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크라스노다르는 2008년 창단된 러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구단주이자 창립자는 세르게이 갈리츠키이다. 2008년 러시아 2부 리그에 참가하여 프로 자격을 획득했으며, 2011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13-14 시즌 러시아 컵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4-15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를 통과하기도 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2023-24 시즌에는 준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FC 크라스노다르 - 알렉세이 이오노프 알렉세이 이오노프는 러시아 킨기세프 출신의 축구 선수로, 윙어와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며 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소속으로 뛰고,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하여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에 참가한 바 있다.
FC 크라스노다르 - 예고르 바부린 예고르 바부린은 러시아의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동하며 FC 루빈 카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로스토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여러 러시아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FC 로스토프와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속으로 러시아 컵과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러시아 축구에 관한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러시아 축구에 관한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세르게이 갈리츠키는 러시아 축구 발전에 헌신한 공로로 러시아 축구 연합으로부터 포상을 받은 러시아 사업가이며, FC 크라스노다르의 구단주이자 창립자이다.[5]
2008년 2월, FC 크라스노다르는 프로 자격을 획득하여 러시아 2부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첫 공식 경기는 FC 니카 크라스니 술린과의 경기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당시 감독은 블라디미르 볼체크였다. FC 크라스노다르는 2008년 2부 리그 시즌에서 3위를 기록했다. 비록 3위는 리그 승격이 보장되지 않지만, SKA 로스토프와 스포르타카뎀클루브가 2009년 1부 리그 참가를 거부하면서, FC 크라스노다르는 PFL로부터 1부 리그 참가 초청을 받았다.[6]
승격 후, 구단은 누르비이 하쿠노프를 감독으로 임명했다. 크라스노다르는 1부 리그 데뷔 시즌을 10위로 마쳤다. 다음 시즌, FC 크라스노다르는 세르게이 타슈예프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2010년 6월 12일, FC 쿠반과의 첫 크라스노다르 더비 경기가 열렸으나 0-3으로 패배했다. 두 번째 경기에서도 0-1로 패배했지만,[7] 팀의 전체적인 성적은 전년도에 비해 향상되어 최종 순위는 5위를 기록했다.
2010년 12월, FC 크라스노다르는 세르비아 출신 감독 슬라볼류브 무슬린과 계약을 맺었다.[8] 다음 시즌 시작 전, FC 크라스노다르는 리그 5위로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투른 라멘스코예, 니즈니 노브고로드, KAMAZ가 재정 문제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참가를 거부하면서 승격 기회를 얻었다.[8] 2011년 1월 25일, 프리미어 리그 위원회는 FC 사투른을 FC 크라스노다르로 대체하기로 결정했다.[8]
프리미어 리그 승격 이후, 팀은 엇갈린 성적을 거두었다. CSKA 모스크바와의 두 경기는 모두 무승부로, 전력 차이를 고려하면 성공적인 결과였다.[9] 그러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두 경기에서는 각각 4-0, 2-4로 패하며 8골을 내줬다.[9]FC 쿠반과의 경기는 모스크바 연고 클럽을 제외한 최초의 프리미어 리그 더비였으며, 첫 경기에서 FC 크라스노다르가 1-0으로 승리했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는 FC 쿠반이 2-0으로 승리했다.[9] 구단주 세르게이 갈리츠키는 팀 성과에 만족하면서도, 팬들을 매료시키는 경기 방식을 추구하며, 비싼 선수 영입보다는 "단계별" 발전을 강조했다.[9] FC 크라스노다르는 2011-12 시즌을 리그 9위로 마쳤다.
2012-13 시즌 팀의 두 번째 시즌은 덜 성공적이었고, 리그 10위로 마감했다.[10] 이사회는 슬라볼류브 무슬린 감독과의 계약을 해지했는데, 무슬린은 구단의 투자 중단을 해고 이유로 주장했다.[11]
2013년 8월 11일, 올레그 코노노프가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2013-14 시즌을 앞두고 아리, 아르투르 젭제이치크, 안드레아스 그란크비스트를 영입하여 선수단을 강화했다.[12] 이러한 선수단 변화는 구단에게 프리미어 리그 상위 5위 안에 드는 성적을 안겨주었고, 2014-15 시즌에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UEFA 유로파 리그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또한 러시아 컵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승부차기 끝에 로스토프에게 패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실라마에 칼레프, 디오스죄르, 레알 소시에다드를 꺾고 유로파 리그 예선 세 단계를 통과했다. 이후 팀은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릴, 볼프스부르크, 에버턴과 함께 H조에 배정되었고, 결국 3위로 시즌을 마쳤다.
