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EEE 802.11 RTS/CT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EEE 802.11 RTS/CTS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노드는 RTS (Request To Send) 프레임을 보내고, 수신 노드는 CTS (Clear To Send) 프레임으로 응답하여 통신 채널을 예약한다. RTS/CTS는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의 가상 반송파 감지(virtual carrier sensing)를 구현하며, 은닉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RTS/CTS 프레임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다른 노드들이 해당 시간 동안 전송을 중단하도록 하여 충돌을 방지한다.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을 설정하여, 특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 전송 시에만 RTS/CTS 교환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EEE 802 - 이더넷
    이더넷은 로버트 메트칼프가 개발한 LAN 통신 기술로, 초기 2.94 Mbit/s에서 시작하여 IEEE 802.3 표준으로 발전, MAC 주소 기반 패킷 전송 방식과 다양한 속도 및 매체를 지원하는 주요 네트워크 기술이다.
  • IEEE 802 - IEEE 802.1D
    IEEE 802.1D는 IEEE 802.1 워킹 그룹에서 표준화한 MAC 브리지의 표준 규격으로, 브리지 연결 및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등을 포함하며,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
IEEE 802.11 RTS/CTS
기본 정보
이름영어: Request to Send / Clear to Send
한국어: 전송 요청/전송 가능
별칭RTS/CTS
프로토콜 계층MAC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표준IEEE 802.11
작동 모드infrastructure BSS (기반 구조 기본 서비스 세트)
IBSS (독립 기본 서비스 세트)
기능
주요 기능숨겨진 노드 문제 완화
부가 기능가상 캐리어 감지
매체 예약
충돌 회피
작동 방식
RTS 프레임 송신송신 스테이션이 수신 스테이션에게 RTS 프레임을 보냄
CTS 프레임 응답수신 스테이션이 RTS 프레임을 받으면 CTS 프레임으로 응답
데이터 전송CTS 프레임을 받은 송신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전송
ACK 프레임 확인수신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받으면 ACK 프레임으로 확인
이점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숨겨진 노드로 인한 충돌 감소
채널 예약데이터 전송 전에 채널을 예약하여 충돌 가능성 감소
에너지 절약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방지로 에너지 절약 가능
단점
오버헤드 증가RTS 및 CTS 프레임으로 인한 오버헤드 증가
처리량 감소작은 패킷의 경우 처리량 감소 가능성 존재
복잡성 증가프로토콜 복잡성 증가
사용 사례
혼잡한 네트워크충돌이 잦은 혼잡한 네트워크에서 유용
장거리 통신장거리 통신에서 신뢰성 향상에 기여
무선 멀티홉 네트워크무선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매체 접근 제공

2. 작동 방식

RTS/CTS는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노드가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프레임을 보내고, 목적지 노드가 송신 확인(Clear To Send, CTS) 프레임으로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RTS나 CTS 프레임을 받은 다른 노드들은 정해진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을 제한한다. 이러한 절차는 은닉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1. 기본 동작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노드는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프레임을 보낸다. 송수신 중인 다른 신호가 없어 전송이 가능한 무선 환경인 경우, 목적지 노드는 송신 확인(Clear To Send, CTS) 프레임으로 응답한다. RTS나 CTS 프레임을 받은 다른 모든 노드는 정해진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을 제한하여 은닉 노드 문제가 해결된다. 전송 제한 시간은 RTS와 CTS 프레임에 명시되어 있다. 이 프로토콜은 모든 노드가 같은 전송 범위를 갖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RTS/CTS는 CSMA/CA 논리적 신호 탐지(virtual carrier sensing)를 구현하기 위한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방법이다. 기본적인 802.11은 물리적 신호 탐지(physical carrier sensing)만을 사용하며, 이는 은닉 노드 문제를 발생시킨다.

RTS/CTS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 노드에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이 설정된다.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threshold)은 0-2347 octets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패킷 크기가 RTS/CTS 패킷 한계값을 넘지 않으면 RTS/CTS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전송할 패킷 크기가 한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RTS/CTS 교환이 시작되며,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프레임이 즉시 전송된다. RTS/CTS 패킷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예상 시간이 적혀있고, 이 시간 동안 전송에 관계되지 않은 노드는 전송을 하지 않고 기다린다.

