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일방송(MBN)은 1993년 매일경제신문사를 대주주로 설립된 경제 전문 케이블 TV 방송사로, 1995년 3월 1일 개국했다. 2010년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로 선정되어 2011년 12월 1일 종합편성채널로 전환했다. 주요 뉴스 프로그램, 드라마, 예능, 교양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뉴스, 시사, 보도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과거 MBN CNBC로 채널명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분식회계 혐의로 회장이 사임하고, 종합편성채널 승인 과정에서 자본금 불법 납입으로 업무정지 처분을 받는 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일방송 - 백운기
백운기는 조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KBS 기자로 활동하며 'KBS 뉴스 9', 'KBS 뉴스광장' 등 다수의 뉴스 및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MBN 뉴스와이드 앵커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 매일방송 - 김주하
김주하는 1997년 MBC 아나운서로 입사해 기자로 전직 후 《MBC 뉴스데스크》 앵커 등을 거쳐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2015년 MBN으로 이직하여 특임이사 겸 앵커로 활동하며, 보도 태도 논란, 이혼 소송, 저서 출간, 영화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2011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EBS KIDS
EBS KIDS는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채널로, 2005년 EBS U로 개국하여 영어 교육 및 어린이 프로그램을 방송하다 EBS 플러스 1 재송신 채널을 거쳐 2018년 현재의 채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4시간 광고방송을 실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 2011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야마가타 방송
야마가타 방송은 야마가타현을 권역으로 하는 방송국으로, 라디오는 JRN·NRN, 텔레비전은 니혼TV 계열이며 다양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마스코트 캐릭터는 분홍색 볼 모양의 '푸니융'이다. - 2011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JTBC
중앙일보가 설립하고 동양방송의 계승을 상징하는 JTBC는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며 높은 신뢰도를 얻었으나, 올림픽 중계권 단독 확보로 보편적 시청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 중앙그룹 계열의 종합편성채널이다. - 2011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TV조선
TV조선은 2011년에 개국한 대한민국의 종합편성채널로, 뉴스, 드라마, 예능, 교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예능 프로그램의 성공과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의 흥행으로 시청률이 상승했고, 여러 차례 제재를 받기도 했다.
매일방송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매일방송 |
영문명 | Maeil Broadcasting Network |
![]() | |
설립일 | 1993년 9월 23일 |
개국일 | 1995년 3월 1일 (매일경제TV MBN), 2011년 12월 1일 (매일방송) |
폐국일 | 2011년 11월 30일 (매일경제TV MBN) |
방송 종류 | 민영 방송, 종합편성채널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 |
슬로건 | 열린세상 열린방송 MBN |
웹사이트 | 매일방송 홈페이지 |
대표 채널 번호 | Btv 16, 지니 TV 16, U+TV 16, KT스카이라이프 16 |
google_map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 |
회사 정보 | |
사장 | 이동원 |
자본금 | 310,000,000,000원 (2014) |
영업 수익 | 141,309,000,000원 (2017) |
영업 비용 | 141,633,000,000원 (2017) |
영업 이익 | -324,000,000원 (2017) |
영업 외 수익 | 4,132,000,000원 (2017) |
영업 외 비용 | 3,356,000,000원 (2017) |
주요 주주 | 중앙홀딩스 유한회사 : 25.00% |
모기업 | 매일경제신문 |
자회사 | MBN미디어텍 |
계열사 | MBN미디어컴, SLL매일, MBN Plus |
추가 정보 | |
소유주 | 매일방송 네트워크 주식회사, 매일경제신문의 자회사 |
주요 인물 | 장승준 (CEO)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 (1가, 30-1) |
방송 언어 | 한국어 |
이전 이름 | 매일경제TV |
직원 수 | 544명(2019년 1월 31일) |
매출액 | 3천478억6천9백만원(2018년) |
주요 주주 (비율) | 매일경제신문사 (12.63%), 매경공제회 (2.77%), 매경신문사사우회 (2.32%) |
2. 역사
1993년 9월 23일 매일경제신문사를 대주주로 하는 경제전문 케이블TV 방송사 '매일경제방송'(현 매일방송)이 창립되었고,[1] 1995년 3월 1일 개국하면서 본방송을 개시하였다.[1]
2002년 5월 1일 미국의 경제전문 케이블 방송사인 CNBC와 업무 협조 계약을 체결하여 MBN-CNBC로 채널명이 변경되었으며,[5] 2005년 7월 1일 MBN CNBC에서 MBN으로 채널명이 다시 변경되었다.[1][5] 2005년 7월 4일 MBN으로의 채널명 환원과 동시에 MBN 새로운 CI를 발표하였다. 이후 CNBC라는 명칭은 2009년 12월 28일 Xports에서 SBS CNBC로 채널 전환과 동시에 4년 만에 부활되었는데 현재는 다시 SBS Biz로 변경되었다.[1]
2010년 12월 31일부터, 매일경제방송은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로서 선정되었고,[1] 2011년 12월 1일 매일방송은 종합편성채널로 다시 개국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1][4] JTBC, 채널A, TV조선과 함께 MBN은 일반 편성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 이는 1980년 당시 전두환 정권이 실시한 언론통폐합에 따라 2010년까지는 일본과 달리 신문사가 방송국을 경영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6] 규제 완화로 신문사의 방송 사업 진출이 허용됨에 따른 것이다.[4]
2019년 11월 1일 분식회계 혐의로 장대환 회장이 사임하면서 CI 로고를 변경하였다.
