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48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EEE-488은 1975년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에 의해 표준화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계측 장비 간의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다. 휴렛 팩커드(HP)가 개발한 HP 인터페이스 버스(HP-IB)를 기반으로 하며, 병렬 버스와 몇 개의 제어 라인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IEEE 488은 이후 IEEE 488.2, SCPI 등의 표준으로 발전했으며, 2004년에는 IEEE와 IEC가 각 표준을 결합하여 IEC 60488 표준을 발표했다. 이 인터페이스는 최대 15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 토커, 리스너 역할을 통해 통신한다. IEEE 488은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계측 장비 제어 및 데이터 수집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USB, 이더넷 등 최신 인터페이스에 비해 대역폭이 낮고, 커넥터 및 케이블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테스트 장비 -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의 시간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계측기로, 초기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SO)로 발전하여 신호 저장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전자 테스트 장비 - 전압계
전압계는 전기 회로의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측정 범위 확장을 위한 장치가 사용되지만, 디지털 방식은 소프트웨어 오류 및 해킹 위험에 대한 우려가 있다. - IEEE 표준 - IEEE 754
IEEE 754는 부동소수점 숫자를 표현하고 처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다양한 형식과 연산, 반올림 규칙, 예외 처리 등을 정의한다. - IEEE 표준 - IEEE 802.2
IEEE 802.2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LLC 서브레이어를 정의하는 IEEE 802 표준의 일부로, 비연결 및 연결 지향 모드를 지원하며, LLC 클래스 I, II, III, IV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유형을 제공하고, DSAP, SSAP 주소 및 제어 필드로 구성된 헤더와 필요에 따라 SNAP 확장을 사용해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한다. - 컴퓨터 버스 - NMEA 0183
NMEA 0183은 선박용 GPS, 자동식별장치(AIS) 등 항해 장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ASCII 기반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RS-422 전기 표준을 사용하며, 문장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3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 컴퓨터 버스 - 인피니밴드
인피니밴드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 간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통신 기술로, 슈퍼컴퓨터나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이더넷 기반 기술과의 경쟁 및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적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IEEE-488 | |
|---|---|
| 일반 정보 | |
| 명칭 |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
| 다른 이름 | HP-IB (Hewlett-Packard Interface Bus) IEC 625 |
| 개발 | 휴렛 팩커드 (Hewlett-Packard) |
| 표준 | IEEE 488 IEC 625 |
| 기술 정보 | |
| 종류 | 병렬 디지털 인터페이스 |
| 데이터 폭 | 8비트 |
| 커넥터 | 24핀 암센트ronics |
| 전송 모드 | 반이중 |
|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 1MB/s (IEEE-488.1), 8MB/s (HS-488) |
| 최대 케이블 길이 | 20m (총 케이블 길이), 장치 당 2m |
| 토폴로지 | 데이지 체인 또는 스타 |
| 주소 지정 가능 장치 | 15 |
| 역사 | |
| 개발 년도 | 1960년대 후반 |
| 표준화 | 1975년 (IEEE 488) |
| 사용 분야 | |
| 주요 사용처 | 자동 시험 장비 (ATE) 계측 장비 컴퓨터 주변 기기 |
| 관련 표준 | |
| 관련 표준 | IEEE 488.1 IEEE 488.2 HS-488 |
2. 역사
1960년대 휴렛 팩커드(HP)는 다양한 자동화된 테스트 및 측정 장비를 제조하면서 장비와 제어기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 ''HP 인터페이스 버스(HP-IB)''를 개발했다.[1] 이 HP의 일부는 나중에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로 분사되었고, 2014년에는 애질런트의 테스트 및 측정 사업부가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로 분사되었다.
HP는 HP-IB 특허를 다른 제조업체에 라이선스했고, 이 버스는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GPIB)로 알려지며 자동화 및 산업 장비 제어를 위한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GPIB가 인기를 얻으면서 다양한 표준 기구에 의해 공식화되었다.
미국 공군[4]과 휴렛 팩커드는 장비별 명령에 대한 표준이 없음을 인식하고, 1989년 HP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계측을 위한 표준 명령(SCPI)의 전신인 자사의 테스트 측정 언어(TML)[5] 또는 테스트 및 측정 시스템 언어(TMSL)[6]을 개발했다. SCPI는 1990년에 업계 표준으로 도입되었다.[7] SCPI는 표준 일반 명령과 해당 클래스별 명령이 있는 일련의 장비 클래스를 추가했다. SCPI는 IEEE 488.2 구문을 의무화했지만 다른 (비 IEEE 488.1) 물리적 전송을 허용했다.
