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e Along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ove Along》은 올-아메리칸 리젝트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5년 7월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DGC, Doghouse, Interscope Records를 통해 미국에서, Polydor를 통해 영국에서 발매되었으며, "Dirty Little Secret", "Move Along", "It Ends Tonight" 등의 싱글을 포함하고 있다. 앨범은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여러 국가의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고,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미국에서는 2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캐나다와 영국에서도 판매량 인증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스코프 레코드 음반 - U218 Singles
U218 Singles는 U2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18곡의 싱글을 담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인터스코프 레코드 음반 - No Line on the Horizon
U2의 12번째 정규 음반 《노 라인 온 더 호라이즌》은 브라이언 이노, 다니엘 라누아와 협업하여 모로코, 더블린 등지에서 녹음되었고 "미래의 찬송가" 콘셉트의 11곡이 수록,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 속에서 높은 차트 순위를 기록했으며 U2 360° 투어 레퍼토리로 활용, 앤톤 코르바인 감독의 뮤직 비디오 영화 《리니어》로도 제작되었다. - 2005년 음반 - Super Star (쥬얼리의 음반)
2005년 발매된 쥬얼리의 네 번째 정규 앨범인 Super Star는 타이틀곡 "Super Star"의 성공과 서인영의 '털기춤' 유행에 힘입어 쥬얼리에게 데뷔 후 첫 1위를 안겨주었다. - 2005년 음반 - 나방의 꿈
이선희 데뷔 20주년 기념 음반 《나방의 꿈》은 이승기의 데뷔곡 〈내 여자라니까〉를 타이틀곡으로, 싸이가 작사, 작곡 및 랩 피처링에 참여한 후속곡 〈나방의 꿈〉과 〈아버지〉, 그리고 이선희의 대표곡 〈J에게〉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했다.
| Move Along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이름 | Move Along |
| 종류 | 스튜디오 |
| 아티스트 | The All-American Rejects |
![]() | |
| 발매일 | 2005년 7월 12일 |
| 녹음 | 2004년 12월 |
| 장르 | 팝 펑크 파워 팝 얼터너티브 록 이모 |
| 길이 | 42분 9초 |
| 레이블 | 인터스코프 레코드 도그하우스 레코드 |
| 프로듀서 | 하워드 벤슨 |
| 이전 음반 | The All-American Rejects |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2002년 |
| 다음 음반 | When the World Comes Down |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2008년 |
| 싱글 | |
| 싱글 1 | Dirty Little Secret |
| 싱글 1 발매일 | 2005년 6월 6일 |
| 싱글 2 | Move Along |
| 싱글 2 발매일 | 2006년 2월 27일 |
| 싱글 3 | It Ends Tonight |
| 싱글 3 발매일 | 2006년 9월 19일 |
2. 발매
2005년 3월부터 5월까지, 올 아메리칸 리젝트는 미국 헤드라이닝 투어를 시작했다. 투어의 전반부는 Number One Fan과 Action Action이, 후반부는 Armor for Sleep과 Hellogoodbye가 함께했다.[3] 이 투어에는 그 해의 더 뱀부즐 페스티벌 출연도 포함되었다.[4] 앨범의 리드 싱글 "Dirty Little Secret"은 2005년 6월 6일에 발매되었고, 뮤직 비디오는 7월 11일에 공개되었다.[5] 밴드는 2005년 6월과 7월에 워프드 투어에 출연했으며, 이 시기에는 투어 키보디스트 팀 조던이 함께했다.[3][6] ''Move Along'' 앨범은 2005년 7월 10일에 스트리밍으로 먼저 공개되었으며,[7] 이틀 뒤인 7월 12일 DGC, Doghouse, 그리고 Interscope를 통해 미국에서 정식 발매되었다.
