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축구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축구협회는 1933년 설립되어 한국 축구의 보급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다. 1921년 전조선 축구대회를 시작으로, 1948년 FIFA에 가입하고 1954년 AFC 창설 멤버가 되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국내 축구 리그 및 대회 운영, 축구 경기인 관리 및 육성, 국제 교류, 유소년 축구 지원 등이 있으며, K리그, WK리그, FA컵 등을 주관한다. 현재 정몽규가 회장이며, 여러 국가대표팀과 시상식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나이키, KEB하나은행 등과 공식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과거 승부 조작 사면 시도, 판다컵 트로피 훼손 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는 1928년에 설립되어 1998년에 AFC와 FIFA에 가입한 팔레스타인의 축구 행정 기구로서,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리그 시스템을 운영하고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관리하며 현재 회장은 지브릴 라주브이다.
  • 대한축구협회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는 해방 직후 한국 축구 발전과 선수 발굴에 기여했으나, K리그 출범과 FA컵 신설로 위상이 낮아져 2000년 폐지 후 FA컵에 흡수 통합된 아마추어 스포츠 대회이다.
  • 대한축구협회 - 춘계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
    춘계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축구 대회로, 1989년 대회에서는 경신고등학교 축구단이 우승하고 여러 개인상을 휩쓸었다.
대한축구협회
기본 정보
대한민국 축구 협회 로고
대한민국 축구 협회 로고
설립일1933년 9월 19일
본부서울특별시 종로구
FIFA 가입일1948년 5월 21일
AFC 가입일1954년 5월 21일
EAFF 가입일2002년 5월 28일
웹사이트kfa.or.kr
약칭KFA
협회 정보
회장정몽규
부회장7명 (직책 명칭은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한국어 명칭
한글대한축구협회
한자大韓蹴球協會
로마자 표기Daehan Chukgu Hyeophoe
매큔-라이샤워 표기Taehan Ch'ukku Hyŏphoe
일본어 명칭
이름韓国サッカー協会
원어 이름朝鮮語
원어 표기대한축구협회
원어 이름2영어
원어 표기2Korea Football Association
약칭KFA
영어 명칭
영어Korea Football Association
약칭KFA
관련 단체
프로 리그 연맹한국프로축구연맹

2. 역사

1921년 첫 번째 전조선 축구대회가 열렸고, 1933년 (1928년 조선심판협회 설립에 이어) 대한축구협회가 조직되어 축구 보급과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1] 박승빈은 대한축구협회 초대 회장으로서 한국에서 조직적인 축구를 홍보하고 확산시키는 임무를 맡았다.[2]

1948년 대한민국 수립 후 대한축구협회는 재건되어 같은 해 FIFA 회원이 되었고, 1954년 AFC에 가입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 축구 경기에 참가하여 첫 국제 무대를 밟았고,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 참가했으나 조별리그에서 전패를 기록했다.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 축구는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하며 '아시아의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1971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를 개최하여 국제 축구 교류를 활성화했다.

1983년 프로와 실업팀이 모두 참가하는 "슈퍼리그"가 출범하였고, 1994년 K리그로 발전하게 된다. J리그를 모델로 삼아 지역 밀착형 클럽을 육성하고 참가 클럽 수를 늘려 전국적인 축구 붐을 조성했고,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1996년부터 3년 연속 우승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1986년 멕시코 월드컵부터 꾸준히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2023년 3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승부 조작 가담자 48명을 포함한 축구 관련 종사자 100명에 대한 사면을 시도했으나, 팬과 언론의 반발에 부딪혀 3일 만에 취소했다.[3]

2. 1. 조선축구협회 창립 (1933년)

1928년 5월 22일 "조선심판협회"가 창립되었고, 이를 모태로 1933년 9월 19일 "조선축구협회"가 정식으로 창립되었다. 초대 회장으로는 박승빈이 취임하였다. 박승빈은 대일본축구협회 이사이기도 했다.[1] 그는 조선에서 조직적인 축구를 홍보하고 확산시키는 임무를 맡았다.[2]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는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한반도 출신 김용식이 출전하였다.[1] 1940년 도쿄 올림픽(1938년 7월 15일 개최권 반납)에는 김용식, 배종호, 김성한, 이유영 4명이 선출되었다.[1] 1939년1940년에 열린 일본, 만주국, 중화민국(汪精衛 정권)이 참가한 일만화 교환 경기대회 및 동아경기대회에는 도쿄 올림픽에 출전할 예정이었던 조선 출신 선수들이 일본 대표로 출전하였다.[1]


2. 2. 대한축구협회 재건 (1948년)

1945년 광복 이후, 같은 해 9월에 조선축구협회가 재건되었다.[7] 1947년에는 국제축구연맹(FIFA)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입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7]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조선축구협회는 대한축구협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같은 해 FIFA에 가입하였다.[7]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 축구 경기에 참가하여 첫 국제 무대를 밟았다.[7] 1954년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창설 멤버로 가입하였고,[7] 같은 해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 참가했으나 조별리그에서 전패를 기록했다.

