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리그는 대한민국의 대학 축구 리그로, 2023년에는 1부 리그인 U리그1과 2부 리그인 U리그2로 나뉘어 총 85개 대학 축구부가 참가한다. U리그1은 4개 권역, U리그2는 6개 권역으로 운영되며, 각 리그는 권역별 리그와 챔피언십(왕중왕전)으로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학 축구 대회 - U리그1
U리그1은 대한민국의 대학 축구 리그로, 대학 축구 발전과 선수 육성을 목표로 다양한 팀들이 경쟁하며 한국 사회와 국제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대한민국의 대학 축구 대회 -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전국대학축구연맹전은 매년 춘계와 추계에 걸쳐 열리는 대한민국의 대학 축구 대회이며, 1, 2학년 대학축구연맹전도 개최하여 저학년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 2008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리가 1 (인도네시아)
리가 1은 인도네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여러 리그 통합 및 혼란기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승강제를 통해 리가 2와 교류하고, 스폰서십을 받아 "고젝 트래블로카 리가1"으로도 불리는 인도네시아 축구의 중심 리그이다. - 2008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콘티넨탈 하키 리그
콘티넨탈 하키 리그(KHL)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여러 국가 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아이스하키 리그로, 가가린컵을 놓고 경쟁하며, 비행기 추락 사고와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영향을 받았고, 동부와 서부 컨퍼런스로 나뉘어 운영되며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적인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은 1964년부터 2002년까지 운영된 대한민국의 실업 축구 리그로, K리그 출범 전에는 최상위 리그 역할을 했으며 춘계와 추계 리그로 나뉘어 매년 두 차례 개최되었다. - 축구 리그 -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는 대한민국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축구 선수들이 참가하는 리그 시스템으로, 유소년 축구 시스템 개선을 위해 2009년 도입되어 대한축구협회 등의 주관으로 운영되며 각 리그별 우승팀과 개인 수상자를 배출한다.
| U리그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U리그 |
| 영문 명칭 | U-League |
| 다른 뜻 | U-리그 |
![]() | |
| 주최 기관 | 대한축구협회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
| 주관 | 한국대학축구연맹 |
| 후원사 |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
| 국가 | 대한민국 |
| 시즌 시작 | 3월 |
| 시즌 종료 | 11월 |
| 개최 주기 | 매년 |
| 첫 시즌 | 2008 |
| 팀 수 (2023) | 83개 |
| 상위 리그 | (없음) |
| 하위 리그 | (없음) |
| 국내 컵 | 한국 FA컵 (2008–2019) |
| 리그 컵 | (없음) |
| 대륙 컵 | (없음) |
| 최근 우승팀 (2023) | 중앙대학교 |
| 최다 우승팀 | 중앙대학교 (2회) 단국대학교 (2회) 고려대학교 (2회) 연세대학교 (2회) 용인대학교 (2회) |
| 웹사이트 | 한국대학축구연맹 대한축구협회 U리그 |
| 현재 시즌 | U리그1 2023 U리그2 2023 |
| 중계 | 네이버스포츠 KUSF SPORT |
| 리그 구조 | |
| 디비전 | U리그1 (1부 리그) U리그2 (2부 리그) |
| 승격 | (정보 없음) |
| 강등 | (정보 없음) |
| 단계 | (정보 없음) |
2. 역사
2. 1. 출범 배경
2. 2. 발전 과정
3. 참가 학교
2023년 U리그는 1부 리그인 U리그1과 2부 리그인 U리그2로 나뉘어 진행되며, 총 85개 대학 축구부가 참가한다.[1][2][3][4][5][6][7][8][9][10] 각 리그는 권역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U리그1은 4개 권역, U리그2는 6개 권역으로 운영된다.
| U리그1 권역 1[1] | U리그1 권역 2[2] |
|---|---|
| U리그1 권역 3[3] | U리그1 권역 4[4] |
| U리그2 권역 5[5] | U리그2 권역 6[6] |
| U리그2 권역 7[7] | U리그2 권역 8[8] |
| U리그2 권역 9[9] | U리그2 권역 10[10] |
3. 1. 2023 시즌 참가 학교
2023년 U리그는 1부 리그인 U리그1과 2부 리그인 U리그2로 나뉘어 진행되며, 총 85개 대학 축구부가 참가한다.[1][2][3][4][5][6][7][8][9][10] 각 리그는 권역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U리그1은 4개 권역, U리그2는 6개 권역으로 운영된다.| U리그1 권역 1[1] | U리그1 권역 2[2] |
|---|---|
| U리그1 권역 3[3] | U리그1 권역 4[4] |
| U리그2 권역 5[5] | U리그2 권역 6[6] |
| U리그2 권역 7[7] | U리그2 권역 8[8] |
| U리그2 권역 9[9] | U리그2 권역 10[10] |
4. 우승
4. 1. 시즌별 우승 학교
| 시즌 | 대회 명칭 | 최우수 선수 | 최다 득점자 | |||
|---|---|---|---|---|---|---|
| 2008 | I | 2008 대한축구협회 U리그 | 경희대학교 | 한양대학교 | 이호 (경희대학교) | 고경민 (한양대학교) |
