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BM 327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BM 3270은 1970년대 초 IBM에서 개발된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터미널 시리즈이다. 이 시스템은 메인프레임에서 지원 가능한 터미널 수를 최대화하고 데이터 전송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3270은 텍스트와 제어 기능을 혼합하여 전체 화면을 단일 출력으로 표시하며, 필드 속성을 통해 화면을 분할하고 다양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최초 모델은 1971년에 출시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모델과 컬러 터미널, 저가형 모델 등이 출시되었다. 3270은 SNA 네트워크 또는 비 SNA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었으며, TN3270 프로토콜을 통해 TCP/IP 네트워크에서도 에뮬레이션되어 사용되었다. IBM System/370과 같은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며, ISPF, CICS, VM 등의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3270은 디스플레이, 프린터, 컨트롤러로 구성되며, 다양한 명령과 문자 집합을 지원한다. IBM의 킹스턴 연구소에서 설계 및 개발되었고, 여러 제조 시설에서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말기 - 시스템 콘솔
    시스템 콘솔은 컴퓨터 시스템 제어를 위한 입출력 장치 제어반으로, 초기 토글 스위치에서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갖춘 터미널로 발전하여 CUI 환경을 제공하며, 현대에는 GUI 환경에서 터미널 에뮬레이터 형태로, 유닉스 계열에서는 가상 콘솔 기능으로 제공되고, 비디오 게임 콘솔이나 게임 내 명령줄 화면도 콘솔이라 불린다.
  • 단말기 - 리눅스 콘솔
    리눅스 콘솔은 리눅스 커널 내 시스템 콘솔로, 커널 메시지 수신 및 사용자 입력을 받아 텍스트 출력을 제공하며, 가상 콘솔 지원, 텍스트 및 프레임 버퍼 모드 구현 방식을 가지며,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에 의해 개발되었다.
  •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 - VTAM
    VTAM은 IBM의 SNA 주요 구성 요소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방식 소프트웨어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현재도 여러 기업에서 사용된다.
  •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 - 토큰링
    토큰링은 토큰 패싱 방식으로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는 링 토폴로지 기반의 근거리 통신망 기술로, 케임브리지 링에서 시작되어 IBM의 제품 출시와 함께 IEEE 802.5 표준으로 발전했으나 이더넷에 밀려 쇠퇴하였다.
  • IBM 컴퓨터 - 미드레인지 컴퓨터
    미드레인지 컴퓨터는 1960년대에 등장하여 메인프레임과 미니컴퓨터의 중간 규모로, 중소 기업 및 대기업 부서에서 사용되다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서버 역할과 기업 인트라넷 및 산업 공정 제어 등에 활용되었으며, 웹 서버로 대체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요한 IT 인프라이다.
  • IBM 컴퓨터 - IBM 시스템/360
    IBM 시스템/360은 다양한 모델로 구성되어 단일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를 통해 설계를 통합하고 8비트 바이트, 32비트 워드, 마이크로코드 CPU의 상업적 사용 등 여러 산업 표준을 도입한 1960년대 IBM의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이다.
IBM 3270
개요
IBM 3278 터미널
IBM 3270 정보 표시 시스템의 3278 터미널의 모습.
유형블록 지향 단말기 및 프린터 제품군
제조사IBM
출시1971년
단종IBM은 IBM 3270 생산을 중단함
상세 정보
특징블록 지향 프로토콜
동축 케이블 연결
관련 기술IBM 3270 PC
TN3270
설명
개요IBM 3270은 IBM에서 제작한 블록 지향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프린터 제품군이다. IBM 3270은 1971년에 소개되었으며, 이전 모델인 IBM 2260을 대체했다.
통신 방식3270 단말기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IBM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연결되며, IBM의 SNA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특징3270은 블록 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는 데이터가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되는 대신, 한 블록으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터 전송 효율성을 높이고, 메인프레임 컴퓨터의 부하를 줄여준다.
에뮬레이터3270 에뮬레이터는 PC 또는 다른 장치에서 3270 단말기를 에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이다. TN3270은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3270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2. 역사

1970년대 초, IBM은 원격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연결하는 3270 시리즈를 설계했다. 3270은 전송되는 데이터 양과 메인프레임에 대한 인터럽트 빈도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CPU가 모든 키 입력 시 인터럽트되지 않아, 16MB 주기억 장치의 IBM 3033 메인프레임은 CICS에서 최대 17,500개의 3270 터미널을 지원할 수 있었다.

최초의 3270 시스템은 1971년에 출시되었으며, 3271/3272 컨트롤러, 3277 디스플레이, 3284 프린터로 구성되었다.[41] 이 중 3277 모델 2 (80x24)가 가장 성공적이었다.

이후 1977년에는 3276 디스플레이/컨트롤러와 3278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확장 모델이 출시되었고,[41] 1979년에는 3279 컬러 텍스트/컬러 그래픽스 디스플레이와 3287 컬러 프린터가 출시되었다.[42] 1983년에는 저가형 모델인 3178과 3179가 출시되었다.

2. 1. 개발 배경

1970년대 초, IBM은 당시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연결하는 3270 시리즈를 설계했다. 단일 메인프레임에서 사용 가능한 터미널 수를 최대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3270은 전송되는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고 메인프레임에 대한 인터럽트 빈도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CPU가 모든 키 입력 시 인터럽트되지 않도록 하여, 16MB의 주기억 장치만 장착된 1970년대 IBM 3033 메인프레임은 CICS에서 최대 17,500개의 3270 터미널을 지원할 수 있었다.

