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C는 힙합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본래 파티 진행자, 분위기 담당자를 의미하는 "master of ceremonies"의 약자였다. 힙합 초창기에는 단순히 사회자를 지칭했지만, 랩을 직업으로 하는 MC가 늘어나면서 "microphone controller"나 "move the crowd"와 같은 독자적인 의미가 더해졌다. 래퍼(rapper)라는 용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 MC들 간의 프리스타일 랩 대결을 MC 배틀이라고 한다. 랩 록 등 힙합 외 다른 장르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힙합 - 하드코어 힙합
하드코어 힙합은 1980년대 후반 동부 해안 힙합 씬에서 시작되어 도시 빈곤, 범죄 등 사회의 어두운 면을 다룬 가사와 최소한의 비트를 특징으로 하며, 1990년대 초반부터 대중문화에 확산되었으나 상업화 논쟁을 야기했다. - 힙합 - 얼터너티브 힙합
얼터너티브 힙합은 1980년대 후반 미국에서 힙합 대중화 과정에서 등장하여 팝 음악과의 결합, 다양한 장르 융합을 특징으로 하며, A Tribe Called Quest, De La Soul, Kanye West 등을 거쳐 1990년대 중후반 세계적으로 대중화되었고, 한국에서는 김진표, 드렁큰 타이거, 에픽하이, 다이나믹 듀오 등을 통해 발전했다.
MC (음악) | |
---|---|
음악가 | |
직업 | 래퍼 송라이터 공연자 |
다른 이름 | MC (Master of Ceremonies) 마이크 컨트롤러 (Microphone Controller) 무브 더 크라우드 (Move the Crowd) |
관련 장르 | 힙합 음악 |
2. 역사
힙합의 여명기에서, 원형이 된 자메이카의 사운드 크루처럼, MC의 역할은 랩의 레코딩 아티스트가 아니라, 파티의 진행, 분위기 띄우기 등이었기 때문에, 사회자를 의미하는 MC (master of ceremonies의 약자)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2]
이후 랩을 직업으로 하는 MC가 늘어나면서, MC라는 단어에 "microphone controller" (Run-D.M.C.)나 "move the crowd" (라킴) 등 독자적인 의미가 더해졌다 (일종의 후행 약어). 현재는 단순히 사회자와 특별히 구분하여 Run-D.M.C.가 사용한 "microphone controller"의 약어라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래퍼 (rapper)"라는 단어는, 슈가힐 갱의 "Rapper's Delight"의 히트로 미디어에 널리 알려졌으며, 올드 스쿨 힙합 세대의 "랩하는 자"나 일본의 MC는 "래퍼"라는 호칭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다. 힙합 발상지인 미국에서는 뉴 스쿨 세대에게 "래퍼"라는 호칭은 보통 사용되며, 일본에서도 자신을 "래퍼"라고 말하는 "랩하는 자"가 많다.
MC끼리 프리스타일로 서로를 디스하며, 서로의 기량을 겨루는 것을 MC 배틀이라고 한다.
랩 록 등, 힙합 이외의 랩을 도입한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단어이다.
2. 1. 힙합의 여명기
힙합의 여명기에서, 원형이 된 자메이카의 사운드 크루처럼, MC의 역할은 랩의 레코딩 아티스트가 아니라, 파티의 진행, 분위기 띄우기 등이었기 때문에, 사회자를 의미하는 MC (master of ceremonies의 약자)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2] 이후 랩을 직업으로 하는 MC가 늘어나면서, MC라는 단어에 "microphone controller" (Run-D.M.C.)나 "move the crowd" (라킴) 등 독자적인 의미가 더해졌다 (일종의 후행 약어). 현재는 단순히 사회자와 특별히 구분하여 Run-D.M.C.가 사용한 "microphone controller"의 약어라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슈가힐 갱의 "Rapper's Delight"의 히트로 미디어에 널리 알려진 "래퍼 (rapper)"라는 단어는 올드 스쿨 힙합 세대의 "랩하는 자"나 일본의 MC는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다. 힙합 발상지인 미국에서는 뉴 스쿨 세대에게 "래퍼"라는 호칭은 보통 사용되며, 일본에서도 자신을 "래퍼"라고 말하는 "랩하는 자"가 많다. MC끼리 프리스타일로 서로를 디스하며, 서로의 기량을 겨루는 것을 MC 배틀이라고 한다. 랩 록 등, 힙합 이외의 랩을 도입한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단어이다.2. 2. MC의 의미 변화
힙합의 여명기에는 자메이카의 사운드 크루처럼 MC는 파티 진행과 분위기를 띄우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사회자를 의미하는 MC (master of ceremonies의 약자)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2] 이후 랩을 직업으로 하는 MC가 늘면서 MC라는 단어에 "microphone controller"(Run-D.M.C.), "move the crowd"(라킴) 등 독자적인 의미가 더해졌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Run-D.M.C.가 사용한 "microphone controller"의 약어라고 해석된다.슈가힐 갱의 "Rapper's Delight" 히트로 미디어에 널리 알려진 "래퍼(rapper)"라는 단어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올드 스쿨 힙합 세대의 "랩하는 자"나 일본의 MC는 "래퍼"라는 호칭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다. 힙합 발상지인 미국에서는 뉴 스쿨 세대에게 "래퍼"라는 호칭은 보통 사용되며, 일본에서도 자신을 "래퍼"라고 말하는 "랩하는 자"가 많다.
MC끼리 프리스타일로 서로를 디스하며 기량을 겨루는 것을 MC 배틀이라고 한다. 랩 록 등 힙합 이외의 랩을 도입한 분야에서도 MC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2. 3. 래퍼와의 관계
힙합의 여명기에는 자메이카의 사운드 크루처럼 MC는 파티를 진행하고 분위기를 띄우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사회자를 의미하는 MC (master of ceremonies의 약자)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1][2] 이후 랩을 직업으로 하는 MC가 늘면서 MC라는 단어에 "microphone controller" (Run-D.M.C.)나 "move the crowd" (라킴) 등 독자적인 의미가 더해졌다. 현재는 사회자와 특별히 구분하여 Run-D.M.C.가 사용한 "microphone controller"의 약어라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슈가힐 갱의 "Rapper's Delight"의 히트로 미디어에 널리 알려진 "래퍼 (rapper)"라는 단어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올드 스쿨 힙합 세대의 "랩하는 자"나 일본의 MC는 "래퍼"라는 호칭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힙합 발상지인 미국에서는 뉴 스쿨 세대에게 "래퍼"라는 호칭은 보통 사용되며, 일본에서도 자신을 "래퍼"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MC끼리 프리스타일로 서로를 디스하며, 서로의 기량을 겨루는 것을 MC 배틀이라고 한다. 랩 록 등, 힙합 이외의 랩을 도입한 분야에서도 MC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3. MC 배틀
4. 다른 장르에서의 사용
참조
[1]
논문
Rap Music as an Extension of the Black Rhetorical Tradition: "Keepin' It Real"
https://www.questia.[...]
2002-12-22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master of ceremonies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0-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