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렬 통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렬 통신은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는 통신 방식이다. 컴퓨터 주변 기기 버스, 내부 버스, IEEE-488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며, 과거에는 속도 및 구현의 용이성 때문에 직렬 통신보다 선호되었다. 그러나, 누화 문제와 클럭 스큐, 케이블 길이의 제약, 집적 회로 기술 발전으로 인해 직렬 통신이 널리 사용되면서, 현재는 USB, SATA, 파이어와이어, 썬더볼트 등 직렬 통신 기술이 주를 이룬다. 한편, 무선 주파수 통신에서는 병렬 데이터 링크가 부활하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병렬 통신 | |
---|---|
개요 | |
종류 | 데이터 통신 |
전송 방식 | 병렬 전송 |
특징 | 여러 데이터 비트가 동시에 전송됨 |
상세 정보 | |
사용 매체 | 병렬 포트 컴퓨터 버스 인터럽트 요청 (IRQ) 라인 |
장점 | 더 빠른 전송 속도 (동일 클럭 속도에서) 단순한 인터페이스 및 제어 로직 |
단점 | 더 많은 전선 또는 채널 필요 전선 간의 간섭 및 동기화 문제 발생 가능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지 않음 |
응용 분야 | |
컴퓨터 내부 통신 | CPU와 메모리 간의 통신 확장 카드와 마더보드 간의 통신 |
주변 기기 연결 | 프린터 스캐너 외부 저장 장치 (과거) |
관련 기술 | |
직렬 통신 | 데이터 비트를 순차적으로 전송 |
USB (유니버설 직렬 버스) | 직렬 통신 방식이지만, 병렬 통신의 대체 기술로 발전 |
참고 사항 | |
비고 | 병렬 통신은 주로 단거리 통신에 사용됨 기술 발전으로 직렬 통신이 더 높은 속도를 제공하면서 점차 대체되고 있음 |
2. 병렬 통신 시스템의 예
- IEEE-488
- IBM System/360 ''직접 제어 기능''(1964년): 표준 System/360은 8비트 폭 포트를, 공정 제어 변형 모델 44는 32비트 폭 포트를 가졌다.[1]
- 레거시 컴퓨터 주변 버스: ISA, ATA, SCSI, PCI, IEEE-1284/센트로닉스 "프린터 포트"
- 실험실 계측 버스: IEEE-488
- (더 많은 예시는 컴퓨터 버스에서 볼 수 있다)
- 각종 기기 연결용 IEEE 488
2. 1. 컴퓨터 버스
컴퓨터 주변 기기용 버스로는 ISA, ATA, SCSI, PCI, 프론트 사이드 버스, IEEE-1284/센트로닉스 "프린터 포트" 등이 있다.[1] 내부 버스로는 메모리 버스, 시스템 버스, 프론트 사이드 버스, DDR SDRAM 및 GDDR SDRAM의 다양한 세대 등이 있다.[1]병렬 통신은 컴퓨터 버스에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ISA, ATA, SCSI, PCI, 프런트 사이드 버스 등이 있다. 프린터 연결에 자주 사용되었던 IEEE 1284(센트로닉스)도 병렬 통신이다.[1]
2. 2. 기타
- 컴퓨터 주변 기기용 버스로 ISA, ATA, SCSI, PCI, 프론트 사이드 버스, IEEE-1284/센트로닉스 "프린터 포트" 등이 있다.[1]
- IEEE-488은 주로 실험실 계측 장비 연결에 사용되는 병렬 통신 방식이다.
- IBM System/360 ''직접 제어 기능''(1964년)은 8비트 또는 32비트 폭 포트를 가졌다. 표준 System/360은 8비트 폭 포트를 가졌고, 공정 제어 변형 모델 44는 32비트 폭을 가졌다.
- 레거시 컴퓨터 주변 버스에는 ISA, ATA, SCSI, PCI와 한때 널리 사용되었던 IEEE-1284/센트로닉스 "프린터 포트"가 있다.
3. 직렬 통신과의 비교
고속 직렬 기술이 발전하기 전까지 병렬 통신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후 직렬 통신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속도, 케이블 길이, 복잡성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 속도: 초기에는 병렬 통신이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여 직렬 통신보다 빨랐다. 그러나 클럭 스큐 현상으로 인해 병렬 통신의 속도 향상에 한계가 발생했다.
- 케이블 길이: 병렬 통신은 누화 현상 때문에 케이블 길이에 제약이 있었다.
- 복잡성: 초기에는 병렬 통신이 하드웨어 구현이 간단했지만, 집적 회로 기술의 발전으로 직렬 통신의 복잡성 문제가 해결되었다.
집적 회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더 빠른 속도와 더 긴 케이블 길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직렬 통신이 병렬 통신을 대체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USB가 IEEE 1284 프린터 포트를 대체하고, 직렬 ATA가 병렬 ATA를 대체하였다.
하지만, RF 통신 분야에서는 병렬 데이터 링크가 다시 사용되기도 한다. 모스 부호와 같은 단일 비트 전송 방식 대신, PSM, PAM,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과 같은 기술들은 여러 비트를 병렬로 전송한다.
