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크 대학교는 1919년 설립된 독일 함부르크에 위치한 대학이다. 1907년 함부르크 과학 재단 설립을 시작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너 폰 멜레 시장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현재는 북독일 최대의 학술 기관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제공하며, 6개 학부, 149개의 전공, 4만 명 이상의 학생과 700명 이상의 교수를 보유하고 있다. 함부르크 대학교는 여러 국제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2019년 독일 우수 전략에 선정되어 "플래그십 대학" 지위를 획득했다. 부속 기관으로 함부르크 주립 및 대학 도서관, 함부르크 천문대, 한스-브레도우 미디어 연구소 등이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많은 저명 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부르크 대학교 - 볼프강 파울리
오스트리아 출신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파울리 배타 원리 발견, 비상대론적 스핀 이론 공식화, 중성미자 존재 예측 등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융과의 협력으로 심리학과 물리학의 접점을 탐구하고 194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함부르크 대학교 - 루돌프 하크
루돌프 하크는 양자장론과 대수적 양자장론에 기여한 독일 이론물리학자로, 하그의 정리, 하그-뤼엘 산란 이론, 하그-캐슬러 공리 등을 통해 현대 양자장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함부르크의 대학교 - 독일 합동련합지휘참모대학교
독일 합동련합지휘참모대학교는 독일군 장교 양성의 핵심 기관으로서, NATO군 협력부터 통일 후 국제적 역할 변화까지의 역사를 거쳐 국가 참모 장교 과정, 국제 참모 장교 과정 등 다양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군사 리더십 역량 강화에 힘쓰고, 현대적인 시설과 훈련 환경, 지휘 지원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하여 교육생들의 실전 감각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한다. - 함부르크의 대학교 - 퀴네 물류 대학
퀴네 물류 대학교(KLU)는 2010년 독일에서 설립된 사립 대학으로, 물류, 운영 관리, 공급망 관리 분야를 교육하며,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영어로 운영하고, AACSB 인증을 획득했다. - 1919년 개교 - 바우하우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중심으로 예술 분야를 통합하고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디자인 양식을 추구한 예술 학교로,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폐교되었으나 그 이념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 1919년 개교 - 병영초등학교 (울산)
병영초등학교는 1919년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된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이며, 한글학자 최현배가 동문으로 있다.
함부르크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대학 이름 | 함부르크 대학교 |
로마자 표기 | Universität Hamburg |
모토 | 연구, 교육, 형성을 위하여 |
모토 (영어) | For research, for teaching, for education |
설립일 | 1919년 |
대학 유형 | 공립 |
총장 | 마틴 헤흐트 |
총장(총장) | de |
학생 수 | 42,819명 |
박사 과정 학생 수 | 5,898명 |
위치 | 함부르크 |
국가 | 독일 |
캠퍼스 | 도심형 |
색상 | 빨강 및 흰색 |
학술 제휴 | EUA 캠퍼스 유로파 독일 U15 독일 우수 이니셔티브 |
웹사이트 | uni-hamburg.de |
모토 언어 | de |
예산 | 7억 유로 |
행정 직원 | 8,896명 |
교직원 | 15,331명 |
기타 정보 | |
라틴어 이름 | Universitas Hamburgensis |
2. 역사
1919년 빌헬름 슈테른 등에 의해 설립되었다. 함부르크 시장 베르너 폰 메레가 함부르크의 기존 교육 기관을 대학으로 통합한 것이 그 시작이다. 1907년에 함부르크 과학재단이 설립되었고, 1911년 함부르크의 부호 에드문드 지머스에 의해 대학 본관이 건설되어 기증되었다. 현재 본관에는 인문과학부(학부장실, 역사학연구소, 아시아·아프리카학연구소 등)가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1919년에 베르너 폰 메레가 시장 겸 대학 총장으로 선출되고, 함부르크 대학교에 관한 임시 법률이 통과되었다. 정교수 수는 19명에서 39명으로 증가하였고, 주립 연구소, 식민지 연구소 등이 대학으로 통합되었다. 1934년 함부르크 시내의 에펜도르프 종합병원(University Medical Center Hamburg-Eppendorf)은 대학병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나치의 지배를 받았고, 유대계였던 빌헬름 슈테른 등 창립자들은 네덜란드를 거쳐 미국으로 피난해야 했다.[1] 현재 함부르크 대학교는 40,000명의 학생들과 함께 북독일 최대의 학술 기관이다.
