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석력은 물체가 다른 물체의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발생하는 힘으로, 물체의 양쪽을 잡아당겨 찌그러뜨리거나 심한 경우 파괴할 수 있다. 로슈 한계는 조석력이 물체를 분해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조석력은 탄성력 있는 구의 모양을 찌그러뜨리고, 회전하는 물체의 내부 마찰을 통해 회전 에너지를 열로 소모시키며, 해류와 지구 온도 조절에 기여한다. 조석력은 중성자별이나 블랙홀과 같은 질량이 큰 물체 근처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조석 고정, 조석 가열, 지진 활동 유발, 지구 자기장 영향 등의 효과를 일으킨다. 조석력의 크기는 천체의 크기와 거리에 영향을 받으며, 지구와 달, 태양 사이의 조석력 예시를 통해 그 영향을 설명한다. 조석 가속도는 수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태양계 행성 표면에서의 조석 가속도는 일반적으로 작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력의 영향 - 조산 운동
조산 운동은 지각 변동으로 산맥이 형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판 구조론에 기반하여 섭입, 대륙 충돌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고, 윌슨 순환을 통해 해양 분지의 열림과 닫힘, 산맥 형성, 침식 과정을 거쳐 전 세계 지질 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 중력의 영향 - 스윙바이
스윙바이는 우주 탐사선이 행성 등의 중력을 이용하여 궤도와 속도를 조절하는 기술로, 연료를 절약하며 탐사 거리를 늘리는 데 기여하며, 특정 행성의 정렬, 대기 마찰, 천체의 질량, 공전 속도에 따라 제한이 존재한다. - 힘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 힘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천체역학 - 공전
공전은 천문학에서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의 중심 주위를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하며, 태양계 행성, 위성, 은하 내 항성 등 다양한 천체에서 관찰되고,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공전 주기가 결정된다. - 천체역학 - 중력
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지구에서는 물체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되며, 현대 물리학에서는 양자 중력 이론과 중력파 관측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조석력 | |
---|---|
개요 | |
다른 이름 | 미분력 섭동력 |
영어 명칭 | tidal force |
관련 개념 | 중력, 조석, 중력파 |
설명 | |
정의 | 천체의 중력이 다른 천체에 미치는 미분력 |
효과 | 천체의 변형 조석 현상 |
특징 |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 천체의 질량에 비례 |
응용 | |
천문학 | 중력파 연구 은하 상호작용 분석 행성 고리 형성 |
지구과학 | 조석 예측 |
추가 정보 | |
NASA 허블 우주 망원경 | NASA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우주 상호 작용 |
MIT 기술 검토 | 조석력은 중력파의 수학적 특징을 담고 있음 |
2. 설명
물체1이 물체2의 중력에 영향을 받을 때, 물체2 쪽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물체1에 가해지는 힘의 범위는 확실히 변화한다. 조석력이라 불리는 이 힘은 물체의 양쪽을 잡아당겨 찌그러트리기도 하며 심한 경우 부서지기도 한다. 로슈 한계는 행성으로부터 먼 조석력이 물체를 분해시키는 곳에 존재한다.[5] 이것은 행성의 중력의 차이가 물체의 다른 면을 끌어당기는 것을 극복하기 때문이다.[6] 이러한 끌어당김은 중력장이 일정하다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균일한 장은 오직 천체의 전체가 같은 방향과 같은 비율로 서로 가속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지구의 자전은 같은 위치에서 하루에 두 번의 만조가 발생하는 것을 더 설명한다. 이 그림에서 지구는 중앙의 검은 원이고 달은 오른쪽에 멀리 있다. 이것은 달(S로 표시)에 의해 지구 표면과 중심(O로 표시)에 가해지는 조석장(굵은 붉은색 화살표)과 중력장(얇은 파란색 화살표)을 모두 보여준다. 지구의 오른쪽과 왼쪽의 화살표의 ''바깥쪽'' 방향은 달이 천정 또는 천저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한 천체(천체 1)가 다른 천체(천체 2)의 중력의 작용을 받을 때, 그 장은 천체 2를 향한 쪽과 천체 2에서 멀어지는 쪽 사이의 천체 1에서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림 2는 다른 천체(천체 2)가 구형 천체(천체 1)에 가하는 중력의 차등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석력''은 두 천체 모두에 변형을 일으키고 이들을 왜곡하거나 심지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한쪽 또는 양쪽을 분리시킬 수 있다.[5] 로슈 한계는 행성의 중력 차이로 인한 힘이 천체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인력을 극복하여 천체가 해체될 행성으로부터의 거리이다.[6] 만약 중력장이 균일하다면 이러한 변형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균일한 장은 전체 천체가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함께 가속하도록 할 뿐이기 때문이다.