2020년 10월 30일, 방송통신위원회는 MBN이 2011년 종합편성채널 승인 과정에서 임원 명의로 자본금을 불법 납입했다는 이유로 6개월간 업무정지 처분을 내렸다.[7] MBN은 "이미 불법 시효를 정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처분이 내려졌다"며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업무정지 처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2021년 2월 1일 서울행정법원은 이를 인용하여 1심 판결까지 방송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7] 2021년 5월 1일 자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MBN에 6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내려 동년 10월 말까지 6개월간 방송이 중단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1년 2월 1일에 MBN이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낸 업무정지 처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93년 ~ 2011년)
1993년 9월 23일 매일경제신문사를 대주주로 하는 경제전문 케이블TV 방송사 '매일경제방송'(현 매일방송)이 창립되었고,[1] 1995년 3월 1일 개국하면서 본방송을 개시하였다.[1] 개국 당시에는 하루 15시간 방송을 시작했고, 1996년 1월 1일부터는 24시간 방송을 시작했다.2002년 5월 1일 미국의 경제전문 케이블 방송사인 CNBC와 업무 협조 계약을 체결하여 MBN-CNBC로 채널명이 변경되었으며,[5] 2005년 7월 1일 MBN CNBC에서 MBN으로 채널명이 다시 변경되었다.[1][5] 2005년 7월 4일 MBN으로의 채널명 환원과 동시에 MBN 새로운 CI를 발표하였다. 이후 CNBC라는 명칭은 2009년 12월 28일 Xports에서 SBS CNBC로 채널 전환과 동시에 4년 만에 부활되었는데 현재는 다시 SBS Biz로 변경되었다.[1]
2008년 7월에는 새로운 뉴스 스튜디오 개설과 함께 최첨단 디지털 뉴스 제작 시스템이 가동을 시작했다. 2009년 10월 5일에는 HD 방송을 시작했고, 10월 12일 스카이라이프에서 케이블 TV로 송출을 시작했다.
2010년 12월 31일부터, 매일경제방송은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로서 선정되었고,[1] 2011년 12월 1일 매일방송은 종합편성채널로 다시 개국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1][4]
2. 2. 종합편성채널 전환 (2011년 ~ 현재)
1993년 9월 23일 매일경제신문사를 대주주로 하는 경제전문 케이블TV 방송사 '매일경제방송'이 창립, 1995년 3월 1일 개국하였다.[1] 2002년 5월 1일 미국의 경제전문 케이블 방송사인 CNBC와 업무 협조 계약을 체결하여 MBN-CNBC로 채널명이 변경되었다가,[5] 2005년 7월 1일 MBN으로 채널명이 다시 변경되었다.[5]2010년 12월 31일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로 선정된 매일경제방송은, 2011년 12월 1일 종합편성채널로 다시 개국하였다.[1] JTBC, 채널A, TV조선과 함께 MBN은 일반 편성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 이는 1980년 당시 전두환 정권이 실시한 언론통폐합에 따라 2010년까지는 일본과 달리 신문사가 방송국을 경영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6] 규제 완화로 신문사의 방송 사업 진출이 허용됨에 따른 것이다.[4]
2019년 11월 1일 분식회계 혐의로 장대환 회장이 사임하면서 CI 로고를 변경하였다. 2020년 10월 30일, 방송통신위원회는 MBN이 2011년 종합편성채널 승인 과정에서 임원 명의로 자본금을 불법 납입했다는 이유로 6개월간 업무정지 처분을 내렸다.[7] MBN은 "이미 불법 시효를 정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처분이 내려졌다"며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업무정지 처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2021년 2월 1일 서울행정법원은 이를 인용하여 1심 판결까지 방송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7]
3. 프로그램
- 제공자막 표시는 광고주만 나열하는 것이다.
