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문단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문단위(AU)는 2012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149,597,870,700m로 정의한 길이의 단위이다. 이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에 가까운 값으로, 태양계 내 천체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천문단위는 천문학에서 중요한 상수이며, 태양계 내 천체들의 거리를 다루기 쉬운 숫자로 표현하는 데 기여한다. 과거에는 태양 질량에 의존하여 정의되었으나, 현재는 미터에 고정된 값으로 정의된다. 관련 단위로는 빛의 속도로 1년 동안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광년과 연주 시차가 1초각이 되는 거리를 의미하는 파섹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의 단위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 천문학의 단위 - 광년
    광년은 빛이 진공 상태에서 1 율리우스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약 9.46×10^15 미터에 해당하며 천문학에서 항성, 은하, 은하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길이 단위이다.
  • SI와 함께 사용되는 비SI 단위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SI와 함께 사용되는 비SI 단위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는 원자 및 분자 질량 측정 단위로, 과거 amu로 불렸으나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을 기준으로 하는 통일 원자 질량 단위(u)로 정의되었고, 현재는 달톤(Da)과 함께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길이의 단위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a_0)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길이의 단위 - 피트
    피트는 다양한 정의와 기원을 가진 길이 단위로, 국제적으로는 0.3048 미터로 정의된 국제 피트가 표준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천문단위
기본 정보
지구-태양 거리(회색 선)는 평균적으로 약 1 천문단위이다.
단위천문학적 단위계
길이
기호au 또는 AU
정의
유래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
기타 정보
권장 기호au
사용처천문학

2. 정의

2012년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천문단위(AU)는 정확히 149,597,870,700m로 정의되었다.[74] 이는 ±3m의 오차를 없앤 값으로, 모든 시간계(TCB, TDB, TCG, TT)에 적용된다. 이 정의로 천문단위는 국제단위계(SI)와 병용되는 비SI 단위가 되었다.[74]

가우스 중력 상수 k는 천문상수계에서 제거되었고, 태양중력상수는 관측으로 결정된다.[74] 천문단위(미터 단위) 값 A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3 = \frac{G M_\odot D^2}{k^2},

여기서 G는 뉴턴의 중력 상수, M는 태양 질량, k는 가우스 중력 상수 값, D는 하루의 시간 길이이다.[1]

1976년 IAU 총회에서는 지구 궤도 실측값으로 계산된 태양중심 중력상수를 기반으로 천문단위를 정의했었다. 이는 지구 대신 가상 입자를 설정해 그 운동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이 입자는 태양에서 뉴턴 역학적 중력만 받고, 무게는 무시하며, 궤도는 완전 원형이라고 가정한다. 이 입자 공전 주기가 가우스년이 되는 원궤도 반지름이 1 천문단위이다.

천문단위는 삼각형 기선으로 연주시차(이미지 거리는 축척에 맞춰져 있지 않음)를 측정하는 데 사용됨

2. 1. 단위 기호

국제천문연맹(IAU)은 천문단위의 기호로 "au" 사용을 권장한다.[1] 과거에는 AU, UA, AE, a.u. 등 다양한 기호가 사용되었으나,[14][6] 현재는 "au"로 통일되는 추세이다.[7][8][9][10] 한국에서도 "au" 기호를 사용한다.[63][64][65]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colspan="4" |



국제단위계에서의 단위 기호는 au이지만, 유니코드에서의 기호는 AU 그대로이다.

3. 천문단위의 의의

천문단위(AU)는 태양계 내 행성이나 혜성 등 천체 간 거리를 나타낼 때 편리한 단위이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 하며, 화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때 거리는 약 0.37AU, 토성까지는 약 9.5AU, 해왕성까지는 약 30AU이다. 30AU에서 100AU 사이에는 명왕성 등 태양계 외곽 천체가 분포한다.[68]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경계이자 혜성의 고향으로 여겨지며, 수만 천문단위에 퍼져 있다고 추정된다. 이는 천문단위가 사용되는 한계이다. 항성 간 거리는 너무 멀기 때문에 파섹(pc)이나 광년(ly)을 사용한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켄타우리까지 거리는 4.2광년, 즉 약 270,000AU이다.[68]

다음은 천문단위로 나타낸 여러 천체 및 길이의 예시이다.

