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imson Ido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Crimson Idol''은 록 스타 조나단 에런 스틸의 일대기를 그린 콘셉트 앨범이다. 앨범은 조나단의 어린 시절, 록 스타로서의 성공, 몰락, 자살에 이르는 과정을 담고 있다. 조나단은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형을 잃은 후 록 스타를 꿈꾸지만, 명성과 부를 얻고도 부모의 사랑을 갈망하다가 결국 자살을 선택한다. 1992년에 발매되었으며, 1998년에는 보너스 트랙과 디스크가 추가된 재발매반이 출시되었다. 2018년에는 앨범 발매 25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녹음과 미발표곡을 담은 기념 에디션이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 오페라 - 헤드윅 (뮤지컬)
젠더퀴어 록 가수 헤드윅 로빈슨의 삶과 '열받은 일 인치'에 얽힌 사연을 독백, 노래, 하드록 밴드, 애니메이션 등으로 전달하는 록 뮤지컬 헤드윅은 1998년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고, 퀴어 정체성 탐구, 사랑의 기원과의 연관성, 이원론적 주제 등을 다루며 영화로도 제작되어 호평을 받았다. - 록 오페라 - Music from "The Elder"
키스의 컨셉 앨범 "Music from 'The Elder'"는 하드 록 스타일로의 회귀 시도와 새로운 팬층 확보를 위한 아트 록적인 변화가 음악적 일관성 부족으로 이어져 상업적 실패를 겪었으며, "The Oath", "A World Without Heroes" 등의 곡과 멤버들의 외형 변화가 있었다. - 1992년 음반 - ...Meanwhile
10cc의 1992년 앨범 《...Meanwhile》는 재결합 후 게리 카츠와 작업했지만 멤버와 프로듀서 간 불협화음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굴드먼과 스튜어트의 파트너십을 끝맺게 했다. - 1992년 음반 - Celine Dion
셀린 디온의 1992년 앨범 "Celine Dion"은 "미녀와 야수"의 성공과 유명 작곡가들의 참여, 그리고 그래미상과 주노상 수상으로 평론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셀린 디온을 북미 슈퍼스타로 만들었다. - 팔로폰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팔로폰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The Crimson Ido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이름 | The Crimson Idol |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 아티스트 | W.A.S.P. |
![]() | |
| 발매일 | 1992년 6월 |
| 녹음 장소 |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Fort Apache Recording Studio |
| 장르 | 헤비 메탈 |
| 길이 | 57분 47초 |
| 레이블 | 팔로폰 |
| 프로듀서 | 블랙키 로리스 |
| 싱글 | |
| 싱글 1 | Chainsaw Charlie (Murders in the New Morgue) |
| 싱글 1 발매일 | 1992년 3월 |
| 싱글 2 | The Idol |
| 싱글 2 발매일 | 1992년 5월 |
| 싱글 3 | I Am One |
| 싱글 3 발매일 | 1992년 10월 |
| 싱글 4 | Hold On to My Heart |
| 싱글 4 발매일 | 1992년 (EU) |
| 관련 음반 | |
| 이전 음반 | The Headless Children |
| 이전 음반 발매일 | 1989년 |
| 다음 음반 | First Blood Last Cuts |
| 다음 음반 발매일 | 1993년 |
| 추가 정보 | |
| 녹음 기간 | 1990년 7월 17일 - 1992년 2월 |
2. 구성
''The Crimson Idol''은 원래 블랙키 로리스의 솔로 앨범으로 기획되어 약 3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하지만 팬들의 요구[5][6]와 캐피털 레코드의 권유[28]에 따라 W.A.S.P.의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가상의 록 스타 조나단 에런 스틸의 이야기를 다룬 컨셉트 앨범이다.[8]
앨범은 유럽과 일본에서는 1992년에 먼저 발매되었고, 밴드의 본국인 미국에서는 1993년에 발매되었다.[28] 로리스는 이 앨범을 자신의 아버지에게 헌정했다.[20] 1998년 재발매판에는 로리스의 내레이션인 '스토리 오브 조나단 (프롤로그 투 더 크림슨 아이돌)'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2. 1. 등장인물
- '''Jonathan Aaron Steel|조나단 에런 스틸영어''': 이야기의 주인공인 십 대 소년.[8] William Steel|윌리엄 스틸영어과 Elizabeth Steel|엘리자베스 스틸영어의 아들이자 Michael Steel|마이클 스틸영어의 형제이다.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집을 나와 기타를 훔쳐 록 스타가 되지만, 결국 부모의 사랑을 갈망하다 비극적인 선택을 한다.
- '''Michael Steel|마이클 스틸영어''': 조나단의 형. 부모의 총애를 받았으나 음주 운전 사고로 사망한다.
- '''Elizabeth Steel|엘리자베스 스틸영어''': 조나단의 어머니.
