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제스타포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제스타포니는 1937년 창단된 조지아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시절에는 메탈루르기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1990년 조지아 독립 이후 마르그베티로 이름을 변경했다가 재정 문제로 해산되었고, 2004년 현재의 FC 제스타포니로 재창단되었다.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두 차례 우승(2010-11, 2011-12)을 차지했으며, 사카르트벨로스 타시에서 한 번, 사카르트벨로스 수페르타시에서 두 번 우승했다. 2015년 승부 조작 사건으로 리그에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FC 제스타포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표기 | |
애칭 | 제스타, 페로엘레비 (페로인), 마르그벨레비 (마르그베트인) |
창단 | 2004년 |
홈타운 | 제스타포니 |
경기장 | 다비드 아바시드 경기장 |
수용 인원 | 4,558명 |
대표 | 이리아 코카이아 |
감독 | 기오르기 미카제 |
웹사이트 | FC 제스타포니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정보 | |
리그 | 우마글레시리가 |
2012-13 시즌 | 5위 |
2. 역사
1937년 5월 10일에 개최된 회의에서 축구 클럽 창설이 결정되었고, 이름은 메탈루르기(''Metallurgi'')로 결정되었다. 클럽은 1938년부터 1989년까지 우마글레시 리가 (소련 시대)에 정기적으로 참가했다. 1962년에는 사카르트벨로스 타시 (소련 시대)에서 우승했고, 1967년과 1970년, 1982년에는 리그 2위를 차지했다.
조지아 축구 연맹이 소비에트 연방 축구 연맹에서 탈퇴하여 독립적인 조지아 축구 연맹이 설립된 1990년, 마르그베티(''Margveti'')가 창설되었다. 클럽은 1995-96 시즌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2위를 차지했고, 1996-97 UEFA컵에 출전했다. 마르그베티는 재정 문제로 1998년에 해산되었다가 1999년에 메탈루르기라는 클럽명으로 부활했지만, 2004년에 다시 해산되었다.
2004년 6월 18일, 제스타포니(''Zestafoni'')가 창설되었다. 2008년, 독립 후 사카르트벨로스 타시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0-11 시즌에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11-12 시즌에는 2연패를 달성했다. 2011년과 2012년의 사카르트벨로스 스페르타시에서도 우승했다.
2015년 4월 19일, 제스타포니는 소속 선수에게 승부 조작을 제안한 사건을 이유로 경기를 기권했다. 그 결과, 클럽은 조지아 축구 연맹에 의해 2014-15 시즌의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제외되어 강등되었다.
2. 1. 창단과 소련 시절 (1937-1989)
1937년 5월 10일에 개최된 회의에서 축구 클럽 창설이 결정되었고, 이름은 메탈루르기(''Metallurgi'')로 결정되었다. 클럽은 1938년부터 1989년까지 우마글레시 리가 (소련 시대)에 정기적으로 참가했다. 1962년에는 사카르트벨로스 타시 (소련 시대)에서 우승했고, 1967년과 1970년, 1982년에는 리그 2위를 차지했다.2. 2. 조지아 독립 이후 (1990-현재)
조지아 축구 연맹이 소비에트 연방 축구 연맹에서 탈퇴하여 독립적인 조지아 축구 연맹이 설립된 1990년, 마르그베티(''Margveti'')가 창설되었다. 클럽은 1995-96 시즌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2위를 차지했고, 1996-97 UEFA컵에 출전했다. 마르그베티는 재정 문제로 1998년에 해산되었다가 1999년에 메탈루르기라는 클럽명으로 부활했지만, 2004년에 다시 해산되었다.2004년 6월 18일, 제스타포니(''Zestafoni'')가 창설되었다. 2008년, 독립 후 사카르트벨로스 타시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0-11 시즌에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11-12 시즌에는 2연패를 달성했다. 2011년과 2012년의 사카르트벨로스 스페르타시에서도 우승했다.
2015년 4월 19일, 제스타포니는 소속 선수에게 승부 조작을 제안한 사건을 이유로 경기를 기권했다. 그 결과, 클럽은 조지아 축구 연맹에 의해 2014-15 시즌의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제외되어 강등되었다.
