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는 1961년 스트로이텔 사란스크로 창단되어, 여러 차례 팀명 변경을 거쳐 200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2010년 러시아 1부 리그로 승격하여 2012-13 시즌에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2014-15 시즌에 다시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으나, 2016-17 시즌 이후 프로 지위를 잃었다. 2012년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 모르도비야 아레나
모르도비야 아레나는 러시아 사란스크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2018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수용 인원이 감소할 예정이다.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레오니트 페둔
레오니트 페둔은 러시아의 기업인으로,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최고 책임자를 역임했으며, 루코일 부사장으로 활동하다가 회장직에서 사임하고 지분을 매각했다.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루즈니키 스타디움
루즈니키 스타디움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국립 경기장으로, 과거 레닌 중앙 경기장으로 불렸으며 올림픽, UEFA컵,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FIFA 월드컵 등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한 곳이다. - 1961년 설립된 축구단 - 온세 칼다스
온세 칼다스는 1959년 창단된 콜롬비아 축구 클럽으로, 200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차지했으며 팔로그란데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데포르테스 킨디오와 라이벌 관계이다. - 1961년 설립된 축구단 - 레바디아코스 FC
레바디아코스 FC는 1961년 창단된 그리스의 축구 클럽으로, 1987년 처음 1부 리그로 승격한 후 여러 차례 상위 리그와 하위 리그를 오가며 경쟁하다 2011-12 시즌에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인 7위를 기록했다.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명칭 | FC 모르도비야 |
전체 명칭 | 푸트볼니 클룹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Football Club Mordovia Saransk) |
별칭 | '크라스노-벨로-시니예 (The Red-White-Blue)' '모르드바 (Mordovians)' |
창단 | 1961년 |
해체 | 2020년 |
홈 경기장 | 모르도비야 아레나 |
수용 규모 | 44,442석 |
회장 | 니콜라이 레빈 |
감독 | 마라트 무스타핀 |
웹사이트 |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
색상 | 적자색, 흰색, 청색 |
2019–20 시즌 정보 | |
리그 | 러시아 축구 내셔널 리그 |
시즌 | 2019–20 |
순위 | FNL, 20위 (강등)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는 여러 차례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
기간 | 구단명 |
---|---|
1961년 | 스트로이텔 사란스크 (Stroitel Saranskru) |
1962년-1971년 | 스파르타크 사란스크 (Spartak Saranskru) |
1972년-1979년 | 엘렉트로스베트 사란스크 (Elektrosvet Saranskru) |
1980년-2002년 | 스베토테흐니카 사란스크 (Svetotekhnika Saranskru) |
2003년-2004년 | 리스마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Lisma-Mordovia Saranskru) |
2005년-현재 |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Mordovia Saranskru) |
2. 1. 창단 초기 (1961-1980)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는 1961년 스트로이텔 사란스크 (Stroitel Saranskru)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1962년부터 1971년까지는 스파르타크 사란스크 (Spartak Saranskru)로, 1972년부터 1979년까지는 엘렉트로스베트 사란스크 (Elektrosvet Saranskru)로 불렸다.[1]2. 2. 스베토테흐니카 사란스크 시대 (1980-2002)
1980년부터 2002년까지 스베토테흐니카 사란스크 (Svetotekhnika Saransk)라는 명칭을 사용했다.2. 3. 리스마-모르도비야와 모르도비야 (2003-현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리스마 모르도비야 사란스크'''(Lisma-Mordovia Saransk)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2005년부터 '''모르도비야 사란스크'''(Mordovia Saransk)로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1] 2010년 러시아 1부 리그로 승격했으며, 2012년 5월 8일 홈에서 신니크 야로슬라블을 2-0으로 꺾고 1라운드를 남겨둔 채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012-13 시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1] 그러나 한 시즌 만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2014-15 시즌에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하여 8위를 기록했으나, 2015-16 시즌 이후 다시 강등되었다.[1] 2016-17 시즌 말에는 2년 연속으로 세 번째 등급인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2018-19 시즌에 한 시즌 만에 다시 2부 리그로 복귀했다.[1]2020년 6월 18일, 구단 이사 니콜라이 레빈은 구단이 2020-21 시즌 FNL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했으며, 어느 리그에서 뛰게 될지 결정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1] 결국 구단은 2020-21 러시아 프로 축구 리그에도 참가하지 못하여 프로 지위를 잃었다.[1]
3. 구단 명칭 변천사
기간 | 구단 명칭 |
---|---|
1961년 | 스트로이텔 사란스크 (Stroitel Saransk) |
1962년-1971년 | 스파르타크 사란스크 (Spartak Saransk) |
1972년-1979년 | 엘렉트로스베트 사란스크 (Elektrosvet Saransk) |
1980년-2002년 | 스베토테흐니카 사란스크 (Svetotekhnika Saransk) |
2003년-2004년 | 리스마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Lisma-Mordovia Saransk) |
2005년-현재 | 모르도비야 사란스크 (Mordovia Saransk) (비오히미크-모르도비야와 합병) |
4. 선수단
2015년 2월 4일 기준으로, 선수단에는 러시아 선수 뿐 아니라 여러 국가 출신의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는 러시아를 비롯하여 구 소련 국가,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함께 뛰었던 팀이다. 이들 중에는 모르도비야에서 활약하는 동안 자국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한 선수들도 있다.