천체 또는 길이길이 또는
거리 (AU)
범위설명 및 기준점참조
광초빛이 1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
달거리지구로부터의 평균 거리 (아폴로 계획 임무가 이동하는데 약 3일이 걸림)
태양 반지름태양의 반지름 (, , 지구 반지름의 100배 또는 목성의 평균 반지름의 10배)
광분빛이 1분 동안 이동하는 거리
수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금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지구태양으로부터 지구 궤도의 평균 거리 (태양광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까지 8분 19초 동안 이동함)
화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목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광시빛이 1시간 동안 이동하는 거리
토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천왕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카이퍼 벨트내부 가장자리는 약 30 au에서 시작[59]
해왕성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에리스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보이저 2호2024년 10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60]
보이저 1호2024년 10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60]
광일빛이 하루 동안 이동하는 거리
광년빛이 하나의 율리우스력 연도 (365.25일) 동안 이동하는 거리
오르트 구름±태양으로부터 오르트 구름의 바깥쪽 경계까지의 거리 (추정치, 1.2광년에 해당)
파섹하나의 파섹. 파섹은 천문 단위로 정의되며, 태양계 밖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약 3.26광년: 1 pc = 1 au/tan(1″)[5][61]
프록시마 켄타우리± 126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우리은하의 은하 중심태양으로부터 우리은하 중심까지의 거리
참고: 이 표의 수치는 일반적으로 반올림된 추정치이며, 종종 대략적인 추정치이며 다른 출처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표에는 비교를 위해 다른 길이 단위도 포함되어 있다.



2012년 이전에는 천문단위가 태양 중심 중력 상수(중력 상수 ''G''와 태양 질량의 곱)에 의존했다. ''G''와 태양 질량은 개별적으로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렵지만, 행성 위치 관측을 통해 그 곱은 매우 정확하게 알 수 있었다. 행성 위치 계산에는 곱만 필요하므로, 천문단위로 계산하는 것이 실용적이었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지구 표면 시간(지구시)은 행성 운동과 비교했을 때 일정하지 않다. 지구가 태양에 가까울수록(근일점) 태양 중력장이 강해져 궤도를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국제도량형국은 측정에 기준 좌표계를 지정하지 않고 태양계 내 거리를 나타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명시한다.[25] 1976년 정의는 불완전했지만 실용적이었고, 2012년 IAU는 현재 정의인 1AU = 미터를 채택했다.[27]

천문단위는 항성계 규모 거리에 사용되지만, 파섹광년이 사용되는 항성 간 거리에는 너무 작다. 파섹은 천문단위로 정의되며, 시차를 가진 물체 거리이다. 광년은 대중 저술에 자주 사용되지만, 전문 천문학자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28] 천문단위는 태양계의 수치 모델 시뮬레이션에서 산술 오버플로, 산술 언더플로, 절삭 오류를 최소화하는 적절한 척도를 제공한다.

3. 1. 태양계의 잣대

기원전 3세기, 아리스타쿠스(Aristachus)는 계산과 관찰을 통해 태양은 달보다 18~20배 멀리 있다고 결론지었다. 비록 관측 장비의 정확성이 나빠 실제 값과는 큰 차이가 있었지만, 기하학적 계산은 정확했다. 이러한 비율만으로는 천체까지의 구체적인 거리를 알 수 없지만, 태양까지의 거리를 천문단위로 간주하면, 아리스타쿠스는 달까지의 거리를 처음으로 구한 것이 된다.[76]

아리스타르코스는 달이 반달로 보일 때 지구(T)에서 본 태양(S)과 달이 이루는 각 β를 측정함으로써, 태양까지의 거리와 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을 구했다. 이 비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상의 단위는 필요하지 않다.


17세기, 케플러는 관측 데이터와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시행착오와 복잡한 계산을 반복하면서 화성의 궤도를 거의 정확하게 재구성했다.[77] 케플러의 노력으로 행성 사이 운동의 상대적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었고, 머지않아 뉴턴 역학에 의해 역학적 구조도 밝혀졌다. 역학적 구조가 밝혀져 케플러의 운동과 미세한 오차를 알 수 있게 되자, 수세기에 걸쳐 천체 역학에서는 놀라운 발전이 있게 되었다.

이처럼 행성의 움직임은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천체가 지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태양과 지구가 어느 정도의 질량을 가지는지를 m(미터)와 kg(킬로그램)같은 우리가 사용하는 단위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알기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값을 정밀하게 알 필요는 없었다. 아리스타르쿠스와 마찬가지로 지상의 단위에 의지하지 않고 태양계 자체를 기준으로 하면, 즉 미터 대신 천문단위를, 태양 질량 대신 킬로그램을 사용하면 행성의 움직임은 매우 정확히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9세기 전반에 천문학자들이 각도의 1(1의 1/60)에 못 미친 천왕성의 위치 예측과의 차이에 골머리를 썩고 있을 때, 행성의 질량과 행성까지 거리가 일상의 단위에서 얼마인지는 무관한 문제였으며, 천문학자들은 이로 인해 해왕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천문학에서 길이 단위로 천문단위처럼 지상과는 다른 단위를 사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자 필연이었다. 여기에 천문단위가 천문학에서 사용되어 온 첫 번째 의의가 있다.