다음 해 크라스노다르는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두 번째로 진출했다. 도르트문트, PAOK, 가발라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모든 홈 경기에서 승리했고,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1-0으로 승리했다. 4승 1무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32강에 진출했으나, 스파르타 프라하에 합계 0-4로 패했다.
시즌
디비전
컵
리그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2008
2부 남부
3위
34
22
6
6
60
23
72
—
2009
1부
10위
38
14
10
14
50
47
52
128강
2010
1부
5위
38
17
10
11
60
44
61
32강
2011-12
프리미어 리그
9위
44
16
13
15
58
61
61
32강
2012-13
프리미어 리그
10위
30
12
6
12
45
39
42
16강
2013-14
프리미어 리그
5위
30
15
5
10
46
39
50
준우승
2014-15
프리미어 리그
3위
30
17
9
4
52
27
60
16강
2015-16
프리미어 리그
4위
30
16
8
6
54
25
56
준결승 탈락
2016-17
프리미어 리그
4위
30
12
13
5
40
22
49
8강 탈락
2017-18
프리미어 리그
4위
30
16
6
8
46
30
54
5라운드 탈락
2018-19
프리미어 리그
3위
30
16
8
6
55
23
56
8강 탈락
2019-20
프리미어 리그
3위
30
14
10
6
49
30
52
32강
2020-21
프리미어 리그
위
30
16강
2. 1. 창단 초기 (2008-2010)
2008년 2월, FC 크라스노다르는 프로 자격을 획득하여 러시아 2부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첫 공식 경기는 FC 니카 크라스니 술린과의 경기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당시 감독은 블라디미르 볼체크였다.
FC 크라스노다르는 2008년 2부 리그 시즌에서 3위를 기록했다. 비록 3위는 리그 승격이 보장되지 않지만, SKA 로스토프와 스포르타카뎀클루브가 2009년 1부 리그 참가를 거부하면서, FC 크라스노다르는 PFL로부터 1부 리그 참가 초청을 받았다.[6]
승격 후, 구단은 누르비이 하쿠노프를 감독으로 임명했다. 크라스노다르는 1부 리그 데뷔 시즌을 10위로 마쳤다.
다음 시즌, FC 크라스노다르는 세르게이 타슈예프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2010년 6월 12일, FC 쿠반과의 첫 크라스노다르 더비 경기가 열렸으나 0-3으로 패배했다. 두 번째 경기에서도 0-1로 패배했지만,[7] 팀의 전체적인 성적은 전년도에 비해 향상되어 최종 순위는 5위를 기록했다.
2. 2. 프리미어 리그 승격과 성장 (2011-2016)
2010년 12월, FC 크라스노다르는 세르비아 출신 감독 슬라볼류브 무슬린과 계약을 맺었다.[8] 다음 시즌 시작 전, FC 크라스노다르는 리그 5위로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투른 라멘스코예, 니즈니 노브고로드, KAMAZ가 재정 문제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참가를 거부하면서 승격 기회를 얻었다.[8] 2011년 1월 25일, 프리미어 리그 위원회는 FC 사투른을 FC 크라스노다르로 대체하기로 결정했다.[8]
프리미어 리그 승격 이후, 팀은 엇갈린 성적을 거두었다. CSKA 모스크바와의 두 경기는 모두 무승부로, 전력 차이를 고려하면 성공적인 결과였다.[9] 그러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두 경기에서는 각각 4-0, 2-4로 패하며 8골을 내줬다.[9]FC 쿠반과의 경기는 모스크바 연고 클럽을 제외한 최초의 프리미어 리그 더비였으며, 첫 경기에서 FC 크라스노다르가 1-0으로 승리했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는 FC 쿠반이 2-0으로 승리했다.[9] 구단주 세르게이 갈리츠키는 팀 성과에 만족하면서도, 팬들을 매료시키는 경기 방식을 추구하며, 비싼 선수 영입보다는 "단계별" 발전을 강조했다.[9] FC 크라스노다르는 2011-12 시즌을 리그 9위로 마쳤다.