- '''William "Red" Steel|윌리엄 "레드" 스틸영어''': 조나단의 아버지. 조나단에게 "우리에겐 아들이 없어"라고 말하며 그를 절망에 빠뜨린다.
- '''The Mirror|거울영어'''
- '''"Chainsaw" Charlie|"체인쏘" 찰리영어''': 주요 음반사 사장. 조나단을 스타로 만들어주겠다고 약속한다.
- '''Alex Rodman|알렉스 로드먼영어''': 찰리가 소개한 조나단의 매니저.
- '''The Gypsy|집시영어'''
- '''Doctor Rockter|닥터 록터영어'''
- '''The King of Mercy|자비의 왕영어'''
2. 2. 줄거리
''The Crimson Idol''의 이야기는 조나단이라는 십 대 소년을 중심으로 펼쳐진다.[8] 그는 윌리엄과 엘리자베스 스틸 부부의 아들이며, 마이클 스틸의 동생이다. 형 마이클은 부모의 사랑을 독차지했지만, 조나단은 문제아 취급을 받았다. 마이클이 음주 운전 사고로 세상을 떠나자, 조나단은 집을 나와 거리를 떠돌며 마약과 술에 빠진다. 어느 날 음반 가게 앞을 지나던 조나단은 진열된 기타를 보고 록 스타가 되겠다는 꿈을 꾸게 된다. 그는 술병으로 가게 유리를 깨고 기타를 훔치면서, 파란만장한 삶을 시작한다.조나단은 앨범 녹음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훔친 붉은 기타를 연주하며 지낸다. 그러다 주요 음반사 사장인 체인쏘 찰리를 만나게 된다. 찰리는 조나단을 스타로 만들어 주겠다며 매니저 알렉스 로드먼을 소개해준다. 조나단은 꿈에 그리던 록 스타가 되지만, 성공한 삶이 겉보기처럼 화려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 명성과 부를 얻었지만, 그는 여전히 부모의 사랑과 인정을 간절히 원했다.
어느 날 밤 콘서트를 앞두고, 조나단은 부모님께 전화를 걸어 화해하고 관계를 회복하려 시도한다. 하지만 전화 통화는 짧았고, 부모는 마지막으로 "우리에겐 아들이 없어"라는 말을 남긴다. 부모에게 결코 받아들여질 수 없음을 깨달은 조나단은 스스로 목숨을 끊기로 결심한다. 결국 그날 콘서트 무대에서 기타 줄로 목을 매 자살한다.
이 앨범은 컨셉트 앨범으로, 가사의 내용은 조나단 아론 스틸이라는 가상의 록 스타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이다. 가사 카드에는 등장인물의 이름이 명기되어 있으며, CD 북클릿에는 이야기의 전문(全文)도 기재되어 있다.[20] 1998년에 발매된 재발 CD에는 블랙키 로리스의 내레이션 '스토리 오브 조나단 (프롤로그 투 더 크림슨 아이돌)'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어 이야기의 배경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3. 곡 목록
''The Crimson Idol'' 앨범의 곡 목록은 발매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모든 곡은 특별히 명시되지 않는 한 블랙키 로리스가 작사, 작곡했다.[5][6]
- 오리지널 앨범 (1992): 총 10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재생 시간은 57분 47초이다.
- 1998년 재발매반: 오리지널 앨범의 리마스터 버전으로, "The Story of Jonathan (Prologue to the Crimson Idol)"이라는 16분 35초 길이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또한, 라이브 버전, 어쿠스틱 버전, 커버 곡 등이 포함된 12곡이 수록된 별도의 보너스 디스크가 포함되었다.
