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 (탐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USE는 천왕성 탐사를 목표로 2012년에 제안된 탐사선으로, 유럽 우주국(ESA)의 지원을 받아 개발이 추진되었다. 18억 유로의 예산으로 계획되었으나, 코스믹 비전 및 뉴 프론티어 계획에서 모두 취소되었다. 2014년 뉴 프론티어 미션 제약 조건 하에 아틀라스 V 551 로켓을 사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다. 궤도선은 천왕성 궤도와 위성 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으며,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천왕성의 대기 및 위성을 연구할 계획이었으나, 탐사선 발사 계획은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6년 우주 개발 - 아르테미스 3호
아르테미스 3호는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으로 4명의 우주인이 오리온 우주선을 타고 SLS 로켓에 실려 발사되어 달 남극을 탐사하며, 인류 최초의 여성 및 유색 인종 우주비행사가 달에 착륙하고 한국계 미국인 조니 킴이 탑승할 경우 한국계 최초의 달 착륙 기록을 세울 예정이다. - 2026년 우주 개발 - 근지구 천체 카메라
근지구 천체 카메라는 지구 근처 천체를 탐지하고 연구하기 위해 개발된 우주 망원경으로, 열 적외선 파장을 사용하여 기존 광학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천체를 탐지하며 지구 충돌 위험 천체의 조기 발견 및 궤도 파악을 목표로 한다. - 천왕성 탐사선 - 보이저 2호
보이저 2호는 NASA의 그랜드 투어 계획으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하기 위해 발사되어 중력도움 기술로 외행성들을 탐사하고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매질에서 탐사를 진행 중인 무인 우주 탐사선이다. - 천왕성 탐사선 - ODINUS
ODINUS는 유럽 우주국(ESA)의 지원을 받아 2034년 발사 예정인 우주 탐사 프로젝트로, 해왕성의 자기장 연구와 행성 내부 구조 및 대기 현상에 대한 단서 제공을 목표로 다양한 과학 장비가 탑재될 예정이다. - 제안된 우주 탐사선 -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는 세 개의 인공위성을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레이저 간섭계를 통해 중력파에 의한 미세한 거리 변화를 측정, 지구 기반 간섭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낮은 주파수 영역의 중력파를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우주 프로젝트이다. - 제안된 우주 탐사선 - 엔셀라두스 탐사선
엔셀라두스 탐사선은 독일항공우주센터 주도로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는 프로젝트로, 핵전기 로켓 추진 방식의 궤도선과 아이스몰을 탑재한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엔셀라두스 지하 해양의 물 샘플을 채취, 분석하여 생명체의 흔적을 탐색한다.
MUSE (탐사선) | |
---|---|
MUSE (과학 및 탐사를 위한 천왕성 탐사선) | |
임무 개요 | |
이름 | Mission to Uranus for Science and Exploration (MUSE) |
임무 형태 | 정찰, 대기 탐사 |
운영 기관 | 유럽 우주국 |
탐사선 정보 | |
탐사선 이름 | MUSE |
발사 질량 | 4219 kg |
건조 질량 | 2073 kg |