2. 3. 한국 축구의 성장과 발전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 축구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하며 '아시아의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71년에는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를 개최하여 국제 축구 교류를 활성화하고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1983년에는 프로와 실업팀이 모두 참가하는 "슈퍼리그"가 출범하였고, 이는 1994년 '''K리그'''로 발전하게 된다. J리그를 모델로 삼아 지역 밀착형 클럽을 육성하고 참가 클럽 수를 늘려 전국적인 축구 붐을 조성했다. 그 결과, 한국 축구는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1996년부터 3년 연속 우승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8]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1986년 멕시코 월드컵부터 꾸준히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특히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8]

3. 주요 사업

대한축구협회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주관한다.


  • 국제 교류: 국제 경기 대회 및 국제 회의를 개최한다.[1]
  • 전국 규모 대회 주최 및 주관: 전국 규모의 각종 축구 대회를 주최하고 주관한다.
  • 축구 인재 육성: 축구 선수, 심판, 지도자 등 축구 경기인을 관리하고 육성한다.[1]


축구 경기인 관리 및 육성
종류내용
선수선수 육성 및 관리
심판심판 육성 및 관리
지도자지도자 육성 및 관리


3. 1. 경기 운영 및 지원

대한축구협회는 국내 축구 리그와 각종 축구 대회를 운영하고 지원한다.

대회비고현 챔피언다음 시즌
대한민국 FA컵1996년부터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축구 대회.포항 스틸러스 (2023)2024년 대한민국 FA컵
K3리그2020년부터 개최되는 남자 준프로 리그.화성 FC (2023)2024년 K3리그
K4리그2020년부터 개최되는 남자 준프로 리그.여주 FC (2023)2024년 K4리그
WK리그2009년부터 개최되는 여자 준프로 리그.인천 현대제철 레드 엔젤스 (2023)2024년 WK리그
U리그2008년부터 개최되는 대학 리그.중앙대학교 (2023)2024 U리그


  • 조선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개최된 전국 대회. (1921년~1937년 대회는 조선체육회에서 주관.)
  • 대한민국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 1946년부터 2000년까지 개최된 전국 대회.
  • 대한민국 대통령배: 1952년부터 2009년까지 준프로 및 아마추어 클럽들이 참가한 컵 대회.
  • 코리아컵: 1971년부터 1999년까지 매년 개최된 국제 대회.
  • K리그: 1983년부터 1994년까지 개최된 프로 리그. (이후 시즌은 K리그 연맹에서 주관.)


1983년에는 "슈퍼리그"가 탄생했다. 기존의 실업팀뿐 아니라 프로 클럽도 참가하는 이 리그는 이후 프로 클럽으로만 구성되었고, 1994년에는 K리그로 발전했다. 지역에 "지역밀착형" 클럽을 탄생시키고 매년 참가 클럽을 늘려 전국 각지에 축구를 보급하는 방식은 J리그를 본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통해 한국 축구의 수준은 더욱 향상되었고,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1996년부터 3년 연속 K리그 클럽이 우승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 대표팀1986년 월드컵 멕시코 대회부터 연속으로 본선에 참가했고, 자국에서 개최된 월드컵 한일 대회에서는 4위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8]

레벨리그
1K리그1

''2024년 K리그1
일정: 3월 1일 - 11월 24일
2K리그2
3K3리그
4K4리그
5K5리그
6K6리그
7K7리그



레벨리그
1WK리그
2024년 WK리그
일정: 3월 16일 - 9월 26일


3. 2. 국제 교류

대한축구협회는 국제 경기 대회 및 국제 회의를 개최한다.[1]

3. 3. 축구 인재 육성

대한축구협회는 축구 경기인을 관리하고 육성한다.[1]

축구 경기인 관리 및 육성
종류내용
선수선수 육성 및 관리
심판심판 육성 및 관리
지도자지도자 육성 및 관리


4. 조직

대한축구협회는 회장, 이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사업국 등 다양한 부서를 두고 있다.[19]

구분내용
최고 의결 기구대의원총회
집행 기구이사회
회장단회장, 부회장, 전무이사, 사무총장
산하 연맹프로, 실업단, 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여성


4. 1. 임원진

정몽규 회장, 김정배, 한준희, 장외룡, 원영신, 하석주, 최영일, 이석재 부회장이 있다.[19] 정해성 (경기), Michael Müller (개발), 이림생 (기술), 소진 (공정), 서동원 (의무), 이윤남 (윤리), 김태영 (사회), 이정민 (심판) 본부장과 이태호 재무 감사, 손호영 감사도 임원진에 포함된다.[19]

