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456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4565는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밝은 거대 나선 은하이다. 이 은하는 막대 나선 은하이며, 스피처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내부 링과 의사 팽대부가 확인되었다. NGC 4565는 최소 두 개의 위성 은하를 가지고 있으며, 약 240개의 구상 성단을 포함한다. 코마 I 그룹의 가장 밝은 구성원 중 하나이며, 주변에 확산된 전파 헤일로가 발견되었다. 은하 원반은 인접한 위성 은하 또는 코마 I 그룹의 다른 은하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뒤틀리고 확장된 모습을 보인다. LOFAR 관측을 통해 전파 헤일로에서 수소선 뒤틀림을 연상시키는 뒤틀림과 플레어링이 감지되었으며, 이는 격렬한 별 형성 시기의 여파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털자리 I 은하군 - NGC 4414
NGC 4414는 1974년, 2013년, 2021년, 2023년에 각각 발견된 4개의 초신성(SN 1974G, SN 2013df, SN 2021J, SN 2023hlf)이 관측된 은하이다. - 머리털자리 - NGC 4414
NGC 4414는 1974년, 2013년, 2021년, 2023년에 각각 발견된 4개의 초신성(SN 1974G, SN 2013df, SN 2021J, SN 2023hlf)이 관측된 은하이다. - 머리털자리 - 생쥐 은하
- 막대나선은하 - 우리 은하
태양계가 속한 막대나선은하인 우리 은하는 은하수라고도 불리며 중심핵, 나선팔, 헤일로로 구성되어 2,000억~4,000억 개의 별을 포함하고 주변 은하를 흡수하며 성장하고, 안드로메다 은하와 충돌하여 합쳐질 가능성이 있다. - 막대나선은하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NGC 4565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NGC 4565 |
다른 이름 | UGC 7772 PGC 42038 Caldwell 38 |
별자리 | 머리털자리 |
관측 정보 | |
적경 (J2000) | 12시 36분 20.8초 |
적위 (J2000) | +25° 59′ 16″ |
적색 편이 | 0.004103 |
시선 속도 | 1230 ± 5 km/s |
겉보기 등급 | 10.42 |
시직경 | 15.90′ × 1.85′ |
물리적 특징 | |
형태 | SA(s)b? |
거리 | 4270만 ± 1200만 광년(1310만 ± 370만 파섹) |
거리 2 | 5300만 ± 400만 광년 (1620만 ± 130만 파섹) |
2. 특징
NGC 4565는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더 밝은 거대 나선 은하이다.[6] 중심 팽대부의 특성에 대해서는 과거 여러 추측이 있었으나,[7] 스피처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중심에 막대 구조와 함께 의사 팽대부, 내부 링 구조가 확인되어 막대 나선 은하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7]
이 은하는 최소 두 개의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9] 우리 은하보다 많은 약 240개의 구상 성단을 보유하고 있다.[6] 또한 코마 I 그룹의 주요 구성원 은하 중 하나이다.[11][10]
2. 1. 위성 은하
NGC 4565는 최소 두 개의 위성 은하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이 은하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9] 이러한 상호작용의 영향으로, 깊은 광학 관측 결과 NGC 4565의 원반이 약간 뒤틀리고 확장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변 위성 은하나 코마 I 그룹 내 다른 은하들과의 지속적인 중력적 상호작용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GALEX 위성의 자외선 이미지는 다른 관측 방식보다 원반 가장자리의 미세한 뒤틀림을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2. 2. 구상 성단
이 은하는 구상 성단 약 240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우리 은하보다 많다.[6]2. 3. 코마 I 은하군
NGC 4565는 코마 I 그룹에서 가장 밝은[10] 구성원 은하 중 하나이다.[11][10] 깊은 광학 조사를 통해 이 은하의 원반이 약간 뒤틀리고 확장된 모습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인접한 위성 은하나 코마 I 그룹의 다른 은하들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2. 4. 은하 원반의 뒤틀림
깊은 광학 조사를 통해 NGC 4565의 은하 원반이 약간 뒤틀리고 확장된 모습이 관측되었다. 이는 주변의 위성 은하나 코마 I 그룹에 속한 다른 은하들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GALEX 이미지는 다른 조사 결과보다 원반 가장자리의 미세한 뒤틀림을 더 뚜렷하게 보여준다.함부르크 대학교의 천문학자들은 저주파 배열(LOFAR)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NGC 4565 주변에 넓게 퍼진 전파 헤일로를 발견했다. 이 관측 과정에서 NGC 4565의 전파 연속 스펙트럼에서 수소선(HI) 분포의 뒤틀림과 유사한 형태가 감지되었으며, 은하 전파 헤일로가 약간 넓게 퍼지는 현상(플레어링)도 확인되었다. 이 플레어링 현상은 수직 방향의 전파 강도 분포가 비대칭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앞서 언급된 원반의 뒤틀림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 결과, 이 뒤틀림은 최소 약 1억 3천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은하 내 우주선 전자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추정한 나이이며, 이 기간 동안 전자들이 뒤틀린 구조를 따라 이동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측 결과는 NGC 4565가 과거에 매우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을 겪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3.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for NGC 4565
http://nedwww.ipac.c[...]
2006-10-12
[2]
웹사이트
Distance Results for NGC 4565
http://nedwww.ipac.c[...]
2010-05-02
[3]
논문
Measuring Distances and Probing the Unresolved Stellar Populations of Galaxies Using Infrared Surface Brightness Fluctuations
2003-02
[4]
웹사이트
NGC4565 at
http://apod.nasa.gov[...]
[5]
웹사이트
Spiral Galaxy NGC 4565
http://www.eso.org/p[...]
[6]
웹사이트
Globular Cluster Systems in Galaxies Beyond the Local Group
http://ned.ipac.calt[...]
[7]
논문
Intermediate-band surface photometry of the edge-on galaxy NGC 4565
https://iopscience.i[...]
2002
[8]
웹사이트
Detection of a Distinct Pseudobulge Hidden Inside the ''Box-Shaped Bulge'' of NGC 4565
http://adsabs.harvar[...]
[9]
웹사이트
HALOGAS: H I Observations and Modeling of the Nearby Edge-on Spiral Galaxy NGC 4565
http://adsabs.harvar[...]
[10]
웹사이트
Webb Deep-Sky Society: Galaxy of the Month: NGC4565
https://www.webbdeep[...]
2018-05-20
[11]
논문
The Coma i Galaxy Cloud
1977-04
[12]
웹사이트
NGC4565 at
https://apod.nasa.go[...]
[13]
웹사이트
Results for NGC 4565
http://nedwww.ipac.c[...]
2006-10-12
[14]
웹사이트
Distance Results for NGC 4565
http://nedwww.ipac.c[...]
2010-05-02
[15]
논문
Measuring Distances and Probing the Unresolved Stellar Populations of Galaxies Using Infrared Surface Brightness Fluctuations
2003-02
[16]
웹사이트
Spiral Galaxy NGC 4565
http://www.eso.org/g[...]
[17]
웹사이트
Intermediate-band surface photometry of the edge-on galaxy NGC 4565
http://www.iop.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