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idiSQ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eidiSQL은 MySQL, Microsoft SQL Server, PostgreSQL 및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도구이다. 1999년 안스가르 베커가 MySQL-Front라는 이름으로 개발을 시작했으며, 2006년 HeidiSQL로 이름을 변경하고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주요 기능으로는 서버 연결, 서버 호스트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테이블, 뷰, 프로시저, 트리거 및 이벤트 편집 등이 있다. HeidiSQL은 다국어 지원을 제공하며, Microsoft Store에서도 배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는 1992년 출시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테이블, 쿼리, 폼 등을 생성하고 VBA를 통해 솔루션을 개발하며,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데이터 형식과 통합된다. -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 비주얼 폭스프로
비주얼 폭스프로는 xBase 언어군에 속하는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dBase를 기반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통합되어 SQL 쿼리 및 데이터 조작을 지원하며, 마이크로소프트 개발 중단 후 커뮤니티 주도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 MariaDB - LAMP (소프트웨어 번들)
LAMP는 리눅스, 아파치, MySQL, PHP(또는 Perl, Python)를 결합한 오픈 소스 웹 개발 플랫폼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사용되며 유연성과 비용 효율성으로 널리 사용된다. - MariaDB - MODX
MODX는 콘텐츠, 디자인, 로직 분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 2004년 Etomite에서 시작되어 Evolution과 Revolution 두 버전으로 발전했으며, 높은 자유도와 확장성, 활발한 커뮤니티 지원이 특징이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 MySQL 워크벤치
MySQL 워크벤치는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시각적 설계, 개발, 관리 도구이며, DBDesigner4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SQL 개발,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 ADSO
ADSO는 데이터 수명주기 동안 자동화된 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IDDM과 같은 도구 및 데이터 검증 규칙을 활용하여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 HeidiSQL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개발자 | 안스가르 베커 |
| 출시일 | 2006년 4월 |
| 최신 버전 출시일 | ( }}) |
| 프로그래밍 언어 | 오브젝트 파스칼 |
| 운영체제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 라이선스 | GPLv2 |
| 웹사이트 | heidisql.com |
![]() | |
![]() | |
| 개발 | |
| 깃허브 저장소 | HeidiSQL 깃허브 저장소 |
| 일반 정보 | |
| 종류 | 데이터베이스 관리 |
2. 역사
HeidiSQL은 1999년 안스가르 베커(Ansgar Becker)가 "MySQL-Front"라는 이름으로 MySQL 프론트엔드 개발을 시작하면서 탄생했다.[8][1] 초기에는 마티아스 피히트너(Matthias Fichtner)가 작성한 API 레이어를 사용했으며, 2003년 버전 2.5까지 개인적으로 개발되었다.
2004년,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닐스 호이어(Nils Hoyer)에게 판매했고,[2][3] 2006년 4월에는 프로젝트 이름을 "HeidiSQL"로 변경하고 소스포지에서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이름은 모델 하이디 클룸과 애니메이션 ''알프스 소녀 하이디''에서 유래했다.[4] 같은 해 6월 출시된 3.0 버전부터는 ZeosLib[9]를 사용하도록 재설계되었다.
2008년에는 코드 저장소와 버그 추적 시스템을 구글 코드로 이전했으며, 2009년부터는 MySQL 외에 다른 데이터베이스 지원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자바 기반의 jHeidi 버전은 2010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SQL 서버(2011년), PostgreSQL(2014년), SQLite(2020년)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지원이 추가되었다.[5] 8.0 버전부터는 다국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2018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도 출시되었다.
2. 1. 개발 시작
1999년, 안스가르 베커(Ansgar Becker)는 MySQL 프론트엔드 개발을 시작하여 프로젝트 이름을 "MySQL-Front"로 명명했다. 이 프로그램은 MySQL 서버 및 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마티아스 피히트너(Matthias Fichtner)가 작성한 직접적인 API 레이어를 사용했다.[1] 2003년까지 개인적으로 개발을 계속하여 2.5 버전에 이르렀다.2004년, 개발이 잠시 중단된 기간 동안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닐스 호이어(Nils Hoyer)에게 판매했고, 호이어는 원래 소프트웨어를 복제하여 개발을 이어갔다.[2][3]
2006년 4월,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판매한 후 프로젝트 이름을 "HeidiSQL"로 변경하고 SourceForge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HeidiSQL은 더 새롭고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레이어인 ZeosLib를 사용하도록 재설계되었으며, 이는 2006년 6월에 나온 3.0 버전부터 적용되었다.[9] 프로젝트 이름 변경은 친구가 모델 하이디 클룸에게 헌정하는 의미로 제안했으며, 베커 자신이 ''알프스 소녀 하이디''에 대한 향수를 느끼면서 더욱 확고해졌다.[4]
SourceForge 프로젝트 호스팅의 단점과 기타 비교 우위적 장점(성능이나 기능 등)으로 인해, 안스가르는 2008년 5월 HeidiSQL의 코드 저장소와 버그/기능 추적기 호스팅을 구글 코드로 이전했다. 이때 HeidiSQL은 기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기보다는 일반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수행을 이용하기 위해 다시 작성되었다.
