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XO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XO는 1952년 샌디 더글러스가 개발한 초기 컴퓨터 게임으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를 활용하여 틱택토(삼목) 게임을 구현했다. EDSAC의 화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고, 회전식 전화 다이얼을 사용하여 입력을 받았다. OXO는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연구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으며, 컴퓨터 게임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보드 게임 - 21에몽
    21에몽은 후지코 후지오가 그린 만화로, 21세기 우주 관광 시대의 호텔을 배경으로 호텔 후계자와 우주인 손님들의 코믹한 이야기를 다루며,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 비디오 보드 게임 - 바투 (비디오 게임)
    바투는 바둑과 유사한 규칙을 가진 비디오 게임으로, 숨겨진 돌과 스캔 기능을 활용하여 11x11 또는 13x13 바둑판에서 진행되며, 기지 건설과 턴 베팅을 통해 선공을 결정하고 25초 시간 제한 내에 수를 두는 방식으로, 바둑 인구 유입을 시도한다.
  •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 - 테니스 포 투
    테니스 포 투는 1958년 윌리엄 히긴보텀이 개발한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테니스 코트를 시뮬레이션하여 두 명의 플레이어가 공을 주고받는 게임이며, 원자력 연구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상업적 목적 없이 해체 후 비디오 게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재현되었고, 순수한 오락 목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컴퓨터 게임으로 평가받는다.
  •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 - 스페이스워!
    1962년 스티브 러셀과 MIT 동료들이 PDP-1 컴퓨터에서 구현한 2인용 슈팅 게임 스페이스워!는 SF 소설에서 영감을 얻어 우주선을 조작해 상대를 격추하는 게임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배포, 최초의 비디오 게임 토너먼트 개최, 초기 아케이드 게임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등 비디오 게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OXO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OXO
장르퍼즐
모드싱글 플레이어
플랫폼EDSAC
디자이너A S 더글러스
출시1952년
[[EDSAC]] 시뮬레이터에서 실행된 OXO 스크린샷
EDSAC 시뮬레이터에서 실행된 OXO (Classic Mac OS)

2. 역사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개발되어 1949년부터 가동된 초기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이다. 이 컴퓨터에는 음극선관(CRT) 화면이 탑재되어 있었다.

1952년, 이 대학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연구의 일환으로 EDSAC을 이용하여 간단한 틱택토 게임(영국식 명칭: Noughts and Crosses)을 구현했다. 이는 CRT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개발되었으며, 게임의 진행 상황은 EDSAC의 CRT 화면에 표시되었다.

더글러스는 이 게임에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았고, 오늘날 알려진 'OXO'라는 명칭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Martin Campbell-Kelly)가 EDSAC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파일명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다른 초기 컴퓨터 게임들처럼 OXO는 더글러스의 연구 목적 달성 후 폐기되었고,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다. 비슷한 시기 크리스토퍼 스트래치체커 프로그램과 함께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초창기 게임으로 평가받지만, 움직이는 그래픽이 없어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인정받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XO는 화면 기록이 남아있는 초기 컴퓨터 게임 중 하나로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2. 1. 개발 배경

1948년 개발 중인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는 1946년부터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제작되어 1949년 5월 6일에 첫 번째 프로그램이 실행된 컴퓨터이다. 1958년 7월 11일까지 사용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 중 하나로 메모리의 읽기와 쓰기가 가능했다. 특히 이 컴퓨터에는 메모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35×16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 3대가 탑재되어 있었다.

당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던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는 연구의 일환으로 EDSAC의 CRT 화면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모색했고, 그 방법으로 틱택토(영국식 명칭: Noughts and Crosses) 게임의 진행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기로 결정했다.

더글러스는 EDSAC을 이용해 틱택토 게임을 구현하고 게임 상태를 CRT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하지만 이 게임은 더글러스의 연구 목적을 달성한 뒤에는 다른 초기 비디오 게임들처럼 폐기되었다. 더글러스 자신은 이 게임에 'Noughts and Crosses' 외에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OXO'라는 이름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Martin Campbell-Kelly)가 EDSAC 시뮬레이터를 만들면서 이 게임의 시뮬레이션 파일에 붙인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OXO''가 개발되던 비슷한 시기에, 크리스토퍼 스트래치는 자신이 1951년에 만들었던 체커 프로그램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로 이식하면서 CRT 화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도록 기능을 확장했다. ''OXO''와 스트래치의 체커 프로그램은 전자 화면에 비디오 게임 그래픽을 표시한 최초의 게임들로 알려져 있지만, 둘 중 어느 것이 먼저 개발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OXO''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그래픽이 움직이거나 실시간으로 계속 업데이트되는 형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비디오 게임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2. 2. 개발 과정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1946년부터 제작되어 1949년 5월 6일에 첫 프로그램이 실행된 초기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이다. EDSAC는 1958년 7월 11일까지 사용되었으며, 메모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한 35×16 도트 매트릭스 음극선관(CRT) 3개를 갖추고 있었다.

