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2015 (136472) 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2015 (136472) 1은 왜행성 마케마케를 공전하는 위성으로, 2015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2016년 공식 발표되었다. 이 위성은 매우 어두운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약한 중력으로 인해 표면의 휘발성 얼음이 우주 공간으로 증발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S/2015 (136472) 1의 궤도는 마케마케의 밝기에 가려져 관측이 어려우며, 추가적인 관측을 통해 궤도의 형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S/2015 (136472) 1만으로는 마케마케의 과도한 열 방출을 모두 설명할 수 없어, 마케마케를 공전하는 또 다른 위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S/2015 (136472) 1은 마케마케에서 발견된 첫 번째 위성을 의미하는 임시 명칭이며, 향후 이스터 섬 신화와 관련된 이름으로 명명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왜행성 위성 - 웨이워트
    웨이워트는 콰오아를 공전하는 해왕성 바깥 천체로, 특이한 궤도를 가지며, 콰오아 주변 고리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약 200km 직경의 위성이다.
  • 왜행성 위성 - 샹류 (위성)
    샹류는 해왕성 바깥 천체 공공의 위성으로, 2016년 발견되었으며, 공공보다 어둡고 붉은색을 띠며 궤도 이심률이 크고 궤도 성질이 콰오아의 위성 웨이워트와 유사하다.
  • 2015년 발견한 천체 - ASASSN-15lh
    ASASSN-15lh는 2015년에 발견된 매우 밝은 초신성 후보로, 우리 은하보다 50배 이상 밝고 태양보다 5,700억 배 더 큰 에너지 흐름을 보이며 다양한 폭발 메커니즘 가설로 설명된다.
  • 2015년 발견한 천체 - V774104
    V774104는 한때 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로 보고되었으나, 실제로는 2015 TG387을 지칭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2015 TG387은 세드노이드로, 2015 TH367은 산란 원반 천체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
  • 해왕성 바깥 천체 - 명왕성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2006년 행성 정의 변경으로 인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얇은 대기와 5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고, 2015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여 상세 정보를 얻었다.
  • 해왕성 바깥 천체 - 카론 (위성)
    카론은 1978년 발견된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명왕성과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에 의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과 과거 지하 해양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왜행성 분류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왕성 위성으로 분류된다.
S/2015 (136472) 1
명칭
이름S/2015 (136472) 1
다른 이름MK2 (비공식)
발견
발견2015년 4월
발견자HST/광시야 카메라 3
알렉스 H. 파커
마크 W. 부이
윌리엄 M. 그룬디
키스 S. 놀
궤도 특성
모행성마케마케
궤도 장반축21,000 km 이상
공전 주기12.4일 이상
궤도 경사63–87° (순행) (황도 기준)
궤도 이심률알 수 없음
물리적 특성
평균 직경~175 km (반사율 4% 기준 최적 추정치)
직경 범위175–250 km (반사율 2–4%)
반사율0.04 (최적 추정치), 0.02–0.04
겉보기 등급25.0
절대 등급7.89 ± 0.04
기타
마케마케와 위성
마케마케와 S/2015 (136472) 1

2. 발견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광역 카메라 3으로 2015년 4월에 관측하여 2016년 4월 26일에 S/2015 (136472) 1의 존재가 발표되었다.[1] 지구에서 보기에 마케마케 가장자리에 정확히 맞추어져 있는 듯이 보여, 마케마케의 밝기에 가려 위성 관측이 힘들었다.[2]

3. 물리적 특징

S/2015 (136472) 1은 겉보기 등급이 25등급으로 매우 희미하며, 마케마케보다 1,300배 더 어둡다. 이는 등급 차이가 7.80에 해당한다. 기하 반사율은 2~4%로 추정되며, 이는 과 비슷하게 매우 어두운 수준이다. 낮은 반사율은 약한 중력으로 인해 표면의 밝은 휘발성 얼음이 우주 공간으로 승화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지름은 175km로 추정되며, 기하 반사율이 4%일 때 175km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마케마케와 동일한 밀도를 가졌다고 가정할 경우, 전체 시스템 질량의 0.2% 미만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S/2015 (136472) 1이 발견되기 전, 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허셜 우주 관측소의 원적외선 열 복사 측정을 통해 마케마케가 예상보다 더 많은 열 복사를 방출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S/2015 (136472) 1의 발견은 마케마케의 과도한 열 복사가 주로 어두운 표면을 가진 위성에서 발생한다는 가설에 신빙성을 더한다.