2. 1. 설립 배경 (20세기 초)
20세기 초, 함부르크의 부유한 시민들은 상원과 의회에 대학 설립을 요청하는 청원을 여러 차례 제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베르너 폰 멜레 상원의원은 기존의 기관들을 통합하여 대학을 설립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많은 사람들은 함부르크가 무역 중심지로만 남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대학 설립에 필요한 비용과 대학에서 채용할 교수들의 사회적 야망을 우려했다.[3]1907년, 대학 설립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함부르크 과학 재단을 설립했고, 1908년에는 함부르크 식민지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과학 재단은 일반 강좌 시스템의 교수직에 학자들을 채용하고 연구 항해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식민지 연구소는 해외 영토와 관련된 교육 및 연구 문제를 담당했다. 1911년에는 도시 최초의 강의 건물이 개관했으며, 이 건물은 이후 대학 본관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대학 설립 계획은 연기되었다.
전쟁 이후, 최초의 자유 선거로 선출된 상원은 폰 멜레를 시장으로 선출했다. 폰 멜레와 루돌프 로스는 함부르크의 교육 개혁을 주장하며 대학과 야간학교를 설립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1919년 3월 28일, 함부르크 대학교가 개교하면서 함부르크의 정교수직 수는 19개에서 39개로 늘어났다. 식민지 연구소와 일반 강좌 시스템은 모두 대학에 통합되었다. 대학의 최초 학부는 법학 및 정치학부, 의학부, 철학 및 자연과학부였다.
2. 2. 개교와 초기 발전 (1919년 ~ 1933년)
1919년 4월 1일 빌헬름 슈테른 등에 의해 설립되었다. 함부르크 시장 베르너 폰 메레가 함부르크의 기존 교육 기관을 대학으로 통합한 것이 그 시작이다. 1907년에 함부르크 과학재단이 설립되었다. 1911년 함부르크의 부호 에드문드 지머스에 의해 대학 본관이 건설되어 기증되었다. 현재, 본관에는 인문과학부(학부장실, 역사학연구소, 아시아·아프리카학연구소 등)가 있다.제1차 세계 대전 후, 1919년에 베르너 폰 메레가 시장 겸 대학 총장으로 선출되고, 함부르크 대학교에 관한 임시 법률이 통과되었다. 정교수 수는 19명에서 39명으로 증가하였고, 주립 연구소, 식민지 연구소 등이 대학으로 통합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동안 함부르크 대학교는 빠르게 성장하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학생 수는 수천 명에 달했고, 대학교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알브레히트 멘델스존 바르톨디, 아비 바르부르크, 에른스트 카시러와 같은 학자들이 함부르크로 모여들었다. 공화국 초기에 만연했던 열악한 경제 상황으로 많은 학생들이 고통을 겪었고, 이는 1922년 함부르크 학생 지원 협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1929년 에른스트 카시러는 함부르크 대학교 총장이 되었는데, 독일에서 이러한 직책을 맡은 최초의 유대인 학자 중 한 명이었다. 1931년까지 정교수 수는 75명으로 증가했다. 함부르크 시내의 에펜도르프 종합병원(University Medical Center Hamburg-Eppendorf)은 1934년에 대학병원이 되었다.
2. 3. 나치 시대의 암흑기 (1933년 ~ 1945년)
나치 시대에 함부르크 대학교는 나치의 지배를 받았다. 이로 인해 유대계였던 빌헬름 슈테른 등 창립자들은 네덜란드를 거쳐 미국으로 피난해야 했다.[1]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재건과 발전 (1945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45년 겨울에 17,800명의 직원과 함께 대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다. 1945/46년도 전후 첫 학기에 함부르크 대학교에 등록한 2,872명의 학생 중 601명이 철학과, 952명이 의학과, 812명이 법학 및 정치학과, 506명이 수학 및 자연과학과에 입학했다. 이 기간 동안 최초의 학생회는 1946년 영국 감독하에 선출되었고, 1947년에는 총학생회(AStA)의 기초가 되었다.