탑재 질량 | 궤도선: "252 kg" 탐사정: "150 kg" |
크기 | 원통형 버스 3 m × 1.6 m |
전력 | 436 W |
배터리 | 리튬 이온 배터리: "3,376 Wh" |
발전기 | ASRG 4개 |
발사 정보 | |
발사 예정일 | 2026년 9월 (제안) / 2029년 11월 (지연 시) |
발사 로켓 | 아리안 6 (제안) |
행성 간 이동 (궤도선) | |
종류 | 궤도선 |
대상 천체 | 천왕성 |
공전 횟수 | 36회 |
도착 예정일 | 2044년 (제안) / 2049년 (지연 시) |
행성 간 이동 (대기 탐사정) | |
종류 | 대기 탐사 |
대상 천체 | 천왕성 |
구성 요소 | 진입 탐사정 |
도착 예정일 | 2044년 (제안) |
2. 역사
MUSE는 2012년에 제안되어 개발팀이 구성되었고 예산이 18억유로로 추산되었다.[9] 이후 코스믹 비전 L 그룹의 일환으로 추진이 제안되었으나,[9] 뉴 프론티어 계획과 함께 취소되었다.[11][12]
2. 1. 초기 제안 및 취소 (2012년 ~ 2014년)
MUSE는 2012년에 제안되어 개발팀이 구성되었고 예산이 18억유로로 추산되었다.[9] 이후 코스믹 비전 L 그룹의 일환으로 추진이 제안되었으나,[9] 취소되었다. 2014년 뉴 프론티어 계획에도 제안되었으나 취소되었다.[11][12]2014년, 강화된 뉴 프론티어 미션 제약 조건 하에 MUSE를 고려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5억달러의 비용 상한선을 제시했으며, 아틀라스 V 551 로켓을 사용하는 것이 큰 차이점 중 하나였다.[2]
2. 2. 뉴 프론티어 미션 제안 (2014년)
2014년, 강화된 뉴 프론티어 미션의 제약 조건 하에 MUSE를 고려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여기에는 15억달러의 비용 상한선이 포함되었으며,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아틀라스 V 551 로켓을 사용하는 것이었다.[2]3. 탐사선 구성
MUSE는 크게 궤도선과 대기권 돌입 탐사선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궤도선은 천왕성 궤도를 돌며 천왕성과 그 위성들을 탐사하고, 대기권 돌입 탐사선은 천왕성 대기에 직접 진입하여 대기를 분석하는 임무를 맡을 계획이었으나, 대기권 돌입 탐사선 계획은 취소되었다.[9][10]
궤도선은 태양과의 거리가 멀어 태양 전지판 대신 고급 스털링 방사성 동위원소 발전기(ASRG)를 사용하며,[3][4] 모노메틸히드라진과 혼합 산화질소(MMH/MON) 추진제 조합을 사용하는 화학 추진 시스템으로 지구-천왕성 전이 궤도를 이동한다.[4] 궤도선에는 천왕성과 그 위성들에 대한 과학적 탐사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관측 장비가 탑재될 예정이었다.
기기 | 설명 | 크기, 범위, 해상도 | 기원 |
---|---|---|---|
VINIRS |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분광기 | 전자기파: λ: 0.25–5 μm 96 밴드(밴드당 1.8 nm) | 돈 |
IRS | 열적외선 분광기 | 전자기파: λ: 7.16–16.67 μm 0.273 mrad 사각형의 1×10 어레이 | 카시니 |
UVIS | 자외선 영상 분광기 | 전자기파: λ: 55.8–190 nm | 카시니 |
RPW | 전파 및 플라스마파 기기 | 전자기파 및 플라스마파: 1 Hz–16 MHz(다양한 채널) | 카시니 |
MAG | 플럭스 게이트 자력계 | 자기장: 0–20000 nT 이중 3-축 <1 nT 정확도 | 주노 MAG 스웜 |
TELFA | ELF 안테나 | 전자기파: 슈만 공명 | C/NOFS 안테나 |
ICI | 이온 조성 기기 | 양의 이온: 25 eV–40 keV (dE/E = 0.07) | 로제타 ICA[6] |
IES | 이온 및 전자 센서 | 전자 및 이온: 1 eV/e–22 keV/e (dE/E = 0.04) | 로제타 IES[6] |