2. 3. 클럽 명칭 변천
1937년 창단 당시 클럽 명칭은 메탈루르기 제스타포니(Metallurgi Zestafoni)였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는 마르그베티 제스타포니(Margveti Zestafoni)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1999년에 다시 메탈루르기 제스타포니로 변경되었다가, 2004년부터 현재의 FC 제스타포니(Football Club Zestafoni)로 확정되었다.3. 역대 성적
FC 제스타포니는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2회(2010-11, 2011-12) 우승하였고, 사카르트벨로스 타시에서 1회(2007-08), 사카르트벨로스 수페르타시에서 2회(2011, 2012) 우승하였다.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사카르트벨로스 타시 |
---|---|---|---|---|---|---|---|---|---|---|---|
2004-05 | 우마글레시 리가 | 5위 | 36 | 16 | 5 | 15 | 38 | 48 | -10 | 53 | 준우승 |
2005-06 | 4위 | 30 | 18 | 7 | 5 | 44 | 22 | +22 | 61 | 준우승 | |
2006-07 | 4위 | 26 | 16 | 9 | 1 | 55 | 11 | +44 | 57 | 준우승 | |
2007-08 | 3위 | 26 | 18 | 5 | 3 | 56 | 16 | +40 | 59 | 우승 | |
2008-09 | 4위 | 30 | 16 | 4 | 10 | 43 | 27 | +16 | 52 | ||
2009-10 | 3위 | 36 | 19 | 10 | 7 | 58 | 33 | +25 | 67 | ||
2010-11 | 1위 | 36 | 24 | 6 | 6 | 72 | 19 | +53 | 78 | ||
2011-12 | 1위 | 28 | 16 | 7 | 5 | 52 | 28 | +24 | 55 | 준우승 | |
2012-13 | 5위 | 32 | 12 | 6 | 14 | 35 | 38 | -3 | 42 | ||
2013-14 | 2위 | 32 | 19 | 5 | 8 | 48 | 23 | +25 | 62 | ||
2014-15 | 16위 | 30 | 6 | 8 | 16 | 40 | 61 | -21 | 26 |
3. 1. 리그
FC 제스타포니는 우마글레시 리가에서 2회(2010-11, 2011-12) 우승하였고, 사카르트벨로스 타시에서 1회(2007-08), 사카르트벨로스 수페르타시에서 2회(2011, 2012) 우승하였다.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사카르트벨로스 타시 |
---|---|---|---|---|---|---|---|---|---|---|---|
2004-05 | 우마글레시 리가 | 5위 | 36 | 16 | 5 | 15 | 38 | 48 | -10 | 53 | 준우승 |
2005-06 | 4위 | 30 | 18 | 7 | 5 | 44 | 22 | +22 | 61 | 준우승 | |
2006-07 | 4위 | 26 | 16 | 9 | 1 | 55 | 11 | +44 | 57 | 준우승 | |
2007-08 | 3위 | 26 | 18 | 5 | 3 | 56 | 16 | +40 | 59 | 우승 | |
2008-09 | 4위 | 30 | 16 | 4 | 10 | 43 | 27 | +16 | 52 | ||
2009-10 | 3위 | 36 | 19 | 10 | 7 | 58 | 33 | +25 | 67 | ||
2010-11 | 1위 | 36 | 24 | 6 | 6 | 72 | 19 | +53 | 78 | ||
2011-12 | 1위 | 28 | 16 | 7 | 5 | 52 | 28 | +24 | 55 | 준우승 | |
2012-13 | 5위 | 32 | 12 | 6 | 14 | 35 | 38 | -3 | 42 | ||
2013-14 | 2위 | 32 | 19 | 5 | 8 | 48 | 23 | +25 | 62 | ||
2014-15 | 16위 | 30 | 6 | 8 | 16 | 40 | 61 | -21 | 26 |
3. 2. 컵 대회
FC 제스타포니는 사카르트벨로스 타시에서 1회 우승(2007-08)과 3회 준우승(2004-05, 2005-06, 2006-07)을 기록했다. 2011-12 시즌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사카르트벨로스 수페르타시에서는 2011년과 2012년에 우승했다.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사카르트벨로스 타시 |
---|---|---|---|---|---|---|---|---|---|---|---|