서독 시대 동안 대학교에는 새로운 학과들이 추가되었다. 1954년에는 개신교 신학과가 추가되었고, 법학과는 경제 및 사회과학과에서 분리되었다. 이러한 성장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에 상당한 건설 공사와 함께 이루어졌다. 본 멜레 공원 근처에 강당과 철학자의 탑이 개관되었고, 식물학 연구소와 식물원은 플롯벡으로 이전되었다. 대학교는 1960년 12,600명의 학생에서 1970년 19,200명으로 성장했다.
1968년 학생 운동 당시의 시위는 대학교 구조 개혁으로 이어졌다. 1969년, 학부는 더욱 학제 간적인 학과로 개편되었고, 행정부에 대한 학생과 직원의 참여도 증가했으며, 총장 직책은 대학 총장 직책으로 바뀌었다.[3] 이러한 개혁의 일부는 1979년 함부르크 고등교육법의 일환으로 폐지되었다.[3] 로터바움 지역에 있는 주요 캠퍼스는 1970년대 추가 건설을 통해 완성되었는데, 여기에는 지오마티쿰 건물과 (벙커와 같은 건축 양식으로 이름 붙여진) 비비-벙커가 포함된다. 그 후 성장은 함부르크의 다른 지역에 집중되었다. 1998년과 2002년에 본관 옆에 새로 건설된 두 건물이 개관하여 대학교의 무어바이데 지역을 활성화했다.
2005년, 함부르크 경제정치대학교는 두 기관 모두 반대했던 정치적 행위에 의해 함부르크 대학교와 통합되었다. 같은 법률에 따라 두 기관의 17개 학과가 통합되어 6개 학부로 재편되었다. 유럽 기관 간의 표준 비교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인 볼로냐 프로세스의 이행은 그 10년 동안 또 다른 주요 쟁점이었다. 2006년에 수업료가 500EUR로 도입되었지만, 나중에 375EUR로 감소되었고 2012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4]
3. 캠퍼스
함부르크 대학교는 도시 전체에 180개 이상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5] 본관은 함부르크 담토어 역 맞은편 무어바이데에 있으며, 폰-멜레 공원의 주 캠퍼스에서 멀지 않다. 함부르크 주립 및 대학 도서관, 아우디막스(강당), 함부르크 대학교 기록 보관소 및 기타 여러 강의 건물이 모두 그 지역에 있다. 두 번째 대학 건물 집단은 같은 지역의 마틴 루터 킹 광장 주변에 모여 있다. 게오마티쿰은 슐룸프 지하철역 근처 캠퍼스의 서쪽 끝을 표시한다.
여러 학과가 다른 지역에 위치해 있다. 물리학과는 융기우스슈트라세, 베르게도르프( 함부르크 천문대와 함께), 바렌펠트(세계적으로 유명한 DESY 및 기타 시설과 함께)의 여러 지점에 걸쳐 있다. 생물학과는 플롯벡에 위치하고 있으며, 컴퓨터 과학과는 1991년 슈텔링겐으로 이전했다. 의과대학은 함부르크-에펜도르프 대학병원에 있다.
함부르크 중심부인 로터바움(Rotherbaum)에 캠퍼스가 있다. 8개 학부에 27개 학과와 연구 센터를 갖추고 있다.
학부 | 학과 및 연구 센터 |
---|---|
법학부 | 공법, 형법·범죄학, 민법 |
경제·사회과학부 | 사회과학, 경제학, 사회경제학 |
의학부 | |
교육과학·심리학·스포츠과학부 | 일반·다문화·국제비교교육학, 초등중등교육·사회교육·특수교육학, 교육지도 심리학, 전문교육학, 평생학습, 언어·미적 분야 교육학, 사회과학, 수학, 자연과학 교육학 |
인문과학부 | 프로테스탄트 신학, 가톨릭 신학, 언어문학미디어학 I, 언어문학미디어학 II, 역사학, 철학, 문화예술 연구, 아시아아프리카학 |
수학·정보과학·자연과학부 | 생물학, 화학, 지구시스템과학, 정보학, 수학, 물리학 |
심리학부·인간운동학부 | 심리학, 인간운동과학 |
경영학부 (함부르크 비즈니스 스쿨) |
4. 학문
2020-2021 학년도 기준 함부르크 대학교에는 4만 4천 명이 넘는 학생이 재학 중이며, 매년 1만 명의 신입생이 입학하고 있다.[6] 약 5,500명의 학생이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6개 학부에서 149개의 전공이 제공되며, 약 700명의 교수가 교육 및 연구에 힘쓰고 있다.[6] 이 외에도 3,600명 이상의 연구진과 7,000명 이상의 행정 및 기술 직원이 대학에서 근무하고 있다.[6]
함부르크 대학교는 독일 연구 재단의 지원을 받는 7개의 공동연구센터(독일어: Sonderforschungsbereiche)를 지원하고 있다.