앨범 발매 이후에도 밴드는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두 번째 싱글 "Move Along"의 뮤직 비디오는 마크 웹 감독이 제작하여 2006년 1월 12일 MTV 웹사이트에 게시되었고,[8] 곡은 2006년 2월 27일에 싱글로 발매되었다. 2006년 3월부터 5월까지는 Fall Out Boy와 함께 북미 아레나 투어인 "Black Clouds and Underdogs Tour"를 진행했다.[9] 이후 더 뱀부즐 페스티벌에 다시 한번 참가했으며, 2006년 6월과 7월에는 Damone의 지원을 받아 북미 투어를 이어갔다.[10][11] 다만, 보컬 타이슨 리터의 성대 문제로 캐나다 공연은 취소되었다.[12]
같은 해 7월, "Top of the World"가 미국에서 프로모션 싱글로 발매되었고, 투어 중 촬영된 영상과 사진으로 구성된 뮤직 비디오도 공개되었다. 앨범의 마지막 싱글인 "It Ends Tonight"의 뮤직 비디오는 8월 28일에 공개되었으며, 곡은 9월 19일에 정식 싱글로 발매되었다. 9월에는 영국 투어를 진행했고,[12] 10월에는 Ima Robot의 지원을 받아 미국 대학 투어 및 서부 해안 투어를 진행했다.[13][14] 10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는 the Format, Gym Class Heroes, the Starting Line, Motion City Soundtrack 등과 함께 Tournado 2006 투어를 진행했다.[15] 2007년 1월 16일에는 The Tonight Show with Jay Leno에 출연했으며,[16] 같은 해 7월에는 Tournado 투어 영상을 담은 두 번째 비디오 앨범 ''Tournado''를 발매했다.[17]
2. 1. 발매 과정
올 아메리칸 리젝트는 2003년 가을에 두 번째 앨범을 위한 새로운 곡 작업을 시작했으며, "Dance Inside"는 당시 진행 중이던 투어에서 밴드가 처음으로 작곡하고 연주한 곡이었다.[1] 투어가 끝난 후, 밴드의 작곡가인 타이슨 리터와 닉 휠러는 2004년 대부분을 플로리다주 데스틴에 있는 각자의 집에서 새로운 곡을 쓰는 데 보냈다.앨범의 프로덕션은 2004년 12월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에서 시작되었으며, 녹음에는 총 7주가 소요되었다.[2] 녹음 세션은 캘리포니아주 밸리 빌리지에 있는 베이 7 스튜디오와 캘리포니아주 칼라바사스에 있는 스파키 다크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현악기 녹음은 케이시 스톤이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의 선셋 사운드에서 맡았다. 하워드 벤슨이 프로듀서를 맡았고, 마이크 플로트니코프가 녹음을 담당했다. 하츠카즈 이나가키가 보조 엔지니어를 맡았고, 폴 데카리가 프로툴즈 편집을 했다.[36]
녹음된 곡들은 2005년 3월에 크리스 로드-알지가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의 레조네이트 뮤직에서 믹싱했다.[2][36] 테드 젠슨이 뉴욕 시에 있는 스털링 사운드에서 앨범을 마스터링했다.[36]
3. 곡 목록
앨범 ''Move Along''은 총 12개의 기본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매된 국가나 버전에 따라 추가적인 보너스 트랙이 포함되기도 한다. 상세한 트랙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기본 트랙 목록
모든 곡은 타이슨 리터와 닉 휠러가 작사/작곡했다.[36]| # | 제목 | 길이 |
|---|---|---|
| 1 | Dirty Little Secret | 3:13 |
| 2 | Stab My Back | 3:10 |
| 3 | Move Along | 4:00 |
| 4 | It Ends Tonight | 4:04 |
| 5 | Change Your Mind | 3:40 |
| 6 | Night Drive | 3:24 |
| 7 | 11:11 P.M. | 3:04 |
| 8 | Dance Inside | 4:00 |
| 9 | Top of the World | 3:25 |
| 10 | Straitjacket Feeling | 3:37 |
| 11 | I'm Waiting | 3:34 |
| 12 | Can't Take It | 2:52 |
| 총 길이: | 42:09 | |
3. 2. 보너스 트랙 목록
'''해외 보너스 트랙'''| # | 곡명 | 비고 | 재생 시간 |
|---|---|---|---|
