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루다르 프리예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루다르 프리예도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프리예도르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1928년 FK 루다르 류비야로 창단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컵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보스니아 전쟁 이후 FK 루다르 프리예도르로 재창단되었고,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와 1부 리그를 오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단 - FK 슬라비야
FK 슬라비야는 1908년 사라예보에서 창단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산되었다가 1993년 재창단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준우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컵 우승, UEFA 인터토토컵과 UEFA 유로파리그 참가 경력을 가지고 있다. - 1928년 설립된 축구단 - 부자스포르
부자스포르는 1928년 이즈미르에서 창단되어 프로 자격을 얻고 쉬페르 리그까지 승격했으나 재정 문제로 해산된 터키의 축구 클럽이다. - 1928년 설립된 축구단 - 페르시자 자카르타
페르시자 자카르타는 1928년 VIJ로 창단되어 195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자카르타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페르세리카탄 시대 6회 우승, 2001년 리그 우승, 2018년 리가 1 우승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클럽으로 성장했으며, 자크마니아라는 팬덤을 보유하고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단 - GNK 디나모 자그레브
GNK 디나모 자그레브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며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1966-67 시즌에는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클럽 최초로 유럽대항전 우승을 달성한 명문 클럽이다.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단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연고로 1945년 창단되어 FK 파르티잔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 유고슬라비아 리그와 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1990-91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와 1991년 인터콘티넨털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며, 최근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7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있다.
FK 루다르 프리예도르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푸드발스키 클럽 루다르 프리예도르 |
별칭 | 루다르 |
창단일 | 1928년 5월 3일 |
홈 구장 | 그라드스키 스타디온 |
수용 인원 | 3,540명 |
회장 | 스탄코 부이코비치 |
감독 | 불레 트리부노비치 |
리그 정보 | |
리그 |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 3위 |
2. 역사
FK 루다르 프리예도르는 1918년 프리예도르에 축구가 처음 도입된 이후, 1928년 5월 3일 류비야 광산 도시에서 '''FK 루다르 류비야'''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1] 첫 공식 경기는 1929년 지역 하이두크를 상대로 열려 2-1로 승리했다.[1]
1931년부터 1933년까지 경제 위기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1934년과 1935년에 경제 상황이 나아지면서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1] 1940년 8월과 9월에는 대부분의 선수들이 광부 파업에 참여했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클럽은 활동을 멈췄다.[1]
1945년 7월, 전후 유고슬라비아에서 경쟁할 새로운 루다르 팀의 기반이 마련되었고,[1] 1948년 새로운 경기장이 건설됨과 동시에 유고슬라비아 컵에 참가하기 시작했다.[1] 1967년, 클럽은 연고지를 프리예도르로 옮기고 더 큰 새 경기장을 마련했다.[3]
1970년 유고슬라비아 컵 1/16 결승에 진출했고,[4] 1970/71 시즌에는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FK 스파르타크 수보티차에 패했다. 1974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컵 1/4 결승에 진출했고, 1988/89 시즌에는 인터-공화국 리그 서부에서 1위를 차지하며 2부 리그로 승격했다. 1990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컵 준결승에 진출하여 FK 벨레즈 모스타르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으나 아쉽게 패했다.