1809년, 가우스는 지구의 궤도 장반축을 길이 단위, 태양 질량을 질량 단위, 지구의 하루를 시간 단위로 하는 단위계를 통해 태양계의 운동을 기술하는 기초 작업을 했다. 이때 도입된 가우스 중력상수 k는 이 단위계로 나타낸 만유인력 상수의 제곱근이 되면서 하루 동안 지구가 태양을 둘러싼 평균 각도를 라디안 단위로 설정되었다. 이 단위계는 1938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천문 단위계'''와 천문 단위의 개념으로 직접 계승되었다. 천문 단위계에서는 길이의 천문 단위 외에 태양 질량을 '''질량의 천문 단위''', 1일의 시간 길이(24×60×60 s = )를 '''시간의 천문 단위'''라고 한다.[78] 단, 일반적으로 질량과 시간의 천문 단위가 천문 단위라는 이름으로 언급되는 경우는 없고, 단순히 천문 단위라고 하면 길이의 천문 단위를 가리킨다.

3. 2. 우주 거리 사다리

천문단위는 더 먼 항성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기준 중 하나이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항성까지의 거리는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측정하는데, 지구에서 1년간 항성을 관측하면 연주시차로 인해 항성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 겉보기 운동의 최대 각도는 지구 궤도의 크기와 별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지구 궤도의 크기에 거의 대응하는 천문단위를 이용하여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관계를 통해 항성까지의 거리 단위인 파섹(pc)이 정의된다.

하지만 연주시차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근거리 천체에 한정되므로, 더 먼 거리를 측정할 때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각 방법은 사용할 수 있는 거리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연주시차, A, B, C 등 여러 방법을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측정 기술 향상에 따라 사다리의 단처럼 연결되어 먼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우주 거리 사다리'의 첫 번째 단계가 바로 지구 궤도의 크기, 즉 천문단위이다.

4. 천문단위 값의 변화와 증대 논란

2012년 이전 천문단위(AU)는 태양 질량(*Ms*)에 의존했기 때문에, 태양 질량 변화에 따라 값이 변동했다. 태양은 핵융합으로 질량을 에너지로 바꾸고, 전자기파태양풍으로 방출하여 연간 약 10조 분의 1 비율로 질량이 감소한다.[80] 이는 태양 중력 감소를 의미하며, 행성 궤도 반지름과 공전 주기를 증가시킨다. 가우스년에 의해 일정한 공전 주기를 갖는 시험 입자는 중력 감소 시 더 안쪽 궤도를 돌아야 하므로, 천문단위 크기는 감소한다. 천문단위 크기 *A*는 태양 질량 *Ms*의 세제곱근에 비례하여, 질량 감소율의 1/3 비율로 감소하며, 이는 100년에 약 0.4m에 해당한다.[80]

그러나 2004년 러시아의 클라신스키[81]와 브룬베르크[82]는 천문단위 측정값이 100년에 15 ± 4m 비율로 증가한다고 보고했다.[83] 이후 미국의 스탠디시[84]와 러시아의 피체바[85]도 유사한 증가를 확인했다.[86][87]

이 현상은 2010년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그 의미도 파악하기 어렵다. 클라신스키 등의 보고는 레이다를 이용한 화성, 금성, 수성 거리 측정으로 얻어진 미터와 천문단위 관계 데이터에서 밝혀졌다. 레이다 거리 측정은 전파 왕복 시간을 정밀 측정하여 이루어지므로, 문제는 천체력 예측 왕복 시간의 매우 느린 증가로 파악된다. 즉, 레이다 관측에 의한 미터 단위에서는 행성 궤도가 확대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행성 움직임 자체는 천문단위계 천체력과 일치하며, 천문단위로 보면 행성 궤도와 운동은 확대를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천문단위가 미터에 대해 매우 느리게 확대되고 있다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난다.[88]

태양 질량, 만유인력 상수 변화, 우주 팽창 영향 등이 검토되었지만, 효과가 있더라도 충분히 작다고 생각되어 만족스러운 설명은 없었다. 원인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며, 히로사키 대학 미우라 등은 행성 거리 증가가 태양과의 조석 마찰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89] 이는 지구 조석에 의한 달 궤도 확대와 유사한 메커니즘이다.

