요코 | 인테르에서 임대 |
33 | DFmul | 무사 누후 | 웨스트 아프리칸 풋볼 아카데미에서 임대 |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릅니다.
6. 3. 영구 결번
7.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잭 레이놀즈/Jack Reynoldsde | 1912–14 |
윌리엄 타운리/William Townleyde | 1920 |
레오폴트 그룬드발트/Leopold Grundwaldde | 1922 |
윌리엄 타운리/William Townleyde | 1923–25 |
지미 타운리/Jimmy Townleyde | 1945–49 |
로버트 켈리/Bob Kellyde | 1949–51 |
프리츠 커/Fritz Kerrde | 1952–54 |
오토 피스터/Otto Pfisterde | 1963–66 |
버질 포페스쿠/Virgil Popescuro | 1966–67 |
르네 브로드만/René Brodmannde | 1967–68 |
알베르트 징/Albert Singde | 1968–70 |
젤코 페루시치/Željko Perušićsr | 1970–74 |
헬무트 요한센/Helmut Johannsende | 1981년 7월 1일 – 1985년 6월 30일 |
베르너 올크/Werner Olkde | 1985–86 |
우베 클리마셰프스키/Uwe Klimaschefskide | 1986년 7월 1일 – 1987년 3월 1일 |
쿠르트 야라/Kurt Jarade | 1988년 7월 1일 – 1991년 10월 1일 |
우베 라폴더/Uwe Rapolderde | 1993년 7월 1일 – 1996년 4월 10일 |
베르너 쥔트/Werner Zündde (임시) | 1996년 4월 11일 – 1996년 4월 25일 |
로저 헤기/Roger Hegide | 1996년 4월 26일 – 1998년 12월 31일 |
마르셀 콜러/Marcel Kollerde | 1999년 1월 1일 – 2001년 12월 31일 |
제라르 카스텔라/Gérard Castellade | 2002년 2월 20일 – 2002년 9월 15일 |
토마스 슈타우프/Thomas Staubde (임시) | 2002년 9월 20일 – 2002년 12월 9일 |
하인츠 파이슐/Heinz Peischlde | 2003년 3월 1일 – 2005년 4월 8일 |
베르너 쥔트/Werner Zündde (임시) | 2004년 4월 29일 – 2005년 5월 30일 |
르네 바일러/René Weilerde (임시) | 2005년 4월 13일 – 2005년 4월 29일 |
랄프 루즈/Ralf Loosede | 2005년 7월 1일 – 2006년 4월 10일 |
베르너 쥔트/Werner Zündde (임시) | 2006년 4월 10일 – 2006년 4월 12일 |
롤프 프링거/Rolf Fringerde | 2006년 4월 12일 – 2007년 10월 8일 |
크라시미르 발라코프/Krasimir Balakovbg | 2007년 10월 29일 – 2008년 6월 30일 |
울리 포르테/Uli Fortede | 2008년 7월 1일 – 2011년 3월 1일 |
조르지오 콘티니 /로저 쥐르허/Roger Zürcherde (임시) | 2011년 3월 1일 – 2011년 3월 7일 |
제프 사이베네/Jeff Saibenelb | 2011년 3월 7일 – 2015 |
요제프 진바우어/Josef Zinnbauerde | 2015년 9월 16일 – 2017년 5월 4일 |
조르지오 콘티니/Giorgio Continide | 2017년 5월 4일 – 2018년 4월 1일 |
페터 자이들러/Peter Zeidlerde | 2018년 6월 18일–2024 |
엔리코 마르센/Enrico Maaßende | 2024- |
8. 유럽 대항전 기록
FC 장크트갈렌은 1969-70 시즌 UEFA 컵 위너스컵에 처음 참가하여 1라운드에서 BK 프렘을 상대로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승리했으나, 2라운드에서 레프스키 소피아에 패배했다. 이후 1983-84 시즌과 1985-86 시즌 UEFA컵에 참가했지만,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1998년에는 UEFA 인터토토컵에 참가하여 1라운드에서 빌얀디 JK 툴레비크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패배했다. 2000-01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 진출했으나 갈라타사라이에 패배하여 UEFA컵으로 무대를 옮겼고, 1라운드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연출했지만, 2라운드에서 클럽 브뤼헤에 패배했다.
2001-02 시즌 UEFA컵에서는 예선 라운드와 1라운드를 통과했으나, 2라운드에서 프라이부르크에 패배했다. 2002년과 2007년에는 UEFA 인터토토컵에 참가했으나, 각각 2라운드에서 빌럼 II, 다치아 키시나우에 패배했다.
2013-14 시즌에는 UEFA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꺾고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나, A조에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이후 2018-19 시즌과 2020-21 시즌 UEFA 유로파리그 예선에 참가했지만, 각각 2차 예선과 3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가장 최근인 2024-25 시즌에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 3차 예선, 플레이오프를 거쳐 리그 단계에 진출했으나, 피오렌티나와 세르클레 브뤼헤에 패배하고, 라르네에 승리하는 등 리그 단계에서 경기를 진행 중이다.
2024년 11월 7일 기준, FC 장크트갈렌의 유럽 대항전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률 |
---|---|---|---|---|---|---|---|---|
유러피언컵 / 챔피언스리그 | 2 | 0 | 1 | 1 | 3 | 4 | -1 | 00.00 |
컵 위너스컵 | 4 | 1 | 1 | 2 | 2 | 6 | -4 | 25.00 |
UEFA컵 / UEFA 유로파리그 | 25 | 8 | 4 | 13 | 28 | 42 | -14 | 32.00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9 | 4 | 2 | 3 | 16 | 16 | 0 | 44.44 |
UEFA 인터토토컵 | 10 | 6 | 1 | 3 | 24 | 10 | +14 | 60.00 |
47 | 18 | 9 | 20 | 67 | 67 | 0 | 38.30 |
참조
[1]
웹사이트
Jakob Rudolf Forster: Schwul und laut im 19. Jahrhundert
https://www.srf.ch/k[...]
2024-12-04
[2]
웹사이트
Know About FC Saint Gallen
https://www.asmonaco[...]
[3]
웹사이트
"1. Mannschaft {{!}} Saison 2022/23"
https://www.fcsg.ch/[...]
FC St. Gallen
2022-08-02
[4]
웹사이트
Kader
http://www.fcsg.ch/t[...]
fcsg.ch
2013-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