보스니아 전쟁으로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1992년에 클럽 활동이 중단되었지만, FK 루다르 류비야와 OFK 프리예도르 선수들이 합류하여 FK 루다르 프리예도르를 결성했다.[1] 전쟁이 끝나고 클럽은 다시 경쟁을 시작하여 1995년에 스릅스카 공화국 컵 결승에 진출했다.[1]
1995년 이후 클럽은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서 12번, 2부 리그에서 2번 활동했다. 2008–09 시즌에는 1위를 차지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으며,[1] 2021년 5월 15일, 다시 한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되었다.[2]
대회 | 우승 횟수 |
---|---|
프르바리가 RS | 3 |
두르가리가 RS | 1 |
2. 1. 초기 (1918년 ~ 1945년)
1918년, 스베토 라데티치, 스테반 미트리노비치, 페로 차나크가 오스트리아에서 축구공을 가져오면서 프리예도르에 축구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1919년, "PNK – 프리예도르스키 노고메트니 클루브"라는 첫 축구 클럽이 만들어졌고, 1925년 "슬라비야"로 이름이 바뀌었다. 첫 공식 경기는 FK 슬로보다 보산스키 노비를 상대로 열렸지만 0-10으로 졌다. 1925년에는 "FK 그라단스키"라는 또 다른 클럽이 만들어졌고, 관람석이 있는 첫 경기장도 건설되었다.1920년대에는 FK 보라츠, FK 루다르 류비야 등 여러 클럽이 만들어졌다. 1928년 5월 3일, 류비야 광산 도시에서 오늘날 FK 루다르 프리예도르의 전신인 '''FK 루다르 류비야'''가 만들어졌다.
FK 루다르 류비야의 첫 공식 경기는 1929년 지역 하이두크를 상대로 열렸고, 2-1로 이겼다. 이 경기에는 브란코 브예키치, 사딕 부라제로비치, 밀란 프레라드, 이반 세들라체크, 토니 흐리바르, 드라고 네디치, 폴데크 마스틴약, 요보 그보즈덴, 토네 비키치, 요십 브레체비치, 보지다르 베슬리치가 선수로 뛰었다. 이 시기 최고의 선수로는 이비차 세들라체크, 보조 옐리시치, 니콜라 루키치도 있었다.
FK 루다르 류비야는 보스니아 크라이나 지역뿐만 아니라 FK 보라츠 바냐 루카, FK 믈라도스트 프리예도르, NK 예딘스트보 비하치, FK 슬로보다 보산스키 노비, FK 보라츠 드르바르, FK 보라츠 보산스카 두비차, FK 벨레즈 모스타르, RNK 스플리트, FK 보라츠 차차크, FK 라드니치키 크라구예바츠 등 여러 클럽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1931년부터 1933년까지 경제 위기로 광산이 거의 문을 닫으면서 클럽은 어려움을 겪었다. 1934년과 1935년에 경제 상황이 나아졌고, 1936년 7월 26일 코자르치에서 온 FK 즈마이를 상대로 6-1 승리를 거두었다. 이 시기, 믈라덴 스토야노비치 박사는 클럽과 선수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그는 나중에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르티잔의 지도자가 되었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1940년 8월과 9월 광부 파업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클럽은 활동을 멈췄고, 많은 선수들이 파르티잔에 합류하여 목숨을 잃었다.[1]
2. 2. 유고슬라비아 시절 (1945년 ~ 1992년)
1945년 7월, 파르티잔 부대 팀과의 첫 경기를 통해 전후 유고슬라비아에서 경쟁할 새로운 루다르 팀의 기반이 마련되었다.[1] 1947년 바냐 루카 협회에 가입했고,[1] 1948년 새로운 경기장이 건설되었으며, 같은 해에 유고슬라비아 컵에 참가하기 시작했다.[1]195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리그에 진출하며 첫 성공을 거두었다.[2] 1962년에는 NK 슬라벤 지비니체와 NK GOŠK 두브로브니크를 꺾고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서부 그룹에 진출했다.[2] 이 때 활약한 선수들은 이제타기치, 베반디치, 바슈코트, 무스테다나기치, 밀예비치, 라디노비치, 데르비치, 베차레비치, 베칸, 포로비치, 곰보비치였다.[2]
