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 카보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카보레는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그는 FC 리부른 생-세렝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FC 쿠반 크라스노다르, FC 크라스노다르, FC 디나모 모스크바, 샤무아 니오르 FC 등 여러 클럽에서 뛰었다. 부르키나파소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00경기 이상 출전하여 센추리클럽에 가입했으며,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을 이끌었다. 클럽 경력으로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리그 1 우승 및 쿠프 드 라 리그 3회 우승, 트로페 데 샹피옹 2회 우승을 경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리부른의 축구 선수 - 마티외 발뷔에나
마티외 발뷔에나는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로, 윙어와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디나모 모스크바, 올랭피크 리옹 등 여러 클럽을 거쳐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다. - FC 리부른의 축구 선수 - 클라우디우 케셰뤼
클라우디우 케셰뤼는 루마니아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이며 루마니아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했고, 여러 클럽에서 뛰었으며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에서 득점왕을 세 번 차지했다. - 샤무아 니오르 FC의 축구 선수 - 아베디 펠레
가나 출신의 전 축구 선수 아베디 펠레는 "아프리카의 마라도나"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1980년대와 1990년대 아프리카 축구를 대표했고,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매직 트리오" 일원으로서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가나 국가대표팀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3년 연속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상 수상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도 FIFA 및 CAF 위원, 자선 사업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 샤무아 니오르 FC의 축구 선수 - 에밀리아노 살라
아르헨티나 출신 축구 선수 에밀리아노 살라는 공격수로 프랑스 리그에서 활약, FC 낭트의 핵심 선수였으나 카디프 시티 FC 이적 후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고, 낭트는 그의 업적을 기려 등번호 9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 부르키나파소의 해외 진출 남자 축구 선수 - 알랭 트라오레
알랭 트라오레는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미드필더로, 여러 클럽을 거쳐 RS 베르칸에서 CAF 컨페더레이션컵 우승을, 부르키나파소 국가대표팀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동생은 축구 선수 베르트랑 트라오레이다. - 부르키나파소의 해외 진출 남자 축구 선수 - 자카리자 코네
코트디부아르 태생의 부르키나파소 전직 축구 선수 자카리자 코네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부르키나파소 국가대표팀으로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에 기여했다.
샤를 카보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샤를 카보레 |
출생일 | 1988년 2월 9일 (35세) |
출생지 | 보보디울라소, 부르키나파소 |
키 | 1.83m |
포지션 |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2003–2004: SONABEL 2004–2006: EF 와가두구 |
프로 클럽 | 2006–2008: 리부른 생 세린 (26경기 1골) 2008: → 마르세유 (임대) (12경기 0골) 2008–2013: 마르세유 (124경기 2골) 2013–2016: 쿠반 크라스노다르 (63경기 0골) 2015–2016: → 크라스노다르 (임대) (21경기 0골) 2016–2019: 크라스노다르 (65경기 2골) 2019–2021: 디나모 모스크바 (39경기 0골) 2022–2023: 니오르 (30경기 0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부르키나파소 (2006–2021, 102경기 4골) |
수상 내역 | |
메달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 준우승 2017 가봉: 3위 |
2. 클럽 경력
카보레는 아소시에이션 스포르티브 소나벨과 에투알 필란테 와가두구 유소년 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6년 에투알 필란테 와가두구에서 2년간 활동한 후, FC 리부른 생-세렝에 스카우트되었다. 2008년 1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이적했으며, 2010년 8월에는 귀화를 통해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
2013년 1월 FC 쿠반 크라스노다르로 이적했고, 2015년 8월에는 FC 크라스노다르로 임대 이적 후 완전 이적했다. 2019년 7월 FC 디나모 모스크바와 2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2년 6월 리그 2의 니오르에 합류했다.
