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use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user는 1975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유래된 용어로, 컴퓨터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를 비하하는 은어이다. MIT의 운영체제인 ITS에서 사용자의 접속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users"를 "losers"로 조작하는 장난이 유행했고, 이 과정에서 "luser"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이후 유닉스, 유즈넷, 인터넷 릴레이 챗(IRC) 등에서 일반 사용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해커들 사이에서는 "lamer"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람에 대한 경멸어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 사람에 대한 경멸어 -
    긱은 원래 "바보"나 "괴짜"를 뜻하는 속어에서 유래하여 기괴한 묘기를 부리는 사람을 지칭했으나, 디지털 혁명 이후 특정 기술 분야의 높은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변화하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 인터넷 신조어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인터넷 신조어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 인터넷 문화 - 틱톡
    틱톡은 2016년에 시작된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능과 챌린지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중독성, 유해 콘텐츠,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등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 인터넷 문화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Luser
정의
정의인터넷 속어
설명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유래유닉스 시스템 관리자들이 'user'를 잘못 입력한 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변형
파생어lusers (복수형)
관련 표현clueless user
clue by four
사용자 오류
인간 인터페이스 문제
용례
예시SVensson's ITS on KLH10 Welcome to SV! SV ITS.1648. PWORD.2660. TTY 11 2. Lusers, Fair Share = 2% *
설명ITS 로그인 화면에서 'luser'의 고전적인 사용 예시

2. 유래와 역사

'Luser'라는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해커들의 용어 사전으로 알려진 Jargon File을 통해 1975년 MIT에서 처음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9][4] 이는 MIT에서 개발된 운영체제인 ITS 환경에서 사용자 수를 나타내는 'users'를 장난삼아 'losers'로 바꾸던 과정에서 절충안으로 'lusers'가 등장하여 정착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이른 1969년CTSS의 소스 코드에서도 사용자를 관리하는 서브루틴의 이름으로 'LUSER'가 발견되어,[5] 실제 단어의 사용은 MIT에서의 일화보다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ITS 환경에서 시작된 'luser'라는 용어는 이후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 환경이나 유즈넷, IRC 등 다양한 컴퓨터 및 네트워크 환경으로 퍼져나가 사용되었다.[10][6]

2. 1. MIT와 ITS

해커들의 용어 사전으로 알려진 Jargon File에 따르면 'luser'라는 단어는 1975년 MIT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9][4]

MIT에서 개발된 운영체제인 ITS(Incompatible Timesharing System)에서는, 사용자가 터미널에 접속한 뒤 control-Z 키를 누르면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 수를 포함한 여러 상태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이 있었다. 예를 들어 14명이 접속해 있다면 "14 users"라고 표시되었다.

어느 날 누군가 장난으로 이 시스템 메시지를 "14 users" 대신 "14 losers"라고 나오도록 수정했다. 이 장난은 해커들 사이에서 퍼져나가, 서로 상대방의 화면에 뜨는 메시지를 "users" 또는 "losers"로 몰래 바꾸는 싸움으로 번졌다. 한동안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어떤 메시지를 보게 될지는 거의 반반의 확률이었다.

몇 번의 공방 끝에, 한 해커가 절충안으로 "lusers"라는 단어를 시스템에 표시하도록 했고, 다른 해커들이 이를 바꾸지 못하게 만들면서 이 표현이 정착되었다. 이후 ITS에는 지정된 도우미 목록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luser"라는 이름의 명령어가 추가되기도 했다.

2. 2. 유닉스와 유즈넷, IRC

ITS는 1990년대 중반에 사용이 중단되었지만, 'luser'라는 용어는 계속해서 사용되며 확산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유닉스 스타일의 컴퓨터 운영 체제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는 시스템 관리에 사용되는 특별한 사용자 계정인 슈퍼유저 또는 root와 달리, 일반적인 권한이 없는 모든 계정을 단순히 'user'라고 지칭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luser'는 특별한 권한이 없는 일반 사용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luser'라는 용어는 프로그램 주석이나 유즈넷의 프로그램 관련 내용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IRC에서는 /lusers라는 명령어가 존재하는데, 이는 "list users"의 약자로, 서버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사용자들의 수를 확인하는 일반적인 명령어이다.[10][6]

3. 해커들의 용어 사용

해커들 사이에서 ''luser''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들에게 ''luser''란 전문적인 컴퓨터 지식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해커들은 이 단어를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암시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이 단어는 해커들 사이에서 '''lamer'''라는 단어로 변형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주로 사용자 계정만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지칭하며, 관리자 계정에 대해 잘 알고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lamer로 불리지 않는다.

''luser''라는 단어 사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시스템 관리자는 root 계정 암호를 가진 최종 사용자(luser)를 신뢰하지 않는다. (The Sysadmin doesn't trust the end luser with a root account password.eng)

3. 1. LART (Luser Attitude Readjustment Tool)

직업상 ''luser''들을 상대하는 기술직 종사자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들은 특정 리소스에 대한 문제 사용자의 접속을 끊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을 '''LART'''(Luser Attitude Readjustment Tool영어)라고 부르곤 한다. 이는 '사용자의 태도를 교정하는 도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비유적인 표현이다.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a Smart Vocabulary https://archive.org/[...] Alpha Books
[2] 서적 Netlingo: The Internet Dictionary https://archive.org/[...] NetLingo Inc.
[3] 웹사이트 clue by four https://idioms.thefr[...]
[4] 웹사이트 luser http://catb.org/jarg[...] 2014-10-06
[5] 웹사이트 ADMIN - Administrator Privleged Commands https://raw.githubu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69
[6] 웹사이트 irchelp.org http://www.irchelp.o[...] 2014-10-06
[7]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a Smart Vocabulary Alpha Books
[8] 서적 Netlingo: The Internet Dictionary NetLingo Inc.
[9] 웹사이트 luser http://catb.org/jarg[...]
[10] 웹사이트 irchelp.org http://www.irchel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