1967년, 광산의 방향이 프리예도르로 이동함에 따라 클럽도 연고지를 프리예도르로 옮겼고, 더 큰 새 경기장이 마련되었다.[3]
1970년, 유고슬라비아 컵 1/16 결승전에 진출하여 OFK 베오그라드와 경기를 치렀으나 0-2로 패했다.[4] 이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은 얀코비치, 오메르바시치, 포로비치, 탈리치, 밀리예비치, 오카노비치, 리치나, 담야노비치, 토리치, 베반디치, 곰보비치였다.[4]
1970/71 시즌,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FK 스파르타크 수보티차와의 경기에서 1-3으로 패했다. 이 시기 주요 선수로는 얀코비치, 히디치, 부켈자, A. 바시치, 포로비치, 스콘드로, 곰보비치, 비도비치, 리치나, 만디치, 베반디치, 담야노비치, 크르키치가 있었고, 감독은 라도슬라프 주바노비치였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컵 1/4 결승에 진출했다. 1983/84 시즌에는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로 복귀했다. 이 때 승격에 기여한 선수들은 세아드 레시치, 비토미르 사마르지야, 무하메드 체리치, 사비드 사디코비치, 빈코 스콘드로, 믈라덴 파르하모프, 빈코 사마르지야, 고란 페키야, 조란 부코비치, 미르제트 베주리치, 즐라트코 압둘로비치, 파흐루딘 비호라츠, 에딘 베고비치, 믈라덴 쿨룸, 일리야 마린, 자르코 만디치, 바이라암 즈고그, 노보 베셰비치, 그리고 후보 선수 파니치, 흐르바트, 두라토비치였으며, 감독은 니콜라 베반디치였다.
1988/89 시즌, 인터-공화국 리그 서부에서 1위를 차지하며 2부 리그로 승격했다.
1990년, 유고슬라비아 컵 준결승에 진출하여 FK 벨레즈 모스타르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으나 아쉽게 패했다. 이 경기의 선수 명단은 레시치, 마조, 들랴차, 루키치, 비호라츠, 케브리치, 무시치, 교체 선수 카라만, 보이키치, 칼탁, 교체 선수 즈델랴르, 벨랴크였고, 감독은 라도슬라프 주바노비치였다.
2. 3. 최근 (1992년 ~ 현재)
보스니아 전쟁으로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1992년에 클럽 활동이 중단되었다. 어려운 시기에도 축구에 대한 열정은 매우 컸고, FK 루다르 류비야와 OFK 프리예도르 선수들이 합류하여 FK 루다르 프리예도르를 결성했다. 전쟁이 끝나고 클럽은 다시 경쟁을 시작하여 1995년에 스릅스카 공화국 컵 결승에 진출했다.[1]1995년 이후 클럽은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서 12번, 2부 리그에서 2번 활동했다. 2008–09 시즌에는 1위를 차지하여 2002년에 창설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다. 콘디치, 데스포토비치, 도브리예비치, 무즈고냐, 일린치치, 코바체비치, 브르키치, 스티예피치, 칸타르, 골리치, 케츠만, 다시치, 코토란이 승격을 이끌었다. 코치는 다르코 네스토로비치였고, 스포츠 디렉터는 믈라덴 즈고냔닌, 이사장은 브라니슬라브 로크비치, 클럽 의회 의장은 보조 그르비치였다. 프리미어 리그 진출 후 프리예도르 시의 참여로 경기장 재건이 시작되었다.[1]
2021년 5월 15일, 루다르는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로 다시 승격되었다.[2]
대회 | 우승 횟수 |
---|---|
프르바리가 RS | 3 |
두르가리가 RS | 1 |
FK 루다르 프리예도르의 전체 성적은 다음과 같다.