2. 1. FC 리부른
2006년 프랑스 리그되의 FC 리부른 생 쑤랑과 계약하며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고, 2008년 1월까지 공식전 27경기 1골을 기록했다.[1] 그의 플레이는 첼시, 아스날, 바르셀로나와 같은 빅 클럽의 주목을 받았다.[8]2. 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08년 1월 프랑스 리그앙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임대 계약을 체결한 뒤 2007-08 시즌 공식전 15경기를 소화하며 팀의 리그 3위 입상에 이바지했고, 2007-08 시즌을 마치고 마르세유로 완전 이적했다. 이후 2012-13 시즌 중반까지 공식전 160경기 4골을 기록하며 쿠프 드 라 리그 3연패, 리그앙 2회 준우승, 리그 1 2009-10 우승,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등의 주역으로 활약했다.[15]2. 3. FC 쿠반 크라스노다르
2013년 1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쿠반 크라스노다르로 이적하여 2014-15 시즌까지 공식전 78경기 1골을 기록하며 2013-14년 UEFA 유로파리그 64강 본선 진출, 2014-15 러시아 컵 준우승을 이끌었다.[1]2. 4. FC 크라스노다르
2015-16 시즌을 앞두고 같은 지역 연고팀인 FC 크라스노다르로 임대 이적한 후 2015-16 시즌 공식전 32경기를 소화하며 2015-16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4위, 2015-16 러시아 컵 4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1]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2016-17 시즌을 앞두고 크라스노다르로 완전 이적을 확정지은 후 2018-19 시즌까지 공식전 92경기 2골을 기록하며 3시즌 연속 리그 4위, UEFA 유로파리그 2번의 16강 진출(2016-17, 2018-19), 2018-19 시즌 리그 3위 등에 이바지했다.[1]

2. 5. FC 디나모 모스크바
2019년 7월 17일, FC 디나모 모스크바와 2년 계약을 체결하고,[6] 2020-21 시즌까지 공식전 42경기를 소화했다.[1]2. 6. 샤무아 니오르 FC
2022년 6월 3일, 카보레는 리그 2의 니오르에 합류했다.[1]3. 국가대표팀 경력
2006년 부르키나파소 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된 이후 같은 해 10월 7일에 열린 세네갈과의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7조 2차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2007년 5월 29일 짐바브웨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신고했다.[1]
이후 3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출전하여 2013년 대회에서 팀의 주장으로 부르키나파소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첫 준우승의 돌풍을 주도했고 2017년 대회에서도 4년만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강 진출이자 대회 3위 입상에 크게 기여했다.[1]
그 뒤 2021년 3월 24일 우간다와의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 5차전에서 A매치 100번째 경기에 출전하며 부르키나파소 축구 역사상 최초로 센추리클럽에 가입하는 영예를 안았으며, 같은 해 6월 5일 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 경기를 마지막으로 15년간의 국가대표팀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1]
4. 수상 내역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FC 쿠반 크라스노다르'''
- 러시아 컵 준우승: 2015
'''부르키나파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2013), 3위 (2017)
'''개인'''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베스트 18인[1]
4. 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FA컵 | 리그컵 | 대륙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리부른 생-세린 | 2006-07 | 리그 2 | 10 | 1 | 0 | 0 | 0 | 0 | - | - | 10 | 1 | ||
2007-08 | 16 | 0 | 0 | 0 | 1 | 0 | - | - | 17 | 0 | ||||
합계 | 26 | 1 | 0 | 0 | 1 | 0 | 0 | 0 | 0 | 0 | 27 | 1 | ||
마르세유 (임대) | 2007-08 | 리그 1 | 12 | 0 | 2 | 0 | 1 | 0 | – | 0 | 0 | 15 | 0 | |
마르세유 | 2008-09 | 리그 1 | 23 | 1 | 1 | 0 | 1 | 0 | 6 | 0 | - | 31 | 1 | |
2009-10 | 25 | 1 | 1 | 1 | 3 | 0 | 6 | 1 | - | 35 | 3 | |||
2010-11 | 34 | 0 | 0 | 0 | 4 | 0 | 5 | 0 | 1 | 0 | 44 | 0 | ||
2011-12 | 25 | 0 | 3 | 0 | 3 | 0 | 6 | 0 | 1 | 0 | 38 | 0 | ||
2012-13 | 17 | 0 | 1 | 0 | 1 | 0 | 8 | 0 | - | 27 | 0 | |||
합계 | 124 | 2 | 6 | 1 | 12 | 0 | 31 | 1 | 2 | 0 | 175 | 4 | ||
쿠반 크라스노다르 | 2012-13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11 | 0 | 1 | 0 | – | – | – | 12 | 0 | |||
2013-14 | 26 | 0 | 0 | 0 | – | 9 | 1 | – | 35 | 1 | ||||