- 상단 왼쪽에 모든 프로그램의 '''본방송'''을 표시한다.[8]
- 보도 · 시사 · 대담 프로그램은 화면 상단 오른쪽에 MBN 로고 '''LIVE'''를 표시한다.
- 매년 신년전야 타종 행사를 방송하지 않았다가, 한동안 2023~2024년 보신각 타종식 실황 중계하였다.
- 스페셜 다큐멘터리를 제작된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이 자주 방송되고 있으나, 과거의 인기 프로그램이 많음과 동시에 저작권의 문제로 인해 방송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 뉴스
- 굿모닝 MBN (굿모닝 월드)
- 아침 & 매일경제
- 전국 네트워크
- 프레스룸 LIVE
- 김명준의 뉴스파이터
- MBN 뉴스와이드
- MBN 뉴스7 (MBN 스포츠뉴스)
- MBN 뉴스센터 (MBN 스포츠뉴스)
- MBN 뉴스와이드 주말
- 시사스페셜
- MBN 뉴스특보
- MBN 재난대비센터
- * 수요일·금요일 5:40~6:00, 일요일 5:20~5:40 방송
- 굿모닝 MBN(グッドモーニングMBN일본어)
- * 평일 7:00~8:00 방송
- 아침&매일경제(朝&毎日経済일본어)
- * 평일 8:00~9:20, 토요일 10:00~11:10 방송
- 전국 네트워크(全国 ネットワーク일본어)
- * 평일 9:20~9:30 방송
- MBN 프레스룸(MBN プレスルーム일본어)
- * 평일 15:20~16:40 방송
- 뉴스파이터(ニュースファイター일본어)
- * 평일 16:40~18:10 방송
- MBN 뉴스와이드(MBNニュースワイド일본어)
- * 평일 18:10~19:20, 주말 18:10~19:30 방송
- MBN 종합뉴스(MBN総合ニュース일본어)
- * 평일 19:20~20:30, 주말 19:30~20:20 방송
- MBN 뉴스와이드 주말(MBNニュースワイド 週末일본어)
- * 주말 8:40~10:00 방송
- 시사스페셜(時事スペシャル일본어)
- * 일요일 10:00~11:10 방송
### 주요 뉴스 프로그램
- 굿모닝 MBN
- 아침 & 매일경제
- 전국 네트워크
- 프레스룸 LIVE
- 김명준의 뉴스파이터
- MBN 뉴스와이드
- MBN 뉴스7
- MBN 뉴스센터
- MBN 뉴스와이드 주말
- 시사스페셜
- MBN 뉴스특보
- MBN 재난대비센터
### 종영 뉴스 프로그램
## 드라마
### 방영 중인 드라마
### 종영 드라마
- 월화 드라마
- 수목 드라마
- '''괜찮아, 엄마니까''' (2015년 9월 28일~29일)
- '''내 위험한 아내''' (2020년 10월 5일~11월 24일)
- ''어서 와, 어서 와, 꼭 와'' (2011년 12월 5일 – 2012년 3월 2일)
- '''연남동 539''' (2018년 1월 10일 – 3월 28일)
- '''더 드라이버''' (2022년 2월 2일)
- 리치맨 (2018년 5월 14일 ~ 6월 28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마녀의 연애 (2018년 7월 25일 ~ 8월 30일)
- 악마의 유혹 (2018년 9월 5일 ~ 10월 25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러브 어레트 (2018년 10월 31일 ~ 12월 20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베스트 치킨 (2019년 1월 2일 ~ 2월 7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로스타임 라이프 (2019년 2월 13일~14일)
- 레벨업 (2019년 7월 10일 ~ 8월 15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우아한 가족 (2019년 8월 21일 ~ 10월 17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스폰서 (2022년 2월 23일 ~ 4월 6일, 아이HQ와 공동 제작)
- ''녹 (Knock)'' (2012년 8월 10일)