당시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샌디 더글러스(A.S. Douglas)는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논문의 일환으로, EDSAC의 CRT 화면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는 이를 위해 간단한 게임인 틱택토(영국식 명칭: Noughts and Crosses)의 진행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기로 결정하고, EDSAC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게임은 한 명의 사용자가 컴퓨터 인공지능을 상대로 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사용자는 회전식 다이얼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1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원하는 칸을 선택하여 자신의 말을 놓았다. 사용자의 수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고, 이어서 컴퓨터가 응답하여 수를 놓았다. 하지만 당시 컴퓨터 성능의 한계로 게임 화면은 게임 상태가 변경될 때만 업데이트되었으며, 오늘날의 비디오 게임처럼 지속적으로 화면이 부드럽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더글러스 자신은 이 게임을 단순히 "Noughts and Crosses"라고 불렀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OXO'라는 이름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Martin Campbell-Kelly)가 EDSAC 시뮬레이터를 만들면서 이 게임의 프로그램을 재현할 때 붙인 파일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더글러스의 연구 목적이 달성된 후, 이 게임 프로그램은 다른 초기 비디오 게임들처럼 특별히 보존되지 않고 폐기되었다. 또한 EDSAC 컴퓨터 자체가 이동이 불가능했고, 게임 역시 학술 연구 목적으로만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특별 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플레이할 수 있었다.

OXO가 개발될 무렵인 1951년, 크리스토퍼 스트래치(Christopher Strachey) 역시 자신이 만든 체커 프로그램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로 이식하면서 CRT 화면에 게임 상태를 표시했다. 이 때문에 OXO와 스트래치의 체커 프로그램은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최초의 게임들로 꼽히지만, 어느 것이 먼저 시연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OXO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그래픽이 움직이거나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최초의 비디오 게임이 아니라는 반론도 존재한다.

2. 3. 폐기 및 의의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박사 논문의 일부로 EDSAC 컴퓨터를 사용하여 OXO 게임을 개발했다. 논문의 목적을 달성한 후, 다른 초기 비디오 게임들처럼 OXO는 폐기되었다. 이 게임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특별한 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플레이할 수 있었다.

더글러스가 이 게임에 붙인 원래 이름은 'noughts and crosses'(틱택토의 영국식 명칭)였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OXO'라는 이름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가 EDSAC 시뮬레이션을 만들면서 사용한 파일 이름에서 유래했다.

OXO가 완성될 무렵,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치 역시 1951년에 개발했던 체커 프로그램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로 옮기면서 CRT 화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도록 개선했다. OXO와 스트레이치의 체커 게임은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최초의 게임들로 알려져 있지만, 어느 쪽이 먼저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OXO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일부 정의에 따라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간주된다. 하지만 움직이는 그래픽이나 실시간으로 계속 업데이트되는 화면이 없었기 때문에, 다른 정의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OXO는 윌리엄 히긴보섬의 테니스 포 투(1958년)보다 앞서 화면 기록이 남아있는 초기 컴퓨터 게임 중 하나로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3. 프로그램

EDSAC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개발된 초기 컴퓨터 게임 중 하나로, 사용자와 컴퓨터가 삼목(Noughts and Crosses) 게임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게임 시작 시 사용자(`USER`) 또는 EDSAC 중 누가 먼저 시작할지 선택하며(`DIAL 0/1`), 이후 다이얼식 전화기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로 수를 입력받아 진행된다.

대부분의 경우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프로그램 실행이 정지되는 경우가 존재한다.[2]

3. 1. 작동 방식

OXO 게임은 플레이어 한 명과 EDSAC 컴퓨터가 삼목 대결을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컴퓨터는 "완벽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공 지능으로 작동한다.

게임 화면에는 3x3 격자가 표시되며, 각 칸에는 다음과 같이 번호가 매겨져 있다.