5. 천체의 거리 탐구 역사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자신의 저서 『태양과 달의 크기 및 거리에 관하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가 달까지의 거리의 18배에서 20배라고 주장했지만, 실제 비율은 약 389.174배이다. 아리스타르코스는 상현달과 태양 사이의 각도를 87°로 추정했는데, 실제 값은 89.853°에 가깝다. 아리스타르코스가 달까지의 거리로 가정한 값에 따라 계산된 태양까지의 거리는 지구 반지름의 380~1,520배에 해당한다.[29]

히파르코스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지구 반지름의 490배로 추정했다.[30] 이는 그가 가정한 7의 "가장 감지 가능한" 태양 시차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30]

기원전 1세기경 중국 수학 논문인 『주비산경』은 세 곳에서 1,000리 떨어진 곳에서 관측된 정오 그림자의 길이 차이와 지구가 평평하다는 가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태양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31]

에라토스테네스는 태양까지의 거리를 4,080,000 스타디온 또는 804,000,000 스타디온으로 계산했다. 185~190미터인 그리스 스타디온을 사용하면,[32][33] 전자는 754,800~775,200km로 너무 낮고, 후자는 1억 4,870만~1억 5,280만 미터(정확도 2% 이내)가 된다.[34]

2세기경, 프톨레마이오스는 태양의 평균 거리를 지구 반지름의 1,210배로 추정했다.[36][37] 그는 달의 시차를 측정하여 1° 26′의 수평 달 시차를 얻었는데, 이는 너무 큰 값이었다. 달의 최대 거리는 지구 반지름의 64/16배로 계산했는데, 시차 수치, 달 궤도 이론 등의 오류가 상쇄되어 대략 정확한 값이 나왔다.[38][39] 태양과 달의 겉보기 크기를 측정하고, 월식 기록을 통해 지구 그림자 원뿔의 겉보기 지름을 추정하여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지구 반지름의 1,210배로 계산했다. 이는 태양과 달의 거리 비율이 약 19배라는 아리스타르코스의 수치와 일치한다. 프톨레마이오스의 방법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데이터의 작은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측정값을 조금만 변경해도 태양까지의 거리가 무한대가 될 수 있다.[38]

중세 이슬람 세계의 천문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론적 모형에 약간의 변화를 주었지만, 지구-태양 거리에 대한 추정치는 크게 바꾸지 않았다. 알-파르가니는 태양의 평균 거리를 지구 반지름의 1,170배, 알-바타니는 1,108배로 제시했다. 알-비루니와 같은 후대 천문학자들도 유사한 값을 사용했다.[40] 코페르니쿠스와 티코 브라헤도 비슷한 수치(지구 반지름의 1,142배와 1,150배)를 사용했고,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태양 거리 추정치는 16세기까지 유지되었다.[41]

요하네스 케플러는 『루돌프 표』(1627)에서 프톨레마이오스의 추정치가 최소 3배 이상 낮다는 것을 처음으로 인식했다.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은 행성들의 상대적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게 해주었고, 지구에 대한 절대값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망원경의 발명은 더 정확한 각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다. 고드프루이 웬델린은 1635년에 아리스타르코스의 측정을 반복하여 프톨레마이오스의 값이 최소 11배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금성태양면 통과를 관측하면 시차를 통해 지구-태양 거리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42] 제러마이어 호록스는 1639년 태양면 통과 관측을 기반으로 15″의 태양 시차를 얻었는데, 이는 지구 반지름의 13,750배에 해당한다.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금성과 화성의 겉보기 크기를 비교하여 지구 반지름의 약 24,000배(8.6″의 태양 시차)를 추정했지만,[35] 많은 가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정확도는 우연에 가깝다.

장 리셰와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1672년 화성의 시차를 측정하여 9.5″의 태양 시차(지구 반지름의 약 22,000배)를 얻었다. 그들은 장 피카르가 측정한 정확한 지구 반지름 값을 사용한 최초의 천문학자들이었다. 같은 해에 존 플램스티드도 화성의 일주 시차를 측정하여 천문단위를 추정했다.[44]

제임스 그레고리가 고안하고 에드먼드 핼리가 주장한 금성 태양면 통과 관측 방법은[45] 1761년과 1769년, 1874년과 1882년에 적용되었다. 1761년과 1769년의 태양면 통과 관측은 제임스 쿡과 찰스 그린의 타히티 관측을 포함한 국제 과학 작전이었다. 7년 전쟁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자들이 파견되었고, 그중 몇몇은 사망했다.[46] 제롬 라랑드는 다양한 결과를 종합하여 8.6″의 태양 시차 값을 제공했다. 카를 루돌프 포왈키는 1864년에 8.83″을 추정했다.[47]

사이먼 뉴컴광행차 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8.80″의 태양 시차 값을 도출하고, 금성 태양면 통과 데이터도 사용했다. 뉴컴은 A. A. 마이켈슨과 협력하여 빛의 속도를 측정했고, 광행차 상수와 결합하여 지구-태양 거리를 미터 단위로 측정했다. 뉴컴의 값은 1896년에 최초의 국제 천문 상수 시스템에 통합되었고,[48] 1964년까지 역서 계산에 사용되었다.[49] "천문 단위"라는 이름은 1903년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50]

근지구 소행성 433 에로스의 발견과 지구 근접 통과는 시차 측정을 개선했다.[51] 1930~1931년에 433 에로스의 시차 측정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43][52]