- '''배드 메모리 이레이저''' (2024년 8월 2일 – 9월 21일)
## 예능
### 방영 중인 예능
- 한일로맨스 혼전연애
- 한일톱텐쇼
- 현역가왕2
- 더 콘서트 원픽
- 속풀이쇼 동치미
- 내셔널 뱅뱅 쿡쿡 (2021년~현재)
- 버닝 트롯맨 (2022년~현재)[3]
### 종영 예능
- 개그공화국
- 고수의 비법 황금알
- 비행소녀
- 국대는 국대다
- 훈맨정음
- 사인히어
- 불타는 트롯맨
- 오피스 빌런
- 모내기 클럽
- 내일은 위닝샷
- 우리들의 쇼 10
- 더 와일드
- 현역가왕
- 한일가왕전
- 화100
- 웰컴 투 장미골
- 불타는 장미단
- 가보자GO
- 한 번쯤 이혼할 결심
- 돌싱글즈
- 어른들은 모르는 고딩엄빠
- 네추럴리
- 미스 백
## 교양
### 방영 중인 교양
### 종영 교양
- 시사기획 맥
- 지금은 전원시대
- 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
3. 1. 뉴스
- 굿모닝 MBN (굿모닝 월드)
- 아침 & 매일경제
- 전국 네트워크
- 프레스룸 LIVE
- 김명준의 뉴스파이터
- MBN 뉴스와이드
- MBN 뉴스7 (MBN 스포츠뉴스)
- MBN 뉴스센터 (MBN 스포츠뉴스)
- MBN 뉴스와이드 주말
- 시사스페셜
- MBN 뉴스특보
- MBN 재난대비센터
- * 수요일·금요일 5:40~6:00, 일요일 5:20~5:40 방송
- 굿모닝 MBN(グッドモーニングMBN)
- * 평일 7:00~8:00 방송
- 아침&매일경제(朝&毎日経済)
- * 평일 8:00~9:20, 토요일 10:00~11:10 방송
- 전국 네트워크(全国 ネットワーク)
- * 평일 9:20~9:30 방송
- MBN 프레스룸(MBN プレスルーム)
- * 평일 15:20~16:40 방송
- 뉴스파이터(ニュースファイター)
- * 평일 16:40~18:10 방송
- MBN 뉴스와이드(MBNニュースワイド)
- * 평일 18:10~19:20, 주말 18:10~19:30 방송
- MBN 종합뉴스(MBN総合ニュース)
- * 평일 19:20~20:30, 주말 19:30~20:20 방송
- MBN 뉴스와이드 주말(MBNニュースワイド 週末)
- * 주말 8:40~10:00 방송
- 시사스페셜(時事スペシャル)
- * 일요일 10:00~11:10 방송
분류:매일방송의 뉴스 프로그램
3. 1. 1. 주요 뉴스 프로그램
- 굿모닝 MBN
- 아침 & 매일경제
- 전국 네트워크
- 프레스룸 LIVE
- 김명준의 뉴스파이터
- MBN 뉴스와이드
- MBN 뉴스7
- MBN 뉴스센터
- MBN 뉴스와이드 주말
- 시사스페셜
- MBN 뉴스특보
- MBN 재난대비센터
3. 1. 2. 종영 뉴스 프로그램
3. 2. 드라마
## 방영 중인 드라마## 종영 드라마
- 월화 드라마
- 수목 드라마
- '''괜찮아, 엄마니까''' (2015년 9월 28일~29일)
- '''내 위험한 아내''' (2020년 10월 5일~11월 24일)
- ''어서 와, 어서 와, 꼭 와'' (2011년 12월 5일 – 2012년 3월 2일)
- '''연남동 539''' (2018년 1월 10일 – 3월 28일)
- '''더 드라이버''' (2022년 2월 2일)
- 리치맨 (2018년 5월 14일 ~ 6월 28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마녀의 연애 (2018년 7월 25일 ~ 8월 30일)
- 악마의 유혹 (2018년 9월 5일 ~ 10월 25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러브 어레트 (2018년 10월 31일 ~ 12월 20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베스트 치킨 (2019년 1월 2일 ~ 2월 7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로스타임 라이프 (2019년 2월 13일~14일)