4. 2. 사무국

대한축구협회는 회장, 부회장, 전무이사, 사무총장 아래 다음과 같은 조직을 두고 있다.[19]

조직
협의국
심판실
기술교육부
홍보국
대외협력국
대표팀 지원부
국제부
총무부
사업국
기술국
월드컵 기념관
기획실


4. 3. 위원회


  • 이사회 산하 분과 위원회
  • * 기술분과위원회
  • * 경기분과위원회
  • * 심판분과위원회
  • * 상벌분과위원회
  • * 의무분과위원회
  • * 유소년분과위원회[19]

5. 역대 회장

#년도이름[9]
조선심판협회
1928–33 | 신기준[10]
조선축구협회
1933–34 | 박승빈
1934–38 | 여운형
1938–45 | 고원훈
1945–48 | 하경덕[11]
대한축구협회
1948–49 | 신익희
1949 | 홍성하
1949–50 | 윤보선
1950–52 | 홍성하
1952–54 | 장택상
1954–55 | 이종림
1955 | 현정주
1955–57 | 김명학
1957–60 | 김윤기
1960 | 장기영
1960–61 | 정문기
1961–62 | 장기영
1962 | 김윤기
1962–63 | 장기영
1963 | 황엽
1963–64 | 김윤기
1964 | 민관식
1964–70 | 최치환
1970–73 | 장덕진
1973–75 | 고태진
1975–78 | 김윤하
1978–79 | 박준홍
1979–87 | 최순영
1987–88 | 이종환
1988–93 | 김우중
1993–09 | 정몽준
2009–13 | 조중연
2013–현재 | 정몽규


6. 산하 단체

대한축구협회는 산하에 시도 협회, 회원 단체, 해산 및 탈퇴 단체를 두고 한국 축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1. 시도 협회

지역협회명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축구협회
경기도경기도축구협회
경상남도경상남도축구협회
경상북도경상북도축구협회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축구협회
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 축구협회
대전광역시대전축구협회
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축구협회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축구협회
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축구협회
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축구협회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축구협회
전라남도전라남도축구협회
전라북도전라북도축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축구협회
충청남도충청남도축구협회
충청북도충청북도축구협회


6. 2. 회원 단체

대한축구협회의 회원 단체는 다음과 같다.

6. 3. 해산 및 탈퇴 단체

명칭활동 기간
한국실업축구연맹? ~ ?
한국고등학교축구연맹? ~ ?
한국중등축구연맹? ~ ?
한국유소년축구연맹? ~ ?


7. 주관 대회

대한축구협회는 코리아컵,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 K3리그, 전국유소년축구대회,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화랑대기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 등을 주관한다.

7. 1. 국내 대회

대회비고현 챔피언다음 시즌
대한민국 FA컵1996년부터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축구 대회.포항 스틸러스 (2023)2024년 대한민국 FA컵
K3리그2020년부터 개최되는 남자 준프로 리그.화성 FC (2023)2024년 K3리그
K4리그2020년부터 개최되는 남자 준프로 리그.여주 FC (2023)2024년 K4리그
WK리그2009년부터 개최되는 여자 준프로 리그.인천 현대제철 레드 엔젤스 (2023)2024년 WK리그
U리그2008년부터 개최되는 대학 리그.중앙대학교 (2023)2024 U리그


  • 조선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개최된 전국 대회. (1921년~1937년 대회는 조선체육회에서 주관.)
  • 대한민국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 1946년부터 2000년까지 개최된 전국 대회.
  • 대한민국 대통령배: 1952년부터 2009년까지 준프로 및 아마추어 클럽들이 참가한 컵 대회.
  • K리그: 1983년부터 1994년까지 개최된 프로 리그. (이후 시즌은 K리그 연맹에서 주관.) 1983년에는 "'''슈퍼리그'''"가 탄생했다. 기존의 실업팀뿐 아니라 프로 클럽도 참가하는 이 리그는 이후 프로 클럽으로만 구성되었고, 1994년에는 '''K리그'''로 발전했다. 지역에 "지역밀착형" 클럽을 탄생시키고 매년 참가 클럽을 늘려 전국 각지에 축구를 보급하는 방식은 J리그를 본받은 것으로 여겨진다.[8]

7. 2. 국제 대회

코리아컵은 대한축구협회가 주관하여 1971년부터 1999년까지 매년 개최된 국제 대회이다.[6]

8. 국가대표팀

대한축구협회는 다양한 연령대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운영하고 있다. 남자 대표팀과 여자 대표팀으로 나뉘며, 각 대표팀은 연령별, 종목별(축구, 풋살, 비치사커)로 구성되어 있다.