2. 1. 개발 배경
1960년대 휴렛 팩커드(HP)는 멀티미터 및 로직 분석기와 같은 다양한 자동화된 테스트 및 측정 장비를 제조했다.[1] HP는 이러한 장비와 제어기(컴퓨터 및 기타 장비) 간의 연결을 쉽게 하기 위해 HP 인터페이스 버스(HP-IB)를 개발했다.[1] HP-IB는 당시 기술을 사용하여 간단한 병렬 버스와 몇 개의 개별 제어 라인을 통해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HP는 HP-IB 특허를 다른 제조업체에 소정의 수수료를 받고 라이선스했다. 이 버스는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GPIB)로 알려지게 되었고, 자동화 및 산업 장비 제어를 위한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2. 2. 표준화 과정
1975년, IEEE는 HP-IB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계측을 위한 표준 디지털 인터페이스', IEEE 488로 표준화했다.[2] 이는 1978년에 개정되었고(IEEE 488-1978),[2] 1987년에 다시 개정되어 IEEE 488.1(IEEE 488.1-1987)로 재지정되었다. 이 표준은 GPIB의 기계적, 전기적 및 기본 프로토콜 매개변수를 정의했지만, 명령어 또는 데이터 형식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았다.1987년, IEEE는 '표준 코드, 형식, 프로토콜 및 공통 명령', IEEE 488.2를 도입했다. 이는 1992년에 개정되었다.[3] IEEE 488.2는 기본 구문 및 형식 규칙뿐만 아니라 장치 독립적 명령, 데이터 구조, 오류 프로토콜 등을 제공했다. IEEE 488.2는 IEEE 488.1을 대체하지 않고 그 위에 구축되었다. 장비는 IEEE 488.2를 따르지 않고도 IEEE 488.1을 준수할 수 있었다.
IEEE 488.1은 하드웨어를, IEEE 488.2는 프로토콜을 정의했지만, 장비별 명령에 대한 표준은 여전히 없었다. 동일한 종류의 장비(예: 멀티미터)를 제어하는 명령은 제조업체 및 모델에 따라 달랐다.
IEC는 IEEE와 병행하여 자체 표준인 IEC 60625-1 및 IEC 60625-2(IEC 625)를 개발했으며, 나중에 IEC 60488-2로 대체되었다.
내셔널 인스트루먼트는 IEEE 488.1에 대한 하위 호환 확장인 HS-488을 도입했다. 이는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8 MB/s로 증가시켰지만, 더 많은 장치가 버스에 연결될수록 속도가 감소했다. 이는 2003년에 표준(IEEE 488.1-2003)에 통합되었다.[8]
2004년, IEEE와 IEC는 각 표준을 결합하여 "듀얼 로고" IEEE/IEC 표준 IEC 60488-1, ''프로그래밍 가능한 계측을 위한 표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고성능 프로토콜 - 파트 1: 일반''[11]을 발표하여 IEEE 488.1/IEC 60625-1을 대체하고, IEC 60488-2, ''파트 2: 코드, 형식, 프로토콜 및 공통 명령''[12]은 IEEE 488.2/IEC 60625-2를 대체했다.[13]
2. 3. 대한민국 도입 및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IEEE 488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주로 연구소, 대학, 기업의 연구 개발 부서에서 계측 장비 제어 및 데이터 수집에 활용되었다. 현재는 USB, 이더넷 등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밀려 사용 빈도가 줄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산업 현장에서는 안정성과 신뢰성 때문에 사용되고 있다.3. 기술적 특징
IEEE 488은 16개의 신호 라인을 사용하는 8비트, 전기적 병렬 버스이다. 이 중 8개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 3개는 핸드셰이크에, 5개는 버스 관리에 사용되며, 8개의 접지 반환 라인이 있다.[14][15]
이 버스는 0부터 30까지 31개의 5비트 주소를 지원하며, 각 장치에 고유한 주소를 할당한다.[14][15]
최대 20m 길이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최대 15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물리적 토폴로지는 선형 또는 스타(분기형) 형태이며, 활성 익스텐더를 사용하면 더 긴 버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최대 31개의 장치까지 가능하다.