2014-15 | 26 | 0 | 5 | 0 | – | – | – | 31 | 0 | |||||
2015-16 | 0 | 0 | 0 | 0 | – | – | – | 0 | 0 | |||||
합계 | 63 | 0 | 6 | 0 | 0 | 0 | 9 | 1 | 0 | 0 | 78 | 1 | ||
크라스노다르 (임대) | 2015-16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21 | 0 | 4 | 0 | – | 7 | 0 | – | 32 | 0 | ||
크라스노다르 | 2016-17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22 | 1 | 1 | 0 | – | 10 | 0 | – | 33 | 1 | ||
2017-18 | 19 | 0 | 1 | 0 | – | 2 | 0 | – | 22 | 0 | ||||
2018-19 | 24 | 1 | 4 | 0 | – | 9 | 0 | – | 37 | 1 | ||||
합계 | 65 | 2 | 6 | 0 | 0 | 0 | 21 | 0 | 0 | 0 | 92 | 2 | ||
디나모 모스크바 | 2019-20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20 | 0 | 1 | 0 | – | – | – | 21 | 0 | |||
2020-21 | 19 | 0 | 1 | 0 | – | 1 | 0 | – | 21 | 0 | ||||
합계 | 39 | 0 | 2 | 0 | 0 | 0 | 1 | 0 | 0 | 0 | 42 | 0 | ||
통산 | 350 | 5 | 26 | 1 | 14 | 0 | 69 | 2 | 2 | 0 | 461 | 8 |
'''마르세유'''
'''쿠반 크라스노다르'''
- 러시아 컵 준우승: 2015
4. 2. 국가대표팀
2006년 부르키나파소 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된 이후 같은 해 10월 7일에 열린 세네갈과의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7조 2차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2007년 5월 29일 짐바브웨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신고했다.이후 3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출전하여 2013년 대회에서 팀의 주장으로 부르키나파소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첫 준우승의 돌풍을 주도했고, 2017년 대회에서도 4년만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강 진출이자 대회 3위 입상에 크게 기여했다.
그 뒤 2021년 3월 24일 우간다와의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 5차전에서 A매치 100번째 경기에 출전하며 부르키나파소 축구 역사상 최초로 센추리클럽에 가입하는 영예를 안았으며, 같은 해 6월 5일 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 경기를 마지막으로 15년간의 국가대표팀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준우승 (2013), 3위 (2017)
4. 3. 개인
샤를 카보레는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베스트 18인에 선정되었다.[1]대회 | 팀 | 기록 |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부르키나파소 축구 국가대표팀 | 베스트 18인 |
참조
[1]
웹사이트
UEFA Cup
http://www.uefa.com/[...]
UEFA Europa League
2014-07-13
[2]
웹사이트
La Marseillais Kaboré naturalisé français - rtbf.be
https://www.rtbf.be/[...]
2023-08-12
[3]
웹사이트
КАБОРЕ – В "КУБАНИ" НА 4 ГОДА
https://web.archive.[...]
2014-07-13
[4]
웹사이트
http://www.fckrasnod[...]
FC Krasnodar
2015-08-25
[5]
웹사이트
http://www.fckrasnod[...]
FC Krasnodar
2016-06-20
[6]
웹사이트
22 МАЯ ПРИГЛАШАЕМ НА ОТКРЫТУЮ ТРЕНИРОВКУ!
https://www.fckrasno[...]
FC Krasnodar
2019-05-20
[7]
웹사이트
Каборе провёл первую тренировку в "Динамо"
http://fcdynamo.ru/r[...]
FC Dynamo Moscow
2019-07-17
[8]
웹사이트
CHARLES KABORÉ SIGNE AUX CHAMOIS
https://www.chamoisn[...]
Niort
2022-06-03
[9]
웹사이트
Kabore credits longevity on Burkina Faso national team to discipline, hard work
https://kawowo.com/2[...]
2021-03-23
[10]
Soccerway
charles-kabore/21075
[11]
웹사이트
Charles Kaboré
https://web.archive.[...]
Ligue 1
2017-10-03
[12]
웹사이트
Burkina Faso vs Gambia
https://int.soccerwa[...]
Soccer Way
2014-07-13
[13]
웹사이트
Résultat et résumé Marseille – Paris-SG, Trophée des Champions, Trophée des Champions, Mercredi 28 Juillet 2010
https://www.lequipe.[...]
lequipe.fr
2021-02-28
[14]
웹사이트
Résultat et résumé Lille – Marseille, Trophée des Champions, Trophée des Champions, Mercredi 27 Juillet 2011
https://www.lequipe.[...]
lequipe.fr
2021-02-28
[15]
뉴스
uefa.com – UEFA Cup – News & Features – News Specific
http://www.uef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