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ert 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nsert 키는 텍스트 편집 시 삽입 모드와 덮어쓰기 모드를 전환하는 데 사용되는 키이다. 초기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에는 없거나 텐키 쪽에만 있었으나, 101키보드 이후 현재 위치로 정착되었다. 최근 키보드에서는 삭제 키가 더 크게 제작되면서 텐키 쪽에만 있거나, 노트북에서는 위치가 다양하다.
워드 프로세서 등 응용 프로그램에서 Insert 키는 덮어쓰기 모드 전환에 사용되며, Ctrl 키 또는 Shift 키와 함께 눌러 복사 및 붙여넣기 단축키로도 활용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Ctrl+Insert는 복사, Shift+Insert는 붙여넣기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 낭독기에서도 사용된다. 매킨토시에서는 헬프 키로 대체되었으며, 덮어쓰기 모드는 환경에 따라 커서 모양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키 - AltGr 키
AltGr 키는 특수 문자 입력에 사용되며, 운영체제와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기능이 다르다. - 컴퓨터 키 - 프린트 스크린
프린트 스크린은 컴퓨터 화면 내용을 이미지 형태로 캡처하는 기능으로, 초기에는 프린터 복사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클립보드 복사 방식으로 발전하여 편집 프로그램에 붙여넣거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컴퓨터에 관한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컴퓨터에 관한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고 사용하는 정보의 집합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접근하며, 검색 및 갱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도로 구조화되어 있고, 관계형, NoSQL, NewSQL 등 다양한 모델로 발전해왔다.
Insert 키 | |
---|---|
기능 | |
설명 | 키보드의 "Insert" 키는 텍스트 편집 시 삽입과 덮어쓰기 모드를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
동작 방식 | |
삽입 모드 | 입력된 문자가 기존 텍스트에 삽입되어 텍스트가 뒤로 밀린다. |
덮어쓰기 모드 (Overtype Mode) | 입력된 문자가 커서 위치의 기존 문자를 덮어쓴다. |
활용 | |
텍스트 편집 | 문서 작성 프로그램, 텍스트 편집기 등에서 텍스트 입력 방식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
단축키 | 다른 키와 함께 사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로 활용될 수 있다. |
기타 | |
주의사항 | 일부 환경에서는 "Insert" 키가 예상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
2. 작동 방식
초기 텍스트 기반 컴퓨팅 환경 및 컴퓨터 터미널에서 커서가 덮어쓰기 모드일 때는 덮어쓰려는 문자 전체를 둘러싸는 블록으로 표시되었고, 삽입 모드일 때는 현대 응용 프로그램에서 매우 흔히 사용되는 세로 막대나 새 문자가 삽입될 위치 아래에 깜박이는 밑줄로 구성되었다.
최신 키보드에서 Insert 키는 타자기 키와 숫자 키패드 사이의 제어 블록에만 존재한다. 원래 Insert 키는 삭제 키 옆의 타자기 키 블록에 제공되었으나, 이중 크기의 '백스페이스 키'를 선호하여 제거되었다. 이 키는 불필요하며 의도적으로 활성화되기보다는 실수로 활성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비판을 받았다.[2]
키보드 배열을 8진수 코드를 사용하여 키 맵핑 할 때, "삽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e\\161영어을 보내 원하는 키를 설정할 수 있다.
2. 1. 삽입 모드
Insert 키를 문서나 명령 입력 중에 누르면 '''삽입 모드'''와 '''덮어쓰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삽입 모드'''에서는 커서 위치에 새 문자를 입력하면 기존 문자는 덮어쓰이지 않고 새 문자 뒤로 이동하며, 그 이후에 있던 문자도 모두 뒤로 밀려난다.
GUI 환경의 워드 프로세서에서는 삽입 모드가 기본값이기 때문에 처음 삽입 키를 누르면 덮어쓰기 모드가 되는 경우가 많다.
2. 2. 덮어쓰기 모드
Insert 키를 문서나 명령 입력 중에 누르면 '''삽입 모드'''와 '''덮어쓰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덮어쓰기 모드'''에서는 이미 문자가 적힌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 후 문자를 입력하면 커서 위치에 있던 문자가 덮어쓰여 새롭게 입력한 문자로 바뀐다.
- '''삽입 모드'''에서는 이미 문자가 적힌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 후 문자를 입력하면 커서 위치에 있던 문자는 덮어쓰이지 않고 새롭게 입력한 문자 뒤로 이동하며, 그 이후에 있던 문자도 모두 뒤로 이동한다(밀려난다).