4. 1. 1군 명단 (2015년 2월 4일 기준)
ФК Мордовия Саранскru의 1군 명단은 다음과 같다 (2015년 2월 4일 기준).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안톤 코첸코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4 | DF | 이고리 시토프 | Беларусь|벨라루시be |
5 | DF | 빅토르 바신 | Россия|로시야ru |
6 | MF | 밋헐 도날트 | Nederland|네덜란드nl |
7 | FW | 다미앵 르 탈렉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8 | MF | 안톤 보뵤르 | Россия|로시야ru |
9 | MF | 루스템 무하멧신 | Россия|로시야ru |
10 | MF | 다닐루 소자 캄푸스 | België|벨기에be |
11 | MF | 드미트리 시수예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12 | DF | 블라디미르 보조비치 | Црна Гора|츠르나고라sr |
13 | FW | 미하일 마르킨 | Россия|로시야ru |
16 | FW | 야니크 드잘로 | Portugal|포르투갈pt |
17 | DF | 아슬란 두디예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18 | DF | 바예 이브라히마 니아세 | 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 |
23 | FW | 루슬란 무하멧신 | Россия|로시야ru |
24 | MF | 알렉산드루 수보로브 | Moldova|몰도바ro |
25 | GK | 일리에 체바누 | Moldova|몰도바ro |
32 | DF | 마르코 로미치 | Србија|세르비야sr |
33 | GK | 데니스 셰바노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40 | DF | 밀란 페렌디야 | Србија|세르비야sr |
48 | FW | 예브게니 루첸코 | Россия|로시야ru |
55 | DF | 루슬란 나후셰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84 | MF | 올레크 블라소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88 | MF | 알렉세이 이바노프 | Россия|로시야ru |
91 | MF | 로렌조 에베실리오 | Nederland|네덜란드nl |
99 | FW | 파벨 이그나토비치 | Россия|로시야ru |
4. 2. 유명 선수
예브게니 알도닌, 안톤 보보르, 드미트리 키리첸코, 키릴 판첸코, 빅토르 바신, 올레크 베레텐니코프 등 러시아 출신 선수들과, 아르투르 사르키소프|Արթուր Սարկիսովhy, 다비드 유르첸코|Դավիթ Յուրչենկոhy (아르메니아), 이고르 시토프|Ігар Шытаўbe (벨라루스), 아카키 후부티아|აკაკი ხუბუტიაka, 마무카 코바히제|მამუკა კობახიძეka, 누크리 레비슈빌리|ნუკრი რევიშვილიka (조지아), 비탈리 아브라모프|Виталий Абрамовkk, 알렉세이 뮬다로프|Алексей Мулдаровkk, 예브게니 타라소프|Евгений Тарасовkk, 세르게이 주넨코|Сергей Жуненкоkk (카자흐스탄), 다리우스 마추레비치우스|Darius Maciulevičiuslt (리투아니아), 일리 체바누|Ilie Cebanuro, 율리안 에르한|Iulian Erhanro, 알렉산드루 수보로프|Alexandru Suvorovro (몰도바), 아르템 나자로프|Artýom Nazarowtk (투르크메니스탄), 알렉산드르 사윤|Aleksandr Sayunuz (우즈베키스탄) 등 구 소련 국가 출신 선수들이 FC 모르도비야 사란스크에서 활약했다.아프리카 출신으로는 엘리제|Elisée프랑스어 (코트디부아르), 이바히마 니아세|Ibrahima Niasse프랑스어 (세네갈)가 있었다.
유럽 출신으로는 다닐루|Danilonl (벨기에), 토미슬라브 두이모비치|Tomislav Dujmovićhr (크로아티아), 블라디미르 보조비치|Владимир Божовићme (몬테네그로), 로렌조 에베실리오|Lorenzo Ebecilionl (네덜란드), 야니크 잘로|Yannick Djalópt (포르투갈), 다니엘 오프리차|Daniel Oprițaro (루마니아), 마르코 로미치|Марко Ломићsr, 알렉산다르 심체비치|Александар Симчевићsr, 밀란 페렌디야|Милан Перендијаsr (세르비아), 보루트 셈러|Borut Semlersl, 달리보르 스테바노비치|Dalibor Stevanovićsl, 달리보르 볼라시|Dalibor Volašsl (슬로베니아) 선수들이 있었다.
