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g Sky (노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Big Sky는 케이트 부시의 노래이다. 1986년 영국에서 7인치와 12인치 싱글로 발매되었다. 싱글에는 스페셜 싱글 믹스, 기상학적 믹스, Not This Time, The Morning Fog가 수록되었다. 이 곡은 유럽 유러피언 핫 100 싱글 차트 88위, 아일랜드 싱글 차트 15위, 영국 싱글 차트 37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이트 부시의 노래 - There Goes a Tenner
〈There Goes a Tenner〉는 케이트 부시가 발매한 싱글로,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주목을 받지 못해 영국 싱글 차트 93위를 기록하며 상위 75위 진입에 실패했고 닐 테넌트는 이 싱글에 대해 "매우 이상하다"고 평가했다. - 케이트 부시의 노래 - Experiment IV
케이트 부시의 싱글 Experiment IV는 끔찍한 소리를 무기로 사용하려는 비밀 군사 계획을 다루며, 뮤직 비디오는 소리로 만들어진 생명체가 군사 시설을 파괴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고,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1985년 노래 - We Are the World
We Are the World는 1985년 에티오피아 기근 난민을 돕기 위해 발매된 자선 싱글로, 퀸시 존스 프로듀싱, 마이클 잭슨과 라이오넬 리치 작곡, 당대 최고 팝 스타 45명이 참여하여 상업적 성공과 함께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자선 음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1985년 노래 - 보이의 계절
마츠다 세이코가 1980년에 발표한 싱글 음반 보이의 계절은 오자키 아미가 작사, 작곡한 곡으로, 칸다 마사키와의 결혼 기념곡이 B side에 수록되어 있고, 영화 주제가로도 사용되었다. - 1986년 싱글 - Twist and Shout
"Twist and Shout"은 필 메들리와 버트 러셀이 작곡하고 더 톱 노츠가 처음 녹음한 곡으로,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리메이크 성공과 비틀즈의 인기 버전, 그리고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커버를 통해 1960년대 초반 R&B 스타일 커버 유행을 선도했다. - 1986년 싱글 - Orgasm
요시키가 결성한 밴드 X가 1986년 자체 제작한 첫 음반 《Orgasm》은 엑스터시 레코드에서 발매되었으며, "Orgasm", "Time Trip Loving", "X" 세 곡이 수록되어 있고, 특히 수록곡 "X"는 X JAPAN의 대표곡이자 다큐멘터리 영화 《We Are X》의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
The Big Sky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곡 이름 | 더 빅 스카이 |
원어 제목 | The Big Sky |
가수 | 케이트 부시 |
음반 | 하운즈 오브 러브 |
B-사이드 | 낫 디스 타임 "더 모닝 포그" (12인치 싱글) |
발표일 | 1986년 4월 21일 |
녹음 | 1984년 |
장르 | 아트 록 |
길이 | 4분 34초 (스페셜 싱글 믹스) 4분 42초 (음반 버전) |
레이블 | EMI |
작곡가 | 케이트 부시 |
프로듀서 | 케이트 부시 |
싱글 정보 | |
이전 싱글 | 하운즈 오브 러브 |
다음 싱글 | 돈트 기브 업 |
뮤직 비디오 | "더 빅 스카이" 뮤직 비디오 |
2. 싱글
영국에서 7인치 싱글과 12인치 싱글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2. 1. 7인치 싱글 (영국)
- A면: 더 빅 스카이 (The Big Sky) (스페셜 싱글 믹스) – 4:34
- B면: 낫 디스 타임 (Not This Time) – 3:41
2. 2. 12인치 싱글 (영국)
wikitext면 | 제목 | 부제 | 길이 |
---|---|---|---|
A면 | 더 빅 스카이(The Big Sky) | 기상학적 믹스 | 7:44 |
B면 | 낫 디스 타임(Not This Time) | 3:41 | |
더 모닝 포그(The Morning Fog) | 2:35 |
케이트 부시는 이 곡에서 보컬을 맡았으며, 페어라이트 CMI와 피아노 연주도 담당했다. 그 외에도 패디 부시가 디제리두를, 앨런 머피가 기타를, 마틴 글로버가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는 등 여러 음악가들이 드럼, 타악기, 프로그래밍 등으로 참여하여 곡의 사운드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3. 참여 음악가
3. 1. 참여자 목록
4. 차트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차트 순위 (1986)'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