2012-13 시즌 팀의 두 번째 시즌은 덜 성공적이었고, 리그 10위로 마감했다.[10] 이사회는 슬라볼류브 무슬린 감독과의 계약을 해지했는데, 무슬린은 구단의 투자 중단을 해고 이유로 주장했다.[11]
2013년 8월 11일, 올레그 코노노프가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2013-14 시즌을 앞두고 아리, 아르투르 젭제이치크, 안드레아스 그란크비스트를 영입하여 선수단을 강화했다.[12] 이러한 선수단 변화는 구단에게 프리미어 리그 상위 5위 안에 드는 성적을 안겨주었고, 2014-15 시즌에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UEFA 유로파 리그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또한 러시아 컵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승부차기 끝에 로스토프에게 패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실라마에 칼레프, 디오스죄르, 레알 소시에다드를 꺾고 유로파 리그 예선 세 단계를 통과했다. 이후 팀은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릴, 볼프스부르크, 에버턴과 함께 H조에 배정되었고, 결국 3위로 시즌을 마쳤다.
다음 해 크라스노다르는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두 번째로 진출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PAOK, 가발라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모든 홈 경기에서 승리했고,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1-0으로 승리했다. 4승 1무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32강에 진출했으나, 스파르타 프라하에 합계 0-4로 패했다.
2. 3. 유럽 무대 도전과 새로운 홈구장 (2016-2022)
2. 4. 최근의 발전과 미래 (2023-현재)
2. 5. 역대 리그 순위
올레그 코노노프/올레그 코노노프be
2014-15
1부
3위
30
17
9
4
52
27
60
R16
EL GS
마우리시오 페레이라/마우리시오 페레이라es
9
올레그 코노노프/올레그 코노노프be
2015-16
1부
4위
30
16
8
6
54
25
56
SF
EL R32
표도르 스몰로프/표도르 스몰로프ru
20
올레그 코노노프/올레그 코노노프be
2016-17
1부
4위
30
12
13
5
40
22
49
QF
EL R16
표도르 스몰로프/표도르 스몰로프ru
18
올레그 코노노프/올레그 코노노프be 이고르 샬리모프/이고르 샬리모프ru
2017-18
1부
4위
30
16
6
8
46
30
54
R32
EL PO
표도르 스몰로프/표도르 스몰로프ru
14
이고르 샬리모프/이고르 샬리모프ru 무라드 무사예프/무라드 무사예프ru (임시)
2018-19
1부
3위
30
16
8
6
55
23
56
QF
EL R16
빅토르 클라에손/빅토르 클라에손sv
12
세르게이 마트베예프/세르게이 마트베예프ru 무라드 무사예프/무라드 무사예프ru (임시)
2019-20
1부
3위
30
14
10
6
49
30
52
R32
CL PO EL GS
마르쿠스 베리/마르쿠스 베리sv
9
무라드 무사예프/무라드 무사예프ru
2020-21
1부
10위
30
12
5
13
52
45
41
R16
CL GS EL R32
마르쿠스 베리/마르쿠스 베리sv
9
무라드 무사예프/무라드 무사예프ru 빅토르 곤차렌코/빅토르 곤차렌코be
2021-22
1부
4위
30
14
8
8
42
30
50
R32
—
에두아르드 스페르츠얀/에두아르드 스페르츠얀hy
8
빅토르 곤차렌코/빅토르 곤차렌코be 다니엘 파르케/다니엘 파르케de 알렉세이 안토뉴크/알렉세이 안토뉴크ru (임시) 알렉산드르 스토로주크/알렉산드르 스토로주크ru
2022-23
1부
6위
30
13
9
8
62
46
48
준우승
—
존 코르도바/존 코르도바es
14
알렉산드르 스토로주크/알렉산드르 스토로주크ru 블라디미르 이비치/블라디미르 이비치sr
2023-24
1부
2위
30
16
8
6
45
29
56
Regions QF Stage1
—
존 코르도바/존 코르도바es
15
블라디미르 이비치/블라디미르 이비치sr 무라드 무사예프/무라드 무사예프ru
3. 경기장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
FC 크라스노다르가 공식 경기를 처음 치른 경기장은 크라스노다르 시 남부에 위치한 3,000석 규모의 트루드 스타디움이다.[25] 2008년 2부 리그에서 활동하던 당시 사용되었다.[26] 1부 리그 승격 후, 2009년 FC 크라스노다르는 쿠반 스타디움으로 이전해야 했다.