3. 1. 추가 위성 가능성

S/2015 (136472) 1만으로는 마케마케의 과도한 열 방출을 모두 설명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 위성의 직경과 표면적이 전체 어두운 표면적의 20~30%밖에 차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S/2015 (136472) 1의 최대 직경으로도 이 모든 어두운 표면적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게다가 S/2015 (136472) 1은 조석력으로 마케마케의 현재 자전 주기인 22.8시간으로 늦출 만큼 크지 않다.

이러한 점들은 마케마케를 공전하는 또 다른 크고 아직 발견되지 않은 위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케마케의 느린 자전을 설명하려면 위성은 마케마케 질량의 3~5%이고 직경이 400km여야 하며, 이는 나머지 어두운 표면적을 설명할 만큼 충분히 클 것이다. 이 미발견 위성은 3000km 거리에서 마케마케를 가까이 공전해야 하는데, 이는 허블과 같은 현재 망원경으로는 관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 미발견 위성은 불규칙한 모양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마케마케의 자전 밝기 변화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4. 궤도

S/2015 (136472) 1의 궤도는 지구에서 보기에 마케마케 가장자리에 거의 정렬된 것처럼 보인다. 이 때문에 마케마케의 밝기에 가려 위성을 관측하기가 힘들다. 궤도가 원형인지 타원형인지는 추가적인 관측이 필요하다. 원형이라면 일종의 충돌 사건으로 형성된 위성일 것이고, 타원형이라면 외부에서 포획된 위성일 가능성이 높다.

사우스웨스트 연구소에서 발견 이미지를 분석한 팀의 리더인 알렉스 파커는 S/2015 (136472) 1의 궤도가 지구 기반 관측소에서 보았을 때 가장자리 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S/2015 (136472) 1이 마케마케의 빛에 가려져 대부분 시간 동안 탐지하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어두운 표면과 더불어 이전 탐사에서 관측에 실패한 이유가 될 것이다.

2018년과 2019년에 촬영된 관측 자료는 궤도가 원형에 가까운지, 아니면 이심률이 큰지를 결정하는 데 충분할 수 있다. 원형에 가깝다면 S/2015 (136472) 1이 고대 충돌 사건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고, 이심률이 크다면 외부에서 포획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5. 명칭

S/2015 (136472) 1은 (136472) 마케마케에서 2015년에 발견된 첫 번째 위성으로, 'MK2'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이는 마케마케계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천체라는 의미이다. 이스터 섬의 신화에서 이름을 따온 마케마케처럼, 이 위성도 관련된 이름이 붙을 가능성이 높다.

S/2015 (136472) 1영어은 위성의 임시 명칭이다. "S/"는 위성을, "2015"는 위성이 발견된 연도를, "1"은 그 해에 발견된 위성의 순서를 나타낸다. "(136472)"는 마케마케의 소행성 번호이다.

'MK2'라는 별명은 "마케마케 시스템의 두 번째 천체"를 의미한다. 이 위성의 정식 명칭은 이스터 섬 신화에 나오는 관련 인물 중에서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국제천문연맹(IAU)이나 한국천문학회에서 부여한 공식 명칭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Hubble Spies A Moon Orbiting A Distant Dwarf Planet http://www.popsci.co[...] 2018-12-03
[2] 웹사이트 Hubble discovers moon orbiting the dwarf planet Makemake http://www.eurekaler[...] 2016-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