제어 및 데이터 전송 기능은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도 하나의 장치를 "토커"로, 하나 이상의 장치를 "리스너"로 지정할 수 있다. 여러 컨트롤러가 동일한 버스를 공유할 수 있지만, 한 번에 "제어 담당자"는 하나만 가능하다.[17]
원래 프로토콜은 상호 연결된 3선 ''준비-유효-수락'' 핸드셰이크를 사용하며,[18]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당 약 1메가바이트이다. 이후 HS-488 확장은 핸드셰이크 요구 사항을 완화하여 최대 8Mbyte/s를 허용한다. 버스 속도는 가장 느린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19]
3. 1. 구조
IEEE 488은 16개의 신호 라인을 사용하는 8비트, 전기적 병렬 버스이다. 8개의 신호선은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 3개는 핸드셰이크에, 5개는 버스 관리에 사용되며, 8개의 접지 반환 라인이 있다.[14][15]이 버스는 0부터 30까지 번호가 매겨진 31개의 5비트 주소를 지원하며, 버스의 각 장치에 고유한 주소를 할당한다.[14][15]
이 표준은 최대 20m의 총 케이블 길이를 가진 단일 물리적 버스를 최대 15개의 장치가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물리적 토폴로지는 선형 또는 스타(분기형)일 수 있다.[16] 활성 익스텐더를 사용하면 더 긴 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논리적 버스에서 이론적으로 최대 31개의 장치가 가능하다.
제어 및 데이터 전송 기능은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도 하나의 장치를 "토커"로, 하나 이상의 장치를 "리스너"로 지정할 수 있다. 여러 컨트롤러가 동일한 버스를 공유할 수 있지만, 한 번에 "제어 담당자"는 하나만 가능하다.[17]
원래 프로토콜에서 전송은 상호 연결된 3선 ''준비-유효-수락'' 핸드셰이크를 사용한다.[18]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당 약 1메가바이트이다. 이후의 HS-488 확장은 핸드셰이크 요구 사항을 완화하여 최대 8Mbyte/s를 허용한다. 가장 느린 장치가 버스 속도를 결정한다.[19]
3. 2. 커넥터
IEEE 488은 앰페놀이 설계한 24핀 마이크로 리본 커넥터를 사용한다. 마이크로 리본 커넥터는 D자형 금속 쉘을 가지고 있지만, D-서브미니어처 커넥터보다 크다. 이들은 때때로 센트로닉스의 프린터에 사용된 36핀 마이크로 리본 커넥터를 따서 "센트로닉스 커넥터"라고 불린다.[20]IEEE 488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암수 양쪽을 갖는 "이중 헤드" 디자인을 사용하여 커넥터를 쌓아서 쉽게 데이지 체인 연결을 할 수 있다. 기계적 한계로 인해 쌓을 수 있는 커넥터의 수는 4개 이하로 제한되지만, 커넥터를 물리적으로 지지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들은 나사로 고정되며, 6-32 UNK[20](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또는 미터법 M3.5×0.6 나사산을 사용한다. 초기 표준 버전에서는 호환되지 않는 UTS 나사산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미터법 나사를 검게 칠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1987년 개정판에서는 미터법 나사산의 보편화로 인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21]

Amphenol영어사가 설계한 24핀 마이크로 리본 커넥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흔히 센트로닉스 타입이라고 잘못 불린다. 수/암 커넥터가 쌍을 이루어 쌓아 올리기(스택)로 간단하게 데이지 체인이 가능하다(이를 피기백 커넥터라고도 한다). 스택 가능한 커넥터 수의 기계적 한계는 4개 이하이다. 이들은 UTS(이제 거의 폐지되었다)나 미터(M3.5 x 0.6) 나사로 고정된다. 관례적으로 미터 나사는 검게 칠해져 UTS 나사와 맞지 않도록 되어 있다.[20][21]
IEC-625 표준에서는 25핀 D-sub 커넥터(PC/AT 호환 기종의 패러럴 포트에 사용되는 것)의 사용을 규정하고 있다. 이 표준은 24핀 커넥터의 채용에 반하여 시장의 많은 지지를 얻지 못했다.