3. 조석력의 효과
한 천체(천체 1)가 다른 천체(천체 2)의 중력 작용을 받을 때, 그 장은 천체 2를 향한 쪽과 천체 2에서 멀어지는 쪽 사이의 천체 1에서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림 2는 다른 천체(천체 2)가 구형 천체(천체 1)에 가하는 중력의 차등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석력은 두 천체 모두에 변형을 일으키고 이들을 왜곡하거나 심지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한쪽 또는 양쪽을 분리시킬 수 있다.[5]
어떤 중력장 안에 유한한 크기를 가진 물체가 있다고 가정할 때, 물체 표면 또는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기조력에 의한 가속도는 그 위치에서의 실제 중력가속도벡터에서 물체의 질량중심에서의 중력가속도 벡터를 뺀 값이다. 이때, 물체가 반드시 공전하고 있지 않더라도 기조력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물체가 중력장 속을 직선으로 자유낙하하는 경우에도 기조력의 작용을 받는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선형화하면, 힘을 미치는 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 미치는 기조력은 근사적으로 A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두 물체의 중심을 잇는 직선 L 위에서 기조력의 크기 ''Ft''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G''는 만유인력 상수, ''M''은 중력장을 만드는 물체 A의 질량, ''m''은 A의 중력장에 의해 기조력을 받는 물체 B의 질량, ''R''은 두 물체의 거리, ''r'' (≪ ''R'')은 물체 B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물체 B에 작용하는 기조력은 물체 A에 가까운 쪽과 먼 쪽 모두에서 바깥쪽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이 두 점은 바깥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조석력은 인력이 작용하는 천체가 달이며, 그 정도는 덜하지만 태양인 지구의 바다의 조석을 만든다.
3. 1. 구체적인 효과
물체1이 물체2의 중력에 영향을 받을 때, 물체2 쪽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물체1에 가해지는 힘의 범위는 확실히 변화한다. 조석력이라 불리는 이 힘은 물체의 양쪽을 잡아당겨 찌그러트리기도 하며 심한 경우 부서지기도 한다.[9] 로슈 한계는 행성으로부터 먼 조석력이 물체를 분해시키는 곳에 존재한다.
탄성력이 있는 구의 경우, 조석력의 효과는 부피의 변화 없이 천체의 모양을 찌그러트린다. 찌그러진 타원체는 달의 영향에 의한 지구의 바다와 비슷하다. 지구와 달은 그들의 질량중심에 대해 회전하고 그들의 중력적 인력은 이러한 운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구심력을 제공한다. 지구의 모든 부분은 지구의 바다를 달과 가까운 쪽과 먼 쪽에 팽대부를 생성하도록 재분배하는 달의 중력의 지배를 받는다.[10]
천체가 조석력의 지배를 받는 동안에 그것의 회전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점진적으로 소실되는 결과를 얻는다. 만약 천체가 그것의 주성에 충분히 가까우면 이것은 지구의 달과 같이 조석력에 의해 궤도운동을 하며 회전하도록 묶이게 된다. 조석 가열은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 극적인 화산 효과를 만들어낸다. 조석력은 열에너지를 극 쪽으로 수송하여 전체의 온도를 맞추는 해류에도 영향을 미친다.[12]
조석력의 영향을 받는 물체가 회전할 때, 내부 마찰은 회전 운동 에너지가 열로 서서히 소멸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지구와 지구의 달의 경우, 회전 운동 에너지의 손실은 한 세기당 약 2밀리초의 증가로 이어진다. 물체가 모체에 충분히 가까이 있다면, 이는 지구의 달과 같이 궤도 운동에 조석 고정된 회전을 초래할 수 있다. 조석력에 의한 응력은 또한 지구의 달에서 정기적인 월별 월진 패턴을 유발한다.[11]
조석력은 해류에 기여하며, 열에너지를 극지방으로 운반하여 지구 온도를 조절한다.