: 9 8 7

: 6 5 4

: 3 2 1

플레이어는 회전식 전화 다이얼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자신의 차례에 O 또는 X를 놓을 칸의 번호(1~9)를 입력한다. 플레이어의 수가 화면에 나타난 후에는 컴퓨터의 수가 이어 표시된다.

게임 화면은 가로 35픽셀, 세로 16픽셀 크기의 브라운관을 사용했으며, 플레이어나 컴퓨터의 수가 놓여 게임 상태가 변경될 때만 화면 내용이 갱신되었다.

3. 2. 프로그램 예제

아래는 실제 게임 진행 예시이다.

9 8 7 NOUGHTS AND CROSSES

6 5 4 BY

3 2 1 A S DOUGLAS, C.1952

LOADING PLEASE WAIT...

EDSAC/USER FIRST (DIAL 0/1):

플레이어가 먼저 시작할지(1), 컴퓨터가 먼저 시작할지(0) 선택한다. 아래 예시에서는 플레이어가 먼저 시작(1)하는 경우이다.

EDSAC/USER FIRST (DIAL 0/1):1

DIAL MOVE:6

DIAL MOVE:1

DIAL MOVE:2

DIAL MOVE:7

DIAL MOVE:9

DRAWN GAME...

EDSAC/USER FIRST (DIAL 0/1):

게임은 가로 35픽셀 × 세로 16픽셀 크기의 브라운관 화면을 통해 진행되며, 플레이어와 컴퓨터가 번갈아 수를 두는 삼목 게임이다. 프로그램은 짧지만 삼목 게임의 모든 경우의 수를 완벽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게임판의 9개 칸에는 각각 고유한 좌표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데, 오른쪽 아래 칸이 1번, 그 왼쪽 칸이 2번, 맨 왼쪽 아래 칸이 3번이다. 중간 줄은 오른쪽부터 4번, 5번, 6번이며, 맨 윗 줄은 오른쪽부터 7번, 8번, 그리고 왼쪽 위 칸이 9번이다.

플레이어는 다이얼식 전화기를 사용하여 자신이 말을 놓고 싶은 칸의 번호를 다이얼하여 입력한다. 입력이 끝나면 플레이어의 수가 화면에 표시되고, 이어서 컴퓨터가 둔 수가 표시된다. 화면은 게임 상태에 변화가 있을 때만 갱신되었다.

OXO는 상업적으로 판매되지 않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특별한 허가를 받아야만 플레이할 수 있었다. 게임이 실행되던 EDSAC 컴퓨터는 이동이 불가능했으며, 컴퓨터 자체와 OXO 게임 모두 학술 연구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3. 3. 진행 불가능한 경우

그러나 이 《OXO》도 딱 두 가지 경우로 진행하면 '''EDSAC'''은 정지한다.[2]



EDSAC/USER FIRST (DIAL 0/1):1

DIAL MOVE:7

DIAL MOVE:2



혹은,



EDSAC/USER FIRST (DIAL 0/1):1

DIAL MOVE:2

DIAL MOVE:7


4. 기술적 특징

OXO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초기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인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에서 실행되었다. EDSAC는 메모리 상태 표시를 위해 35×16 도트 매트릭스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는데, 샌디 더글러스는 이 CRT 화면 중 하나에 틱택토(영국식 명칭: Noughts and Crosses) 게임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OXO를 구현했다. 플레이어는 회전식 전화 다이얼 컨트롤러로 입력하고, 게임 화면은 상태가 바뀔 때만 업데이트되는 정적인 방식이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OXO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초창기 게임으로 평가받지만, 실시간 움직임이 없어 최초의 비디오 게임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게임은 학술 연구용으로 개발되어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연구소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플레이 가능했다.

4. 1. EDSAC



EDSAC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수학 연구소에서 1946년부터 제작되어 1949년 5월 6일에 첫 번째 프로그램이 실행된 메인프레임 컴퓨터이다. 이 컴퓨터는 1958년 7월 11일까지 사용되었다. EDSAC는 세계 최초의 저장 프로그램 방식 컴퓨터 중 하나였으며, 메모리를 읽고 쓸 수 있었다. 또한, 컴퓨터의 메모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해 3개의 35×16 도트 매트릭스 음극선관(CRT)을 갖추고 있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박사 논문의 일부로 EDSAC을 사용하여 OXO 게임(영국식 틱택토 명칭인 'noughts and crosses')을 프로그래밍했다. 그는 EDSAC의 CRT 화면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게임의 현재 상태와 같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연구했고, 그 결과로 OXO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더글러스의 연구 목적을 달성한 후 다른 초기 비디오 게임들처럼 폐기되었다.