2. 2. 초기 모델 출시

1971년, IBM은 3271/3272 컨트롤러, 3277 디스플레이, 3284 프린터로 구성된 최초의 3270 시스템을 출시했다.[41] 3277 모델 2 (80x24)는 가장 성공적인 모델이었다.

2. 3. 기능 확장 및 신모델 출시

1977년, IBM은 3276 디스플레이/컨트롤러와 3278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기능이 대폭 확장된 모델들을 출시했다.[41] 1979년에는 3279 컬러 텍스트/컬러 그래픽스 디스플레이와 3287 컬러 프린터가 출시되었다.[42]

1983년에는 저가형 모델인 3178과 3179가 출시되었다. 3178은 저가형 디스플레이 장치였고, 3179는 저가형 컬러 텍스트 표시 장치였다.

3. 원리

3270 시리즈는 1970년대 초반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1] 3270은 전송 데이터 양과 메인프레임 인터럽트 빈도를 최소화하여 단일 메인프레임에서 사용 가능한 터미널 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6MB 주 기억 장치를 가진 1970년대 IBM 3033 메인프레임은 CPU가 모든 키 입력에 인터럽트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CICS에서 최대 17,500개의 3270 터미널을 지원할 수 있었다.

프린터 및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제어 장치가 하나 있는 샘플 IBM 3270 클러스터


3270 장치는 대부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나 프린터가 '제어 장치'에 연결된 '클러스터' 형태로 사용된다(3275 및 3276에는 통합 제어 장치 포함).[4] 초기에는 동축 케이블로 제어 장치에 연결되었지만, 나중에는 토큰 링, 꼬임쌍선, 이더넷 연결도 가능해졌다. '로컬' 제어 장치는 인근 메인프레임의 채널 I/O에 직접 연결되고, '원격' 제어 장치는 모뎀을 통해 통신 회선에 연결된다. 원격 3270 컨트롤러는 여러 제어 장치가 회선에 연결되는 다중 드롭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IBM 3270 장치는 3299 멀티플렉서 또는 클러스터 컨트롤러(예: 3271, 3272, 3274, 3174)에 RG-62, 93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터미널당 전용 케이블이 하나씩 있는 점대점 구성으로 연결되었다. 데이터는 약간 수정된 차동 맨체스터 부호화를 사용하여 2.3587Mbit/s의 비트 전송률로 전송된다. 1500m까지의 케이블 거리가 지원되지만, IBM 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최대 지원 동축 케이블 길이를 약 609.60m로 명시했다. 원래 장치에는 BNC 커넥터가 장착되었지만, 나중에 소위 빨간색 balun이 필요 없는 IBM 쉴드 꼬임쌍선 케이블 시스템을 지원하는 특수 DPC(Dual Purpose Connector)로 교체되었다.

데이터 스트림에는 텍스트와 제어(또는 서식 지정 기능)가 혼합되어 있어 전체 화면을 단일 출력 작업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서식 지정 개념을 통해 화면을 여러 필드(인접한 문자 셀의 클러스터)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색상, 강조 표시, 문자 집합, 수정 방지 등 수많은 필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5] 필드 속성은 화면의 물리적 위치를 차지하며, 이는 필드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기도 한다. 개별 화면 위치와 관련된 문자 속성도 있다.

"수정된 내용 읽기" 기술을 사용하여,[6] 메인프레임으로 다시 전송되는 단일 전송에는 수정된 모든 형식 필드의 변경 내용이 포함될 수 있지만, 수정되지 않은 필드나 정적 데이터는 전송되지 않는다. 이 기술은 중앙 처리 장치의 터미널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전송되는 데이터를 최소화한다. 문자 인터럽트 구동 터미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일부 사용자는 이 기술을 특이하게 여기기도 한다. 또한 필드 속성을 포함하여 3270-화면 버퍼의 전체 내용을 전송하는 "읽기 버퍼"[7] 기능도 있다. 이는 주로 디버깅 정보를 사용하여 임시로 대체하는 동안 응용 프로그램 화면 내용을 보존하기 위한 디버깅 목적으로 사용된다.

초기 3270은 세 가지 유형의 키보드를 제공했다. ''타자기 키보드''는 기능 키가 없는 66키 버전과 12개의 키가 있는 78키 버전으로 제공되었다. 두 버전 모두 두 개의 ''프로그램 주의''(PA) 키가 있었다.[8][9] ''데이터 입력 키보드''에는 5개의 PF 키와 2개의 PA 키가 있었다. ''운영자 콘솔 키보드''에는 12개의 PF 키와 2개의 PA 키가 있었다.[12] 이후 3270에는 주의 키, 커서 선택 키, 시스템 요청 키, 24개의 PF 키 및 3개의 PA 키가 있었다. TEST REQ 키도 있었다. 이러한 키 중 하나를 누르면 해당 제어 장치에서 호스트 컴퓨터에 I/O 인터럽트를 생성하고 어떤 키가 눌렸는지 식별하는 ''주의 ID''(AID)를 표시한다. 종료, 페이지 업, 페이지 다운 또는 도움말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기능은 단일 키 누름으로 호출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개별 키 입력을 처리하는 vi와 같은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같은 이유로, 3279 화면을 가진 메인프레임에 대한 Lotus 1-2-3의 포팅은 실패했는데, 이는 프로그래머가 스프레드시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문자 단위가 아닌 한 번에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종 사용자의 응답성은 3270에서 더 예측 가능했으며, 이는 사용자들이 높이 평가했다.