1960년대 초, 금성과 화성까지의 거리에 대한 직접적인 레이다 측정이 가능해졌다. 개선된 빛의 속도 측정과 함께 이러한 측정은 뉴컴의 태양 시차와 광행차 상수 값이 서로 모순됨을 보여주었다.[53]

천문단위(AU) 역사적 측정값
태양까지의 거리
추정자
추정치천문단위(au)오차율
태양
시차
지구
반지름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98.9% ~ -98%
아르키메데스-57.4%
히파르코스-97.9%
포세이도니오스-57.4%
프톨레마이오스2′ 50″-94.8%
고드프루이 웬델린-40.3%
제러마이어 호록스-40.3%
크리스티안 호이겐스[35]6.8%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 장 리셰-7.5%
존 플램스티드-7.5%
제롬 라랑드2.3%
사이먼 뉴컴-0.06%
아서 로버트 힌크스-0.15%
해럴드 스펜서 존스0.05%
현대 천문학



천문단위(AU) 역사적 측정값(단위: Gm)
날짜방법A/Gm불확실성
1895광행차
1941시차
1964레이다
1976원격 측정
2009원격 측정



태양까지의 평균 거리* (지구의 궤도 장반축)
태양까지의 평균 거리*
(지구의 궤도 장반축)
관측 년도관측자관측 방법출처
달의 18~20배기원전 265년?아리스타르코스달의 이각으로부터[a]
490 지구 반지름 이상기원전 136년?히파르코스일식 관측으로부터[a]
1210 지구 반지름150년?프톨레마이오스복합적인 기하학적 방법[a]
1108 지구 반지름890년경알=바타니프톨레마이오스의 검증[a]
87.71630년경고트프리트 벤델린아리스타르코스의 방법?
93.81639년제레미아 호로크스금성의 태양면 통과?
401665년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
109.81672년조반니 카시니?
138.41672년조반니 카시니
존 플램스티드
?
1716년에드먼드 핼리?
138.5 (129.2)1752년(1751년)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153.1(?)1761년제임스 쇼트?
152.5001825년요한 프란츠 엔케?
149.501862년레옹 푸코?
146.83
147.32
1862년?
147.491863년페터 한센?
147,001863년우르뱅 르베리에?
148.990
153.5 ± 6.65
1864년카를 포이어바흐?
1874년조지 에어리
데이비드 길
?
149.841877년데이비드 길?
149.50±0.171879년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켈슨
사이먼 뉴컴
?
150.184±0.686
148.179±2.002
1882년조지 에어리 등?
1889년데이비드 길?
149.6701895년사이먼 뉴컴?
149.500 ± 0.0501896년IAU?
149.4641901년데이비드 길?
149.397 ± 0.0161901년아서 메이슨 힌크스?
1912년S. S. Hug?
149.4131924년해롤드 스펜서 존스?
149.4471927년빌럼 드 지터?
149.462 ± 0.0601928년해롤드 스펜서 존스?
149.566 ± 0.0341929년해롤드 스펜서 존스?
149.668 ± 0.0171931년해롤드 스펜서 존스?
149.549 ± 0.2211911년~1936년그리니치 천문대?
149.4531938년빌럼 드 지터?
149.422 ± 0.1191941년월터 시드니 애덤스?
149.6701948년제럴드 P. 클레멘스?
149.550 ± 0.0141960년파이오니어 5?
149.592 ± 0.0061961년전파 관측?
149.674 ± 0.0171964년?
149.6001964년IAU?
149.598 ± 0.000 680전파 관측?
* 별도의 표시가 없는 값은 100만 km (109 m) 단위
[a] - Van Helden (1985)


5. 1. 고대 그리스와 아라비아

프톨레마이오스와 파푸스는 기원전 2세기 그리스의 히파르코스(Ἵππαρχος)가 여러 지역에서 보이는 일식의 모양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지구 반지름을 기준으로 달과 태양까지의 거리를 추정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히파르코스가 구한 태양까지의 거리는 지구 반지름의 490배 이상이었다(실제 값은 약 23,500배). 히파르코스의 저서 자체는 현존하지 않으며, 구체적인 계산 방법은 전해지지 않지만, 단편적인 언급으로부터 현재는 그 정교한 기하학적 방법이 거의 재구성되었다.[91]

클레오메데스(Κλεομήδης)에 따르면, 포세이도니오스(Ποσειδώνιος)도 기원전 90년경에 달과 태양까지의 거리를 평가했다. 포세이도니오스는 지구의 그림자를 원기둥으로 생각하고, 월식의 그림자 크기로부터 달이 지구 지름의 절반 크기라고 했다. 또한 달의 겉보기 크기와 알려진 지구의 크기로부터 지상의 단위로 달까지의 거리를 추정했다. 그 500만 스타디온(στάδιον)이라는 값은 실제보다 2.1~2.6배 과대했다.[92] 이는 지구의 그림자를 원뿔로 생각하지 않고, 달을 실제 크기의 약 2배로 추정했기 때문이다. 한편, 태양까지의 거리 추정은 근거가 부족한 추측에 그쳤다.[93]