더글러스는 이 게임에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고 단순히 'noughts and crosses'라고 불렀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OXO'라는 이름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가 EDSAC 시뮬레이터를 만들면서 이 게임을 재현할 때 사용한 시뮬레이션 파일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OXO가 개발될 무렵, 크리스토퍼 스트래치 역시 자신이 1951년에 만든 체커 프로그램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로 이식하면서 CRT 디스플레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도록 확장했다. 더글러스의 OXO와 스트래치의 체커는 전자 화면에 비디오 게임 그래픽을 표시한 최초의 게임들로 알려져 있지만, 둘 중 어느 것이 먼저 시연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OXO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일부 정의에 따라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하지만 움직이는 그래픽이나 실시간으로 계속 업데이트되는 그래픽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정의에 따르면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XO는 윌리엄 히긴보섬의 1958년작 『테니스 포 투』보다 앞서 화면 기록이 남아있는 초기 컴퓨터 게임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4. 2. 구현 방식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는 메모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해 3개의 35×16 도트 매트릭스 음극선관(CRT)을 가지고 있었다.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논문의 일부로, 이 화면 중 하나를 사용하여 틱택토(영국식 틱택토 명칭: Noughts and Crosses) 게임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OXO를 구현했다.

게임은 플레이어 한 명과 완벽한 게임을 구사하는 인공지능 상대가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가로 35픽셀, 세로 16픽셀의 CRT 화면에 게임 보드가 표시되었다. 9개의 칸에는 고유한 좌표 번호가 부여되었는데, 오른쪽 아래 칸이 1번, 그 왼쪽이 2번, 왼쪽 아래 칸이 3번이었다. 중간 줄은 오른쪽부터 4, 5, 6번이었고, 맨 윗줄은 오른쪽부터 7, 8, 9번(왼쪽 위) 순서였다. 플레이어는 회전식 전화 다이얼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자신이 수를 놓으려는 칸의 번호를 입력했다. 플레이어의 수가 화면에 표시된 후 컴퓨터의 수가 이어졌으며, 게임 화면은 게임 상태가 변경될 때만 업데이트되었다. 프로그램 코드는 짧았지만, 틱택토 게임의 규칙을 완벽하게 구현하여 플레이어가 실수를 하면 컴퓨터가 반드시 이기도록 설계되었다.

OXO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으며, EDSAC 컴퓨터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 외부에 설치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특별 허가를 받은 사람만 플레이할 수 있었다. 컴퓨터와 게임 모두 학술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다.

5. 평가 및 영향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EDSAC 컴퓨터에서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연구의 일환으로 1952년에 개발한 OXO는 초기 컴퓨터 게임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게임은 음극선관(CRT) 화면을 이용하여 게임 상황을 그래픽으로 표시했는데, 이는 크리스토퍼 스트래치가 개발한 체커 게임과 더불어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가장 초기의 게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다만, 두 게임 중 어느 것이 먼저 공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OXO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최초의 비디오 게임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움직이는 그래픽이나 실시간 업데이트가 없다는 점에서 비디오 게임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시각도 있다. 비록 학문적 목적으로 개발되어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고 연구가 끝난 뒤에는 폐기되었지만, 1958년에 등장한 윌리엄 히긴보섬의 『테니스 포 투』보다 앞서 만들어졌으며 화면 기록이 남아 있는 초기 컴퓨터 게임 중 하나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5. 1. 학계의 평가

''OXO'' 게임은 한 명의 사용자가 "완벽한" 게임을 하도록 설계된 인공 지능 상대와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플레이어는 회전식 전화 다이얼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보드의 아홉 개 사각형 중 다음에 둘 곳을 선택했다.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화면에 나타나면 컴퓨터의 움직임이 이어졌고, 게임 화면은 게임 상태가 변경될 때만 업데이트되었다.

''OXO''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게임이 구동된 EDSAC 컴퓨터는 이동이 불가능했고, 컴퓨터와 게임 모두 학문적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특별 허가를 받은 사람만 플레이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은 ''OXO''가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닌, 초기 컴퓨터 기술 연구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음을 보여준다.