- 《Reidolized: The Soundtrack to The Crimson Idol》 (2018): 앨범 발매 25주년을 기념하여 발매된 재녹음 버전이다. 기존 곡들을 새롭게 녹음하고 이전에 공개되지 않았던 곡들을 추가하여 2장의 CD로 구성되었다.[29] 또한, 앨범 제작 당시 촬영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았던 영상 자료가 BD 또는 DVD 형태로 포함된 에디션도 함께 발매되었다.[30]
각 버전의 상세한 곡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오리지널 앨범 (1992)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곡은 블랙키 로리스 작사/작곡이다.| # | 제목 | 길이 |
|---|---|---|
| 1 | 타이타닉 서곡 (The Titanic Overture) | 3:31 |
| 2 | 보이지 않는 소년 (The Invisible Boy) | 5:12 |
| 3 | 쾌락의 경기장 (Arena of Pleasure) | 4:59 |
| 4 | 전기톱 찰리 (새 영안실의 살인) (Chainsaw Charlie (Murders in the New Morgue)) | 7:48 |
| 5 | 집시와 소년의 만남 (The Gypsy Meets the Boy) | 4:15 |
| 6 | 닥터 록터 (Doctor Rockter) | 3:51 |
| 7 | 나는 하나 (I Am One) | 5:25 |
| 8 | 우상 (The Idol) | 8:40 |
| 9 | 내 마음을 잡아요 (Hold On to My Heart) | 4:22 |
| 10 | 나의 위대한 오해 (The Great Misconceptions of Me) | 9:44 |
| 총 길이: | 57:47 | |
3. 2. 1998년 재발매반 보너스 트랙
1998년에 발매된 리마스터 에디션에는 다음과 같은 보너스 트랙과 보너스 디스크가 포함되었다.'''보너스 트랙'''
# 조나단의 이야기 (크림슨 아이돌 서문) (The Story of Jonathan (Prologue to the Crimson Idol)) – 16:35
'''보너스 디스크'''
| # | 곡명 (원제) | 작사/작곡 | 비고 | 길이 |
|---|---|---|---|---|
| 1 | 거울 속의 환영 (Phantoms in the Mirror) | 블랙키 로리스 | 4:36 | |
| 2 | 찬가 (The Eulogy) | 블랙키 로리스 | 4:16 | |
| 3 | When the Levee Breaks | 존 보넘, 존 폴 존스, 멤피스 미니, 지미 페이지, 로버트 플랜트 | 레드 제플린 커버 | 7:06 |
| 4 | 우상 (The Idol) | 블랙키 로리스 | 라이브 어쿠스틱 버전 | 4:35 |
| 5 | 내 마음을 잡아요 (Hold On to My Heart) | 블랙키 로리스 | 라이브 어쿠스틱 버전 | 4:23 |
| 6 | 나는 하나 (I Am One) | 블랙키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4:58 |
| 7 | Wild Child | 블랙키 로리스, 크리스 홈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5:53 |
| 8 | 전기톱 찰리 (새 영안실의 살인) (Chainsaw Charlie (Murders in the New Morgue)) | 블랙키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8:24 |
| 9 | I Wanna Be Somebody | 블랙키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6:14 |
| 10 | 보이지 않는 소년 (The Invisible Boy) | 블랙키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4:15 |
| 11 | The Real Me | 피트 타운젠드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더 후 커버 | 3:41 |
| 12 | 나의 위대한 오해 (The Great Misconceptions of Me) | 블랙키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9:45 |
| 총 길이 | 68:06 | |||
3. 3. 1998년 재발매반 보너스 디스크
| # | 곡 제목 | 작곡가 | 비고 | 길이 |
|---|---|---|---|---|
| 1 | 거울 속의 환영 (Phantoms in the Mirror) | 로리스 | 4:36 | |
| 2 | 찬가 (The Eulogy) | 로리스 | 4:16 | |
| 3 | When the Levee Breaks | 존 보넘, 존 폴 존스, 멤피스 미니, 지미 페이지, 로버트 플랜트 | 레드 제플린 커버 | 7:06 |
| 4 | 우상 (The Idol) | 로리스 | 라이브 어쿠스틱 버전 | 4:35 |
| 5 | 내 마음을 잡아요 (Hold On to My Heart) | 로리스 | 라이브 어쿠스틱 버전 | 4:23 |
| 6 | 나는 하나 (I Am One) |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4:58 |
| 7 | Wild Child | 로리스, 크리스 홈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5:53 |
| 8 | 전기톱 찰리 (새 영안실의 살인) (Chainsaw Charlie (Murders in the New Morgue)) |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8:24 |
| 9 | I Wanna Be Somebody |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6:14 |
| 10 | 보이지 않는 소년 (The Invisible Boy) |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4:15 |
| 11 | The Real Me | 피트 타운젠드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더 후 커버 | 3:41 |
| 12 | 나의 위대한 오해 (The Great Misconceptions of Me) | 로리스 | 1992년 도닝턴 파크 라이브 | 9:45 |
| 총 길이 | 68:06 | |||
3. 4. 《Reidolized: The Soundtrack to The Crimson Idol (2018)》
''The Crimson Idol'' 앨범 발매 25주년을 기념하여 2018년 ''Reidolized: The Soundtrack to The Crimson Idol''이라는 제목의 기념 에디션이 발표되었다.[29]이 재녹음 앨범 프로젝트는 2017년 1월 23일에 처음 발표되었으며,[11] 앨범 제목과 세부 정보, 커버 아트는 2017년 11월 17일에 공개되었다.[12] 앨범은 2018년 2월 2일에 정식 발매되었다.[13][14]
이 에디션은 앨범 전곡을 새롭게 녹음하고, 기존에 수록되지 못했던 미발표곡들을 추가한 2CD 완전반 형태로 제작되었다.[29] 또한, 본래 앨범의 영화화를 위해 촬영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았던 영상 자료가 BD 및 DVD 형태로 포함되었다.[30]
W.A.S.P.는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유럽에서 ''Re-Idolized: The 25th Anniversary of the Crimson Idol''이라는 이름으로 25주년 기념 투어를 진행하기도 했다.