2세기의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Μαθηματικὴ Σύνταξις)에서 천구에 둘러싸인 천동설에 기반한 상세한 우주관을 구축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아리스타르코스와 히파르코스의 관측과 기하학적 추론, 그리고 독자적인 추측을 섞어 태양과 달은 물론 행성까지의 거리를 추정했다. 예를 들어, 달의 평균 거리가 지구 반지름의 48배, 태양이 1210배, 토성이 17,026배 등으로 제시되었다.[94] 이렇게 확립된 우주관은 그리스와 헬레니즘 문화를 계승한 아라비아로 전해졌다. 특히 9세기의 천문학자 알-바타니(ابْن السبطي)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관을 자세히 연구하여 태양의 평균 거리를 1108배 등으로 제시했다.[95] 이러한 우주관은 그 후 유럽으로 전해져 중세에 걸쳐 큰 권위를 지닌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5. 2. 17세기 이후 관측 발전

요하네스 케플러는 그의 『루돌프 표』(1627)에서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단위 추정치가 너무 낮다는 것을 처음으로 인식했다.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은 천문학자들이 태양으로부터 행성까지의 상대적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게 해주었고, 지구에 대한 절대값을 측정(다른 행성에도 적용 가능)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망원경의 발명은 맨눈보다 훨씬 더 정확한 각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다.

금성태양면 통과를 관측하면 비교적 정확한 천문단위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42] 서로 다른 두 위치에서 태양면 통과를 측정하여 금성시차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지구와 금성의 태양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를 통해 태양 시차 α(태양의 밝기 때문에 직접 측정 불가)를 계산할 수 있다.[43] 제러마이어 호록스는 1639년 태양면 통과(1662년 출판) 관측을 기반으로 15″의 태양 시차를 추정했다. 태양 시차가 작을수록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며, 15″의 태양 시차는 지구 반지름의 13,750배에 해당하는 지구-태양 거리에 해당한다.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금성과 화성의 겉보기 크기를 비교하여 지구 반지름의 약 24,000배(8.6″의 태양 시차에 해당) 값을 추정했다.[35] 그의 추정치는 현대 값에 가깝지만, 여러 증명되지 않은(잘못된) 가정을 해야 했기 때문에 천문학 역사가들은 종종 이를 무시한다.

태양 표면을 가로지르는 금성의 태양면 통과는 어려움(여기서는 소위 "블랙 드롭 효과")과 관측의 드문 발생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천문 단위를 측정하는 최상의 방법이었다.


장 리셰와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1672년 화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있을 때 파리프랑스령 기아나카옌 사이에서 화성의 시차를 측정하여 지구 반지름의 약 22,000배에 해당하는 9.5″의 태양 시차를 얻었다. 그들은 장 피카르가 1669년에 측정한 정확한 지구 반지름 값(3,269,000 토와즈)을 사용한 최초의 천문학자들이었다. 같은 해, 존 플램스티드는 화성의 일주 시차를 측정하여 천문 단위를 추정했다.[44]

제임스 그레고리가 고안하고 에드먼드 핼리가 강력히 주장한[45] 금성 태양면 통과 관측 방법은 1761년과 1769년, 1874년과 1882년에 적용되었다. 금성 태양면 통과는 쌍으로 발생하지만 한 세기에 한 쌍 미만이며, 1761년과 1769년 관측은 제임스 쿡과 찰스 그린의 타히티 관측을 포함한 전례 없는 국제 과학 작전이었다. 7년 전쟁에도 불구하고 수십 명의 천문학자들이 막대한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고 전 세계 관측 지점으로 파견되었고, 그중 몇몇은 사망했다.[46] 다양한 결과는 제롬 라랑드에 의해 종합되어 8.6″의 태양 시차 값을 제공했다.

또 다른 방법은 광행차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사이먼 뉴컴은 8.80″의 태양 시차 값을 도출할 때 이 방법에 큰 비중을 두었지만, 금성 태양면 통과 데이터도 사용했다. 뉴컴은 A. A. 마이켈슨과 협력하여 지상 장비로 빛의 속도를 측정했고, 광행차 상수(단위 거리당 광속과 관련됨)와 결합하여 미터 단위로 지구-태양 거리에 대한 최초의 직접 측정을 제공했다. 뉴컴의 태양 시차(및 광행차 상수와 가우스 중력 상수) 값은 1896년에 최초의 국제 천문 상수 시스템에 통합되었고,[48] 1964년까지 역서 계산에 사용되었다.[49] "천문 단위"라는 이름은 1903년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50]