4. 구성 요소

IBM 3270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터미널3270 디스플레이 터미널은 데이터 스트림 처리 방식에 따라 CUT와 DFT 방식으로 나뉜다.


  • CUT (Control Unit Terminal):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에 커서 이동, 문자 표시 등을 지시한다.
  • DFT (Distributed Function Terminal): 컨트롤러가 데이터 스트림 대부분을 디스플레이로 보내고, 디스플레이가 자체적으로 3270 프로토콜을 해석한다. DFT는 확장 속성, 그래픽, 최대 5개의 동시 세션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CUT 대 DFT
디스플레이 스테이션 이름CUT 대 DFT
3178 — 모든 모델CUT
3179 — 모델 1CUT
3179 — 모델 G1, G2DFT
3180 — 모델 1CUT
3191 — 모든 모델CUT
3192 — 모델 C, D, F, L, WCUT
3192 — 모델 GDFT
3193 — 모든 모델DFT
3194 — 모든 모델DFT
3277 — 모든 모델CUT
3278 — 모든 모델CUT
3279 — 모든 모델CUT
3290 — 모든 모델DFT
3472 — 모델 G 제외CUT
3472 — 모델 GDFT
3482 — 모든 모델DFT


컨트롤러

IBM 3174 컨트롤러


터미널이 있는 IBM 3274-41D 컨트롤러

  • 원격 컨트롤러: 3271[41], 3275
  • 로컬 컨트롤러: 3272[41]
  • 클러스터 컨트롤러:
  • 3274: 채널 연결 또는 BSC/SDLC 통신 회선을 통해 원격 연결 가능. 8~32개 동축 포트 지원.[41]
  • 3174: 3274의 후속 모델. 토큰 링, 이더넷, X.25를 통한 다중 호스트 연결, 동축 외에 꼬임 쌍선, 토큰 링, 이더넷을 통한 터미널 연결, TN3270 등 지원. 3270 장치 외에 비동기 ASCII 터미널, 프린터, 플로터 연결도 지원.[33]


3274 및 3174에서 IBM은 기능 목록과 이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마이크로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구성 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프린터

  • 3284
  • 3286
  • 3287 (컬러 모델 포함)[41]
  • 3288

멀티플렉서3299는 3274 컨트롤러(9901 멀티플렉서 기능 포함)와 최대 8개의 디스플레이/프린터 사이에서 멀티플렉서 역할을 하여 케이블 수를 줄였다.

4. 1. 디스플레이

3270 디스플레이 터미널은 다양한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각 모델은 고유한 특징과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

  • 3277:
  • 모델 1: 40x12 문자 표시
  • 모델 2: 80x24 문자 표시 (가장 성공적인 모델)[13]
  • 3277 GA: RS-232C I/O를 갖춘 모델로, 테크트로닉스(Tektronix) 4013 또는 4015 그래픽 화면(흑백)을 구동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 3278:
  • 모델 1: 80x12 문자 표시
  • 모델 2: 80x24 문자 표시
  • 모델 2A: 80x24 문자 표시 (콘솔) 및 4개 행 예약
  • 왼쪽부터 IBM 3278 및 3279 터미널
    모델 3: 80x32 또는 80x24 문자 표시 (전환 가능)
  • 모델 4: 80x43 또는 80x24 문자 표시 (전환 가능)
  • 모델 5: 132x27 또는 80x24 문자 표시 (전환 가능)
  • 확장 강조 기능: 깜박임, 문자 집합, 반전 비디오, 밑줄 등 개별 문자 및 필드에 강조 속성 설정 가능
  • 프로그래밍된 기호(PS): 프로그래밍 가능한 문자로, 단색 그래픽 표시 가능

  • 3279: IBM 최초의 컬러 터미널[14]
  • IBM 3279 컬러 디스플레이 터미널

IBM 3279 터미널을 사용하는 Informatics General 컴퓨터 프로그래머


IBM 3279-S3G 터미널에서 파이 차트 표시, 녹색 번개 표시

  • 모델 2A: 80x24 기본 색상
  • 모델 2B: 80x24 확장 색상
  • 모델 2C: 4줄이 예약된 80x24 기본 색상 (콘솔)
  • 모델 3A: 80x32 기본 색상
  • 모델 3B: 80x32 확장 색상
  • 모델 S3G: 프로그래밍된 심볼 세트 그래픽을 갖춘 80x32 확장 색상
  • 기본 색상 모드: 보호 및 강도 필드 속성에 따라 색상 결정


  • 확장 색상 모드: 색상 필드와 문자 속성에 따라 중립(흰색), 빨간색, 파란색, 녹색, 분홍색, 노란색, 청록색 중 하나로 색상 결정

  • 3290 정보 패널: 1983년 3월 8일에 발표된 17인치 황색 단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

IBM 3290

  • 4개의 독립적인 3278 모델 2 터미널 또는 단일 160x62 터미널을 포함한 다양한 모드 지원
  • 파티셔닝 지원 (최대 16개)
  • 프로그래밍된 기호를 사용한 그래픽 지원

  • 3178: 저가형 터미널 (1983년)

  • 3179: 저가형 컬러 터미널 (1984년)[17]

  • 3180: 1984년 3월 20일에 출시된 흑백 디스플레이
  • 다양한 기본 및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지원
  • 모든 기본 모드는 24x80의 기본 화면 크기
  • 보조 화면 크기: 모드 2/2+ (24x80), 모드 3/3+ (32x80), 모드 4/4+ (43x80), 모드 5/5+ (27x132)
  • 응용 프로그램은 확장 모드에 대해 기본 및 대체 화면 크기 재정의 가능
  • 단일 명시적 파티션 지원 (응용 프로그램 제어 하에 재구성 가능)