3. 3. 통신 방식
IEEE 488은 16개의 신호 라인(양방향 데이터 전송용 8개, 핸드셰이크용 3개, 버스 관리용 5개)과 8개의 접지 반환 라인을 사용하는 8비트, 전기적 병렬 버스이다.데이터 전송은 상호 연결된 3선 ''준비-유효-수락'' 핸드셰이크를 사용한다.[18] 여러 컨트롤러가 동일한 버스를 공유할 수 있지만, 한 번에 "제어 담당자"는 하나만 가능하다.[17] 버스 속도는 가장 느린 장치가 결정한다.[19] 원래 프로토콜에서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당 약 1메가바이트이다. 이후 HS-488 확장은 핸드셰이크 요구 사항을 완화하여 최대 8Mbyte/s를 허용한다.[19]
3. 4. 주소 지정
IEEE 488 버스는 0부터 30까지 번호가 매겨진 31개의 5비트 주소를 지원하며, 버스의 각 장치에 고유한 주소를 할당한다.[14][15]4. 신호
데이터 핸드셰이크 관리용 모든 신호는 0이 High 레벨(≧2.0V), 1이 Low 레벨(≦0.8V)이 된다.[14]
5. 통신 방법
IEEE 488 통신은 컨트롤러, 토커, 리스너의 세 가지 주요 역할로 구성된다. 각 역할에 따른 기능은 아래 표와 같다.
5. 1. 토커와 리스너의 결정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토커(Talker)를 하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스너(Listener)를 하나 이상 선택한다. 컨트롤러는 ATN=L로 설정하고 UNL(Unlisten) 명령을 발행한 후, 토커 주소와 리스너 주소를 전송하고 ATN을 H로 되돌리면, 토커와 리스너가 결정될 수 있다.[1]5. 2. 데이터 송수신
토커(Talker)가 8비트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DIO1–DIO8)에 설정한 후 DAV=L[1]로 신호를 보내면, 리스너(Listener)는 먼저 NRFD=H[1]로 바쁨 상태가 된다.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면 리스너는 NDAC=H[1]로 신호를 보낸다. 데이터 수신 완료 후 토커가 DAV=H[1]로 신호를 보내면, 리스너는 NDAC=L[1]로 신호를 보내고, 다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NRFD를 L[1]로 되돌린다. 이로써 1바이트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다.여러 바이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는, 마지막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구분자를 토커에서 리스너로 전송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너리 데이터의 경우 EOI=L[1]로 하고, 문자열 데이터의 경우 CR+LF, CR, LF를 구분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5. 3.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는 컨트롤러에 인터럽트를 걸 때, SRQ 신호를 1(L)로 설정하여 서비스 요청을 한다. 컨트롤러는 어떤 디바이스에서 요청이 왔는지 조사해야 하는데, 조사 방법으로는 '''병렬 폴'''과 '''직렬 폴''' 방식이 있다.[1]| 종류 | 방향 | 명칭 | 데이터 | 설명 |
|---|---|---|---|---|
| 관리용 | 컨트롤러 ← 장치 | SRQ (Service Request) | 1(L) = 서비스 요청 | 버스에 있는 장치는 컨트롤러 관리 하에서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어서트한다. 컨트롤러는 장치가 서비스 요청할 때까지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 어떠한 조치를 취한다.[1] |
6. 장단점
IEEE 488은 전기적, 물리적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했지만, 표준 명령 집합이 없어 호환성 문제가 있었고, 낮은 대역폭, 높은 비용 등의 단점으로 인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전기적으로 IEEE 488은 몇몇 개별 논리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현 가능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으며, 각 장치는 버스 프로토콜에 필요한 비동기식 핸드셰이킹 신호를 생성해 느리고 빠른 장치를 하나의 버스에서 혼합할 수 있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비교적 느려 전송선 문제는 무시되었다.
물리적으로 IEEE 488 커넥터와 케이블은 견고하고 나사로 고정되었다.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장치는 동일한 기능에 대해 서로 다른 명령을 사용할 수 있었다.[30] 1990년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를 위한 표준 명령(SCPI)이 나오기 전까지는 명령 프로토콜 표준의 일부 측면이 표준화되지 않았다.
USB, FireWire, 이더넷과 같은 최신 표준은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한다. 다중 도체(병렬 데이터) 커넥터와 차폐 케이블은 RS-232, RS-485, USB, FireWire 또는 이더넷과 같은 직렬 데이터 전송 표준에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케이블보다 본질적으로 더 비쌌다.
6. 1. 장점
- 구현이 쉬운 단순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 단일 호스트에 여러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 속도가 느린 기기와 빠른 기기를 함께 연결할 수 있다.
- 기술적으로 안정적이며 널리 사용된다.