5. 2. 대중의 인식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에서 실행된 초기 컴퓨터 게임인 OXO는 195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샌디 더글러스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발했다. 이 게임은 음극선관(CRT) 화면을 이용해 게임 상황을 그래픽으로 표시했는데, 이는 크리스토퍼 스트래치가 개발한 체커 게임과 함께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두 게임 중 어느 것이 먼저 시연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더글러스 본인은 이 게임을 '세 줄 놓기'(noughts and crosses)라고 불렀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한 뒤에는 다른 초기 비디오 게임들처럼 폐기되어 일반 대중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현재 통용되는 "OXO"라는 이름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가 EDSAC 시뮬레이터를 만들면서 이 게임의 파일에 붙인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다.

OXO는 계산 장치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일부 정의에 따라 최초의 비디오 게임 후보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러나 화면 속 그래픽이 움직이거나 실시간으로 계속 업데이트되는 방식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른 정의에 따르면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보기 어렵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비록 대중적 인지도는 낮지만, OXO는 1958년에 등장한 윌리엄 히긴보섬의 『테니스 포 투』보다 앞서 만들어졌으며, 화면 기록이 남아 있는 초기 컴퓨터 게임 중 하나로서 컴퓨터 게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 3. 영향

아타리를 창업한 놀런 부쉬넬은 유타 대학교 재학 시절 스페이스워!에 영향을 받아 여러 간단한 게임을 만들었는데, 그중에는 삼목 게임도 있었다. 그는 "플레이어가 한 수라도 실수하면 컴퓨터가 이기는 것이 통쾌했다"고 회고하며 초기 컴퓨터 대전 게임의 매력을 언급했다.

또한, 1983년 개봉한 영화 《워 게임》에서는 삼목 게임이 인공지능과의 핵전쟁 시뮬레이션을 멈추게 하는 중요한 열쇠로 등장하여, 단순한 게임이 가진 상징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OXO와 같은 초기 컴퓨터 게임이 이후 대중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사례로 볼 수 있다.

6. 같이 보기

6. 1. 관련 게임

OXO가 개발된 비슷한 시기에 크리스토퍼 스트래치는 자신이 1951년에 제작한 체커 게임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에 이식하여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도록 확장했다. 더글러스의 OXO와 스트래치의 체커 게임은 전자 화면에 영상을 표시한 최초의 게임으로 알려져 있지만, 어느 것이 먼저였는지는 불분명하다.

OXO는 계산기에서 작동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어떤 정의에서는 최초의 비디오 게임 후보로 여겨지지만, 움직이는 그래픽이나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그래픽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정의에서는 최초의 비디오 게임이 아니다.

OXO는 이후 등장한 여러 초기 게임들과 비교되곤 한다.

  • 현재 확인된 가장 오래된 컴퓨터 게임 또는 비디오 게임으로 여겨지는 것은, 토머스 T. 골드스미스 주니어와 에스틀 레이 만이 발명하여 1947년 특허를 받은 음극선관 오락 장치를 이용한 미사일 공격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윌리엄 히긴보섬의 『테니스 포 투』(1958년)는 OXO보다 늦게 개발되었지만, 화면 기록이 남아 있는 초기 "비디오 게임"이며 아날로그 컴퓨터를 사용했다.
  • 아타리를 창업한 놀런 부시넬도 유타 대학교 재학 시절 『스페이스워!』에 열중하며 스스로 간단한 게임들을 만들었는데, 그중에는 틱택토(삼목 게임)도 있었다. 그는 "플레이어가 한 수라도 실수하면 컴퓨터가 이기는 것이 통쾌했다"라고 말했다.
  • 영화 『워 게임』(1983년)에서는 틱택토가 클라이맥스의 열쇠로 사용되었다.