남아메리카 출신으로는 게르손 아세베도|Gerson Acevedoes (칠레), 미첼 도날드|Mitchell Donaldnl (수리남)가 있었다.
이들 중 굵게 표시된 선수들은 모르도비야에서 활약하는 동안 자국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한 선수들이다.
5.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Dorinel Munteanu|도리넬 문테아누ro | 2012년 ~ 2013년 |
유리 우트킨 | 2005년 3월 ~ 12월 8일 |
표도르 셰르바첸코 | 2009년 1월 1일 ~ 2012년 11월 19일 |
블라디미르 비비코프 (감독 대행) | 2012년 11월 20일 ~ 2012년 12월 28일 |
Dorinel Munteanu|도리넬 문테아누ro | 2012년 12월 29일 ~ 2013년 7월 30일 |
세르게이 포드팔리 | 2013년 7월 1일 ~ 2013년 8월 9일 |
마라트 무스타핀 | 2013년 8월 9일 ~ 2013년 8월 21일 |
Юрій Максимов|유리 막시모프uk | 2013년 8월 21일 ~ 2014년 5월 18일 |
유리 쇼민 | 2014년 5월 27일 ~ 2015년 5월 30일 |
6. 성적
시즌 | 리그 | 러시아 컵 | 최고 득점자 | 감독 | |||||||||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이름 | 리그 | |||
2009 | 3부 | 1위 | 30 | 24 | 5 | 1 | 68 | 13 | 77 | 8강 | 드미트리 시수예프 | 14 | F.슈체르바첸코 |
2010 | 2부 | 6위 | 38 | 16 | 10 | 12 | 53 | 40 | 58 | 32강 | 루슬란 무하메트신 | 13 | F.슈체르바첸코 |
2011–12 | 1위 | 52 | 29 | 13 | 10 | 91 | 56 | 100 | 32강 | 루슬란 무하메트신 | 31 | F.슈체르바첸코 | |
2012–13 | 1부 | 15위 | 30 | 5 | 5 | 20 | 30 | 57 | 20 | 16강 | 루슬란 무하메트신 | 11 | F.슈체르바첸코 / V.비비코프 / D.문테아누 |
2013–14 | 2부 | 1위 | 36 | 22 | 7 | 7 | 59 | 30 | 73 | 16강 | 알렉세이 이바노프 | 11 | S.포드팔리 / M.무스타핀 / Y.막시모프 |
2014–15 | 1부 | 8위 | 30 | 11 | 5 | 14 | 22 | 43 | 38 | 8강 | 마르코 로미치 | 3 | Y.세민 |
2015–16 | 16위 | 30 | 4 | 12 | 14 | 30 | 50 | 24 | 32강 | 예브게니 루첸코 | 10 | A.고르데예프 / M.무스타핀 | |
2016–17 | 2부 | 17위 | 38 | 11 | 7 | 20 | 39 | 50 | 40 | 16강 | 아르투르 사르키소프 파벨 데오발트 | 5 | align=center| |
- '''PFL컵'''
우승 (1): 2009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우승 (2): 2011–12, 2013–14
7. 역대 리그 순위
시즌 | 리그 | 러시아 컵 | 최고 득점자 | 감독 | |||||||||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이름 | 리그 | |||
2009 | 3부 | 1위 | 30 | 24 | 5 | 1 | 68 | 13 | 77 | 8강 | 드미트리 시수예프 | 14 | F.슈체르바첸코 |
2010 | 2부 | 6위 | 38 | 16 | 10 | 12 | 53 | 40 | 58 | 32강 | 루슬란 무하메트신 | 13 | F.슈체르바첸코 |
2011–12 | 1위 | 52 | 29 | 13 | 10 | 91 | 56 | 100 | 32강 | 루슬란 무하메트신 | 31 | F.슈체르바첸코 | |
2012–13 | 1부 | 15위 | 30 | 5 | 5 | 20 | 30 | 57 | 20 | 16강 | 루슬란 무하메트신 | 11 | F.슈체르바첸코 / V.비비코프 / D.문테아누 |
2013–14 | 2부 | 1위 | 36 | 22 | 7 | 7 | 59 | 30 | 73 | 16강 | 알렉세이 이바노프 | 11 | S.포드팔리 / M.무스타핀 / Y.막시모프 |
2014–15 | 1부 | 8위 | 30 | 11 | 5 | 14 | 22 | 43 | 38 | 8강 | 마르코 로미치 | 3 | Y.세민 |
2015–16 | 16위 | 30 | 4 | 12 | 14 | 30 | 50 | 24 | 32강 | 예브게니 루첸코 | 10 | A.고르데예프 / M.무스타핀 | |
2016–17 | 2부 | 17위 | 38 | 11 | 7 | 20 | 39 | 50 | 40 | 16강 | 아르투르 사르키소프 파벨 데오발트 | 5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