  • 319x:
  • 3191: 경제적인 흑백 CRT
  • 모델 A, B: 1920자 12인치 CRT
  • 모델 D, E, L: 1920자 또는 2560자 14인치 CRT
  • 3192:
  • 모델 C: 7색 14인치 CRT (80x24 또는 80x32 문자)
  • 모델 D: 녹색 단색 15인치 CRT (80x24, 80x32, 80x44 또는 132x27 문자)
  • 모델 F: 7색 고해상도 14인치 CRT (80x24, 80x32, 80x44 또는 132x27 문자)
  • 모델 G: 7색 14인치 CRT (80x24 또는 80x32 문자)
  • 모델 L: 녹색 단색 15인치 CRT (80x24, 80x32, 80x44 또는 132x27 문자), 선택기 펜 기능
  • 모델 W: 흑백 15인치 CRT (80x24, 80x32, 80x44 또는 132x27 문자)
  • 3193: 고해상도, 세로형, 흑백, 380mm(15인치) CRT 이미지 디스플레이
  • 영숫자 데이터 및 A4 크기 문서 표시 기능
  • 스캐너에서 압축된 이미지 전송 및 3193에서 압축 해제 가능
  • 3194: 1.44MB 3.5인치 플로피 드라이브와 IND$FILE 전송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스테이션
  • C 모델: 80x24 또는 80x32 문자를 표시하는 12인치 컬러 CRT
  • D 모델: 80x24, 80x31, 80x44 또는 132x27 문자를 표시하는 15인치 흑백 CRT
  • H 모델: 80x24, 80x31, 80x44 또는 132x27 문자를 표시하는 14인치 컬러 CRT

  • 3104: IBM 8100 시스템용 저가형 R-루프 연결 터미널

  • 3472 인포윈도우

CUT vs. DFT:

3270 데이터 스트림이 종료되는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3270 디스플레이가 있었다.

  • CUT (Control Unit Terminal):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서 데이터 스트림 종료.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에 커서 이동, 문자 위치 등을 지시.
  • DFT (Distributed Function Terminal): 데이터 스트림의 대부분이 컨트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전달. 디스플레이는 자체적으로 3270 프로토콜 해석. DFT는 확장 속성, 그래픽 등과 같은 기능 및 멀티세션(최대 5개 동시)을 지원.


CUT 대 DFT
디스플레이 스테이션 이름CUT 대 DFT
3178 — 모든 모델CUT
3179 — 모델 1CUT
3179 — 모델 G1, G2DFT
3180 — 모델 1CUT
3191 — 모든 모델CUT
3192 — 모델 C, D, F, L, WCUT
3192 — 모델 GDFT
3193 — 모든 모델DFT
3194 — 모든 모델DFT
3277 — 모든 모델CUT
3278 — 모든 모델CUT
3279 — 모든 모델CUT
3290 — 모든 모델DFT
3472 — 모델 G 제외CUT
3472 — 모델 GDFT
3482 — 모든 모델DFT


4. 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 3275: 원격 디스플레이로, 컨트롤러 기능을 지원하며 최대 1대의 프린터를 추가할 수 있지만, 추가 디스플레이는 지원하지 않는다.[41]
  • 3276: 원격 디스플레이로, 컨트롤러 기능을 지원하며 제한된 수의 디스플레이나 프린터를 지원한다. 1981년에 발표된 IBM 3276은 원격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터미널을 결합한 형태로, 자체 3276을 포함하여 최대 8개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했다. 3276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A형 동축 포트를 가지고 있었는데, 하나는 자체 디스플레이용이고 다른 하나는 추가 터미널 또는 프린터용이었다. 각각 두 개의 동축 장치를 지원하는 최대 3개의 추가 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었다. 3276은 최대 9,600 bit/s의 회선 속도로 BSC 또는 SDLC를 사용하여 비SNA 또는 SNA 호스트에 연결할 수 있었다. 3276은 3278 터미널과 매우 유사했고, 3276 자체의 터미널 기능은 3278의 기능과 거의 동일했다.[42]
  • 3271: 원격 컨트롤러[41]
  • 3272: 로컬 컨트롤러[41]
  • 3274: 클러스터 컨트롤러로, 채널 연결 방식 또는 BSC나 SDLC 통신 회선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8개에서 32개의 동축 포트를 가지고 있었다.[41] 1977년 3271-2 제품군을 대체하는 3274 컨트롤러 제품군이 출시되었다.[34] 3274 모델에는 8, 12, 16, 32 포트 원격 컨트롤러와 32 포트 로컬 채널 연결 장치가 포함되었으며, 총 16개의 서로 다른 모델이 시장에 출시되었다. 3274는 수명 동안 확장 데이터 스트림, 확장 강조 표시, 프로그래밍된 기호 집합(PSS) 등 여러 기능을 지원했다.[34]
  • 3174: 클러스터 컨트롤러로, 다양한 연결 옵션과 기능을 제공한다. 1986년, IBM은 3274 제품군을 대체하는 3174 서브시스템 제어 장치를 출시했다. 3174는 다양한 새로운 연결 옵션과 기능을 통해 3270 제품군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1994년까지 3174 Establishment Controller는 표준 채널 연결 또는 SDLC 외에 토큰 링, 이더넷, 또는 X.25를 통한 여러 호스트 연결, 동축 외에 꼬임 쌍선, 토큰 링 또는 이더넷을 통한 터미널 연결, TN3270과 같은 기능을 지원했다. 또한 3270 장치와 함께 비동기 ASCII 터미널, 프린터 및 플로터의 연결도 지원한다.[33]


