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U미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U미디어는 대한민국에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S-DMB) 서비스를 제공했던 기업이다. 2001년부터 위성 제작 및 관련 사업을 추진하여, 2004년 위성 DMB 사업권을 획득하고 2005년 본방송을 시작했다. 2006년에는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했으나, 2010년 SK텔링크에 합병되었고, 2012년 위성 DMB 사업을 중단하고 서비스를 종료했다. TU미디어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채널을 제공했으며, 차량용 위성 DMB 서비스인 TU Ride On을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 - 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BS는 1990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운영되다가 2024년 민영화될 예정이며, TBS FM, TBS eFM, TBS TV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대한민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 - 아리랑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는 한국국제방송재단에서 운영하는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2003년 제주도에서 개국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한국 관련 정보와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며, 뉴스, 문화, 음악 프로그램 및 심층 인터뷰를 제공한다.
  • SK텔레콤 -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는 1997년 하나로통신으로 설립되어 유선 통신 시장에서 시작, 초고속 인터넷, IPTV 등 트리플 플레이 사업을 확장했으며, SK텔레콤에 인수되어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고, 10Gbit/s 인터넷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발표하기도 했다.
  • SK텔레콤 - SK 와이번스
    SK 와이번스는 쌍방울 레이더스 해체 후 2000년 창단된 프로야구단으로, 2000년대 후반 김성근 감독 시절 왕조를 이루며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과 2018년 트레이 힐만 감독 체제에서 우승을 추가했으나, 2021년 신세계그룹에 인수되어 SSG 랜더스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 2010년 해체된 기업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2010년 해체된 기업 - 한미약품
    한미약품은 1973년 설립되어 1988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제약 회사로,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며, 랩스커버리 플랫폼 기술 기반 바이오 신약 개발과 개량·복합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TU미디어 - [회사]에 관한 문서
SK텔링크로 합병됨
회사 종류자회사
합병SK텔링크로 합병
설립2003년 12월
해산2010년 11월
모회사SK텔레콤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주요 인물서영길 (CEO)
산업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홈페이지SK텔링크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2001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위성을 제작하고 시험하였으며, 2001년 9월 ITU에 위성망 국제등록을 신청하였다. 2003년 12월 TU미디어를 설립, 2004년 3월 13일 DMB 위성 한별을 발사하였다. 2005년 5월 본방송을 개시하였고, 2006년 12월 가입자 100만을 돌파하였다. 2010년 11월 SK텔링크와 합병되었으며, 2012년 7월 위성 DMB 사업을 중단하고 2012년 8월 31일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2. 1. 2000년대

연도내용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9년


2. 2. 2010년대

3. 서비스

TU 미디어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S-DMB)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6년 4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KTX 전 구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속 300km로 이동 중에도 고품질 수신을 가능하게 했다.[2] 2006년 5월 25일 부산 도시철도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3]

4. 방송 이념

TU미디어는 다음과 같은 방송 이념을 추구했다.


  • 시청자 중심의 방송
  •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드는 방송
  • 국민 복지를 발전시키는 국민의 방송

5. 채널

TU미디어는 2005년 5월 7개의 비디오 채널과 20개의 오디오 채널로 위성 DMB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2] 이후 채널 수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2006년 5월에는 12개의 비디오 채널과 26개의 오디오 채널,[3] 2007년 9월에는 18개의 비디오 채널과 20개의 오디오 채널, 2008년 6월에는 21개의 비디오 채널과 19개의 오디오 채널을 제공했다.

5. 1. 비디오 채널

채널 번호채널명
2매일방송
4JTBC
5OBS W
8tvN
10아리랑국제방송
12YTN
13YTN 사이언스
14YTN2
15한국경제TV
16팍스TV
17토마토TV
18한국선거방송
19KTV 국민방송
20국회방송
21CNN
22BBC World News
23CGTN
24CGTN Documentary
25FTV
26K-바둑
27브레인TV
28MBC NET
30법률방송
31SMB 드라마채널
32STC 드라마플러스
34현대홈쇼핑
35방송대학TV
36tbsTV


5. 2. 오디오 채널

채널 번호채널명
51최신인기가요
52파워댄스
53발라드
54히트인기가요
55트로트
56최신인기팝
57히트팝
58이지클래식
61TU Request
62김기덕의 골든팝
63오디오북
64아리랑 라디오
65BBC 월드 서비스
66TBS eFM
67TBS FM
68YTN라디오



TU미디어는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S-DMB)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5년 5월, 7개의 비디오 채널과 20개의 오디오 채널로 위성 DMB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후 채널 수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6. TU Ride On

TU Ride On은 차량용 위성 DMB 방송을 대표하는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였다. 통합 DMB (위성 DMB, 지상파 DMB)와 TU TPEG 서비스, 위성 DMB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했다. 2006년 4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KTX 전 구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속 300km의 속도로 이동 중에도 고품질 수신이 가능하게 했다.[2]

7. 관련 보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참조

[1] 웹사이트 TU Media Corp History http://www.tu4u.com/[...] 2007-01-02
[2] 웹사이트 SK Telecom seeks to raise stake in TU Media http://www.asiamedia[...] Korea Times 2006-05-04
[3] 웹사이트 Satellite DMB launched on Busan subway lines http://www.asiamedia[...] Korea Herald 2006-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