2013년 FC 크라스노다르는 35,074석 규모의 자체 경기장 건설을 시작했다. 영국 및 독일 회사에서 설계하였으며, 예상 비용은 2억 유로이다. 국제 경기 개최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경기장 내부에는 카페, 클럽 상점, 박물관, 나이트클럽, 여러 연회장, 피트니스룸, 비즈니스 클럽 및 어린이 놀이방이 위치할 예정이다.[27]
3. 1.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
FC 크라스노다르가 공식 경기를 처음 치른 경기장은 크라스노다르 시 남부에 위치한 3,000석 규모의 트루드 스타디움이다.[25] 2008년 2부 리그에서 활동하던 당시 사용되었다.[26] 1부 리그 승격 후, 2009년 FC 크라스노다르는 쿠반 스타디움으로 이전해야 했다.
2013년 FC 크라스노다르는 35,074석 규모의 자체 경기장 건설을 시작했다. 영국 및 독일 회사에서 설계하였으며, 예상 비용은 2억 유로이다. 국제 경기 개최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경기장 내부에는 카페, 클럽 상점, 박물관, 나이트클럽, 여러 연회장, 피트니스룸, 비즈니스 클럽 및 어린이 놀이방이 위치할 예정이다.[27]
세르게이 갈리츠키와 콘스텔 그룹(Constell Group)이 FC 크라스노다르의 구단주이다.
기간
구단주
2008년–현재
세르게이 갈리츠키 와 콘스텔 그룹(Constell Group)
기간
유니폼 제조사
기간
스폰서
2008년–2016년
카파(Kappa)
2011년–2013년
홈 크레딧(Home Credit)
2013년–2014년
Westa
2014년–2022년
Zott
2016년–2022년
푸마(Puma)
5. 1. 소유 구조
세르게이 갈리츠키와 콘스텔 그룹(Constell Group)이 FC 크라스노다르의 구단주이다.
기간
구단주
2008년–현재
세르게이 갈리츠키 와 콘스텔 그룹(Constell Group)
5. 2. 유니폼 스폰서
wikitable
기간
유니폼 제조사
기간
스폰서
구단주
2008년–2016년
카파(Kappa)
2011년–2013년
홈 크레딧(Home Credit)
세르게이 갈리츠키 와 콘스텔 그룹(Constell Group)
2013년–2014년
Westa
2014년–2022년
Zott
2016년–2022년
푸마(Puma)
6. 유소년 시스템
FC 크라스노다르는 러시아의 크라스노다르 지방과 아디게야 공화국의 20개 도시에 걸쳐 유소년 축구 학교 네트워크를 소유하고 있다.[30] 주요 학교는 크라스노다르 동부에 위치해 있다. 아카데미 인프라에는 10개의 축구 경기장, 3,000석 규모의 경기장, 의료 재활 센터, 수영장, 사우나, 체육관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식당, 강당, 사무실, 학생 부모를 위한 호텔 객실도 있다.[31]
구단주 세르게이 갈리츠키는 FC 크라스노다르 선수단의 대다수를 지역 출신 선수로 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는 지역 유소년 선수 육성을 통해 장기적으로 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을 높이려는 구단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32]
6. 1. 유소년 아카데미
FC 크라스노다르는 크라스노다르 지방과 아디게야 공화국의 20개 도시에 걸쳐 유소년 축구 학교 네트워크를 소유하고 있다.[30] 주요 학교는 크라스노다르 동부에 위치해 있다. 아카데미 인프라에는 10개의 축구 경기장, 3,000석 규모의 경기장, 의료 재활 센터, 수영장, 사우나, 체육관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식당, 강당, 사무실, 학생 부모를 위한 호텔 객실도 있다.[31]
구단주 세르게이 갈리츠키는 FC 크라스노다르 선수단의 대다수를 지역 출신 선수로 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32]
7. 유럽 대항전 기록
2014년 7월 17일, FC 크라스노다르는 UEFA 유로파 리그에서 처음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에스토니아 클럽 실라매 칼레브와 대결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4-0으로 승리했다. 이 두 팀 간의 두 번째 경기에서도 크라스노다르가 승리했으며, 점수는 5-0이었다. 다음 라운드에서 FC 크라스노다르는 디외슈죄르를 만나 각각 5-1, 3-0의 점수로 두 경기를 모두 이겼다.
