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39 리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39 리프는 소련과 러시아가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로, 1971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3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무게 84톤의 3단 고체연료 미사일로, 최대 10개의 핵탄두를 탑재하여 타이푼급 잠수함에 20기씩 장착되었다. 1989년 말까지 6척의 잠수함에 총 120기가 배치되었으며, 1,200발의 핵탄두를 운용할 수 있었다. 미국과의 전략 무기 감축 조약에 따라 1996년부터 감축이 시작되어 2004년 퇴역했으며, R-39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R-39M 바르크는 실패하고, RSM-56 불라바 SLBM이 보레이급 잠수함에 탑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R-39 리프 | |
---|---|
개요 | |
![]() | |
종류 | 전략 SLBM |
개발 국가 | 소비에트 연방/CIS |
제조사 | 즈라토우스트 기계 공장 |
사용 국가 | 소비에트 연방/CIS |
사용 기간 | 1983–2004 |
제원 | |
무게 | 84 t |
길이 | 16 m (탄두 제외 시 8.4 m) |
지름 | 2.4 m |
사거리 | 8,250 km |
탄두 | 6 - 10개 |
탄두 위력 | 각각 100 - 200 Kt |
엔진 | 3단식 고체 연료 |
유도 방식 | 관성 유도 |
CEP (원형 공산 오차) | 500 m (서방 측 추정) |
탑재 용량 | 2,550 kg |
2. 역사
R-39는 무게 84톤의 3단 고체연료 미사일로, 미국의 지상배치 ICBM 피스키퍼 미사일과 유사하다. 1973년 9월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983년 5월에 타이푼급 잠수함에 20기 탑재되어 실전 배치되었다.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에서 제1단 로켓 제조가 불가능해지면서 생산이 중단되었다. R-39 미사일의 내구 연한은 15년 정도로,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미사일 수명이 다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2. 1. 개발 배경
R-39는 소련/러시아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로, 미국(미국 국방부) 식별 번호(DoD 번호)는 SS-N-20, NATO 보고명은 Sturgeon이다. 1973년 9월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타이푼급 잠수함에 20기 탑재되어 1983년 5월부터 운용되었다.1971년 NII Машиносотройенияru(OKB-385)에서 V.P. 마케이예프의 지휘 하에 개발 작업이 시작되었고, 1973년 9월에 설계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1979년부터 시작된 초기 발사 테스트에서는 해상 발사대에서 9회, 잠수함에서 7회, 육상 발사대에서 17회 실시되었지만, 이 중 절반 이상이 실패했다. 이 결과, 제1단, 제2단 고체 로켓 엔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개량된 941형 잠수함 TK-208에서 13회 발사 테스트를 하여 11회 성공했고, 1983년 5월 실전 배치되었다.
R-39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급의 장사정 MIRV 미사일로, 과염소산 암모늄을 사용하는 고체 연료 로켓 3단으로 가속·상승한다. 탑재량(항공우주)으로 액체 연료 로켓 PBV(Post Boost Vehicle)를 탑재하고, PBV는 10기의 재진입체(RV)를 탑재하고 있다.
다른 소련/러시아의 SLBM과 마찬가지로 R-39 발사 시, 미사일은 발사관 바닥에 장착된 가스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 압력에 의해 발사관에서 튀어나온다. 이때 노즈콘에 설치된 추가 모터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이 가스가 미사일 주위에 가스 벽을 만들어 해수와의 유체 역학적 저항을 줄인다. 이 발사 시스템에는 D-19 식별 번호가 부여되었다.
해중에서 튀어나온 미사일은 공중에서 로켓 엔진에 점화하여, 목표로 비행을 시작한다. 제1단 제어는 노즐 주위의 분사 밸브에서 이루어지며, 제2단, 제3단 제어는 가동 노즐에 의한 추력 벡터 제어로 이루어진다.
2. 2. 배치 및 운용
R-39는 1983년에 배치되었으며, 전략무기감축협정에 의해 1996년부터 배치 미사일의 감축이 시작되어 2004년에 퇴역했다. 타이푼급 잠수함에 20발이 장착되었고, 총 6척이 건조되었으므로 최대 120발이 배치되었다. 한 발에 10개의 MIRV 핵탄두가 장착되어 총 1,200발의 핵탄두가 배치되었다.스타트 I, 스타트 II 조약으로 인해 1996년부터 단계적으로 감축되었다. 2004년에는 타이푼급 잠수함과 함께 모두 퇴역했다.
1979년부터 시작된 초기 발사 테스트는 해상 발사대에서 9회, 잠수함에서 7회, 육상 발사대에서 17회 실시되었으나, 이 중 절반 이상이 실패했다. 이후 개량된 941형 잠수함 TK-208에서 13회의 발사 테스트가 이루어져 11회가 성공했고, 1983년 5월에 실전 배치되었다.
1989년 말까지 20기의 R-39 미사일을 탑재한 941형 잠수함이 총 6척 취역하여, 총 1,200발의 핵탄두가 120기의 미사일에 탑재되어 배치되었다.
1990년대에는 내구 연한이 다한 R-39 미사일이 점차 퇴역해갔다. 1995년 8월 25일, 941형 원잠 TK-20은 북극해에서 R-39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 1998년에는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941형 원잠에서 R-39 미사일 20기 일제 발사가 실시되어 성공했다. 같은 해 말까지 R-39는 60기밖에 남지 않았다.
2004년, 마지막으로 남은 10기의 R-39 미사일이 폐기되면서 러시아 해군에서 R-39는 완전히 퇴역했다.
2. 3. 퇴역
1990년대를 거치면서, 내구 연한이 끝난 R-39 미사일은 점차 퇴역해갔다. 1995년 8월 25일, 941형 원잠 TK-20은 북극해에서 R-39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1998년에는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941형 원잠에서 R-39 미사일 20기를 한꺼번에 발사했는데, 이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R-39의 신뢰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같은 해 말까지 R-39는 60기밖에 남지 않았다.
전략무기감축협정에 따라 1996년부터 배치 미사일 감축이 시작되었고, 스타트 I, 스타트 II 조약으로 인해 1996년부터 단계적으로 감축되었다. 2004년, 마지막으로 남은 10기의 R-39 미사일이 폐기되면서 러시아 해군에서 R-39는 완전히 퇴역했다. R-39는 타이푼급 잠수함에 장착되었는데, 타이푼급 잠수함 역시 2004년에 모두 퇴역했다. 다만, 한 척만이 신형 SLBM 시험을 위해 아직 운용 중이다.
2. 4. 대체 미사일 개발
R-39 리프를 대체하기 위해 R-39M 바르크가 개발되었으나, 1994년, 1997년, 1998년에 실시된 발사 테스트는 모두 실패했다. 1998년, 바르크 개발은 중단되었다.이후 보레이급 잠수함에 탑재할 새로운 SLBM으로 RSM-56 불라바가 채택되었다. 불라바는 무게 36.8톤의 3단 고체연료 미사일로, R-39 리프보다 훨씬 작다. 불라바는 RT-2PM2 토폴 M의 함재 버전이며, RT-2PM 토폴의 발전형이다.
3. 제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