3. 성적
시즌 디비전 컵 리그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2007-08 르가 드루가 RS 1위 30 25 3 2 79 15 78 2008-09 르가 르바 RS 1위 30 18 10 2 48 18 64 2009-10 프레미예르 리가 10위 30 11 5 14 27 32 38 8강 2010-11 프레미예르 리가 9위 30 11 8 11 37 41 41 1회전 2011-12 프레미예르 리가 10위 30 10 4 16 30 46 34 2회전 2012-13 프레미예르 리가 10위 30 10 6 14 37 42 36 1회전 2013-14 프레미예르 리가 15위 30 5 12 13 24 39 27 1회전 2014-15 르가 르바 RS 1위 25 15 5 5 31 13 44 2회전 2015-16 프레미예르 리가 14위 30 5 10 15 24 38 25 1회전 2016-17 르가 르바 RS 3위 32 15 7 10 59 40 52 1회전 2017-18 르가 르바 RS 2위 32 21 8 3 61 17 71 8강 2018-19 르가 르바 RS 4위 32 13 8 11 29 27 47 2회전 2019-20 르가 르바 RS 2위 14 8 3 3 20 7 27 2회전 2020-21 르가 르바 RS 1위 30 19 6 5 51 20 63 2회전 2021-22 프레미예르 리가 12위 33 5 11 17 28 48 26 1회전 2022-23 르가 르바 RS 위
3. 1. 국내 대회
시즌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
---|---|---|---|---|---|---|---|---|---|---|
2007-08 | 두르가리가 RS | 1위 | 30 | 25 | 3 | 2 | 79 | 15 | 78 | |
2008-09 | 프르바리가 RS | 1위 | 30 | 18 | 10 | 2 | 48 | 18 | 64 | |
2009-10 | 프레미예르 리가 | 10위 | 30 | 11 | 5 | 14 | 27 | 32 | 38 | 8강 |
2010-11 | 프레미예르 리가 | 9위 | 30 | 11 | 8 | 11 | 37 | 41 | 41 | 1회전 |
2011-12 | 프레미예르 리가 | 10위 | 30 | 10 | 4 | 16 | 30 | 46 | 34 | 2회전 |
2012-13 | 프레미예르 리가 | 10위 | 30 | 10 | 6 | 14 | 37 | 42 | 36 | 1회전 |
2013-14 | 프레미예르 리가 | 15위 | 30 | 5 | 12 | 13 | 24 | 39 | 27 | 1회전 |
2014-15 | 프르바리가 RS | 1위 | 25 | 15 | 5 | 5 | 31 | 13 | 44 | 2회전 |
2015-16 | 프레미예르 리가 | 14위 | 30 | 5 | 10 | 15 | 24 | 38 | 25 | 1회전 |
2016-17 | 프르바리가 RS | 3위 | 32 | 15 | 7 | 10 | 59 | 40 | 52 | 1회전 |
2017-18 | 프르바리가 RS | 2위 | 32 | 21 | 8 | 3 | 61 | 17 | 71 | 8강 |
2018-19 | 프르바리가 RS | 4위 | 32 | 13 | 8 | 11 | 29 | 27 | 47 | 2회전 |
2019-20 | 프르바리가 RS | 2위 | 14 | 8 | 3 | 3 | 20 | 7 | 27 | 2회전 |
2020-21 | 프르바리가 RS | 1위 | 30 | 19 | 6 | 5 | 51 | 20 | 63 | 2회전 |
2021-22 | 프레미예르 리가 | 12위 | 33 | 5 | 11 | 17 | 28 | 48 | 26 | 1회전 |
2022-23 | 프르바리가 RS |
4. 선수 명단
2023년 5월 23일 기준 FK 루다르 프리예도르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알렉사 트르니니치 | |
2 | DF | 프랭클린 체타추쿠 오그보케 | |
3 | DF | 조안 체르보스 | |
4 | DF | 하루 알리베고비치 | |
5 | DF | 네마냐 페키야 (부주장) | |
6 | MF | 밀레 코바체비치 | |
7 | MF | 스테판 라다코비치 | |
8 | MF | 드라간 빌비야 | |
10 | FW | 알렉산다르 데몬지치 | |
11 | FW | 조엘 다 실바 | |
12 | GK | 크리스티얀 세쿨리치 | |
15 | DF | 엠마누엘 | |
16 | DF | 모모코 코지치 | |
17 | DF | 엘다르 카메치치 | |
18 | MF | 디미트리예 요바노비치 | |
20 | MF | 필리프 미키치 | |
21 | DF | 마리오 사약 (주장) | |
23 | DF | 네마냐 마리치 | |
24 | DF | 다보르 페리치 | |
26 | DF | 네마냐 라코비치 | |
27 | MF | 브라니슬라브 토미치 | |
28 | MF | 조셉 아모아 | |
44 | MF | 에드헴 수푸크 | |
55 | DF | 밀로라드 빌비야 | |
77 | FW | 다닐로 마르마트 | |
81 | MF | 벨코 라우스 |
Note|참고영어: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룰에 따른다.