2009년 10월, 데이터베이스 레이어는 베커에 의해 다시 대체되었으며, 이후 다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자바로 작성된 jHeidi 버전은 Mac 및 Linux 컴퓨터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와인 지원을 위해 2010년 3월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Microsoft SQL Server에 대한 지원은 2011년 3월 7.0 릴리스를 통해 추가되었다. 8.0 릴리스 이후, HeidiSQL은 영어 외에 약 22개 언어로 GUI를 제공하며, 번역은 Transifex를 통해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이 기여한다. PostgreSQL 지원은 2014년 3월 9.0 릴리스에서 도입되었다.
2018년 초, 약간 확장된 v9.5 릴리스가 Microsoft Store에 게시되었다. SQLite 지원은 2020년 3월 11.0 릴리스를 통해 추가되었다.[5]
2. 2. 개인 개발 및 브랜드 판매 (1999년 ~ 2006년)
1999년, 안스가르 베커(Ansgar Becker)는 MySQL 프런트엔드 개발을 시작하여 프로젝트 이름을 "MySQL-Front"로 정했다. 이 프로그램은 MySQL 서버 및 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마티아스 피히트너(Matthias Fichtner)가 작성한 직접적인 API 레이어를 사용했다.[1][8] 개인적인 개발은 2003년까지 계속되어 2.5 버전이 출시되었다.2004년, 개발 활동이 잠시 중단된 기간 동안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닐스 호이어(Nils Hoyer)에게 판매했다. 호이어는 원래 소프트웨어를 복제하여 개발을 이어갔다.[2][3]
2006년 4월,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판매한 이후 프로젝트 이름을 "HeidiSQL"로 변경하고, 소스포지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8] HeidiSQL이라는 이름은 한 친구가 모델 하이디 클룸에게 헌정하는 의미로 제안했으며, 베커 본인이 어린 시절 즐겨 보았던 ''알프스 소녀 하이디''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었기에 더욱 강화되었다.[4]
HeidiSQL은 새롭고 더 널리 사용되던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레이어인 ZeosLib[9]를 사용하도록 재설계되었으며, 이는 2006년 6월에 출시된 3.0 버전에 처음 적용되었다.
2. 3. HeidiSQL로의 전환 및 오픈 소스 공개 (2006년)
2004년, 활동이 잠시 중단된 기간 동안 개발자 안스가르 베커(Ansgar Becker)는 MySQL-Front 브랜드를 닐스 호이어(Nils Hoyer)에게 판매했다.[2][3]2006년 4월,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판매한 후 프로젝트 이름을 "HeidiSQL"로 변경하고 소스포지(SourceForge)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HeidiSQL은 새롭고 더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레이어인 ZeosLib[9]를 사용하도록 재설계되었으며, 이는 2006년 6월에 나온 3.0 버전부터 적용되었다.
"HeidiSQL"이라는 이름은 베커의 친구가 모델 하이디 클룸에게 헌정하는 의미로 제안했으며, 베커 자신이 어린 시절 좋아했던 ''알프스 소녀 하이디''에 대한 향수를 느끼면서 더욱 마음에 들어 채택하게 되었다.[4]
2. 4. 명칭의 유래
HeidiSQL의 개발자인 안스가르 베커(Ansgar Becker)는 1999년 "MySQL-Front"라는 이름으로 MySQL 프론트엔드 개발을 시작했다.[8][1] 2004년, 베커는 MySQL-Front 브랜드를 닐스 호이어(Nils Hoyer)에게 판매했다.[2][3] 이후 2006년 4월, 베커는 프로젝트를 오픈 소스로 공개하면서 새로운 이름을 붙였는데, 이것이 바로 HeidiSQL이다.HeidiSQL이라는 이름은 베커의 친구가 모델 하이디 클룸에게 헌정하는 의미로 제안했으며, 베커 자신도 어린 시절 보았던 애니메이션 ''알프스 소녀 하이디''에 대한 개인적인 향수를 가지고 있어 이 이름을 선택하게 되었다.[4]
2. 5. 구글 코드로 이전 (2008년)
SourceForge 프로젝트 호스팅의 단점과 성능, 기능 등 구글 코드의 비교 우위를 고려하여, 개발자 안스가르 베커는 2008년 5월 HeidiSQL의 코드 저장소와 버그/기능 추적 시스템 호스팅을 구글 코드로 이전했다. 이 시기에 HeidiSQL은 기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대신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다시 작성되었다.2. 6.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지원 (2009년 ~ 현재)
2009년 10월, 개발자 안스카 베커는 데이터베이스 레이어를 다시 단일 유닛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후 HeidiSQL은 MySQL 외에 다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도 지원하도록 확장되기 시작했다.자바로 작성되어 Mac 및 Linux 컴퓨터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던 jHeidi 버전은 와인을 통한 지원을 위해 2010년 3월 개발이 중단되었다.