6. 2. 관련 기술



EDSAC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1946년부터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제작되어 1949년 5월 6일에 첫 번째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으며, 1958년 7월 11일까지 사용되었다. EDSAC는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 중 하나였으며, 메모리의 읽기 및 쓰기가 가능했다. 컴퓨터의 메모리 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해 3개의 35×16 도트 매트릭스 브라운관(CRT)을 포함하고 있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샌디 더글러스(A.S. Douglas)는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논문의 일부로 이 EDSAC 컴퓨터를 사용했다. 그는 EDSAC의 브라운관 화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연구했고, 그 방법으로 OXO 게임(틱택토)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로 결정했다. 더글러스는 이 게임을 "noughts and crosses"(틱택토의 영국식 명칭)라고 불렀다. 오늘날 알려진 "OXO"라는 이름은 수십 년 후 컴퓨터 역사학자 마틴 캠벨-켈리가 EDSAC 시뮬레이션을 만들면서 사용한 시뮬레이션 파일 이름에서 유래했다. 더글러스의 연구 목적이 달성된 후, 다른 초기 비디오 게임들처럼 이 게임은 폐기되었다.

게임은 한 명의 사용자가 컴퓨터의 인공 지능을 상대로 플레이하는 방식이었다. 플레이어는 회전식 전화 다이얼 형태의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보드의 아홉 칸 중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수를 두었다. 플레이어의 수가 화면에 표시된 후 컴퓨터의 수가 이어졌으며, 게임 화면은 게임 상태가 변경될 때만 업데이트되었다.

OXO가 완성될 무렵,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치는 1951년에 자신이 만든 체커 프로그램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로 이식하면서 CRT 디스플레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도록 확장했다. OXO와 스트레이치의 체커 프로그램은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가장 초기의 게임들로 알려져 있지만, 둘 중 어느 것이 먼저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OXO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일부 정의에 따라 최초의 비디오 게임 후보 중 하나로 간주된다. 그러나 움직이는 그래픽이나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그래픽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정의에 따르면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OXO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고, EDSAC 컴퓨터 자체가 이동 불가능했으며 학술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에서 특별 허가를 받은 사람만 플레이할 수 있었다. 이는 윌리엄 히긴보섬의 《테니스 포 투》(1958년)보다 앞서 화면 기록이 남아있는 초기 컴퓨터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6. 3. 관련 인물


  • 샌디 더글러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수학 박사 과정 학생으로,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에 관한 논문의 일부로 전자 지연 저장 자동 계산기(EDSAC)를 사용하여 OXO 게임을 개발했다. 그는 EDSAC의 음극선관(CRT) 화면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게임 진행 상황과 같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연구했고, 그 결과로 OXO 게임을 만들었다. 더글러스 자신은 이 게임을 단순히 "noughts and crosses"(틱택토의 영국식 명칭)라고 불렀다.
  • 마틴 캠벨-켈리: 컴퓨터 역사학자이다. 수십 년 후 EDSAC 시뮬레이션을 만들면서, 샌디 더글러스가 개발한 게임의 시뮬레이션 파일 이름을 "OXO"라고 붙였다. 이 이름이 오늘날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 크리스토퍼 스트래치: OXO가 개발된 비슷한 시기인 1951년에 자신이 만든 체커 프로그램을 페란티 마크 1 컴퓨터로 옮기고, CRT 화면에 게임 상태를 표시하도록 기능을 확장했다. OXO와 스트래치의 체커 프로그램은 전자 화면에 그래픽을 표시한 가장 초기의 게임들로 알려져 있지만, 둘 중 어느 것이 먼저 개발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 윌리엄 히긴보섬: 1958년에 아날로그 컴퓨터를 사용하여 『테니스 포 투』를 개발했다. 이는 OXO 이후에 등장한 또 다른 중요한 초기 컴퓨터 게임으로 평가받는다.

6. 4. 기타


  • 현재 확인된 가장 오래된 컴퓨터 게임 또는 비디오 게임으로 여겨지는 것은 토머스 T. 골드스미스(Thomas T. Goldsmith Jr.)와 에스트르 레이 만이 발명하여 1947년 1월 25일 출원, 1948년 12월 14일 발행된 미국 특허 #2 455 992 (음극선관 오락 장치)를 이용한 미사일 공격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아타리를 창업한 놀런 부시넬도 유타 대학교에 재학하며 『스페이스워!』에 열중했을 때, 스스로 간단한 게임을 만들었으며, 삼목 게임도 제작했다. 그는 "플레이어가 한 수라도 실수하면 컴퓨터가 이기는 것이 통쾌했다"라고 말했다.
  • 영화 『워 게임』에서는 삼목 게임이 클라이맥스의 열쇠로 사용되었다.

참조

[1] 특허 U.S. Patent #2 455 992 http://www.jmargolin[...] 1948-12-14
[2] 문서 에드삭 시뮬레이터 PC 버전 6.0.2 사용 결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