4. 3. 프린터


  • 3284 매트릭스 프린터
  • 3286 매트릭스 프린터
  • 3287 프린터 (컬러 모델 포함)[41]
  • 3288 라인 프린터
  • IBM 8100 시스템용 3268-1 R-루프 연결 독립형 프린터
  • 4224 매트릭스 프린터, IPDS 지원

4224 프린터


1984년, IBM은 애플리케이션과 프린터 간의 양방향 통신을 활용하여 AFP 문서의 온라인 인쇄를 지원하는 IPDS를 발표했다. IPDS는 텍스트, 글꼴, 이미지, 그래픽 및 바코드 인쇄를 지원한다.

HP, 캐논 등 PC 시장을 겨냥한 레이저 프린터를 비롯한 프린터들이 등장하면서, 3270 고객들은 I-data, MPI Tech, Adacom 등과 같은 제조업체의 프린터 프로토콜 변환기를 통해 이러한 프린터들을 연결하여 IBM 3270 프린터의 대안을 확보했다. 프린터 프로토콜 변환기는 기본적으로 3287형 프린터를 에뮬레이트했으며, 이후 IPDS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4. 4. 컨트롤러

IBM 3270 시스템에서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와 같은 장치를 관리하는 핵심 구성 요소였다. 컨트롤러는 크게 원격 컨트롤러와 로컬 컨트롤러, 클러스터 컨트롤러로 분류되었다.

  • 3271 원격 컨트롤러: 원격 통신 회선을 통해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었다.[41]
  • 3272 로컬 컨트롤러: 메인프레임에 직접 채널 연결되었다.[41]
  • 3274 클러스터 컨트롤러: 채널 연결 또는 BSC/SDLC 통신 회선을 통해 원격 연결이 가능했으며, 8~32개의 동축 포트를 가졌다.[33]
  • 3174 클러스터 컨트롤러: 3274의 후속 모델로, 다양한 연결 옵션과 기능을 제공했다.

3274 클러스터 컨트롤러1977년 IBM은 3271-2 제품군을 대체하는 3274 컨트롤러 제품군을 출시했다. 3274는 내장형 8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읽어온 마이크로코드로 제어되었으며, 8, 12, 16, 32 포트 원격 컨트롤러와 32 포트 로컬 채널 연결 장치를 포함하여 총 16개의 모델이 출시되었다. 3274-1A는 SNA 물리적 장치 유형 2.0(PU2.0)으로, 채널에서 단일 주소만 필요했고 3272와 호환되지 않았다. 3274-1B 및 3274-1D는 3272와 호환되는 로컬 비SNA 모델이었다.

3274는 Category A라는 새로운 동축 프로토콜을 도입하여 3277 터미널 및 3284 프린터와 같은 Category B 동축 장치와 차별화했다. 최초의 Category A 동축 장치는 3278과 최초의 컬러 터미널인 IBM 3279 컬러 디스플레이 스테이션이었다.[34]

3274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했다.

  • 확장 데이터 스트림
  • 확장 강조 표시
  • 프로그래밍된 기호 집합(PSS)
  • 최대 14.4 kbit/s 속도의 V.24 인터페이스
  • 최대 56 kbit/s 속도의 V.35 인터페이스
  • X.25 네트워크 연결
  • DFT (분산 기능 터미널)
  • DSL (3290 및 3179G 다운스트림 로드)
  • 9901 및 3299 멀티플렉서
  • 엔트리 어시스트
  • 듀얼 로직 (CUT 모드 디스플레이에서 두 개의 세션을 갖는 기능)

3174 클러스터 컨트롤러1986년, IBM은 3274 제품군을 대체하는 3174 서브시스템 제어 장치를 출시했다. 3174는 3274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정의가 가능했으며,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고 대형 플로어 모델에는 어댑터 슬롯이 10개였다. 3274와 달리 모든 로컬 모델은 PU2.1(APPN)을 포함하여 로컬 SNA 또는 로컬 비SNA로 구성할 수 있었다.

3174 모델은 다음과 같다.

  • 01L, 01R, 02R, 03R, 51R, 52R, 53R, 81R, 82R


01L은 로컬 채널 연결, R 모델은 원격 연결, x3R은 토큰 링(업스트림) 연결이었다. 0xL/R 모델은 최대 32개의 동축 장치를 지원하는 플로어 유닛, 5xR 모델은 9~16개 동축 포트를 지원하는 쉘프 유닛, 8xR은 4~8개 동축 포트를 지원하는 데스크톱 유닛이었다.

3174는 BNC 동축 커넥터를 DPC(Dual Purpose Connector)로 변경하여, IBM 케이블 시스템을 직접 지원했다.

구성 지원 A는 3174와 함께 제공된 최초의 마이크로 코드로, IPDS, 다중 논리 터미널, CECP, 응답 시간 모니터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토큰 링을 포함한 여러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다. 구성 지원 S는 최대 80개의 다운스트림 PU를 지원하는 3270 토큰 링 DSPU 게이트웨이 역할을 가능하게 했다.