- 단자가 튼튼하고 나사로 고정되어 USB처럼 쉽게 빠지지 않는다.[14][15]
- 케이블이 튼튼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16]
전기적으로 IEEE 488은 몇몇 개별 논리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현 가능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치가 단일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었다. 각 장치는 버스 프로토콜에 필요한 비동기식 핸드셰이킹 신호를 생성하므로, 느린 장치와 빠른 장치를 하나의 버스에서 혼합할 수 있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비교적 느려 전송선 문제(임피던스 정합, 선로 종단 등)는 무시되었다. 버스와 장치 간 갈바닉 절연이 필요 없어, 추가적인 노이즈와 데이터 손실을 유발하는 접지 루프가 발생할 수 있었다.[17][18][19]
물리적으로 IEEE 488 커넥터와 케이블은 견고하고 나사로 고정되었다. 크고 튼튼한 커넥터는 산업/실험실 환경에서 장점이었지만,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는 커넥터의 크기와 비용이 단점이었다.
6. 2. 단점
- 크고 무거운 커넥터와 케이블을 사용한다.[30] 물리적으로 크고 튼튼한 커넥터는 산업 또는 실험실 환경에서는 장점이었지만,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는 커넥터의 크기와 비용이 단점이었다.
- 명령 프로토콜 표준이 없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SCPI로 개선)[30]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장치는 동일한 기능에 대해 서로 다른 명령을 사용할 수 있었다. 장치 명령의 표준인 SCPI는 1990년대에 도입되었으나, 늦게 도입되어 널리 구현되지는 못했다.
- IEEE-488.2 이전 세대 기기와의 호환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30] 전송 종료 등과 같은 부분에 대한 통일된 구현 방법이 없었다. 구현 옵션(예: 전송 종료 처리)은 IEEE 488.2 이전 장치에서 상호 운용성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 버스와 기기 사이에 전기적 절연이 없어 노이즈에 취약할 수 있다.[30] 버스와 장치 간의 갈바닉 절연에 대한 요구 사항이 없었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노이즈와 데이터 손실을 유발하는 접지 루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 대역폭이 낮다.[30]
- RS-232/USB/FireWire/이더넷 등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힘들다.[30] 다중 도체(병렬 데이터) 커넥터와 차폐 케이블은 RS-232, RS-485, USB, FireWire 또는 이더넷과 같은 직렬 데이터 전송 표준에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케이블보다 본질적으로 더 비쌌다. 대량 판매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주변 장치(예: 프린터 또는 스캐너) 중 IEEE 488을 구현한 것은 거의 없었다.
7. 응용 분야
IEEE 488은 주로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계측 장비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된다. 휴렛 팩커드(HP)는 디지털 멀티미터나 로직 분석기와 같은 시험 및 측정 장비를 컴퓨터와 쉽게 연결하기 위해 HP 인터페이스 버스(HP-IB)를 개발했고,[31] 다른 제조업체들도 이를 복사하여 GPIB(General Purpose Interface Bus)를 만들었다.
HP는 원래 HP-IB를 범용 컴퓨터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로 계획하지 않았지만, 초기 마이크로컴퓨터 주변 장치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프린터, 플로터 등) 연결에 적용되었다. HP-IB는 HP 컴퓨터 제품군 (\[\[HP Series 80]], HP 9800 시리즈, HP 2100 시리즈, HP 3000 시리즈)에서 사용되었으며,[23][24][25] HP-41 및 HP-71B와 같은 1980년대 HP의 일부 고급 포켓 계산기도 HP-IL/HP-IB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IEEE 488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코모도어 PET 개인용 컴퓨터도 주변 장치를 IEEE 488 버스에 연결했다. 이후 코모도어 8비트 컴퓨터는 IEEE 488 기반 프로토콜을 가진 시리얼 버스를 사용했다.[26] VIC-20[27] 및 코모도어 64[28]용 IEEE 488 카트리지도 판매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SCSI와 같이 더 빠르고 완전한 표준이 주변 장치 연결에 IEEE 488을 대체하게 되었다. 현재는 IEEE 488 대신 USB, 이더넷과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주로 사용된다.

8. 다른 인터페이스 표준과의 비교
RS-232, USB, FireWire, 이더넷과 같은 최신 표준은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며, 인터페이스 전자 장치의 비용 감소를 통해 더 복잡한 표준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30] 다중 도체(병렬 데이터) 커넥터와 차폐 케이블은 RS-232, RS-485, USB, FireWire 또는 이더넷과 같은 직렬 데이터 전송 표준에 사용되는 커넥터 및 케이블보다 본질적으로 더 비쌌다.