8. 1. 남자 국가대표팀

8. 2. 여자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20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며,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대한민국 여자 풋살 국가대표팀은 풋살 종목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한다.


9. 시상

대한축구협회는 매년 대한축구협회 시상식을 개최하여 한 해 동안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한 선수, 지도자, 심판 등을 시상한다. 주요 시상 부문으로는 올해의 선수, 올해의 영플레이어, 올해의 지도자, 올해의 골, 올해의 심판, 올해의 클럽 등이 있다.[6] 과거에는 베스트 XI, 명예의 전당 등을 시상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9. 1. 현행 시상 부문

9. 2. 폐지된 시상 부문

10. 스폰서

대한축구협회 공식 파트너사 (2024년 기준)
공식 파트너



과거 스폰서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 스폰서 계약을 통해 풍부한 자금을 확보하여 연간 예산은 1조 이상이다.[14]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대한축구협회는 나이키 코리아와 4년간 490억(현금 250억 + 물품 240억)의 계약을 체결했다.

2012년 1월 13일, 대한축구협회는 나이키 코리아와 2012년부터 2019년까지 8년간 총액 1200억(현금 600억 + 물품 600억), 1년에 현금 75억과 축구 용품 75억 상당을 받는 재계약을 체결했다.[15] 이는 한국 스포츠 역사상 최고액 계약이며, 현재 스폰서는 12개사이다.

11. 논란 및 사건 사고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과 관련하여, 대한축구협회는 2023년 3월 28일 승부조작 가담자 48명을 포함한 축구 관련 종사자 100명에 대한 사면을 시도했으나, 팬과 언론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3일 만에 사면을 철회했다.[3]

2016년 1월 30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3세 이하 아시아축구선수권 대회 결승전 한일전을 앞두고 대한축구협회는 응원 구호를 "일본은 한국의 우승 자판기"로 정했다고 발표했으나[16], 경기 결과는 3대 2로 일본이 승리했다.[17]

2019년 5월 29일, 중국 쓰촨성 청두시에서 열린 18세 이하 남자 축구 유스 국제 대회인 판다컵에서 우승한 한국팀 선수가 트로피를 발로 밟는 행위로 인해 중국 측으로부터 "모욕적인 행위"라는 항의를 받았고, 이에 대한축구협회는 공식적으로 사과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result of All Joseon Football Tournament http://www.kfa.or.kr[...] KFA
[2] 웹사이트 KFA former Presidents http://www.kfa.or.kr[...] KFA
[3] 뉴스 100명 꼼수 사면한 축구협회… 비난 들끓자 사흘만에 철회 https://www.chosun.c[...] The Chosun Ilbo 2023-03-31
[4] 웹사이트 KFA 조직 - 임원명단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1-07-10
[5] 웹사이트 National teams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1-09-12
[6] 웹사이트 손흥민-장슬기 올해의 선수 선정... 올해의 골은 조규성 https://www.kfa.or.k[...] KFA 2020-12-15
[7] 웹사이트 About AFC(AFCについて 歴史など説明)-AFC公式HP英語版2007年9月6日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 http://www.fifa.com/[...] FIFA 2016-08-29
[9] 웹사이트 KFA 대한축구협회 https://www.kfa.or.k[...] 2022-05-28
[10] 웹사이트 [역사속 스포츠 '오늘'] 조선축구협회 창립 http://news.tf.co.kr[...] 2017-09-19
[11] 웹사이트 이홍구 칼럼 하경덕의 『사회법칙』 80주년 https://www.joongang[...] 2010-03-08
[12] 웹사이트 日本代表 https://jfa.jp/natio[...] 日本サッカー協会 2023-07-09
[13] 웹사이트 日本代表 https://jfa.jp/natio[...] 日本サッカー協会 2023-07-09
[14] 뉴스 大韓サッカー協会、横領の職員に退職金1億ウォン超-朝鮮日報2012/01/27 https://megalodon.jp[...] 조선일보 2012-01-27
[15] 뉴스 韓国サッカー協会、ナイキと8年・1200億ウォンで契約(1)-中央日報日本語版2012/1/16 https://megalodon.jp[...] 중앙일보 2012-01-16
[16] 웹사이트 大韓サッカー協会「日本は韓国の優勝自販機」 http://www.chosunonl[...] chosunonline 2016-01-30
[17] 웹사이트 サッカーU23リオ五輪予選 日本が優勝 https://www.nhk.or.j[...] NHK NEWS WEB 2016-01-31
[18] 뉴스 韓国、優勝トロフィー踏みつけ謝罪 中国のサッカー大会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5-30
[19] 웹인용 대한축구협회 조직도 http://www.kfa.or.kr[...] 2012-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