1989년, IBM은 3174 설치 컨트롤러로 이름을 변경하고, 11L, 11R, 12R, 13R, 61R, 62R, 63R, 91R, 92R 모델을 출시했다. 구성 지원 B 릴리스 1은 토큰 링 게이트웨이에서 지원되는 DSPU 수를 250개로 늘리고, '그룹 폴링'을 도입했다. 구성 지원 B 릴리스 2~5는 로컬 형식 스토리지, 타입 어헤드, 널/스페이스 처리, ESCON 채널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했다.

1990–1991년에는 21R, 21L, 12L, 22L, 22R, 23R, 90R 모델이 추가되었다. 12L은 ESCON 광섬유 채널 연결을 제공했고, 2xx 모델은 랙 마운트용, 90R은 토큰 링 3270 DSPU 게이트웨이용이었다.

구성 지원 C는 ISDN, APPN, 피어 통신을 지원했다. 후속 릴리스에서는 분할 화면, 세션 간 복사, 계산기 기능, AS/400 호스트 및 5250 키보드 에뮬레이션 액세스, TN3270 CUT 터미널의 TCP/IP Telnet 지원, IP 전달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1993년에는 이더넷 어댑터(FC 3045)와 함께 14R, 24R, 64R 모델이 추가되었다. 1994년에는 TN3270 클라이언트를 포함한 RPQ 8Q0935의 기능이 구성 지원 C 릴리스 3에 통합되었다.[35]

1994년까지 3174는 토큰 링, 이더넷, X.25를 통한 다중 호스트 연결, 동축 외에 꼬임 쌍선, 토큰 링, 이더넷을 통한 터미널 연결, TN3270 등을 지원했다. 또한 3270 장치와 함께 비동기 ASCII 터미널, 프린터, 플로터 연결도 지원했다.[33]

3274 및 3174에서 IBM은 기능 목록과 이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마이크로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구성 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4. 5. 멀티플렉서

IBM은 3299라는 장치를 제공했는데, 이 장치는 적절하게 구성된 3274 컨트롤러(9901 멀티플렉서 기능 포함)와 최대 8개의 디스플레이/프린터 사이에서 멀티플렉서 역할을 하여 3x74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프린터 간의 동축 케이블 수를 줄였다.

3174 컨트롤러가 도입되면서 내부 또는 외부 멀티플렉서(3299)가 주류가 되었는데, 3174-1L 컨트롤러에는 각 8개의 장치를 지원하는 4개의 멀티플렉싱된 포트가 장착되었다. 내부 3174 멀티플렉서 카드는 TMA(터미널 멀티플렉서 어댑터) 9176으로 명명되었다.

Fibronics 및 Adacom을 포함한 여러 벤더가 IBM과 함께 또는 그 이전에 3270 멀티플렉서를 제조했으며, 동축 케이블 대신 TTP - 전화 연선을 지원하는 멀티플렉서와 멀티플렉서 간의 광섬유 링크를 제공했다.

일부 경우, 멀티플렉서는 3174-81R / 91R과 같은 소형 원격 컨트롤러에서 "확장" 장치로 작동했는데, 여기서 3299는 동축 포트 수를 4개에서 8개로 확장하거나, 3174-51R / 61R에서 3299는 동축 포트 수를 8개에서 16개로 확장했다.

5. 통신 방식

3270 장치는 RG-62, 93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점대점 구성으로 컨트롤러에 연결된다.[1] 데이터는 약간 수정된 차동 맨체스터 부호화를 사용하여 2.3587Mbit의 비트 전송률로 전송된다.[1] 초기에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토큰 링, 꼬임쌍선, 또는 이더넷 연결도 가능해졌다.[4]

로컬 컨트롤러는 인근 메인프레임의 채널 I/O에 직접 연결된다.[4] 원격 컨트롤러는 모뎀을 통해 통신 회선에 연결된다.[4] 3270 장치는 SNA 네트워크 또는 비 SNA 네트워크의 일부가 될 수 있다.

6. Telnet 3270 (TN3270)

TN3270은 텔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3270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과정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3270급 터미널을 에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설명한다. TN3270을 사용하면 3270 터미널 에뮬레이터가 SNA 네트워크 대신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Telnet 3270은 터미널 또는 인쇄 연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표준 텔넷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근본적으로 다른 기술을 사용하므로 TN3270 클라이언트를 대체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TN3270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주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다.


  • IBM Host On-Demand 및 Personal Communications
  • Attachmate EXTRA!
  • QWS3270
  • Rumba
  • Reflection
  • EXTES

7. 응용 분야

IBM System/370 및 후속 시스템에서 IBM 3270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터미널이었다.[10] ISPF 패널과 지원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대화형 구성 요소를 가진 IBM 및 타사 소프트웨어는 3270 터미널을 활용했다.

대화식 모니터 시스템(CMS)은 VM에서 3270을 지원했으며[11], 이는 z/VM까지 이어진다. 시분할 옵션(TSO)은 OS/360 및 후속 제품에서 라인 모드 명령줄을 지원하며, ISPF와 같은 풀 스크린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기능도 갖추고 있다. OS/360 및 후속 제품용 MCS(Multiple Console Support)의 DIDOCS(Device Independent Display Operator Console Support)는 3270 장치를 지원했다.