3. 1. 병렬 통신이 선택되었던 이유 (직렬 통신 대비 장점)
고속 직렬 기술이 개발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직렬 링크보다 병렬 링크가 선호되었다.- 속도: 표면적으로 병렬 데이터 링크의 속도는 한 번에 전송되는 비트 수에 각 개별 경로의 비트 전송률을 곱한 것과 같다. 비트 수를 두 배로 늘리면 데이터 전송률도 두 배가 된다. 실제로 클럭 스큐 때문에 모든 링크의 속도는 가장 느린 링크의 속도로 감소한다. 그러나 병렬 회선은 직렬 회선보다 대기 시간이 짧아 DDR SDRAM과 같은 메모리 버스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 케이블 길이 (링크 길이): 누화는 병렬 회선 사이에 간섭을 일으키는데, 통신 링크가 길수록 그 영향이 커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병렬 데이터 연결은 직렬 연결보다 짧은 길이의 상한을 가진다.
- 복잡성: 병렬 데이터 링크는 하드웨어로 쉽게 구현할 수 있어 논리적인 선택이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병렬 포트를 만드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며,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에 복사하기 위한 래치만 있으면 된다. 반면, 대부분의 직렬 통신은 범용 비동기 수신기/송신기 (UART)를 통해 병렬 형태로 다시 변환한 후 데이터 버스에 연결해야 한다.
3. 2. 직렬 통신으로 전환된 이유 (병렬 통신의 단점)
집적 회로 기술의 발전과 성능 향상, 그리고 더 긴 케이블 길이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병렬 통신 대신 직렬 통신이 사용되고 있다. 고속 직렬 기술이 개발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병렬 링크가 선호되었다.- 속도: 이론적으로 병렬 데이터 링크의 속도는 한 번에 전송되는 비트 수에 각 개별 경로의 비트 전송률을 곱한 값이다. 비트 수를 두 배로 늘리면 전송률도 두 배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클럭 스큐 현상 때문에 모든 링크의 속도가 가장 느린 링크의 속도로 맞춰진다. 이러한 문제는 고속화될수록 심화되어 병렬 통신의 한계로 작용했다.
- 케이블 길이: 누화는 병렬 회선 사이에 간섭을 일으켜 통신 링크의 길이가 길수록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병렬 데이터 연결은 일반적으로 직렬 연결보다 길이가 짧다.
- 복잡성: 과거에는 병렬 데이터 링크를 하드웨어로 구현하기가 쉬웠다. 병렬 포트는 데이터 버스에 데이터를 복사하기 위한 래치만 있으면 되었지만, 직렬 통신은 범용 비동기 수신기/송신기 (UAR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병렬 형태로 변환해야 했다.
그러나 집적 회로 기술의 발전으로 직렬 통신의 복잡성 문제가 해결되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 USB가 IEEE 1284 프린터 포트를 대체하고, 직렬 ATA가 병렬 ATA를 대체하는 등 직렬 통신이 대세가 되었다.
3. 3. 현재의 경향
집적 회로의 비용 감소와 성능 향상으로 인해 병렬 링크 대신 직렬 링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IEEE 1284 프린터 포트 대신 USB가, 병렬 ATA 대신 직렬 ATA가 사용되고 있다. 파이어와이어 또는 썬더볼트는 수년 전 SCSI HBA를 구매해야 했던 디지털 카메라 또는 전문가급 스캐너와 같은 오디오 비주얼 (AV) 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가장 일반적인 커넥터가 되었다.직렬 케이블은 와이어/핀 수가 적어 크기, 커넥터의 복잡성 및 관련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엄청난 장점이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 설계자는 작고,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는 커넥터/포트의 개발로 혜택을 받고 있다.
반면에, RF 통신에서는 병렬 데이터 링크가 부활했다. 모스 부호 및 BPSK와 같이 한 번에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는 대신, PSM, PAM,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과 같은 잘 알려진 기술은 여러 비트를 병렬로 전송한다. (이러한 각 비트 그룹을 "심볼"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술은 한 번에 전체 바이트를 전송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256-QAM).
고속 직렬 기술이 개발되기 이전에 직렬 링크보다 병렬 링크를 선택했던 요인(반대로 말하면, 그 후 직렬로 이행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성능 | 개별 데이터 링크의 전송 성능이 같다면, 당연히 여러 비트를 병렬로 전송하는 것이 성능이 좋다. 일반적으로 비트 수가 두 배가 되면 전송 속도도 두 배가 된다. 실제로는 모든 링크를 동기화해야 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성능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동기 클럭이 고속화되면서 동기 어긋남(스키)을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동기 조정이 병목 현상이 되어 고속화가 한계에 부딪히기 시작했고, 이것이 병렬 통신이 쇠퇴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
배선 길이 | 병렬로 놓인 배선 간에 누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선 길이를 길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직렬 연결보다 배선 길이의 상한이 짧아진다. |
복잡성 | 병렬 통신은 송수신부의 하드웨어가 간단하고 구현하기 쉽다. 병렬 포트는 단순히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에 복사하기 위한 래치만 있으면 된다. 반면 직렬 통신에서는 병렬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수행하는 것이 UART이다. |
집적 회로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었고, 소비자가 더 높은 성능과 케이블 길이를 요구한 결과, 병렬에서 직렬로의 전환이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프린터 연결은 IEEE 1284에서 USB로, 디스크 연결은 ATA에서 SATA로, 또는 SCSI에서 SAS로 전환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