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14156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41569는 복잡한 구조의 원시행성계 원반으로 둘러싸인 별이다. 이 원반은 안쪽과 바깥쪽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토성의 고리처럼 틈이 존재한다.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원반이 확인되었으며, 2016년 켁 천문대 관측을 통해 열 복사가 감지되었다. 원반 내 틈은 원시 행성 형성의 증거일 수 있으며, 행성이 원반 내에서 먼지를 흡수하거나 중력으로 먼지를 밀어낼 가능성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행성계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아르크투루스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며 태양계에 접근하고,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천칭자리 - HE 1523-0901
    HE 1523-0901은 태양 질량의 약 80%이며 약 132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광쌍성으로,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천칭자리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 별주위원반 - 원시 행성계 원반
    원시 행성계 원반은 별의 형성 과정에서 별을 둘러싸고 회전하며 행성, 위성의 재료가 되는 가스와 먼지 원반이다.
  • 별주위원반 -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
    카멜레온자리 I 분자구름에 위치한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는 목성 질량의 약 8배, 반지름은 약 1.8배인 천체로, 준갈색왜성이나 떠돌이 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성 주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HD 141569
명칭
명칭HD 141569
관측 정보
시대J2000.0
별자리천칭자리
겉보기 등급7.12
특징
분광형A2 Ve
변광성 여부해당사항 없음
측성학적 정보
시선 속도알 수 없음
연주시차8.9597
연주시차 오차0.0293
절대 등급알 수 없음
세부 사항
질량3.1 태양 질량(M☉)
반지름알 수 없음
광도24.2 태양 광도(L☉)
표면 온도10,500 K
중원소 함량알 수 없음
표면 중력알 수 없음
자전 속도알 수 없음
나이500만 년
식별 정보
기타 명칭BD=−03° 3833
Gaia DR3=4399438153527026176
HIP=77542
SAO=140789
심바드HD+141569
이미지
HD 141569와 두 개의 동반성, 허블 우주 망원경 촬영 (2002년)
HD 141569와 두 개의 동반성, 2002년 허블 우주 망원경 촬영

2. 행성계

HD 141569 항성 주위에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 원시행성계 원반이 존재한다.[10] 이 원반 시스템은 크게 안쪽 원반(약 86 AU)과 바깥쪽 원반(약 250 AU)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 약 225 AU 거리에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행성 'b'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HD 141569 항성은 태양 질량의 약 3배, 밝기는 22배에 달하는 비교적 젊은 별이다.[10] 이 원반의 발견과 상세한 구조, 그리고 행성 형성 가능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원시행성계 원반

'''HD 141569 행성계'''
동반 천체
(항성에서 가까운 순서)
질량궤도 평균 거리
(AU)
공전 주기
(일)
궤도이심률궤도경사각반지름
안쪽 원반86 AU
b (미확인)225
바깥쪽 원반250 AU



1999년 1월 NASA는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HD 141569 주위에 원시행성계 원반이 존재한다고 발표했다.[10][8] 이 원반에 있는 틈은 항성 주변에서 원시행성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증거일 수 있다. 또는, 행성이 원반의 틈 자체가 아니라 원반 안쪽을 돌면서 주변의 먼지와 암석을 끌어모으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0] 원반의 상세한 구조와 관측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1. 원반의 구조

1999년 1월 NASA는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HD 141569 주위에 원시행성계 원반이 존재한다고 발표했다.[10][8] 이 원반은 안쪽과 바깥쪽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 것처럼 보이며, 이는 토성 고리의 카시니 간극과 유사한 모습이다.[10][8]

거대한 원반의 지름은 약 약 1207억km(1,200억 킬로미터)에 달하며, 이는 해왕성 궤도 지름의 13배에 해당한다.[8][10] 원반의 안쪽 경계는 별로부터 약 약 338억km(336억 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10][8] 원반 내의 틈은 안쪽과 바깥쪽 경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10][8]

HD 141569는 1986년 적외선 천문 위성(IRAS)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원반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천체로 확인되었다. 이후 W. M. 켁 천문대에서 2016년 6월에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원반 내 따뜻해진 먼지에서 방출되는 열 복사가 관측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 및 다중 물체 분광기(NICMOS)는 1.1 마이크로미터 파장에서 원반 내 먼지 입자에 반사된 중심 별의 빛을 포착했으며, 이 관측을 통해 약 16.1억km 크기의 구조까지 식별할 수 있었다.[8]

새로 형성되는 별 주위의 먼지 원반은 흔하지만, HD 141569처럼 이미 성장을 마친 성숙한 별이 원반을 가진 경우는 드물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원반이 오래된 암석과 파편들이 서로 충돌하여 작은 입자로 부서지면서 형성되거나 지속적으로 보충되는 것으로 추정한다.[8]

2021년 기준으로, 내부 원반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강한 비대칭성을 보이고 있다.[9] 또한 같은 해, 별에서 약 1 천문단위 떨어진 곳에서 희미한 먼지 고리가 추가로 감지되었다.[7]

2. 2. 행성 존재 가능성

원반에 있는 틈은 항성 주변에서 원시 행성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10][8] 그러나 행성이 반드시 원반의 틈 안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행성은 별 주위를 공전하면서 원반 안의 먼지와 암석을 흡수하거나,[10] 행성의 중력으로 인해 원반의 특정 부분에서 먼지를 밀어낼 수도 있다.[8]

참조

[1] 논문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2000
[2] 논문 A Survey for A Coeval, Comoving Group Associated with HD 141569 2008
[3] 논문 The compact Hα emitting regions of the Herbig Ae/Be stars HD 179218 and HD 141569 from CHARA spectro-interferometry https://academic.oup[...] 2017-01-11
[4] 논문 An Evaluation of the Membership Probability of 212 λ Boo Stars. I. A Catalogue 2015
[5] 뉴스 Astronomers Have Detected a Familiar Feature in a Far-Away Solar System https://www.sciencea[...] 2019-12-02
[6] 논문 Imaging the 44 au Kuiper Belt Analog Debris Ring around HD 141569A with GPI Polarimetry
[7] 간행물 The GRAVITY young stellar object survey
[8] 웹사이트 Hubble Views of Dust Disks and Rings Surrounding Young Stars Yield Clues http://hubblesite.or[...] NASA 1999-01-08
[9] 간행물 Revealing asymmetrical dust distribution in the inner regions of HD 141569
[10] 웹사이트 Hubble Views of Dust Disks and Rings Surrounding Young Stars Yield Clues http://hubblesit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