2. 2. 은닉 노드 문제 해결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노드는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프레임을 보내는 것으로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송수신 중인 다른 신호가 없어 전송이 가능한 무선 환경인 경우, 목적지 노드는 송신 확인(Clear To Send, CTS) 프레임으로 응답한다. RTS나 CTS 프레임을 받은 다른 모든 노드는 정해진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을 제한하여 은닉 노드 문제를 해결한다. 전송을 제한하는 시간은 RTS와 CTS 프레임에 적혀 있다. 이 프로토콜은 모든 노드가 같은 전송 범위를 갖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RTS/CTS는 CSMA/CA 논리적 신호 탐지(virtual carrier sensing)를 구현하기 위한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방법이다. 기본적인 802.11은 물리적 신호 탐지(physical carrier sensing)만을 사용하며, 이는 은닉 노드 문제를 발생시킨다.

RTS/CTS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 노드에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을 설정한다.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은 0-2347 octets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패킷 크기가 RTS/CTS 패킷 한계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RTS/CTS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전송하려는 패킷 크기가 한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RTS/CTS 교환이 시작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데이터 프레임이 즉시 전송된다. RTS/CTS 패킷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예상 시간이 적혀 있고, 이 시간 동안 전송에 관계되지 않은 노드는 전송을 하지 않고 기다리게 된다.

3. 프레임 형식

RTS, CTS 및 ACK 프레임 헤더는 공통적으로 프레임 제어, 지속 시간, 수신자 MAC 주소, 프레임 검사 시퀀스를 포함한다. RTS 프레임은 추가적으로 송신자의 MAC 주소를 포함한다.

프레임 형식
구성 요소설명
프레임 제어2바이트 크기의 메타데이터 플래그
지속 시간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예상 시간
수신자 MAC 주소수신 노드의 MAC 주소
프레임 검사 시퀀스프레임 오류 검사를 위한 값
송신자 MAC 주소RTS 프레임에만 포함되며, 송신 노드의 MAC 주소


3. 1. 주요 구성 요소


  • '''프레임 제어''' (Frame Control): 2바이트 크기의 메타데이터 플래그이다.
  • '''지속 시간''' (Duration):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예상 시간이다.
  • '''수신자 MAC 주소''' (Receiver Address): 수신 노드의 MAC 주소이다.
  • '''프레임 검사 시퀀스''' (Frame Check Sequence): 프레임 오류 검사를 위한 값이다.
  • '''송신자 MAC 주소''' (Transmitter Address): RTS 프레임에만 포함되며, 송신 노드의 MAC 주소를 나타낸다.

4. 반송파 감지 (Carrier Sensing)

RTS/CTS는 충돌 회피 방식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CSMA/CA)에서 가상 반송파 감지 (virtual carrier sensing)를 구현하는 선택적인 방법이다. 기본 802.11은 물리적 반송파 감지 (physical carrier sensing)에만 의존하여 은닉 노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TS/CTS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 노드에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을 설정하게 된다. RTS/CTS 패킷 크기 한계값은 0-2347 octets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패킷 크기가 RTS/CTS 패킷 한계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RTS/CTS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전송하려고 하는 패킷 크기가 한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RTS/CTS 교환이 시작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데이터 프레임이 즉시 전송된다. RTS/CTS 패킷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예상 시간이 적혀있고, 이 시간 동안 전송에 관계되지 않은 노드는 전송을 하지 않고 기다리게 된다.

5. 프레임 크기 (Frame Size)

RTS/CTS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 노드에 RTS/CTS 패킷 크기 임계값을 설정하게 된다. RTS/CTS 패킷 크기 임계값은 0-2347 옥텟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전송하려는 패킷 크기가 임계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RTS/CTS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다. 전송하려는 패킷 크기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RTS/CTS 교환(handshake)이 시작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데이터 프레임이 즉시 전송된다. RTS/CTS 패킷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예상 시간이 적혀있고, 이 시간 동안 전송에 관계되지 않은 노드는 전송을 하지 않고 기다리게 된다.

6. 노출 단말 문제 (Exposed Terminal Problem)

RTS/CTS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전송 범위를 갖는다는 가정 하에 설계되었다. 이로 인해, 노드가 근처에 있지만 다른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경우, 교환 내용을 엿듣고 RTS에 지정된 시간 동안 전송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받게 되는 노출 단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