MVS 및 VM/SP용 SPF 및 ''프로그램 개발 기능'' (ISPF/PDF) 편집기와 z/VM을 통한 VM/SP용 XEDIT 편집기는 3270 기능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고객 정보 제어 시스템(CICS)는 3270 패널을 지원했으며, 1970년대 초부터 CICS 응용 프로그램은 종종 3270용으로 작성되었다.[8]

Wylbur는 풀 스크린 응용 프로그램 지원을 포함하여 3270을 지원한다. 맥길 대학교의 MUSIC/SP 운영 체제는 풀 스크린 텍스트 편집기, 메뉴 시스템 및 3270 풀 스크린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패널 기능을 포함하여 3270 터미널 및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수정된 데이터 태그는 형식화되고 구조화된 펀치 카드 입력을 3270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환하는 데 적합했다. IBM의 OfficeVision 사무 생산성 소프트웨어는 3270 상호 작용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WordPerfect 워드 프로세서의 System/370으로 포팅된 버전은 3270 아키텍처용으로 설계되었다.

8. 기술 정보

327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명령, 복사 제어 문자(CCC) 또는 필요한 경우 쓰기 제어 문자(WCC), 복사를 위한 장치 주소, 명령, 문자 데이터 및 구조화된 필드로 구성된다.[1] 명령은 3270 제어 장치에 읽기 또는 쓰기와 같은 지정된 장치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며,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로 전송되어 장치 버퍼의 형식을 제어한다. 구조화된 필드는 추가 제어 기능과 데이터를 터미널로 또는 터미널에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WCC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비트는 프린터 작동을 시작하고 인쇄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다른 비트 설정은 설치된 경우 가청 알람을 울리고, 작업자 입력을 허용하도록 키보드를 잠금 해제하거나, 장치 버퍼의 모든 수정된 데이터 태그를 재설정한다.

명령은 명령 코드 바이트와 0~3바이트의 가변 정보로 구성된다. 3270은 필드 속성, 확장 속성, 문자 속성의 세 가지 속성을 가진다.

3270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는 각 화면 위치마다 1바이트를 포함하는 버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3277 모델 2는 80열 24행의 화면 크기를 갖추고 있어 1920바이트의 버퍼 크기를 가진다. 바이트는 0부터 화면 크기에서 1을 뺀 값까지 주소가 지정된다(예: 1919). 각 버퍼 저장 위치와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사이에는 고정된 관계가 있다.[12] 대부분의 명령은 "현재" 버퍼 주소에서 작동을 시작하며, 명령을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쓰면 이 주소가 업데이트된다. 버퍼 주소는 ''Set Buffer Address (SBA)'' 명령을 사용하여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종종 ''Start Field'' 또는 ''Start Field Extended''가 뒤따른다. 1920자 디스플레이를 가진 장치의 경우 12비트 주소로 충분하며, 더 큰 화면 크기를 가진 후기 3270은 14비트 또는 16비트를 사용한다.

주소는 두 바이트의 명령 내에서 인코딩된다. 12비트 주소의 경우 각 바이트의 상위 두 비트가 유효한 EBCDIC(또는 ASCII) 문자를 형성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주소 0은 X'4040'(공백-공백)으로 코딩되고, 주소 1919는 X'5D7F'(''로 코딩된다.[12]

8. 1. 3270 문자 집합

3270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키보드와 문자 집합을 제공한다. 다음 표는 미국 영어 EBCDIC에 대한 3275/3277/3284–3286 문자 집합을 보여준다.[12]

3270 문자 집합 (US EBCDIC)


8. 2. 데이터 스트림

327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명령, 복사 제어 문자(CCC) 또는 필요한 경우 쓰기 제어 문자(WCC), 복사를 위한 장치 주소, 명령, 문자 데이터 및 구조화된 필드로 구성된다.[1] 명령은 3270 제어 장치에 읽기 또는 쓰기와 같은 지정된 장치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명령은 장치 버퍼의 형식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로 전송된다. 구조화된 필드는 추가 제어 기능과 데이터를 터미널로 또는 터미널에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WCC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비트는 프린터 작동을 시작하고 인쇄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다른 비트 설정은 설치된 경우 가청 알람을 울리고, 작업자 입력을 허용하도록 키보드를 잠금 해제하거나, 장치 버퍼의 모든 수정된 데이터 태그를 재설정한다.

명령은 명령 코드 바이트와 0~3바이트의 가변 정보로 구성된다.

3270은 세 가지 종류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 필드 속성
  • 확장 속성
  • 문자 속성


3270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는 각 화면 위치마다 1바이트를 포함하는 버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3277 모델 2는 80열 24행의 화면 크기를 갖추고 있어 1920바이트의 버퍼 크기를 가진다. 바이트는 0부터 화면 크기에서 1을 뺀 값까지 주소가 지정된다. (예: 1919). "각 ... 버퍼 저장 위치와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사이에는 고정된 관계가 있습니다."[12] 대부분의 명령은 "현재" 버퍼 주소에서 작동을 시작하며, 명령을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쓰면 이 주소가 업데이트된다. 버퍼 주소는 ''Set Buffer Address (SBA)'' 명령을 사용하여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종종 ''Start Field'' 또는 ''Start Field Extended''가 뒤따른다. 1920자 디스플레이를 가진 장치의 경우 12비트 주소로 충분하다. 더 큰 화면 크기를 가진 후기 3270은 14비트 또는 16비트를 사용한다.