| 2009 | II | 2009 대한축구협회 U리그 | 단국대학교 | 전주대학교 | 배일환 (단국대학교) | 고경민 (한양대학교) |
| 2010 | III | 2010 olleh kt U리그 | 연세대학교 | 경희대학교 | 이원규 (연세대학교) | 정성민 (광안대학교) |
| 2011 | IV | 2011 대한축구협회 U리그 | 홍익대학교 | 울산대학교 | 심동운 (홍익대학교) | 전현철 (아주대학교) |
| 2012 | V | 2012 카페베네 U리그 | 연세대학교 | 건국대학교 | 김도혁 (연세대학교) | 박준희 (건국대학교) |
| 2013 | VI | 2013 카페베네 U리그 | 영남대학교 | 홍익대학교 | 손준호 (영남대학교) | 정민우 (호남대학교) |
| 2014 | VII | 2014 카페베네 U리그 | 광운대학교 | 단국대학교 | 김민혁 (광운대학교) | 안수현 (조선대학교) |
| 2015 | VIII | 2015 카페베네 U리그 | 용인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이한도 (용인대학교) | 김민규 (단국대학교) |
| 2016 | IX | 2016 인천국제공항공사 U리그 | 고려대학교 | 송호대학교 | 채정관 (고려대학교) | 남희철 (동국대학교) |
| 2017 | X | 2017 대한축구협회 U리그 | 고려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정택훈 (고려대학교) | 이현식 (용인대학교) |
| 2018 | XI | 2018 대한축구협회 U리그 | 용인대학교 | 중앙대학교 | 장원빈 (용인대학교) | 장호승 (중앙대학교) |
| 2019 | XII | 2019 대한축구협회 U리그 | 중앙대학교 | 상지대학교 | 이동진 (중앙대학교) | 이준호 (중앙대학교) |
| 2020 | XIII | 2020 대한축구협회 U리그 | 선문대학교 | 동국대학교 | align="right" | | align="right" | |
| 2021 | XIV | 2021 대한축구협회 U리그 | 전주대학교 | 동의대학교 | align="right" | | align="right" | |
| 2022 | XV | 2022 대한축구협회 U리그 | 단국대학교 | 김천대학교 | align="right" | | align="right" | |
| 2023 | XVI | 2023 대한축구협회 U리그 | 중앙대학교 | 숭실대학교 | align="right" | | align="right" | |
4. 2. 학교별 우승 횟수
| 학교 | 10픽셀 우승 | 10픽셀 준우승 | 권역우승 |
|---|---|---|---|
| 고려대학교 | 2회 (2016, 2017) | 4회 (2011, 2014, 2015, 2016) | |
| 연세대학교 | 2회 (2010, 2012) | 1회 (2010) | |
| 단국대학교 | 2회 (2009, 2022) | 1회 (2014) | 2회 (2009, 2015) |
| 용인대학교 | 2회 (2015, 2018) | 1회 (2015, 2016) | |
| 중앙대학교 | 2회 (2019, 2023) | 1회 (2018) | 1회 (2011) |
| 경희대학교 | 1회 (2008) | 1회 (2010) | 1회 (2009) |
| 홍익대학교 | 1회 (2011) | 1회 (2013) | 1회 (2014) |
| 영남대학교 | 1회 (2013) | 5회 (2012, 2013, 2014, 2015, 2016) | |
| 광운대학교 | 1회 (2014) | 2회 (2010, 2012) | |
| 선문대학교 | 1회 (2020) | ||
| 전주대학교 | 1회 (2021) | 2회 (2009, 2017) | 2회 (2011, 2016) |
| 건국대학교 | 1회 (2012) | 3회 (2010, 2012, 2013) | |
| 성균관대학교 | 1회 (2015) | 4회 (2011, 2012, 2014, 2015) | |
| 울산대학교 | 1회 (2011) | 3회 (2010, 2011, 2016) | |
| 한양대학교 | 1회 (2008) | ||
| 송호대학교 | 1회 (2016) | ||
| 상지대학교 | 1회 (2019) | ||
| 동국대학교 | 1회 (2020) | ||
| 동의대학교 | 1회 (2021) | 4회 (2012, 2013, 2014, 2015) | |
| 김천대학교 | 1회 (2022) | ||
| 숭실대학교 | 1회 (2023) | 2회 (2012, 2014) | |
| 호남대학교 | 5회 (2010, 2012, 2013, 2015, 2016) | ||
| 광주대학교 | 4회 (2012, 2013, 2014, 2015) | ||
| 우석대학교 | 2회 (2009, 2014) | ||
| 한남대학교 | 2회 (2011, 2014) | ||
| 아주대학교 | 2회 (2013, 2016) | ||
| 가톨릭관동대학교 | 2회 (2014, 2016) | ||
| 호원대학교 | 1회 (2010) | ||
| 명신대학교 | 1회 (2011) | ||
| 한라대학교 | 1회 (2015) | ||
| 청주대학교 | 1회 (2015) | ||
| 인천대학교 | 1회 (2016) | ||
| 배재대학교 | 1회 (2016) | ||
5. 운영 방식
5. 1. 권역별 리그
5. 2. 챔피언십 (왕중왕전)
6. 평가 및 전망
6. 1. 긍정적 평가
6. 2. 비판적 평가
6. 3. 개선 방안 및 전망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2]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3]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4]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5]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6]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7]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8]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9]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10]
웹사이트
https://kusf.or.kr/l[...]
KUSF
2023-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