2004-05 | 우마글레시 리가 | 5위 | 36 | 16 | 5 | 15 | 38 | 48 | -10 | 53 | 준우승 |
2005-06 | 4위 | 30 | 18 | 7 | 5 | 44 | 22 | +22 | 61 | 준우승 | |
2006-07 | 4위 | 26 | 16 | 9 | 1 | 55 | 11 | +44 | 57 | 준우승 | |
2007-08 | 3위 | 26 | 18 | 5 | 3 | 56 | 16 | +40 | 59 | 우승 | |
2008-09 | 4위 | 30 | 16 | 4 | 10 | 43 | 27 | +16 | 52 | ||
2009-10 | 3위 | 36 | 19 | 10 | 7 | 58 | 33 | +25 | 67 | ||
2010-11 | 1위 | 36 | 24 | 6 | 6 | 72 | 19 | +53 | 78 | ||
2011-12 | 1위 | 28 | 16 | 7 | 5 | 52 | 28 | +24 | 55 | 준우승 | |
2012-13 | 5위 | 32 | 12 | 6 | 14 | 35 | 38 | -3 | 42 | ||
2013-14 | 2위 | 32 | 19 | 5 | 8 | 48 | 23 | +25 | 62 | ||
2014-15 | 16위 | 30 | 6 | 8 | 16 | 40 | 61 | -21 | 26 |
4. 선수 명단
2015년 3월 5일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른다.
등번호 | 포지션 | 선수명 |
---|---|---|
1 | GK | 다비드 쿠파타제 |
2 | DF | 다비드 무티브리슈빌리 |
3 | DF | 다비드 모시제 |
5 | DF | 미리안 로바키제 |
6 | MF | 게오르게 바사제 |
7 | MF | 다비드 라즈하마슈빌리 |
8 | MF | 이바네 하베라슈빌리 |
9 | MF | 뎀루 칸델라키 |
10 | FW | 기오르기 일리제 |
11 | MF | 아르칠 메스히 |
13 | GK | 니카 자라그호니아 |
14 | MF | 노다르 가체칠라제 |
17 | MF | 이라클리 시하르리제 |
18 | DF | 다비드 로마이아 |
20 | FW | 마테 크빌크비아 |
21 | MF | 미헤일 바차라제 |
22 | DF | 필즈 마라크벨리제 |
25 | MF | 바자 네므사제 |
28 | GK | 기아 마하타제 |
32 | MF | 파블레 호르구아슈빌리 |
33 | DF | 오타르 히자네이슈빌리 |
37 | DF | 기오르기 치플라제 |
70 | MF | 게오르게 베리제 |
77 | DF | 라샤 무체드리슈빌리 |
80 | MF | 즈비아드 시하를리아 |
88 | DF | 말하즈 가고시제 |
99 | MF | 그람 삼시아 |
분류:FC 제스타포니의 축구 선수에서 FC 제스타포니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4. 1. 역대 선수
FC 제스타포니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에 대한 내용은 분류:FC 제스타포니의 축구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5. 역대 감독
자자 그리엘리제는 2004년에 FC 제스타포니의 감독을 맡았다. 이후 테이무라즈 마하라제가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감독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코바 조르지카슈빌리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테이무라즈 마하라제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다시 감독을 맡았다. 2006년에는 코바 조르지카슈빌리가 다시 감독직을 수행했고, 메라브 코추라슈빌리가 이어서 감독을 맡았다. 테이무라즈 마하라제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다시 한번 감독을 역임했다.
기아 게그차제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감독을 맡았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기오르기 치아브리슈빌리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2012년에는 다비트 무지리와 자자 잠타라제가 공동 감독을 맡았다. 카하베르 카차라바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감독을 역임했다. 라트코 도스타니치는 2013년에 감독을 맡았다. 기아 게그차제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다시 감독직을 수행했다. 2015년부터는 기오르기 미카제가 감독을 맡고 있다.
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