고전적인 텍스트 모드 환경의 대부분에서는 덮어쓰기 모드가 기본값이었기 때문에 처음 삽입 키를 누르면 삽입 모드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 많은 GUI 환경의 워드 프로세서에서는 삽입 모드가 기본값이 되었기 때문에 처음 삽입 키를 누르면 덮어쓰기 모드가 되는 경우가 많다(후술).
3. 키보드에서의 위치 및 변천
초기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에는 삽입 키가 없거나, 텐키 쪽에만 있는 경우도 있었다. PC/AT 호환기에서 현재 위치(역 T자 커서 위의 6개 키 중 좌상단)가 된 것은 101키보드 이후이다[3]。
최근 키보드 중에는 삽입 키가 텐키 쪽에만 존재하고, 대신 2배 크기의 삭제 키가 있는 경우도 있다[4]。노트북에서 삽입 키의 위치는 백스페이스 위, 펑션 키 위 등 다양하다.
4.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사용
현대 워드 프로세서 응용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삽입 모드로 작동하지만, Insert 키를 눌러 덮어쓰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응용 프로그램은 덮어쓰기 모드에서 글자 너비의 커서 상자를 사용하지만, 다른 응용 프로그램은 두 모드 모두 좁은 커서를 사용하고 상태 표시줄에 "OVR" 표시기로 덮어쓰기를 나타낸다.[2]
Insert 키는 Ctrl 키 또는 Shift 키와 함께 눌러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할 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동작은 공통 사용자 액세스(CUA) 표준에서 비롯되었다.[2]
화면 낭독기는 Insert 키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읽거나, 서식 정보를 말하거나, 구성 메뉴를 열 수 있다.[2]
5. 운영체제별 특징
운영체제 | 특징 |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Ctrl+Insert: 복사 (Ctrl+C와 동일) Shift+Insert: 붙여넣기 (Ctrl+V와 동일)[1] |
매킨토시 | Help 키로 이름 변경, 도움말 표시 기능. 명령줄에서는 삽입 기능 유지. 최근에는 Fn 키로 대체. |
5. 1.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Insert 키는 Ctrl 또는 Shift와 함께 눌러 복사, 붙여넣기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Ctrl + Insert 키 조합은 Ctrl+C와 같이 복사 기능을 수행하며, Shift + Insert 키 조합은 Ctrl+V와 같이 붙여넣기 기능을 수행한다.[1] 이러한 동작은 공통 사용자 액세스 표준에서 비롯되었다.[1]5. 2. 매킨토시
매킨토시에서는 삽입 키가 '''Help 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일반적으로 Help 키를 누르면 해당 응용 소프트웨어의 도움말이 표시된다. 하지만 명령줄에서 누르면 호환성을 위해 원래의 기능으로 작동한다. 최근 키보드에서는 '''Fn 키'''(펑션 키)로 대체되었다.6. 기타
덮어쓰기 모드는 "겹쳐쓰기 모드", "겹쳐 치기 모드"(오버타입 모드, 오버스클립트 모드, 오버스트라이크 모드) 등으로도 불린다.[4] 삽입 모드와 덮어쓰기 모드의 기본값 및 커서 모양은 환경에 따라 다르다. 고전적인 텍스트 기반 환경이나 터미널에서는 덮어쓰기 모드가 기본값이며, 덮어쓰기 모드에서의 커서 모양은 블록 형태이고, 삽입 모드에서는 밑줄 형태이다. GUI 환경에서는 삽입 모드가 기본값이며, 삽입 모드에서의 커서 모양은 세로선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등에서는 덮어쓰기 모드에서도 커서 모양은 세로선으로 유지되지만, OpenOffice.org나 일부 텍스트 편집기에서는 덮어쓰기 모드에서 커서 모양이 블록 형태로 변경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및 일부 응용 소프트웨어에서는 Insert 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다.
단축키 | 기능 |
---|---|
Ctrl + Insert(Ins) | 복사(Ctrl+C와 동일) |
Shift + Insert(Ins) | 붙여넣기(Ctrl+V와 동일) |
이 동작은 SAA의 CUA에서 유래되었다(Windows에서는 Windows 3.0이 CUA를 준수했으며, Macintosh 스타일의 단축키가 주류가 된 것은 Windows 3.1부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overtype mode
https://www.pcmag.co[...]
[2]
뉴스
Five Modest Proposals for Improving the Computer Keyboard
https://slate.com/hu[...]
2012-02-01
[3]
웹사이트
PFU キーボードコレクション
http://www.pfu.fujit[...]
[4]
웹사이트
Coding Horror: Keyboarding
http://www.codingh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