근지구 소행성 433 에로스의 발견과 1900~1901년 지구 근처 통과는 시차 측정을 상당히 개선했다.[51] 1930~1931년에 433 에로스의 시차 측정을 위한 또 다른 국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43][52]

1960년대 초, 금성과 화성까지의 거리에 대한 직접적인 레이더 측정이 가능해졌다. 개선된 빛의 속도 측정과 함께 이러한 측정은 뉴컴의 태양 시차와 광행차 상수 값이 서로 모순됨을 보여주었다.[53]

6. 관련 단위

참조

[1] 학술회의 On the re-definition of the astronomical unit of length http://www.iau.org/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2-08-31
[2] 웹사이트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Instructions for Authors http://www.oxfordjou[...] 2015-03-20
[3]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4] 학술회의 On the re-definition of the astronomical unit of length http://www.iau.org/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2-08-31
[5] 학술지 Title: To the Sun and beyond
[6] 서적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www.bipm.org/[...] Organisation Intergouvernementale de la Convention du Mètre 2006
[7] 웹사이트 Manuscript Preparation: AJ & ApJ Author Instructions http://aas.org/autho[...]
[8] 웹사이트 Instructions to Author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www.bipm.org/[...] BIPM
[10]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www.bipm.org[...] BIPM
[11] 웹사이트 ISO 80000-3:2019 https://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0-05-19
[12] 웹사이트 Part 3: Space and time https://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3] 웹사이트 HORIZONS System http://ssd.jpl.nasa.[...]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5-01-04
[14] 학술회의 item 12: Unit distance http://www.iau.org/s[...]
[15] 서적 Astronomy, astrophysics, and cosmology – Volume VI/4B ''Solar System'' Springer 2009
[16] 서적 Encyclopedia of planetary sciences Springer 1997
[17]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18] 서적 The Astronomical Almanac Online USNO–UKHO 2009
[19] 보고서 Table 1.1: IERS numerical standards http://tai.bipm.org/[...] International Earth Rotation and Reference Systems Service 2010
[20] 보고서 IAU Joint Discussion 7: Space-time reference systems for future research at IAU General Assembly – The re-definition of the astronomical unit of length: Reasons and consequences http://referencesyst[...] 2012
[21] 보고서 IAU WG on NSFA current best estimates http://maia.usno.nav[...]
[22] 학술지 Proposals for the masses of the three largest asteroids, the Moon-Earth mass ratio and the Astronomical Unit https://zenodo.org/r[...] 2009
[23] 뉴스 The final session of the [IAU] General Assembly http://www.astronomy[...] 2009-08-14
[24] 뉴스 The astronomical unit gets fixed: Earth–Sun distance changes from slippery equation to single number http://www.nature.co[...] 2012-09-14
[25]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26] 학술지 What is the astronomical unit of length? 1995
[27] 서적 Using SI Units in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8] 서적 Using SI Units in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9]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30] 학술지 Hipparchus on the distances of the sun and moon 1974
[31] 서적 Adversaries and Authorities: Investigations into Ancient Greek and Chinese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2] 학술지 The Length of Eratosthenes' Stade 1985
[33] 학술지 The origin and value of the stadion unit used by Eratosthenes in the third century B.C. https://link.springe[...] 1987
[34] 학술지 Eratosthenes' Too-Big Earth & Too-Tiny Universe http://www.dioi.org/[...] 2008-03
[35] 학술지 Christiaan Huygens' measurement of the distance to the Sun
[36] 논문 The Arabic version of Ptolemy's Planetary hypotheses 1967
[37]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38]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1985
[39] 서적 Ptolemy's Almagest Duckworth 1984
[40]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1985
[41]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1985
[42] 간행물 Quest for the astronomical unit http://www.tbp.org/p[...] 2012-01-16
[43] 보고서 The Solar Parallax 1943-03-01
[44]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45] 논문 A new method of determining the parallax of the Sun, or his distance from the Earth 1716
[46] 웹사이트 How far to the Sun? The Venus transits of 1761 & 1769 http://www.astronomy[...] Ohio State University 2009-11-15
[47] 논문 The Solar Parallax http://www.nature.co[...] 1871
[48] 회의록 Conférence internationale des étoiles fondamentales 1896-05-18
