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Lup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AR-Lupe는 독일 최초의 군사용 위성 시스템으로, 5기의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발사되었으며, X-밴드 레이더를 사용하여 전천후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한다. 2022년부터는 SAR-Lupe를 대체하는 SARah 위성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SARah는 2개의 레이더 위성과 1개의 광학 위성으로 구성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발사된 SARah-2와 SARah-3의 안테나 전개 실패로 인해 추가 제작이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 관측 위성 - 랜드샛 계획
랜드샛 계획은 미국에서 주도하는 장기적인 위성 프로그램으로 지구 관측을 통해 자원 관리, 기후 변화 연구, 재해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며, USGS와 NASA의 협력으로 수행되고 있다. - 지구 관측 위성 - TIMED
TIMED는 NASA의 솔라 테라설 프로그램 탐사선으로, 지구 대기의 중간권, 하부 열권, 전리층 영역을 연구하며, 에너지 전달과 변화가 지구물리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SAR-Lupe | |
|---|---|
| 개요 | |
| 유형 | 군사 정찰 위성 시스템 |
| 운용 시작 | 2006년 12월 19일 |
| 운용 종료 | 운용 중 |
| 제작 | 오트바스페이스 탈레스알레니아스페이스 |
| 운용 기관 | 독일 연방군 전략정찰사령부(KSA) |
| 발사체 | 코스모스-3M |
| 발사장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 위성 정보 | |
| 위성 수 | 5기 |
| 궤도 | 원형 극궤도 |
| 고도 | 약 500km |
| 경사각 | 97.44° |
| 주기 | 90분 |
| 수명 | 10년 |
| 시스템 성능 | |
| 해상도 | 50cm 이하 |
| 스캔 폭 | 8km |
| 재방문 시간 | 수 시간 (위도에 따라 다름) |
| 비용 | |
| 시스템 가격 | 3억 유로 |
2. 역사
SAR-Lupe는 독일 최초의 군사용 위성이다.[2]
SAR-Lupe 시험에는 지구상의 전파 돔에 장착된 위성을 사용하여 위성이 위치할 궤도와 가까운 국제 우주 정거장을 이미지화하는 절차가 포함되었다.
2002년 7월 30일, 독일과 프랑스는 SAR-Lupe 위성과 프랑스의 헬리오스 광학 정찰 위성을 공동 운영하는 협력 조약을 체결했다. 다른 EU 국가들도 참여하도록 초청되었으며, 이탈리아가 큰 관심을 보였다.
2. 1. 개발 및 발사
SAR-Lupe는 2006년 12월 19일부터 2008년 7월 22일까지 발사된 독일의 정찰위성이다. 5기의 위성 모두 코스모스-3M 로켓을 사용하여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다.| 위성 | 날짜 | 로켓 | 발사장 |
|---|---|---|---|
| SAR-Lupe-1 | 2006년 12월 19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 SAR-Lupe-2 | 2007년 7월 2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 SAR-Lupe-3 | 2007년 11월 1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 SAR-Lupe-4 | 2008년 3월 27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 SAR-Lupe-5 | 2008년 7월 22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2. 2. 후속 사업 (SARah)
SAR-Lupe의 후속 사업인 SARah는 2022년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이 시스템은 레이더 위성 2기와 광학 위성 1기로 구성될 예정이다. SARah 위성은 SAR-Lupe 위성보다 크고 성능이 향상되었다.[7][8] SARah-1은 위상 배열 안테나 위성으로, 2022년 6월 18일에 팰컨 9 블록 5 로켓으로 발사되었다. OHB SE에서 제작한 수동 안테나 합성 개구 레이더 위성인 SARah-2와 SARah-3는 2023년 12월 24일에 팰컨 9 로켓으로 발사되었으나, 두 위성 모두 발사 후 안테나 전개 실패로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그 결과, 독일 연방군 관계자는 OHB가 대체 위성 2기를 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9]3. 기술적 특징
SAR-Lupe는 X-대역(파장 3.1영어 cm에 해당하는 중심 주파수 9.65영어 GHz)에서 관측을 수행하는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시스템이다. 주요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전 지구 관측 범위: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을 관측할 수 있다.
- 안테나: 3.3m × 2.7m 크기의 포물선형 SAR 반사경 안테나를 사용한다. 능동 빔 조향 안테나 대신 단일 빔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를 사용하여 장비 개발 비용을 절감했다.
- 송신기: 단일 빔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와 진행파관(TWT) 송신기를 사용하며, 전개 가능한 붐에 장착된 급전 혼으로 조명된다.