| 13 | Night Drive | 어쿠스틱 | 3:48 |
'''일본 보너스 트랙'''
| # | 곡명 | 재생 시간 |
|---|---|---|
| 13 | Eyelash Wishes | 4:09 |
| 14 | Kiss Yourself Goodbye | 3:23 |
'''영국 보너스 트랙'''
| # | 곡명 | 재생 시간 |
|---|---|---|
| 13 | Eyelash Wishes | 4:09 |
'''아이튠즈/스포티파이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
| # | 곡명 | 비고 | 재생 시간 |
|---|---|---|---|
| 13 | Dirty Little Secret | The Wiltern 라이브 | 3:09 |
| 14 | Top of the World | The Wiltern 라이브 | 2:27 |
| 15 | Night Drive | The Wiltern 라이브 | 3:34 |
| 16 | It Ends Tonight | The Wiltern 라이브 | 4:00 |
| 17 | Move Along | The Wiltern 라이브 | 4:14 |
4. 참여
올 아메리칸 리젝트스는 2003년 가을부터 두 번째 앨범을 위한 곡 작업을 시작했으며, "Dance Inside"는 투어 중에 처음으로 작곡하고 연주한 곡이었다.[1] 투어 종료 후, 밴드의 주요 작곡가인 타이슨 리터와 닉 휠러는 2004년 대부분을 플로리다주 데스틴의 각자 집에서 새로운 곡을 쓰는 데 집중했다.
앨범 녹음은 2004년 12월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에서 시작되어 총 7주간 진행되었다.[2] 주요 녹음은 캘리포니아주 밸리 빌리지의 베이 7 스튜디오와 캘리포니아주 칼라바사스의 스파키 다크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으며, 현악기 녹음은 케이시 스톤이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의 선셋 사운드에서 담당했다. 앨범 프로듀싱은 하워드 벤슨이 맡았고, 마이크 플로트니코프가 녹음 엔지니어링을, 이나가키 하츠카즈가 보조 엔지니어링을 담당했으며, 폴 데카를리는 프로툴즈 편집을 진행했다.[36]
녹음된 곡들은 2005년 3월, 크리스 로드-알지에 의해 버뱅크의 레조네이트 뮤직에서 믹싱되었다.[2][36] 최종 마스터링 작업은 테드 젠슨이 뉴욕 시의 스털링 사운드에서 완료했다.[36] 이처럼 앨범 제작에는 밴드 멤버들 외에도 프로듀서, 엔지니어, 세션 연주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4. 1. 밴드 멤버
책자에 따른 구성원[36]'''올 아메리칸 리젝트스(The All-American Rejects)'''
- 타이슨 리터(Tyson Ritter) – 리드 보컬, 베이스, 백 보컬, 테레민 (트랙 2)
- 닉 휠러(Nick Wheeler) – 리드 기타, 백 보컬, 키보드, 프로그래밍, 반조 (트랙 6), 일렉트릭 시타 (트랙 6), 클래식 기타 (트랙 9)
- 마이크 케너티(Mike Kennerty) – 리듬 기타, 백 보컬
- 크리스 게일러(Chris Gaylor) – 드럼, 추가 타악기
'''추가 연주자'''
- 하워드 벤슨(Howard Benson) – 키보드, 프로그래밍,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폴 데카를리(Paul Decarli) – 키보드, 프로그래밍
- 데보라 루리(Deborah Lurie) – 스트링 편곡, 지휘
- 레니 카스트로(Lenny Castro) – 타악기
- 제이미 무호버랙(Jamie Muhoberac) – 피아노 (트랙 3, 4, 10 및 12)
- 바비 페이지(Bobbi Page) – 합창단 (트랙 3)
- 벤자민 바이람(Benjamin Byram) – 합창단 (트랙 3)
- 니콜라스 하퍼(Nicolas Harper) – 합창단 (트랙 3)
- 에밀리 로건(Emily Logan) – 합창단 (트랙 3)
- 마이클 메이요(Michael Mayo) – 합창단 (트랙 3)
- 조이 메릴(Zoe Merrill) – 합창단 (트랙 3)
- 헤일리 무어(Haeley Moore) – 합창단 (트랙 3)
- 아론 페이지(Aaron Page) – 합창단 (트랙 3)
- 올 아메리칸 리젝트스(The All-American Rejects) – 갱 보컬 (트랙 6),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크리스 앨런(Chris Allen) –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키스 넬슨(Keith Nelson) –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디 앤더슨(Dee Anderson) –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제작 및 디자인'''