조석 효과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과 같이 질량이 크고 작은 물체 근처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이는 낙하하는 물질의 "스파게티화"를 담당한다. 조석력은 조석 고정, 조석 가속, 그리고 조석 가열을 담당한다. 조석은 지진 활동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조석력은 지구 내부에 전도성 유체를 생성함으로써 지구 자기장에도 영향을 미친다.[14]
4. 크기와 거리
조석력은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이 물체의 위치에 따라 달라져 발생하는 현상이다. 물체1이 물체2의 중력에 영향을 받을 때, 물체2를 향하는 면과 그 반대면 사이에는 힘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힘은 물체를 찌그러뜨리거나 심하면 파괴할 수도 있다.[11] 로슈 한계는 행성에서 멀리 떨어진 조석력이 물체를 분해시키는 지점이다.
천체의 크기와 다른 천체와의 거리는 조석력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구에 작용하는 조석력은 지구 지름에 비례하고, 달이나 태양과 같이 중력을 발생시키는 천체와의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욕조나 수영장, 호수 등 작은 수역에서는 조석 작용이 미미하다.[7]
위 그림은 중력이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그래프에서 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며, 기울기는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조석력은 그래프 상 두 점 사이의 Y값 차이에 해당하며, 한 점은 천체의 가까운 쪽에, 다른 점은 먼 쪽에 있다. 두 점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그래프의 왼쪽(인력이 작용하는 천체에 더 가까운 쪽)에 있을수록 조석력은 커진다.
예를 들어, 태양은 지구에 더 강한 중력을 작용하지만, 달이 지구에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더 큰 조석 팽창을 일으킨다. 달의 인력 기울기가 더 가파르기 때문에 지구의 가까운 쪽과 먼 쪽 사이의 힘 차이가 더 커져 조석 팽창이 커지는 것이다.
중력은 광원으로부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인력은 천체의 광원을 향한 쪽에서 더 강하고,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쪽에서 더 약하다. 조석력은 그 차이에 비례한다.[7]
어떤 중력장 안에 유한한 크기를 가진 물체가 있을 때, 물체 표면 또는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기조력에 의한 가속도는 그 위치에서의 실제 중력가속도 벡터에서 물체의 질량중심에서의 중력가속도 벡터를 뺀 값이다. 물체가 공전하지 않고 자유낙하하는 경우에도 기조력은 발생한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선형화하면, 힘을 미치는 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 미치는 기조력은 근사적으로 A의 중심으로부터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두 물체의 중심을 잇는 직선 L 위에서 기조력의 크기 ''Ft''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G''는 만유인력 상수, ''M''은 중력장을 만드는 물체 A의 질량, ''m''은 A의 중력장에 의해 기조력을 받는 물체 B의 질량, ''R''은 두 물체의 거리, ''r'' (≪ ''R'')은 물체 B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물체 B에 작용하는 기조력은 물체 A에 가까운 쪽과 먼 쪽 모두에서 바깥쪽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이 두 점은 바깥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중성자별이나 블랙홀과 같이 큰 질량을 가진 작은 물체 근처에서는 기조력 효과가 특히 두드러진다. 이러한 천체에 떨어지는 물체는 기조력에 의해 변형되어 길쭉하게 늘어나는 스파게티화 현상이 발생한다.