4. 1. 학부 및 학과 구성
2020-2021 학년도 기준으로 함부르크 대학교에는 6개 학부에서 149개의 전공이 제공되고 있다.[6] 각 학부 및 학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학부 | 학과 |
---|---|
법학부 | 법철학, 공법, 형법·범죄학, 민법 |
경영학부 (함부르크 비즈니스 스쿨) | 경영학 (BWL) |
경제사회과학부 | 사회경제학과, 사회과학과, 거시경제학과 (VWL), 사회과학, 경제학 |
의학부 | 의학 |
교육·심리·체육학부 | 체육학과, 교육학과, 심리학과, 평가 서비스부, 일반·다문화·국제비교교육학, 초등중등교육·사회교육·특수교육학, 교육지도 심리학, 전문교육학, 평생학습, 언어·미적 분야 교육학, 사회과학, 수학, 자연과학 교육학 |
인문학부 | 아시아-아프리카 연구소, 신학과, 역사학과, 문화사 및 현대문화학과, 철학과, 언어·문학·미디어학과 (SLM), 프로테스탄트 신학, 가톨릭 신학, 언어문학미디어학 I, 언어문학미디어학 II, 문화예술 연구 |
수학·컴퓨터과학·자연과학부 | 생물학과, 화학과, 지구과학과, 컴퓨터과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생물정보학 센터, 산림산물 센터, 지구시스템과학, 정보학 |
공학부 | 기계공학과 |
심리학부·인간운동학부 | 심리학, 인간운동과학 |
4. 2. 국제적 평가
2025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함부르크 대학교는 세계 191위, 국내 10위 안에 들었다.[7] 2024년 타임즈 고등교육(THE)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공동 136위, 국내 12위를 기록했다.[8] 또한,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에서는 세계 201-300위, 국내 순위는 10-19위로 추정된다.[9]분야 | 세계 순위 | 국내 순위 |
---|---|---|
인문학 | 98 | 8 |
경영 및 경제학 | 201–250 | 10–11 |
임상 및 보건 | 126–150 | 7–10 |
컴퓨터 과학 | 301–400 | 24–27 |
교육학 | 101–125 | 6 |
법학 | 42 | 3 |
생명 과학 | 151–175 | 15–17 |
물리 과학 | 101–125 | 10–11 |
심리학 | 126–150 | 11–14 |
독일 경제계 최고 경영진 수를 기준으로, 함부르크 대학교는 2019년 15위를 기록했다.[13] 미국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의 세계 최고 대학 순위에서는 2017년 기준으로 국내 7위, 유럽 44위, 세계 121위를 기록했다.[14]
함부르크 대학교는 2020년 CWTS 라이덴 순위에서 독일 6위, 세계 186위를 기록했다.[15] 2016년 세계 대학 순위 센터(CWUR)는 함부르크 대학교를 국내 9위[16], 세계 170위(25,000개 이상의 기관 중)[17]로 평가했다. 웹 출판물의 양과 영향력을 기준으로 대학을 분류하는 웹메트릭스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함부르크 대학교가 독일 5위, 세계 약 12,000개 대학 중 140위를 기록했다.[18]
2016년 에드유니버설은 ''함부르크 대학교 경영, 경제 및 사회과학대학''을 독일에서 13위로 평가했는데, 이는 뮌헨 공과대학교와 베를린 자유대학교 사이에 해당한다.[19]
2019년 함부르크 대학교는 독일 연방 및 주 정부의 우수 연구 대학 지원 경쟁인 독일 우수 전략에 선정되어, 4개의 우수 연구 클러스터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 7월 기준으로 함부르크 대학교는 "플래그십 대학" 개념으로 우수 대학 지위를 수여받은 11개 대학 중 하나이다.[20][21]
영국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 종합 순위 세계 136위[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world-university-rankings/university-hamburg], 예술·인문과학 분야 세계 98위, 법학 분야 세계 42위 (2024년 기준)
4. 3. 연구
2020-2021 학년도 기준으로 함부르크 대학교의 총 학생 수는 4만 4천 명이 넘으며, 매년 1만 명의 신입생이 입학한다.[6] 박사 과정 수료생은 약 5,500명이다. 6개 학부에서 149개의 전공이 제공되며, 약 700명의 교수가 교육 및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또한 3,600명 이상의 연구진 및 7,000명 이상의 행정 및 기술 직원이 대학에 근무하고 있다.[6] 함부르크 대학교는 독일 연구 재단의 지원을 받는 7개의 공동연구센터(독일어: Sonderforschungsbereiche)를 지원하고 있다.5. 시설 및 부속 기관