[49] 보고서 Resolution No. 4 of the XIIth General Assembly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http://www.iau.org/s[...] 1964
[50] 웹사이트 astronomical unit http://www.merriam-w[...]
[51] 논문 Solar parallax papers No. 7: The general solution from the photographic right ascensions of Eros, at the opposition of 1900 https://zenodo.org/r[...] 1909
[52] 논문 The solar parallax and the mass of the Moon from observations of Eros at the opposition of 1931 1941
[53] 논문 The Constant of Aberration and the Solar Parallax 1964
[54] 논문 Solar Mass Loss, the Astronomical Unit, and the Scale of the Solar System 2008
[55] 뉴스 AU may need to be redefined https://www.newscien[...] 2008-02-06
[56] 논문 Secular increase of astronomical unit from analysis of the major planet motions, and its interpretation 2004
[57] 논문 Astrometric Solar-System Anomalies; §2: Increase in the astronomical unit 2009
[58] 논문 The INPOP10a planetary ephemeris and its applications in fundamental physics 2011
[59] 논문 Collisional erosion in the primordial Edgeworth-Kuiper belt and the generation of the 30–50 au Kuiper gap 1997
[60]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Status https://voyager.jpl.[...]
[61] 웹사이트 Measuring the Universe –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1-07-22
[62] 문서 2006年の国際単位系文書では、「距離(distance)の単位」とされていたが、2019年の国際単位系文書では、「長さ(length)」の単位となった。
[63] 문서 SI国際文書第9版(2019) p.114、表8
[64] 웹사이트 9th edition of the SI Brochure (French and English) 2019 https://www.bipm.org[...] BIPM 2020-04-20
[65] 웹사이트 国際単位系 (SI) は世界共通のルールです https://unit.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計量標準総合センター 2020-04-20
[66] 웹사이트 国際文書第8版 (2006) 国際単位系(SI)日本語版 https://web.archive.[...]
[67] 표준 ISO 80000-3:2006
[68] 문서 実際の惑星軌道は、他の天体重力の影響(摂動)を受けてさらに歪んでいる
[69] 웹사이트 XVIth General Assembl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0-11-07
[70] 문서 国際単位系 (SI) 8版 (2006), 表7 注(d) (p. 38).
[71] 웹사이트 Keplerian Elements for Approximate Positions of the Majore Planets http://ssd.jpl.nasa.[...] NASA JPL 2010-11-07
[72] 웹사이트 IAU WG on NSFA: Current Best Estimates http://maia.usno.nav[...] 2010-11-09
[72] 논문 Proposals for the masses of the three largest asteroids, the Moon-Earth mass ratio and the Astronomical Unit
[73] 문서 荒木田・福島 (2008) pp. 518–521
[74] 웹사이트 RESOLUTION B2, recommends http://www.iau.org/s[...] IAU 2020-04-20
[75] 문서 SI国際文書第8版(2006)、p.38、表7
[76] 웹사이트 Aristarchus of Samos http://www-history.m[...]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10-11-09
[76] 웹사이트 太陽までの距離: 太陽までの距離を測るアリスタルコス (Aristarchus) の実験 http://www.takayaiwa[...] 2010-11-09
[76] 문서 Van Heiden (2005) pp. 5–7
[77] 웹사이트 ケプラーによる地球・火星軌道決定法 http://kakuda.ed.nii[...] 新潟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 2010-11-09
[78] 웹사이트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www.iau.org/p[...] IAU 2010-02-08
[79] 웹사이트 ‘Astronomical unit’ may need to be redefined http://www.newscient[...] 2010-02-08
[79] 논문 The astronomical units http://syrte.obspm.f[...]
[79] 웹사이트 Proposal for the redefinition of the astronomical unit of length (ua) through a fixed relation to the SI metre http://syrte.obspm.f[...] SYRTE, l'Observatoire de Paris 2010-11-08
[80] 논문 Solar mass loss, the astronomical unit, and the scale of the solar system https://arxiv.org/ab[...]
[81] 문서 Г. А. Красинский
[82] 문서 В. А. Брумберг
[83] 논문 Secular increase of astronomical unit from analysis of the major panet motions, and its interpretation http://iau-comm4.jpl[...]
[84] 문서 E. M. Standish
[85] 문서 Е. В. Питьева
[86] 웹사이트 天文単位は永年増加するか!? 太陽系天体の精密位置測定からの新たな問題 http://www.jasmine-g[...] JASMINE ホームページ 2016-02-07
[87] 문서 荒木田・福島 (2008) p. 522
[88] 문서 荒木田・福島 (2008) pp. 521–522
[89] 웹사이트 Why is the earth moving away from the sun? http://www.skyandtel[...] Sky and Telescope 2010-11-11
[89] 논문 Secular increase of the Astronomical Unit: a possible explanation in terms of the total angular momentum conservation law https://arxiv.org/ab[...]
[90] 문서 Van Helden (1985) p. 9
[9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Springer-Verlag
[91] 문서 Van Helden (1985) pp. 10–13
[92] 문서 1 スタディオンを 160–200 メートルとした場合
[93] 문서 Van Helden (1985) pp. 13–14
[94] 문서 Van Helden (1985) pp. 16–27
[95] 문서 Van Helden (1985) pp. 31–32
[9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upplement 2014:Updates to the 8th edition (2006) of the SI Brochure https://www.bipm.org[...] BIPM 2020-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