기조력을 일으키는 천체 | 기조력을 받는 천체 | 기조력 가속도 | |||
---|---|---|---|---|---|
천체 | 질량 () | 천체 | 반지름 () | 거리 () | |
태양 | 지구 | ||||
달 | 지구 | ||||
지구 | 달 | ||||
G는 중력 상수 |
4. 1. 태양, 지구, 달
탄성력이 있는 구의 경우, 조석력은 부피 변화 없이 천체의 모양을 찌그러뜨린다. 찌그러진 타원체는 달의 영향에 의한 지구의 바다와 비슷하다. 지구와 달은 그들의 질량중심에 대해 회전하고, 그들의 중력적 인력은 이러한 운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구심력을 제공한다. 이 질량중심에 매우 가까운 지구의 관찰자에게 지구는 달의 중력에 영향을 받는다. 지구의 모든 부분은 달의 중력 지배를 받아, 지구의 바다를 달과 가까운 쪽과 먼 쪽에 팽대부를 생성하도록 재분배한다.[8]천체가 조석력의 지배를 받는 동안 회전 운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점진적으로 소실된다. 만약 천체가 주성에 충분히 가까우면, 지구의 달처럼 조석력에 의해 궤도 운동을 하며 회전하도록 묶이게 된다. 조석 가열은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 극적인 화산 효과를 만들어낸다. 조석력은 열에너지를 극 쪽으로 수송하여 전체 온도를 맞추는 해류에도 영향을 미친다.[8]
지구는 달보다 질량이 81배 더 크고, 지구의 반지름은 달의 약 4배이다. 따라서 같은 거리에서 지구가 달 표면에 미치는 기조력은 달이 지구 표면에 미치는 기조력보다 약 20배 강하다.[8]
기조력을 일으키는 천체 | 기조력을 받는 천체 | 기조력 가속도 | |||
---|---|---|---|---|---|
천체 | 질량 () | 천체 | 반지름 () | 거리 () | |
태양 | 지구 | ||||
달 | 지구 | ||||
지구 | 달 | ||||
G는 중력 상수 |
기조력은 바다의 조석 현상의 원인이 된다. 이 경우, 기조력을 받는 물체는 바닷물을 가진 지구이며, 힘을 미치는 물체는 달과 태양이다. 기조력은 또한 천체의 자전과 공전의 동기화를 일으킨다.
5. 수식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과 운동 법칙에 의해, 질량 ''m''인 천체가 질량 ''M''인 구의 중심으로부터 ''R''만큼 떨어져 있으면 힘 를 느낀다.
이는 가속도 와 같다.
여기서 은 질량 ''M''인 천체에서 질량 ''m''인 천체를 가리키는 단위 벡터이다(여기서 ''m''에서 ''M''쪽으로의 가속도는 음의 부호를 가짐).
이제 질량 ''M''인 구에 의한 질량 ''m''인 천체 근처의 입자에 대한 가속도를 고려한다. ''R''을 ''M''의 중심에서 ''m''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하고, ∆''r''을 질량 ''m''인 천체의 중심으로부터 입자까지의 (비교적 작은) 거리로 한다. 단순화를 위해 거리는 먼저 질량 ''M''인 구를 향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고려된다. 질량 ''m''인 천체가 반지름 ∆''r''인 구라면, 고려되는 새로운 입자는 그 표면에 위치하고, 질량 ''M''인 구의 중심으로부터 (''R'' ± ''∆r'')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입자의 ''M''으로부터의 거리가 ''R''보다 클 때 ''∆r''은 양수로 간주될 수 있다. ''M''을 향한 중력에 의한 입자의 가속도는 다음과 같다.
분모에서 ''R''2 항을 꺼내면 다음을 얻는다.