2011년 3월, 7.0 릴리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 SQL 서버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다.
HeidiSQL 8.0 릴리스부터는 영어 외에도 약 22개 언어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번역은 Transifex 플랫폼을 통해 여러 국가의 사용자들이 기여하고 있다.
2014년 3월에는 9.0 릴리스를 통해 PostgreSQL 지원이 도입되었다.
2018년 초에는 약간의 기능이 확장된 v9.5 릴리스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게시되었다.
2020년 3월에는 11.0 릴리스를 통해 SQLite 지원이 추가되었다.[5]
2. 7. jHeidi
jHeidi는 자바로 작성된 HeidiSQL 버전으로, 맥과 리눅스 컴퓨터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와인을 통한 HeidiSQL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jHeidi 프로젝트는 2010년 3월 이후 중단되었다. [https://web.archive.org/web/20081107072239/http://www.heidisql.com/jheidi/ jHeidi 홈페이지 (아카이브)]2. 8.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출시
2018년 초, 기능이 약간 확장된 버전 9.5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게시되었다.3. 기능
하이디SQL은 다양한 GUI 기능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10][11][6][7]
3. 1. 서버 연결
- 연결 정보(자격 증명 포함)를 저장하여 여러 개의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 호환되는 서버와 통신 시 압축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TCP/IP, 명명된 파이프 (소켓), 또는 터널링 프로토콜 (SSH)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 하나의 창 안에서 여러 개의 세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 서버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추가, 제거, 편집 및 권한 설정).
- 사용자 권한을 전체 서버 또는 특정 데이터베이스별로 관리할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를 SQL 파일로 내보내거나 다른 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 여러 개의 쿼리 탭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탭은 여러 하위 탭(배치 결과 표시용)을 가질 수 있다.[6][7]
3. 2. 서버 호스트
- 서버 변수 보기 및 필터링 (예: ''system_time_zone'')[6][7]
- 현재 세션 또는 전역 범위의 서버 변수 편집[6][7]
- 서버 통계 변수 및 시간당/초당 평균값 보기[6][7]
- 실행된 SQL 분석 및 비정상 프로세스 종료를 위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보기[6][7]
- SQL 명령별 백분율 표시와 함께 명령어 통계 보기[6][7]
3. 3. 데이터베이스
- 서버에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고,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해당 테이블과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크기나 개별 테이블의 크기를 데이터베이스/테이블 트리 구조 내에서 KB/MB/GB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문자 집합, 데이터 정렬 방식 등을 변경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3. 4. 테이블, 뷰, 프로시저, 트리거 및 이벤트
참조
[1]
웹사이트
Client API for MySQL Database Servers
http://webarchive.lo[...]
audio-data.de
2014-12-01
[2]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heidiSQL history in wikipedia
https://www.heidisql[...]
2017-05-22
[3]
웹사이트
Zu: Announcement: End of MySQL-Front ? Some words from...
https://www.heidisql[...]
2018-11-13
[4]
웹사이트
heidi?
https://www.heidisql[...]
2017-05-22
[5]
웹사이트
HeidiSQL 11.0 with SQLite support
https://www.heidisql[...]
2023-05-15
[6]
웹사이트
Partial list of major features
http://www.heidisql.[...]
HeidiSQL
2014-12-01
[7]
웹사이트
Screenshots of GUI features and descriptions
http://www.heidisql.[...]
HeidiSQL
2014-12-01
[8]
웹사이트
mysql.pas - Client API for MySQL Database Servers
http://www.fichtner.[...]
2002-08-08
[9]
SourceForge
ZeosLib - Delphi database components for MySQL, PostgreSQL, Interbase, Firebird, MS SQL, Sybase, Oracle and SQLite
http://sourceforge.n[...]
SourceForge
[10]
웹사이트
Partial list of major features
http://www.heidisql.[...]
HeidiSQL.com
[11]
웹사이트
Screenshots of GUI features and descriptions
http://www.heidisql.[...]
HeidiSQL.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