- 레벨업 (2019년 7월 10일 ~ 8월 15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우아한 가족 (2019년 8월 21일 ~ 10월 17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스폰서 (2022년 2월 23일 ~ 4월 6일, 아이HQ와 공동 제작)
- ''녹 (Knock)'' (2012년 8월 10일)
- '''배드 메모리 이레이저''' (2024년 8월 2일 – 9월 21일)
3. 2. 1. 방영 중인 드라마
3. 2. 2. 종영 드라마
- 월화 드라마
- 수목 드라마
- '''괜찮아, 엄마니까''' (2015년 9월 28일~29일)
- '''내 위험한 아내''' (2020년 10월 5일~11월 24일)
- ''어서 와, 어서 와, 꼭 와'' (2011년 12월 5일 – 2012년 3월 2일)
- '''연남동 539''' (2018년 1월 10일 – 3월 28일)
- '''더 드라이버''' (2022년 2월 2일)
- 리치맨 (2018년 5월 14일 ~ 6월 28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마녀의 연애 (2018년 7월 25일 ~ 8월 30일)
- 악마의 유혹 (2018년 9월 5일 ~ 10월 25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러브 어레트 (2018년 10월 31일 ~ 12월 20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베스트 치킨 (2019년 1월 2일 ~ 2월 7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로스타임 라이프 (2019년 2월 13일~14일)
- 레벨업 (2019년 7월 10일 ~ 8월 15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우아한 가족 (2019년 8월 21일 ~ 10월 17일, 드라마엑스와 공동 제작)
- 스폰서 (2022년 2월 23일 ~ 4월 6일, 아이HQ와 공동 제작)
- ''녹 (Knock)'' (2012년 8월 10일)
- '''배드 메모리 이레이저''' (2024년 8월 2일 – 9월 21일)
3. 3. 예능
- 한일로맨스 혼전연애
- 한일톱텐쇼
- 현역가왕2
- 더 콘서트 원픽
- 속풀이쇼 동치미
- ''네추럴리'' (2019년–2020년)
- ''미스 백'' (2020년–2021년)
- ''내셔널 뱅뱅 쿡쿡'' (2021년–현재)
- ''더 오리진 – A, B, 혹은 뭐?'' (2022년)
- 버닝 트롯맨 (2022년–현재)[3]
- 불타는 트롯맨 불타는 트롯맨한국어 (화 21:40~23:40 방송)
- 고딩엄빠3 고딩엄빠3한국어 (수 22:20~24:00 방송)
- 방과 후 코리아 : 수학여행 방과 후 코리아 : 수학여행한국어 (일 21:40~23:00 방송)
3. 3. 1. 방영 중인 예능
- 한일로맨스 혼전연애
- 한일톱텐쇼
- 현역가왕2
- 더 콘서트 원픽
- 속풀이쇼 동치미
- 내셔널 뱅뱅 쿡쿡 (2021년~현재)
- 버닝 트롯맨 (2022년~현재)[3]
3. 3. 2. 종영 예능
- 개그공화국
- 고수의 비법 황금알
- 비행소녀
- 국대는 국대다
- 훈맨정음
- 사인히어
- 불타는 트롯맨
- 오피스 빌런
- 모내기 클럽
- 내일은 위닝샷
- 우리들의 쇼 10
- 더 와일드
- 현역가왕
- 한일가왕전
- 화100
- 웰컴 투 장미골
- 불타는 장미단
- 가보자GO
- 한 번쯤 이혼할 결심
- 돌싱글즈
- 어른들은 모르는 고딩엄빠
- 네추럴리
- 미스 백
3. 4. 교양
- MBN 재난대비센터
- 생생 정보마당
- 휴먼다큐 사노라면한국어
- 나는 자연인이다
- 특종세상
- 열린TV 열린세상
- 소중한 나눔 무한 행복 - 소나무
- 성공다큐 최고다
- MBN 토요포커스
- 천기누설
- 한번 더 체크타임
- 스포츠 야
- 알토란
- 엄지의 제왕
- 알면 약이 되는 방송 알약방
- 명을 사수하는 사람들
- 돈워리 비해피
- 임성훈의 스타 유전자 X파일
- 나는 자연인이다한국어 (수 21:10~22:10 방송)
- 휴먼다큐 사노라면한국어 (금 21:10~22:10 방송)