4. 1. 역대 주요 선수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1984-1985)[3]
- 미르코 주로프스키 (2003)[3]
- 아스미르 아브두키치 (2009-2010)[3]
- 가와베 타카야 (2014)[3]
- 우글예샤 라디노비치 (2014)[3]
5. 역대 감독
- 라도슬라브 주바노비치|Radoslav Zubanovićsr
- 스르볼류브 마르쿠셰비치
- 믈라덴 즈고냐닌|Mladen Zgonjaninsr
- 밀코 쥬로브스키 (2003)
- 비토 사마르지야|Vito Samardžijasr
- 미하일로 보슈냐크|Mihailo Bošnjaksr
- 다르코 네스토로비치 (2009–2010)
- 조란 부이치 ''(임시)'' (2010년 3월 19일 – 2010년 3월 25일)
- 보리스 가브란 (2010년 3월 26일 – 2011년 6월 13일)
- 드라간 라도비치|Dragan Radovićsr[4] (2011년 6월 13일 – 2012년 3월 25일)
- 벨리미르 스토니치 (2012년 3월 26일 – 2013년 3월 23일)
- 블라도 차플리치 (2013년 3월 25일 – 2013년 5월 31일)
- 슬로보단 스타르체비치 (2013년 6월 11일 – 2013년 9월 18일)
- 보리스 가브란 (2013년 9월 18일 – 2014년 2월 3일)
- 고라즈드 미하일로브 (2014년 2월 3일 – 2014년 3월 19일)
- 다르코 네스토로비치 (2014년 3월 19일 – 2014년 12월 26일)
- 조란 부이치 (2015년 1월 – 2015년 6월)
- 보리스 가브란 (2015년 6월 18일 – 2015년 11월 1일)
- 즈라트코 옐리사바치|Zlatko Jelisavacsr (2015년 11월 4일 – 2018년 5월 3일)
- 네자드 제리치 (2018년 5월 3일 – 2019년 6월 22일)
- 이고르 얀코비치|Igor Jankovićsr (2019년 6월 22일 – 2020년 5월 12일)
- 보리스 사비치 (2020년 5월 21일 – 2021년 4월 18일)
- 니키차 밀렌코비치 (2021년 6월 11일 – 2021년 10월 11일)
- 마르코 테시치|Marko Tešićsr (2021년 10월 14일 – 2022년 3월 5일)
- 스르단 마르야노비치|Srđan Marjanovićsr (2022년 3월 5일 – 2022년 6월 6일)
- 조란 부이치 (2022년 6월 7일 – 2022년 10월 6일)
- 보얀 크룰|Bojan Kruljsr (2023년 1월 11일 – 2023년 9월 25일)
- 불레 트리부노비치 (2023년 10월 9일 – 현재)
참조
[1]
웹사이트
Istorijat
http://www.rudarprij[...]
2010-11-23
[2]
웹사이트
Rudar iz Prijedora se vratio u Premijer ligu BiH
https://www.klix.ba/[...]
Klix.ba
2021-05-15
[3]
웹사이트
RUDAR PRIJEDOR FUDBAL / MUŠKARCI
https://sportdc.net/[...]
2021-10-30
[4]
웹사이트
Dragan Radović
http://fis-gol83-91.[...]
2017-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