- 전력 성능: 고효율 TWT와 저손실 고이득 안테나를 통해 효율적인 DC 전력 사용으로 레이더에 양호한 전력 성능을 제공한다.
- 위성 자세 제어: 영상을 획득하기 전에 위성은 적절한 위치로 회전하고 자세를 안정시킨 후 SAR 영상을 획득한다. 이후 대기 자세로 돌아가 배터리를 충전하며 다음 영상 획득을 준비한다.
- 운영 성능:
| 항목 | 내용 |
|---|---|
| 관심 지역 장면 수 | ≥ 하루 30개 |
| 시스템 응답 시간 | < 36시간 |
| 시스템 가용성 | 95% |
| 위성군 제어 | 지상 관제소를 통한 자동 모니터링 및 제어 |
| 데이터 처리 | 자동 데이터 수신 및 영상 처리 |
| LEOP 지원 | DLR/GSOC |
| 평균 응답 시간 | 10시간 |
- 국제 협력: 지상 세그먼트의 모듈형 인터페이스 설계 덕분에 향후 국제 정찰 네트워크에 통합될 수 있다.
- 온보드 저장 용량: 128영어 Gbit (EOL)의 온보드 영상 저장 기능이 제공된다.
- 추가 영상 제품: 다중 패스 간섭 측정 제품에서 얻은 고도 모델, 다중 패스 스테레오 제품, 변화 감지 제품, 방사 해상도가 향상된 제품 등을 생성할 수 있다.
- NESZ: NESZ (노이즈 등가 시그마 제로) 범위는 최대 −19.91영어 dB를 제공할 수 있다.
3. 1. 영상 모드
SAR-Lupe는 모든 기상 조건에서 주야간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위성은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최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2]5개의 위성은 60° 간격으로 떨어진 3개의 500km 궤도에서 운용된다. 이 위성은 3미터 안테나가 장착된 X-밴드 레이더를 사용한다. SAR-Lupe의 영상 모드는 다음과 같다.
- 스포트라이트 모드: 위성이 단일 표적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방식이다. 한 변이 5.5km인 프레임 크기에서 약 50cm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 스트립맵 모드: 위성이 지구 위에서 고정된 방향을 유지하고, 레이더 이미지는 위성의 궤도 이동을 통해 형성되는 방식이다. 한 변이 8km × 60km인 프레임 크기에서 약 1m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특정 지역의 이미지 획득에 대한 응답 시간은 10시간 이하이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는 합성 개구 레이더 센서의 핵심 부분을 제공했다.[4]
3. 2. 기타 특징
SAR-Lupe의 "고해상도" 이미지는 모든 기상 조건에서 주야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최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2] 5개의 위성은 60° 간격으로 떨어진 3개의 500km 궤도에서 운용된다. 3m 안테나가 장착된 X-밴드 레이더를 사용하여, 한 변이 5.5km인 프레임 크기에서 약 0.5m의 해상도("스포트라이트 모드") 또는 한 변이 8km × 60km인 프레임 크기에서 약 1m의 해상도("스트립맵 모드")를 제공한다. 특정 지역의 이미지 획득에 대한 응답 시간은 10시간 이하이다.[4]SAR-Lupe의 XSAR는 X-대역(파장 3.1영어 cm에 해당하는 중심 주파수 9.65영어 GHz)에서 관측을 수행한다.
- 전 지구 관측 범위.
- 3.3m × 2.7m 크기의 포물선형 SAR 반사경 안테나 사용. 능동 빔 조향 안테나 대신 단일 빔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를 사용하기로 한 것은 장비 개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데 기여했다. SAR-Lupe는 단일 빔 오프셋 반사경 안테나와 진행파관(TWT) 송신기를 사용하며, 전개 가능한 붐에 장착된 급전 혼으로 조명된다.
- 고효율 TWT와 저손실 고이득 안테나는 효율적인 DC 전력 사용으로 레이더에 양호한 전력 성능을 제공한다.
영상을 획득하기 전에 위성은 적절한 위치로 회전하고 자세를 안정시킨다. 그런 다음 SAR 영상을 획득한다. 그 후 위성은 대기 자세로 다시 회전하여 배터리를 계속 충전하면서 다음 SAR 영상 획득을 준비한다.
- 관심 지역 장면 수: ≥ 하루 30개.
- 시스템 응답 시간: < 36시간.
- 시스템 가용성: 95%.
- 지상 관제소를 통한 위성군 자동 모니터링 및 제어.
- 자동 데이터 수신 및 영상 처리.
- LEOP (발사 및 초기 궤도 단계) 지원은 DLR/GSOC에서 제공한다.
- 시스템 평균 응답 시간은 10 시간 범위이다.