3. 4. 1. 방영 중인 교양
3. 4. 2. 종영 교양
- 시사기획 맥
- 지금은 전원시대
- 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
4. 조직
4. 1. 아나운서
차유나는 전 KBS 포항방송국 아나운서 출신이다. 정아영은 전 MBC스포츠플러스 리포터 출신이다. 유한솔은 전 G1방송, 안동MBC 출신이다. 고선영은 전 KBS대구방송총국 출신이다. 이 외에도 장혜선, 박진아, 김유진, 한혜원이 매일방송의 아나운서로 활동하고 있다.4. 2. 앵커
4. 3. 기상캐스터
박선아, 김다영, 정예은이 기상캐스터로 활동하고 있다.4. 4. 수어통역사
심수현은 매일방송의 수어통역사이다.4. 5. 전직
4. 5. 1. 전직 아나운서
- 전주리 - 現 KBS 아나운서
- 강서은 - 前 KBS 아나운서
- 이언경 - 前 채널A 아나운서
- 김기혁 - 現 프리랜서 아나운서
- 박원일 - 現 프리랜서 아나운서
- 김민광 - 現 연합뉴스TV 아나운서
- 오도훈 - 現 한국뉴미디어그룹 대표이사 사장[9]
- 김주영 - 前 리얼미터 미래전략연구소 이사, 프리랜서 아나운서[10]
- 홍순빈
- 이담 - 現 프리랜서 아나운서
4. 5. 2. 전직 기자
갈태웅 - 현 OBS경인TV 사회부 기자강상구 - 현 TV조선 보도본부 편집1부 부장/前 TV조선 보도본부 정치부 부장/前 TV조선 정치부 기자
강태화 - 현 중앙일보 기자/前 JTBC 정치부 기자
김선진
김진일 - 현 JTBC 디지털뉴스 기자/前 사회2부 기자
라호일 (전 평화방송 기자 출신, 이직)
류철호 - 현 뉴데일리 편집국 부국장(사회부장)
엄성섭 - 현 TV조선 보도본부 보도해설위원/前 TV조선 정치부 차장
안형영 - 현 TV조선 경제부 차장대우/前 TV조선 정치부 기자
박종진 - 전 채널A 경제부장
오대영 - 현 JTBC 보도국 사회부 기자/前 JTBC 보도국 정치1부 팩트체크팀장/정치2부 기자
유상욱 - 현 JTBC 보도국 주말제당담당/前 JTBC 보도국 사회2부 차장대우(기동팀장)/정치부 기자 (전 채널A 기자)
윤호진 - 현 중앙일보 기자
이성대 - 현 JTBC 보도국 취재담당 차장대우/前 JTBC 보도국 정치1부 청와대팀장/정치부 기자
이영규
임소라 - 현 JTBC 보도국 정책부 기자/前 JTBC 보도국 정치1부 기자/경제산업부 기자
임진택 - 현 중앙일보 기자/ 前 JTBC 사회2부 기자
정병국
정성일
조익신 - 현 JTBC 보도국 정치부회의팀 기자/ 前 JTBC 보도국 정치1부 기자/정치부 기자
천권필 - 현 중앙일보 기자/ 前 JTBC 사회1부 기자
하누리 - 현 KBS 법조팀 기자
4. 5. 3. 전직 기상캐스터
전소영 - 현 SBS 기상캐스터안주희 - 현 MBC 아나운서
5. 마케팅
5. 1. CI
1995년 3월 1일부터 슬로건과 함께 CI를 공개했다. CI는 무지개의 다채로운 색상을 모티브로 했다. 이는 특정한 색, 편협한 시각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성과 다양성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영문 사명을 기존에 쓰였던 MBN 대신 모두 대문자인 MBN로 사용한다고도 밝혔다.[11] 다만 로고는 종합편성채널 전환 직전까지 소문자를 사용한다.5. 2. 마스코트
2023년 12월 "므보니"를 마스코트로 정하였다.6. 논란
2012년 12월 26일 성호스님이 MBN 생방송에 출연하여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선 후보에게 심한 욕설을 퍼부어 제작진이 인터뷰를 도중에 중단시키는 방송사고가 일어났다.[12]
2016년 8월 17일 뉴스파이터 방송 말미에 올림픽에 출전한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이 준결승전에서 일본 대표팀에 완패한 소식을 전한 김명준 앵커는 "축하합니다, 티파니씨"라는 말을 덧붙여서 앵커로서 신중치 못한 언행으로 빈축을 샀다. 특히, 이 발언은 광복절 직후에 일어난 일이라 더욱 큰 비판을 받았다.