- 하워드 벤슨(Howard Benson) – 프로듀서
- 마이크 플로트니코프(Mike Plotnikoff) – 녹음
- 크리스 로드-알지(Chris Lord-Alge) – 믹싱
- 이나가키 하츠카즈(Hatsukazu Inagaki)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폴 데카를리(Paul Decarli) – Pro Tools 편집
- 케이시 스톤(Casey Stone) – 스트링 녹음
- 테드 젠슨(Ted Jensen) – 마스터링
- 크리스 빌하이머(Chris Bilheimer) – 아트 디렉션
- 채프먼 배일러(Chapman Baehlerlol) – 사진
4. 2. 추가 참여진
책자에 따른 추가 참여진은 다음과 같다.[36]'''추가 연주자'''
- 하워드 벤슨(Howard Benson) – 키보드, 프로그래밍,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폴 데카를리(Paul Decarli) – 키보드, 프로그래밍
- 데보라 루리(Deborah Lurie) – 스트링 편곡, 지휘
- 레니 카스트로(Lenny Castro) – 타악기
- 제이미 무호버랙(Jamie Muhoberac) – 피아노 (트랙 3, 4, 10 및 12)
- 바비 페이지(Bobbi Page) – 합창단 (트랙 3)
- 벤자민 바이람(Benjamin Byram) – 합창단 (트랙 3)
- 니콜라스 하퍼(Nicolas Harper) – 합창단 (트랙 3)
- 에밀리 로건(Emily Logan) – 합창단 (트랙 3)
- 마이클 메이요(Michael Mayo) – 합창단 (트랙 3)
- 조이 메릴(Zoe Merrill) – 합창단 (트랙 3)
- 헤일리 무어(Haeley Moore) – 합창단 (트랙 3)
- 아론 페이지(Aaron Page) – 합창단 (트랙 3)
- 올 아메리칸 리젝트스(The All-American Rejects) – 갱 보컬 (트랙 6),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크리스 앨런(Chris Allen) –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키스 넬슨(Keith Nelson) –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 디 앤더슨(Dee Anderson) – 박수 소리 (트랙 6), 발 구르기 (트랙 6)
'''제작 및 디자인'''
- 하워드 벤슨(Howard Benson) – 프로듀서
- 마이크 플로트니코프(Mike Plotnikoff) – 녹음
- 크리스 로드-알지(Chris Lord-Alge) – 믹싱
- 이나가키 하츠카즈(Hatsukazu Inagaki)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폴 데카를리(Paul Decarli) – Pro Tools 편집
- 케이시 스톤(Casey Stone) – 스트링 녹음
- 테드 젠슨(Ted Jensen) – 마스터링
- 크리스 빌하이머(Chris Bilheimer) – 아트 디렉션
- 채프먼 배일러(Chapman Baehlerlol) – 사진
5. 평가
''Move Along''은 발매 당시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0][21] 여러 매체는 앨범의 팝적인 멜로디와 중독성 있는 후렴구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9][29]
5. 1. 평론가 평가
''Move Along''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주요 매체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평론 매체 | 점수 |
|---|---|
| About.com | 3.5/5[18] |
| AbsolutePunk | 71%[19] |
| AllMusic | 2.5/5[28] |
| Blender | 3/5[20] |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B+[21] |
| IGN | 6.8/10[22] |
| musicOMH | 부정적[23] |
| Plugged In | 긍정적[24] |
| Prefix Magazine | 6/10[30] |
| 롤링 스톤 | 3/5[25] |