1479년 설립된 함부르크 주립 및 카를 폰 오시에츠키 대학교 도서관은 500만 권이 넘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함부르크 대도시권에서 가장 큰 학술 도서관이다. 또한 도시 국가의 출판물 예치 제도 및 기록 보관소 역할도 한다. 중세 사본을 포함하여 다수의 특별 소장품과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22] 함부르크 대학교 출판부도 도서관 시스템의 일부이다. 대학교는 함부르크 동물학 박물관, 함부르크 광물학 박물관, 함부르크 지질 및 고생물학 박물관 등 세 개의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 모든 박물관은 중앙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한스-브레도우 미디어 연구소, 라이프니츠 바이러스 연구소를 포함한 다수의 부설 연구소(An-Institute)가 대학교와 제휴하고 있다. 다른 제휴 기관은 다음과 같다.
- 함부르크 천문대
- 독일 기후 컴퓨팅 센터
- 알프레드 베게너 극지 및 해양 연구소
- 베르나르트 노흐트 열대의학 연구소
-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
- 막스 플랑크 기상학 연구소
- 막스 플랑크 물질 구조 및 역학 연구소
- 막스 플랑크 비교 및 국제 사법 연구소
- 함부르크 공자 연구소
- 함부르크 초고속 이미징 센터
- 중국 베이징에 있는 중국정법대학 중국-EU 법학대학은 중국-EU 법에 대한 중견 관리자 교육, 석사 학위 및 공동 박사 연구를 제공하는 16개 회원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23] UHH는 창립 회원 중 하나였다.
6. 관련 인물
- 응오지 알라에부(Ngozi Alaegbu) - 언론인
- 프랭크 바포에(Frank Baffoe) - 가나의 경제학자, 외교관, 사업가
- 에버하르트 베커(Eberhard Becker) - 수학자
- 볼프강 부란트(Wolfgang Burandt) - 변호사, 법학 학자, 상법 교수
- 게르트 부케리우스(Gerd Bucerius) - 정치인, 부케리우스 법과대학의 이름을 딴 인물
- 에즈리엘 카를레바흐(Ezriel Carlebach) - 이스라엘 언론인이자 논설위원
- 천싱선(Shiing-Shen Chern) - 1984년 울프상 수학상 수상자
- 위르겐 에어러스(Jürgen Ehlers) - 2002년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
- 알렉산더 에스티스(Alexander Estis) - 러시아 출신 스위스 작가, 번역가, 언론인. 2020년 롤프 보세르트 기념상(Rolf Bossert Memorial Prize) 수상자
- 위르겐 피첸(Jürgen Fitschen) -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독일은행 공동 최고경영자
- 라이너 프로에제(Rainer Froese) - FishBase 개발자
- 클라우스 하셀만(Klaus Hasselmann) - 해양학자이자 기후 모델링 전문가,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베라 하츠(Vera Hatz) - 영국 왕립 주화학회 메달 수상자
- 하랄트 추어 하우젠(Harald zur Hausen) - 2008년 노벨 생리학 또는 의학상 수상자
- 잉고 하이드브링크(Ingo Heidbrink) - 해양사학자. 국제 해양사 위원회 사무총장
- 로렌츠 힐티(Lorenz Hilty) - 컴퓨터 과학자
- 볼프강 호프만-림(Wolfgang Hoffmann-Riem) - 법학자이자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전 판사
- 요하네스 한스 옌센(J. Hans D. Jensen) - 196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24]
- 크리스티네 클라인(Christine Klein) - 신경과 의사, 의학 연구자, 학자
- 얀 콜하제(Jan Kohlhaase) - 수학자
- 하인 쾨츠(Hein Kötz) - 막스 플랑크 국제 및 외국 사법 연구소(MPI-PRIV), 부케리우스 법과대학 소장 및 독일 연구진흥협회 부회장
- 한스 크렙스(Hans Adolf Krebs) - 1953년 노벨 생리학 또는 의학상 수상자[25]
- 옌스 마르클로프(Jens Marklof) -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화이트헤드 상 수상자.