- 지상 세그먼트의 모듈형 인터페이스 설계로 인해 향후 국제 정찰 네트워크에 통합될 수도 있다(시스템 상호 활용 등).
- 제공되는 SAR 영상 모드: 스트립맵 및 스포트라이트. 스트립맵 영상은 안테나를 고정된 방향(일반적으로 크로스 트랙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내부적으로 이러한 모드는 "Strip-SAR" 및 "Slip-SAR"로 지칭된다. Strip-SAR 관측은 천정 방향으로 수행된다. Slip-SAR 모드에서는 통합 시간을 늘리고 따라서 인트랙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전체 우주선을 목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 SAR 데이터의 공간 해상도: 스포트라이트 모드에서 크기가 약 5.5km × 5.5km인 장면의 경우 0.5m; 스트립맵 장면의 크기는 60km × 8km이다. NESZ (노이즈 등가 시그마 제로) 범위는 최대 −19.91영어 dB를 제공할 수 있다.
- 위성 운영을 통해 장면의 "스포트라이트 영상"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장면의 통합 시간을 늘리기 위해 대상 영역을 중심으로 전체 우주선을 회전시키는 작업이 포함된다(SAR 비콘은 가변형이다). SAR-Lupe 용어에서 스포트라이트 영상은 "Slip-SAR"로 지칭된다.
- 128영어 Gbit (EOL)의 온보드 영상 저장 기능이 제공된다.
- 주요 영상 제품: 1) 크기가 60km × 8km인 스트립맵 장면, 2) 크기가 5.5km × 5.5km인 정사각형 장면.
- 추가 제품: a) 다중 패스 간섭 측정 제품에서 얻은 고도 모델, b) 다중 패스 스테레오 제품, c) 변화 감지 제품, d) 방사 해상도가 향상된 제품.
4. 발사 기록
| 위성 | 날짜 | 발사체 | 장소 | 상태 |
|---|---|---|---|---|
| SAR-Lupe-1 | 2006년 12월 19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 성공 |
| SAR-Lupe-2 | 2007년 7월 2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 성공 |
| SAR-Lupe-3 | 2007년 11월 1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 성공 |
| SAR-Lupe-4 | 2008년 3월 27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 성공 |
| SAR-Lupe-5 | 2008년 7월 22일 | 코스모스-3M | 플레세츠크 | 성공 |
5. 계약 업체
6. 한국의 군사 정찰위성 개발과 SAR-Lupe
SAR-Lupe는 독일의 군사용 정찰위성 시스템이다. 한국은 2010년대 이후 군사 정찰위성 도입을 추진하면서 SAR-Lupe 시스템에 관심을 보였다.
참조
[1]
문서
SAR-Lupe ground station: Zentrum für Nachrichtenwesen der Bundeswehr (ZNBw), Max-Planck-Str. 17, 53501 Gelsdorf
[2]
웹사이트
SAR-Lupe 1, 2, 3, 4, 5
https://space.skyroc[...]
[3]
웹사이트
Radar reconnaissance spacecraft launched
http://www.spaceflig[...]
2014-05-06
[4]
간행물
Successful Launch Of Sar-lupe Satellite, With Thales Alenia Space's SAR Sensor Electronics Units
https://www.thalesgr[...]
2014-05-06
[5]
웹사이트
OHB-System AG (SAR-Lupe)
http://www.ohb-syste[...]
2009-11-03
[6]
웹사이트
LSE Space Engineering & Operations AG
http://www.lsespace.[...]
[7]
뉴스
SARah: Bundeswehr will drei neue Spionagesatelliten kaufen
http://www.spiegel.d[...]
2013-06-26
[8]
웹사이트
Deutsche Lastentransporte in den Weltraum
https://dipbt.bundes[...]
2020-10-24
[9]
웹사이트
Two of the German military's new spy satellites appear to have failed in orbit
https://arstechnica.[...]
2024-07-03
[10]
문서
衛星をコントロールする地上局は Zentrum für Nachrichtenwesen der ドイツ連邦軍 (ZNBw), Max-Planck-Str. 17, 53501 Gelsdorf
[11]
웹사이트
Spaceflight now - Radar reconnaissance spacecraft launched
http://www.spaceflig[...]
[12]
웹사이트
System price
http://www.thalesonl[...]
2010-12-05
[13]
문서
SAR-Lupe ground station: Zentrum für Nachrichtenwesen der Bundeswehr (ZNBw), Max-Planck-Str. 17, 53501 Gelsdorf
[14]
웹사이트
Spaceflight now - Radar reconnaissance spacecraft launched
http://www.spaceflig[...]
[15]
웹인용
System price
http://www.thaleson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