플레이오프 라운드 추첨에서 FC 크라스노다르는 시드를 받지 못해 훨씬 강한 상대인 스페인 클럽 레알 소시에다드를 만나게 되었다. 이 클럽과의 첫 번째 경기는 1-0으로 패했으나, FC 크라스노다르는 두 번째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여 대회의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이듬해, 크라스노다르는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두 번째로 진출했다. 그들의 조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PAOK, 가발라로 구성되었다. 그들은 모든 홈 경기에서 승리했으며,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그들은 4승(도르트문트전 1-0, PAOK전 2-1, 가발라전 2-1 및 3-0), 1무(PAOK전 0-0) 및 1패(도르트문트전 1-2)로 조 1위를 차지했다. 그들은 32강으로 진출하여 스파르타 프라하와 맞붙게 되었다. 그들은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패했고, 홈 경기에서 3-0으로 패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2019-20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서 포르투를 상대로 원정 다득점 규칙에 의해 승리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올림피아코스에게 패배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0-21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에서는 PAOK를 꺾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는 세비야, 첼시, 렌을 상대로 1승 2무 3패를 기록하며 조 3위를 차지했다.
FC 크라스노다르는 2014-15 UEFA 유로파 리그에 처음 참가하여 2차 예선에서 에스토니아의 실라매 칼레프를 상대로 합계 9-0으로 승리, 3차 예선에서 헝가리의 디오스죄르를 합계 8-1로 꺾고, 플레이오프에서 스페인의 레알 소시에다드를 합계 3-1로 이기며 본선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는 프랑스의 릴, 독일의 볼프스부르크, 잉글랜드의 에버턴과 H조에 속해 3무 3패, 조 3위로 탈락했다.
2015-16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3차 예선에서 슬로바키아의 슬로반 브라티슬라바를 합계 5-3으로, 플레이오프에서 핀란드의 HJK 헬싱키를 합계 5-1로 꺾고 본선에 진출, 독일의 도르트문트, 그리스의 PAOK, 아제르바이잔의 가발라와 C조에서 3승 1무 2패(조 1위)를 기록하며 32강에 진출했다. 32강에서는 체코의 스파르타 프라하에 합계 0-4로 패배했다.
2016-17 UEFA 유로파 리그 3차 예선에서 몰타의 비르키르카라를 합계 6-1로, 플레이오프에서 알바니아의 파르티자니를 합계 4-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 독일의 샬케 04, 오스트리아의 레드불 잘츠부르크, 프랑스의 니스와 I조에서 2승 1무 3패(조 2위)를 기록하며 32강에 진출했다. 32강에서 터키의 페네르바흐체를 합계 2-1로 꺾었으나, 16강에서 스페인의 셀타 비고에 합계 1-4로 패했다.
2017-18 UEFA 유로파 리그 3차 예선에서 덴마크의 링비 BK를 합계 5-2로 이겼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세르비아의 츠르베나 즈베즈다에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탈락했다.
2018-19 UEFA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서 터키의 아흐사르스포르, 벨기에의 스탕다르 리에주, 스페인의 세비야와 J조에 속해 4승 2패(조 2위)를 기록하며 32강에 진출했다. 32강에서 독일의 레버쿠젠과 1-1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16강에 진출, 스페인의 발렌시아에 합계 2-3으로 패했다.
2019-20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챔피언스리그 3차 예선과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여 조별 리그로 직행, 스위스의 바젤, 스페인의 헤타페, 터키의 트라브존스포르와 C조에서 2승 4패, 조 3위로 탈락했다.
2020-21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서 3위를 기록하여 32강에 진출했으나, 크로아티아의 디나모 자그레브에 합계 2-4로 패했다.
8. 우승 기록
8. 1. 국내 대회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은 2023-24 시즌에 기록하였다. 러시아 컵에서는 2013-14 시즌, 2022-23 시즌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