의 맥클로린 급수는 이며, 이는 다음과 같은 급수 전개를 제공한다.
첫 번째 항은 기준 천체 의 중심, 즉 이 0인 지점에서 ''M''에 의한 중력 가속도이다. 이 항은 ''m''의 표면에 있는 입자의 관측된 가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M''에 대해 ''m''(그리고 그 표면의 모든 것)은 자유 낙하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먼 입자에 대한 힘에서 가까운 입자에 대한 힘을 뺀 경우 이 첫 번째 항은 상쇄되고 다른 모든 짝수 차수 항도 상쇄된다. 나머지(잔류) 항은 위에서 언급한 차이를 나타내며 조석력(가속도) 항이다. ∆''r''이 ''R''에 비해 작을 때, 첫 번째 잔류 항 이후의 항은 매우 작아서 무시할 수 있으며, ''m''과 ''M''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을 따라 고려된 거리 ∆''r''에 대한 근사 조석 가속도 를 제공한다.
∆''r''이 ''m''과 ''M''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을 따라 거리일 때, 는 ''m''의 중심(∆''r''이 0인 곳)에서 바깥쪽으로 향한다.
조석 가속도는 천체 ''m''과 ''M''을 연결하는 축으로부터 벗어난 곳에서도 계산할 수 있으며, 벡터 계산이 필요하다. 그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조석 가속도는 안쪽(∆''r''이 0인 중심으로)으로 향하고, 그 크기는 선형 근사에서 이다.
어떤 중력장 안에 유한한 크기를 가진 물체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물체 표면 또는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기조력에 의한 가속도는 그 위치에서의 실제 중력가속도벡터에서 물체의 질량중심에서의 중력가속도 벡터를 뺀 값이 된다.
물체가 반드시 공전하고 있지 않더라도 기조력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물체가 중력장 속을 직선으로 자유낙하하는 경우에도 기조력의 작용을 받는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선형화하면, 힘을 미치는 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 미치는 기조력은 근사적으로 A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두 물체의 중심을 잇는 직선 L 위에서는 기조력의 크기 ''Ft''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G''는 만유인력 상수, ''M''은 중력장을 만드는 물체 A의 질량, ''m''은 A의 중력장에 의해 기조력을 받는 물체 B의 질량, ''R''은 두 물체의 거리, ''r'' (≪ ''R'')은 물체 B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물체 B에 작용하는 기조력은 물체 A에 가까운 쪽과 먼 쪽 모두에서 바깥쪽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이 두 점은 바깥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ubble Views a Cosmic Interaction
https://www.nasa.gov[...]
NASA
2022-07-09
[2]
논문
On the tidal force
http://adsabs.harvar[...]
[3]
서적
Astronomy: a phys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Tidal forces carry the mathematical signature of gravitational waves
https://www.technolo[...]
2023-11-12
[5]
서적
The Emperor's New Mind: Concerning Computers, Minds, and the Laws of Physic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6]
서적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
[7]
논문
Myths about gravity and tides
[8]
서적
Gravity from the Ground Up: An Introductory Guide to Gravity and General Relativ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Hamiltonian Dynamical Systems: A Reprint Selec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87
[10]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A Library of Univers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Americana Corp.
1920
[11]
웹사이트
The Tidal Force Neil deGrasse Tyson
http://www.haydenpla[...]
2016-10-10
[12]
논문
Possible forcing of global temperature by the oceanic tides
1997-08-05
[13]
논문
Millennial Climate Variability: Is There a Tidal Connection?
2002-02
[14]
뉴스
Hungry for Power in Space
https://books.google[...]
2016-03-14
[15]
뉴스
Inseparable galactic twins
http://www.spacetele[...]
2013-07-12
[16]
서적
Admiralty manual of navigation
https://books.google[...]
The Stationery Office
1987
[17]
서적
The mathematical principles of natur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1729
[18]
문서
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좌단 22째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