물리적으로 IEEE 488 커넥터와 케이블은 견고하고 나사로 고정되었다. 크고 튼튼한 커넥터는 산업 또는 실험실 환경에서 장점이었지만,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는 크기와 비용이 단점으로 작용했다.[30] 이러한 이유로 대량 판매되는 개인용 컴퓨터나 주변 장치(예: 프린터 또는 스캐너)에는 IEEE 488이 거의 구현되지 않았다.[30]
9. GPIB 컨트롤러
참조
[1]
간행물
A Practical Interface System for Electronic Instruments
http://hparchive.com[...]
1972-10
[1]
간행물
A Common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s: The Evolution of a System
http://hparchive.com[...]
1972-10
[2]
간행물
IEEE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
간행물
IEEE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3]
간행물
IEEE Standard Codes, Formats, Protocols, and Common Commands for Use With IEEE Std 488.1-1987, IEEE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4]
문서
Project Mate in 1985
[5]
웹사이트
GPIB 101, A Tutorial of the GPIB Bus
http://www.icselect.[...]
ICS Electronics
[6]
웹사이트
Hewlett Packard Test & Measurement Catalog 1991
http://hparchive.com[...]
hparchive.com
[7]
웹사이트
History of GPIB
http://zone.ni.com/d[...]
National Instruments
2010-02-06
[8]
웹사이트
Upgraded Standard Boosts Speed of IEEE 488 Instrument Buses Eightfold
http://standards.iee[...]
IEEE
2010-02-06
[9]
간행물
HP and Other Test and Measurement Companies Urge IEEE to Oppose Revisions of Established IEEE 488 Standard
http://grouper.ieee.[...]
Hewlett-Packard Company
2010-02-16
[10]
웹사이트
P488.1 Project Home
http://grouper.ieee.[...]
IEEE
2010-02-16
[11]
서적
IEC/IEEE Standard for Higher Performance Protocol for the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 Part 1: General (Adoption of IEEE Std 488.1-2003)
IEEE
[12]
서적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Part 2: Codes, Formats, Protocols and Common Commands (Adoption of (IEEE Std 488.2-1992)
IEEE
[13]
웹사이트
Replaced or Withdrawn Publications
http://www.iec.ch/cg[...]
IEC
2010-02-06
[14]
서적
NI-488.2 User Manual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2010-02-16
[15]
서적
Agilent 82350B PCI GPIB Interface: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Guide
Agilent Technologies
2010-02-16
[16]
웹사이트
GPIB Instrument Control Tutorial
http://zone.ni.com/d[...]
National Instruments
2010-02-16
[17]
서적
NI-488.2 User Manual
http://www.ni.com/pd[...]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2010-02-16
[18]
서적
NI-488.2 User Manual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2010-02-16
[19]
웹사이트
Using HS488 to Improve GPIB System Performance
http://zone.ni.com/d[...]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2010-02-16
[20]
서적
Tutorial Description of the Hewlett-Packard Interface Bus
Hewlett-Packard
2022-06-13
[21]
간행물
IEEE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2]
간행물
4041 GPIB Programming Guide
Tektronix, Inc.
[23]
웹사이트
HP 98135A HP-IB Interface 9815
http://www.hpmuseum.[...]
2010-02-06
[24]
웹사이트
59310A HP-IB Interface
http://www.hpmuseum.[...]
2010-02-06
[25]
웹사이트
27113A HP-IB Interface
http://www.hpmuseum.[...]
2010-02-06
[26]
서적
On the Edge: The Spectacular Rise and Fall of Commodore
Variant Press
2006
[27]
문서
Commodore drawing for VIC-1112 - Drawing no. 1110010 Rev:A
[28]
URL
Reverse-engineered schematics for Commodore C64 IEEE interface
http://www.zimmers.n[...]
[29]
URL
Link to schematic for one such converter.
http://www.zimmers.n[...]
[30]
문서
Early devices might respond to an ID command with an identification string; later standards had devices respond to the *ID command.
[31]
문서
IEEE/IEC 60488-1-2004(IEEE Std 488.1-2003): Higher Performance Protocol for the Standard Digital Interface for Programmable Instrumentation - Part 1: General
[32]
서적
PC-9801/E/F/M インターフェース解析マニュアル[第5巻]
秀和システム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33]
웹사이트
NAT7210 IEEE 488.2 Controller Chip Specifications
https://www.ni.com/d[...]
2024-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