방송 천기누설에서 이야기하는 식품들의 효능은 검증되지 않은, 주로 경험담이기 때문에, 방송을 통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여 국민들이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하였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 실제로 잎새버섯의 항암 효과에 대해 방송한 이후에는 포털 사이트 검색어 1위에 잎새버섯이 올라올 정도로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데, 정작 방송에서 항암 효과가 있다는 것은 근거가 불충분하거나 그냥 경험담이었을 뿐이다. 또한 이 방송을 통해 효소의 효능에 대해서도 알려졌는데, 의사 단체 등이 설탕과 음식물을 1:1로 배합한 것이나 기타 설탕을 많이 넣고 잰 음식들은 절대 효소가 아니며 효소도 몸에 그렇게 좋지 않다고 해명하였다.
6. 1. 성호스님 욕설 방송사고 (2012년)
2012년 12월 26일 성호스님이 MBN 생방송에 출연하여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선 후보에게 심한 욕설을 퍼부어 제작진이 인터뷰를 도중에 중단시키는 방송사고가 일어났다.[12]6. 2. 김명준 앵커 부적절 발언 논란 (2016년)
2016년 8월 17일 뉴스파이터 방송 말미에 올림픽에 출전한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이 준결승전에서 일본 대표팀에 완패한 소식을 전한 김명준 앵커는 "축하합니다, 티파니씨"라는 말을 덧붙여서 앵커로서 신중치 못한 언행으로 빈축을 샀다.[12]6. 3. 천기누설 프로그램 관련 비판
방송 천기누설에서 이야기하는 식품들의 효능은 검증되지 않은, 주로 경험담이기 때문에, 방송을 통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여 국민들이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하였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12] 실제로 잎새버섯의 항암 효과에 대해 방송한 이후에는 포털 사이트 검색어 1위에 잎새버섯이 올라올 정도로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데, 정작 방송에서 항암 효과가 있다는 것은 근거가 불충분하거나 그냥 경험담이었을 뿐이다.[12] 또한 이 방송을 통해 효소의 효능에 대해서도 알려졌는데, 의사 단체 등이 설탕과 음식물을 1:1로 배합한 것이나 기타 설탕을 많이 넣고 잰 음식들은 절대 효소가 아니며 효소도 몸에 그렇게 좋지 않다고 해명하였다.[12]7. 제공 시보
MBN에 시보를 제공하는 회사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cable channels go on air
https://web.archive.[...]
2011-11-30
[2]
웹사이트
Company Overview of Maeil Broadcasting Network
https://www.bloomber[...]
2018-09-04
[3]
웹사이트
'불타는 트롯맨' 이석훈-김준수-신유-박현빈-이지혜 합류
https://www.mk.co.kr[...]
2022-10-19
[4]
서적
韓国大手新聞社の放送事業本格参入から1年~「総合編成チャンネル」はいま~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
2013-02
[5]
문서
[6]
웹사이트
韓国で新聞系4社がCATV開局
https://www.nikkei.c[...]
2011-12-01
[7]
블로그
MBNの業務停止効力中断(朝鮮日報)
https://0gata.blogsp[...]
2021-02-25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뉴스
매일일보 종편 MBN, CI 공개
https://news.naver.c[...]
기자협회보
2011-11-09
[12]
뉴스인용
MBN 생방송서 이정희에게 ‘욕설’ 방송사고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12-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