| 스핀 | B[26] |
| USA 투데이 | 3/4[27] |
''블렌더''는 이 앨범에 별 5개 중 3개를 부여했고,[2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B+를 매겼다.[21]
AbsolutePunk는 71%의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올 아메리칸 리젝츠는 악기 구성을 다소 변경하고 이전의 재미 요소를 덜어내면서 더 직접적인 록앤롤 사운드를 선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밴드는 매우 훌륭하게 들린다. 보컬 타이슨 리터는 멜로디와 전달력 모두 그 어느 때보다 더 훌륭하게 들리고, 풍부한 프로덕션은 수많은 기타 레이어 각각이 매우 선명하면서도 두꺼운 사운드의 드럼을 통해 빛나도록 한다."고 언급했다.[19] AllMusic은 별 5개 중 2.5개를 주며 "올 아메리칸 리젝츠의 2003년 히트곡 'Swing Swing'는 Better Than Ezra의 팝 펑크 버전처럼 들렸고, 그들의 두 번째 앨범은 이러한 조합을 더욱 명확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Night Drive', 'Dirty Little Secret', 'I'm Waiting'과 같은 곡에서 록적인 면모를 보여주며, 기타는 날카롭게 갈라지고 타이슨 리터와 닉 휠러의 숨결 섞인 하모니는 진심으로 고조된다."고 덧붙였다.[28]
antiMusic은 5점 만점에 4.5점을 주며 "이들은 훅(hook, 곡의 핵심 부분)의 기술을 너무나 잘 익혀서 그들의 의도대로 이끌려가지 않을 수 없다"고 호평했다.[29]
반면, IGN은 10점 만점에 6.8점을 부여하며 "[이 앨범]은 대중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각 곡은 다음 곡만큼이나 라디오 방송에 적합하게 다듬어졌다. 고립, 이별, 기타 평범한 팝 주제로 가득 찬 ''Move Along''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22] ''Prefix Magazine''은 10점 만점에 6점을 주면서 가사가 "효과적이거나 기억에 남기에는 너무 평범하다"고 비판했지만, "11:11 P.M." 트랙에 대해서는 "지나간 실수와 기타 무해한 고등학교 일기 내용을 다룬 빠르게 진행되는 노래로, 주먹을 쥐게 만드는 후렴구와 시계 초침 소리 효과가 완벽하게 갖춰져 있다"고 칭찬했다.[30]
5. 2. 상업적 성과
''Move Along''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앨범은 발매 첫 주 9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6위로 데뷔했다.[31] 이후 84주 동안 차트 100위권 내에 머무르며 꾸준한 인기를 보였다.[32]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200만 장 이상 출하되어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획득했으며, 2006년 8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230만 장을 넘어섰다.[33]앨범의 성공에는 싱글들의 역할이 컸다. 리드 싱글 "Dirty Little Secret"은 빌보드 핫 100에서 9위, 팝 100과 메인스트림 탑 40 차트에서는 각각 4위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다. 두 번째 싱글 "Move Along"은 빌보드 핫 100에서 15위에 올랐고, 핫 캐나다 디지털 싱글 차트에서도 10위권에 진입했다. 마지막 싱글 "It Ends Tonight" 역시 빌보드 핫 100과 메인스트림 탑 40 차트에서 모두 8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31][33]
| 싱글 제목 | 차트 | 최고 순위 |
|---|---|---|
| "Dirty Little Secret" | 미국 빌보드 핫 100 | 9위 |
| 미국 팝 100 | 4위 | |
| 미국 메인스트림 탑 40 | 4위 | |
| "Move Along" | 미국 빌보드 핫 100 | 15위 |
| 핫 캐나다 디지털 싱글 차트 | 10위권 | |
| "It Ends Tonight" | 미국 빌보드 핫 100 | 8위 |
| 미국 메인스트림 탑 40 | 8위 |
6. 차트 및 인증
(내용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