- 투히 마르투카우(Tuhi Martukaw) - 타이완의 언론인이자 외교관
- 엠마 음부아(Emma Mbua) - 동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고생물학자.[26]
- 라인하르트 모라츠(Reinhard Moratz) - 뮌스터 대학교 지리정보학 연구소 비정규 교수
- 파울 네버만(Paul Nevermann) - 함부르크 시장 (1961–1965)
- 질케 오스펠카우스(Silke Ospelkaus) - 막스 플랑크 양자 광학 연구소 그룹 리더
- 요제 푸치니크(Jože Pučnik) - "유고슬라비아로부터 슬로베니아 독립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알려짐
- 다그마르 라이하르트(Dagmar Reichardt) - 문화 연구가
- 요아힘 리터(Joachim Ritter) - 철학자이자 소위 리터 학파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창시자
- 발데마르 R. 뢰르바인(Waldemar R. Röhrbein) - 역사학자, 하노버 역사 박물관 관장
- 페터 슐레흐트림(Peter Schlechtriem) - 법학자
- 볼프강 쇼이블레(Wolfgang Schäuble) - 2009년부터 제2차 메르켈 내각과 제3차 메르켈 내각에서 독일의 연방 재무부 장관
- 헬무트 슈미트(Helmut Schmidt) - 졸업생, 경제학자, 1974년부터 1982년까지 서독 총리
- 올라프 숄츠(Olaf Scholz) - 변호사, 2021년부터 독일 총리
- 클라우스-페터 지글로흐(Klaus-Peter Siegloch) - 전 언론인이자 ZDF 기자
- 페터 슬로터다이크(Peter Sloterdijk) - 철학자이자 문화 이론가
- 리하르트 조르게(Richard Sorge) - 유명한 스파이
- 레오 스트라우스(Leo Strauss) - 미국 비전(秘傳)주의로 잘 알려진 정치 철학자
- 올레 비트만(Ole Wittmann) - 독일 미술사가, 큐레이터, 출판인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uni-hamb[...]
2022-08-28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versity
https://www.uni-hamb[...]
2020-01-26
[4]
뉴스
German universities face funding fears as states scrap fees
https://www.theguard[...]
2011-03-15
[5]
웹사이트
Gebäudeinformationen
http://www.uni-hambu[...]
University of Hamburg
2013-10-23
[6]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uni-hamb[...]
[7]
웹사이트
Universität Hamburg
https://www.topunive[...]
[8]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3-09-27
[9]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10]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2
https://www.topunive[...]
2023-03-23
[11]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12]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3
https://www.shanghai[...]
[13]
웹사이트
An diesen Unis haben die DAX-Vorstände studiert {{!}} charly.education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US News Best Global Universities in Germany {{!}} US News Best Global Universities
https://www.usnews.c[...]
[15]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 Ranking 2020
https://www.leidenra[...]
[16]
웹사이트
CWUR 2016 {{!}} Top 1000 Universities in the World
http://cwur.org/2016[...]
[17]
웹사이트
About {{!}} CWUR {{!}} Center for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cwur.org/abou[...]
[18]
웹사이트
World {{!}} Ranking Web of Universities
https://www.webometr[...]
[19]
웹사이트
University and business school ranking in Germany
http://www.edunivers[...]
[20]
웹사이트
Excellence Strategy
https://www.dfg.de/e[...]
[21]
웹사이트
Clusters of Excellence: Complete List of Approved Projects
https://www.dfg.de/d[...]
[22]
웹사이트
mehrsprachig ǀ Stabi Hamburg
https://www.sub.uni-[...]
[23]
웹사이트
China-EU School of Law, CUPL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All Nobel Prizes in Physics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5]
웹사이트
All Nobel Laureates in Physiology or Medicin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6]
논문
The evolution of East Africa's first African woman palaeoanthropologist
https://journals.co.[...]
[2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9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