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1.1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1.11은 적색편이 z = 1.11에 위치하며 지구로부터 약 88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는 38개의 퀘이사로 구성된 구조이다. 클로스-캄파사노 LQG, U1.54와 인접해 있으며, 거대 은하 필라멘트의 진화를 시사한다. U1.11은 우주론적 원리에 따라 예상되는 최대 구조 크기를 초과하여 현대 우주론적 모델과 모순을 일으킬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U1.11과 같은 거대 우주 구조 연구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발견한 천체 - 케르베로스 (위성)
케르베로스는 2011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발견된 명왕성의 위성으로, 닉스와 히드라 궤도 사이를 약 32일 주기로 공전하며, 이중 엽 모양의 불규칙한 형태에 물 얼음이 존재하고, 2015년 뉴 호라이즌스 우주선에 의해 촬영되었다. - 2011년 발견한 천체 - C/2011 L4
C/2011 L4 (PANSTARRS)는 2011년에 발견되어 2013년 3월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했으며, 2013년 2월에는 6등급으로 밝아졌지만 예상보다 약해져 최대 1등급으로 관측되었다. - 퀘이사 - 아인슈타인 십자가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퀘이사가 렌즈 은하의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4개의 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 퀘이사 - 백조자리 A 은하
- 은하 필라멘트 - 슬론 장성
슬론 장성은 13억 7천만 광년 거리에 있는 거대한 우주 구조로, 13억 7천만 광년의 길이를 가지며 여러 초은하단을 포함하지만, 겹쳐 보이는 현상이라는 주장도 있다. - 은하 필라멘트 - 거대퀘이사군
거대퀘이사군은 수십 개의 퀘이사로 구성된 우주의 대규모 구조로, 기존 우주론적 모델에 도전하며 우주 대규모 구조 형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한다.
U1.11 | |
---|---|
기본 정보 | |
별자리 | 처녀자리 |
적경 | 11ʰ 28ᵐ 36.12ˢ |
적위 | +41° 08′ 19.5″ |
거리 | 90억 광년 |
식별 | |
이름 | Clowes–Campusano LQG |
유형 | 거대 퀘이사 군 |
발견 | |
발견자 | 로저 G. 클로스, 루이스 E. 캄푸사노, 매튜 J. 그레이엄, 일로나 K. 소팅 |
발견일 | 2012년 |
참고 문헌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
2. 특성
U1.11은 클로스-캄파사노 LQG (Clowes-Campusano LQG, CCLQG)에서 약 2°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6][1] 적색편이 z = 1.11에 위치하며, 이는 지구로부터 약 88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해당한다.[6][1] CCLQG 및 또 다른 LQG인 U1.54와 인접해 있다.[6][1] 38개의 퀘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1] 거대 은하 필라멘트의 진화를 시사할 수 있다.
우주론적 원리에 따르면, 우주의 서로 다른 부분 내의 물질과 에너지의 무작위 분포는 대략 균일하고 등방적이어야 하며, 이러한 물체의 무작위 과밀도는 충분히 큰 규모로 투영될 경우 작아야 한다. 야다브(Yadav) 외 연구진은 최대 구조 크기가 약 260 h/Mpc 정도일 것으로 추정했으며,[2] 다른 연구에서는 70-130 h/Mpc 값을 제시했다.[3][4][5] 더 최근의 계산에서는 370 Mpc 이내의 값을 제시한다. 그러나 U1.11은 지배적인 규모보다 두 배나 컸으며, 해당 규모보다 더 큰 다른 구조도 발견되었다. (일부 구조는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거대 벽과 같이 규모를 8배나 초과한다.) 또한, 이 구조가 Huge-LQG, CCLQG 및 U1.54에 가깝다는 점을 고려할 때,[1] 이는 현대 우주론적 모델과 큰 모순을 이룰 것이다.
U1.11의 정확한 크기와 구조, 구성 퀘이사의 특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U1.11과 주변 LQG (Huge-LQG, CCLQG, U1.54) 간의 상호작용 및 진화 과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U1.11의 발견이 우주론적 원리와 표준 우주 모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역시 이루어져야 한다.
[1]
논문
Two close large quasar groups of size ∼ 350 Mpc at: Two close large quasar groups
3. 우주론적 원리와의 불일치
4. 추가 연구 및 과제
우주론적 원리에 따르면 우주의 다른 부분 안에서 물질과 에너지의 무작위 분포는 대략 동질적이고 등방성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물체의 무작위 과밀도는 충분히 큰 규모로 투영될 경우 작아야 한다.[7] 야다브 외 연구진은 구조적 최대 크기가 약 260h/Mpc라고 추정했지만,[7] 다른 연구에서는 70-130h/Mpc 값을 제시했다.[8][9][10] 최근의 계산은 370Mpc 내의 값을 제시한다. 그러나 U1.11은 상정 척도의 2배에 달했고, 다른 구조물들은 전술한 척도보다 더 큰 것으로 발견되었다.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거대 벽 등 8배수만큼 규모를 초과하는 구조도 있다.) 또한 Huge-LQG, CCLQG, U1.54에 근접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6] 현대 우주 모델과는 큰 모순이 될 것이다.
한국 천문학계는 U1.11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우주 거대 구조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조
[2]
논문
Fractal dimension as a measure of the scale of homogeneity: The scale of homogeneity
2010-04
[3]
논문
Cosmic Homogeneity Demonstrated with Luminous Red Galaxies
[4]
논문
The WiggleZ Dark Energy Survey: the transition to large-scale cosmic homogeneity: Cosmic homogeneity in the WiggleZ survey
[5]
논문
Seeing patterns in noise: gigaparsec-scale 'structures' that do not violate homogeneity
[6]
저널
Two close Large Quasar Groups of size ∼ 350 Mpc at z ∼ 1.2
[7]
저널
Fractal dimension as a measure of the scale of homogeneity
2010-02-25
[8]
저널
Cosmic Homogeneity Demonstrated with Luminous Red Galaxies
[9]
저널
The WiggleZ Dark Energy Survey: The transition to large-scale cosmic homogeneity
[10]
저널
Seeing patterns in noise: Gigaparsec-scale 'structures' that do not violate homogene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