3. 4. 1. 디스크 1
| # | 제목 | 길이 | 비고 |
|---|---|---|---|
| 1 | The Titanic Overture | 3:31 | |
| 2 | The Invisible Boy | 4:18 | |
| 3 | Arena of Pleasure | 6:05 | |
| 4 | Chainsaw Charlie (Murders in the New Morgue) | 7:44 | |
| 5 | The Gypsy Meets the Boy | 4:14 | |
| 6 | Michael's Song | 1:52 | |
| 7 | Miss You | 8:07 | 대체 버전 |
| 8 | Doctor Rockter | 4:02 | |
| 총 길이 | 39:53 | ||
3. 4. 2. 디스크 2
wikitext| 번호 | 제목 | 재생 시간 |
|---|---|---|
| 1 | 아이 엠 원 (I Am One) | 6:28 |
| 2 | 더 아이돌 (The Idol) | 6:44 |
| 3 | 홀드 온 투 마이 하트 (Hold On to My Heart) | 4:14 |
| 4 | 헤이 마마 (Hey Mama) | 1:41 |
| 5 | 더 로스트 보이 (The Lost Boy) | 4:37 |
| 6 | 더 피스 (The Peace) | 5:59 |
| 7 | 쇼 타임 (Show Time) | 1:11 |
| 8 | 더 그레이트 미스컨셉션즈 오브 미 (The Great Misconceptions of Me) | 9:59 |
| 총 재생 시간 | 40:53 | |
4. 제작진
''The Crimson Idol'' 앨범과 2018년 재녹음 앨범 ''Reidolized: The Soundtrack to The Crimson Idol''의 제작에는 여러 뮤지션과 기술진이 참여했다. 블랙키 롤리스는 두 앨범 모두에서 보컬, 작곡, 프로듀싱 등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1992년 오리지널 앨범에는 밥 쿨릭, 프랭키 바날리 등이 주요 연주자로 참여했으며, 2018년 앨범에는 더그 블레어, 마이크 듀다 등이 참여했다. 두 앨범의 아트 디렉션과 커버 아트는 존 코쉬가 담당했다.
각 앨범의 구체적인 참여 인원과 역할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4. 1. 《The Crimson Idol》 (1992)
| 구분 | 이름 | 역할 |
|---|---|---|
| 참여 인원 | 블랙키 롤리스 | 보컬, 리듬 기타, 키보드, 베이스 |
| 밥 쿨릭 | 리드 기타 | |
| 프랭키 바날리 | 드럼 | |
| 스탯 하울랜드 | 드럼 | |
| 더그 올드리치 | 리드 기타 ("Arena of Pleasure" 참여, 크레딧 없음) | |
| 제작 | 블랙키 롤리스 | 프로듀서, 편곡 |
| 마이키 데이비스 | 엔지니어, 믹싱 | |
| 로스 로빈슨 | 보조 엔지니어 | |
| 이안 쿠퍼 | 마스터링 | |
| 존 코쉬 | 아트 디렉터, 커버 아트 |
4. 2. 《Reidolized: The Soundtrack to The Crimson Idol (2018)》
- 블랙키 로리스(Blackie Lawless) – 보컬, 기타, 키보드, 베이스 기타, 편곡, 총괄 프로듀서
- 더그 블레어 – 리드 기타, 백 보컬
- 마이크 듀다(Mike Duda) – 베이스 기타
- 마이크 듀프키 – 드럼
- 프랭키 바날리 – 드럼 ( "The Peace" )
'''제작'''
- 벤지 하웰(Benji Howell) – 프로듀서
- 마크 자본(Mark Zavon) – 엔지니어
- 로건 메이더 – 믹싱
- 랄프 지먼(Ralph Ziman) – 감독
- 존 코쉬(John Kosh) – 앨범 커버 디자이너 및 아트 디렉터
5. 평가
독일의 음악 잡지 록 하드는 1992년 6월호에서 《The Crimson Idol》을 '이달의 앨범'으로 선정했다. 평론가는 이 앨범이 이전 작품들처럼 "힘, 거침, 멜로디의 충만함, 서사적 광대함"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으며, 수록곡들은 "항상 세계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거의 근접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10점 만점에 9.5점을 부여했다.[33][16] 다른 매체들의 평가는 다소 엇갈렸는데, 올뮤직은 5점 만점에 3점을,[31] 컬렉터스 가이드 투 헤비 메탈은 10점 만점에 6점을 주었다.[32][15]
6. 차트 성적
''The Crimson Idol'' 앨범과 관련 싱글들은 발매 이후 여러 국가의 음악 차트에서 순위를 기록하며 주목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