EPD |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 입자(자유 태양풍 및 반 알렌 복사대에 포함된 입자): 양성자: 15 keV–3 MeV 알파 입자: 25 keV–3 MeV CNO: 60 keV–30 MeV 전자: 15 keV–1 MeV | 뉴 호라이즌스 PEPSSI |
NAC | 협각 카메라 | 전자기파: 350–1050 nm 6 μrad/픽셀 | 카시니 |
WAC | 광각 카메라 | 전자기파: 350–1050 nm 60 μrad/픽셀 | 카시니 |
RSE | 전파 과학 실험 | 전파 발진기의 앨런 분산: T = 100 1×10−13 s S, X 및 Ka 밴드에서 작동하는 트랜스폰더 | 카시니 |
MWR | 마이크로파 방사계 | 전자기파: 0.6–22 GHz 이득 최대 80 dB 200 bar 대기압까지 온도 프로파일 결정 | 주노 MWR |
DC | 먼지 분석기 | 행성간 먼지 입자: 10−15–10−9 kg 1–10 μm (반경) | 카시니 뉴 호라이즌스 SDC |
대기권 돌입 탐사선은 천왕성 대기 진입 20일 전 궤도선에서 분리되어 21.8km/s의 속도로 고도 700km에서 천왕성 대기에 진입, 자유 낙하하며 대기를 측정할 예정이었다.[3][4] 대기 탐사선에는 대기 성분, 밀도, 압력, 온도, 바람 등을 측정하는 아래와 같은 장비들이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탐사선 계획은 취소되었다.[9][10]
기기 | 설명 | 크기, 범위, 해상도 | 기원 |
---|---|---|---|
DWE | 도플러 바람 실험 | 바람의 속도: 1m/s 해상도 20bar 대기압까지 바람 프로파일 결정 | 호이겐스 |
AP3 | 대기 물리적 특성 패키지 | 온도, 압력 및 밀도 프로파일: 깊이: 0–20bar | 호이겐스 |
GCMS | 기체 크로마토그래프 및 질량 분광계 | 원자 및 화합물: 중금속, 불활성 기체들, 핵심 동위원소 비율(H2/He, D/H, PH3, CO) 및 비평형 종 | 호이겐스 |
AS & NEP | 에어로졸 샘플링 시스템 및 네펠로미터 | 대기 입자 크기: 0.2–20 μm(반경) 최대 1cm³ 농도에서 작동 | 호이겐스, 갈릴레오 GPNE |
3. 1. 궤도선
궤도선은 약 2년 동안 천왕성 과학 궤도(USO) 단계에서 고도의 타원 극궤도를 돌며 천왕성 궤도를 36번 수행하고, 최상의 중력 측정 데이터를 제공한다.[4] 이후 3년 동안 위성 탐사(MT) 단계를 진행하는데, 이 단계에서 미란다, 아리엘, 움브리엘, 티타니아, 오베론 등 천왕성의 5대 주요 위성을 각각 9번씩 근접 통과한다.[3][4]태양과의 거리가 멀어(평균 20 AU) 궤도선은 태양 전지판을 사용할 수 없고, 대신 유럽 우주국(ESA)에서 개발한 4개의 고급 스털링 방사성 동위원소 발전기(ASRG)를 사용한다.[3][4] 지구-천왕성 전이 궤도 추진 시스템은 화학 추진 방식이며, 모노메틸히드라진과 혼합 산화질소(MMH/MON) 추진제 조합을 사용한다.[4]
3. 1. 1. 궤도선 탑재 장비
λ: 0.25–5 μm96 밴드(밴드당 1.8 nm)
λ: 7.16–16.67 μm
0.273 mrad 사각형의 1×10 어레이
λ: 55.8–190 nm
1 Hz–16 MHz(다양한 채널)
0–20000 nT
이중 3-축
<1 nT 정확도
스웜
슈만 공명
25 eV–40 keV (dE/E = 0.07)
1 eV/e–22 keV/e (dE/E = 0.04)
양성자: 15 keV–3 MeV
알파 입자: 25 keV–3 MeV
CNO: 60 keV–30 MeV
전자: 15 keV–1 MeV
350–1050 nm
6 μrad/픽셀
350–1050 nm
60 μrad/픽셀
T = 100 1×10−13 s
S, X 및 Ka 밴드에서 작동하는 트랜스폰더
0.6–22 GHz
이득 최대 80 dB
200 bar 대기압까지 온도 프로파일 결정
10−15–10−9 kg
1–10 μm (반경)
뉴 호라이즌스 S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