주소는 두 바이트의 명령 내에서 인코딩된다. 12비트 주소의 경우 각 바이트의 상위 두 비트가 유효한 EBCDIC(또는 ASCII) 문자를 형성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주소 0은 X'4040'(공백-공백)으로 코딩되고, 주소 1919는 X'5D7F'(''로 코딩된다.[12]

9. 개발 및 제조

IBM 3270은 IBM의 킹스턴, 뉴욕 연구소에서 설계 및 개발되었다. 프린터는 엔디컷, 뉴욕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41] 서브시스템이 확장되면서 3276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일본 후지사와 연구소와 이후 야마토 연구소에서 개발되었으며, 3279 컬러 디스플레이와 3287 컬러 프린터는 영국 허슬리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42] 서브시스템 제품은 킹스턴(디스플레이 및 컨트롤러), 엔디컷(프린터), 그리고 영국 그리노크(대부분의 제품)에서 제조되었다. 3278 터미널은 1980년대 후반까지 캄피나스 근처 호르톨란디아에서 계속 제조되었으며, 현지 엔지니어링 팀이 현대적인 CMOS 기술을 사용하여 내부를 재설계하면서 외부 모양과 느낌을 유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PD Chronology 1971 http://www-03.ibm.co[...] IBM 2003-01-23
[2] 웹사이트 What is 3270 (Information Display System) https://whatis.techt[...]
[3] 웹사이트 Cleo 3270 Support Documentation http://www.cleo.com/[...] 2019-03-15
[4] 간행물 3270 clusters https://books.google[...] 1985-05-13
[5] 웹사이트 IBM+3270
[6] 웹사이트 Formatted screen input https://www.ibm.com/[...] 2004-04-27
[7] 웹사이트 Reading from a 3270 terminal https://www.ibm.com/[...]
[8] 웹사이트 Input from a 3270 terminal https://www.ibm.com/[...]
[9] 서적 Designing and Programming CICS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00
[10] 웹사이트 3270 -Brief History http://www.hob-techt[...] 2015-08-19
[11] manual IBM Virtual Machine Facility/370: Terminal User's Guide http://bitsavers.org[...]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1974-10
[12] 서적 IBM 3270 Information Display System Component Description http://www.bitsavers[...]
[13] 웹사이트 IBM 3277 Terminal https://vintagecompu[...] 2017-02-02
[14] 웹사이트 IBM Archives: 1979 http://www-03.ibm.co[...] 2003-01-23
[15] 웹사이트 Hardware Products Developed at Hursley (IBM Hursley Museum) http://hursley.slx-o[...]
[16] 웹사이트 IBM 3290 Information Panel https://www.ibm.com/[...] 1983-03-08
[17] 웹사이트 IBM 3179 COLOR DISPLAY STATION http://www.ibm.com/c[...] 1984-03-20
[18] 웹사이트 GTE IS/7800 Video Display Systems https://bitsavers.co[...] Datapro 1977-05
[19] 웹사이트 Harris 8000 Series Terminal Systems http://bitsavers.org[...] Datapro 1985-07
[20] 웹사이트 Harris 9100/9200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http://bitsavers.org[...] Datapro 1985-07
[21] 웹사이트 Charcole/Zmachine3270 https://github.com/c[...] 2021-09-13
[22] Youtube IBM 3270 compatible terminal playing Infocom games (Informer 207 376/SNA) https://www.youtube.[...]
[23] 웹사이트 3270 Plug-Compatible Peripherals http://www.bitsavers[...] Memorex 2022-03-14
[24] 웹사이트 Computer II Reference https://www.cybertel[...] 2021-05-17
[25] 웹사이트 IBM 3179 Color Graphics Display Station Models G1 and G2 and IBM 3979 Expansion Unit https://www.ibm.com/[...] 1985-06-18
[26] 간행물 Sun Software Emulates IBM Display Terminal https://books.google[...] 1988-06-20
[27] 간행물 Telex beefs up its lineup https://books.google[...] 1987-02-16
[28] 뉴스 IBM 3179G: To beep or not to beep https://groups.googl[...] comp.terminals 1991-01-10
[29] 웹사이트 Object: 11000554 IBM 3179G, producer: IBM, serial number: 55-N1186, dating: 1985-11-01–1985-11-30, received: 2009-11-18, Description: IBM 3179 — Display station (color or graphics) for IBM 3270 http://datamuseum.dk[...]
[30] 간행물 Software & Services:Productivity Aids https://books.google[...] 1985-07-15
[31] 웹사이트 3270 Graphics http://www.prycroft6[...] 2008-01
[32] 서적 Reflection for IBM 14.x — Programming Reference
[33] 서적 3174 Establishment Controller/Networking Server Installation Guide http://www.redbooks.[...]
[34] 웹사이트 Inside an IBM/Motorola mainframe controller chip from 1981 http://www.righto.co[...] 2024-07
[35] manual Using 3174 in TCP/IP Networks http://bitsavers.org[...] IBM 1994-06
[36] 웹사이트 Building an IBM 3270 terminal controller https://ajk.me/build[...]
[37] 웹사이트 Oec https://github.com/l[...] 2021-10-04
[38] 웹사이트 Coax https://github.com/l[...] 2021-10-16
[39] 웹사이트 Pytn3270 https://github.com/l[...] 2021-10-04
[40] 웹사이트 1371/1372 REMOTE/LOCAL CONTROLLER BUSINESS PLAN http://mrxhist.org/d[...] COMMUNICATIONS GROUP MEMOREX CORPORATION 1978-09-28
[41] 문서 IBM Archives: DPD chronology 1970-1974 http://www-03.ibm.co[...]
[42] 문서 IBM Archives: DPD chronology 1975-1981 http://www-03.ibm.co[...]
[43] 웹인용 RFC 2355 - TN3270 Enhancements https://tools.ietf.o[...] 1998-01-01
[44] 웹인용 DPD Chronology 1971 http://www-03.ibm.co[...] IBM 2013-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