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P-1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1b는 안드로메다자리에 있는 항성 WASP-1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6년에 발견되었다. 슈퍼WASP 계획을 통해 식 탐지법과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WASP 계획이 보고한 최초의 외계 행성 중 하나이다. 핫 쥬피터로 분류되며, 목성의 약 0.9배 질량을 가진 거대 가스 행성이다. 궤도는 별의 자전축과 79.0도로 어긋나 거의 극 궤도이며, 2.5일 만에 항성을 한 바퀴 돈다. 반지름은 목성의 약 1.5배이며, 밀도는 목성보다 낮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발견한 외계 행성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2006년 발견한 외계 행성 - 폴룩스 b
폴룩스 b는 폴룩스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6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Thestias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지만, 폴룩스의 자기적 가변성 때문에 행성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 뜨거운 목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뜨거운 목성 - WASP-3b
- 안드로메다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는 F형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큰 이심률의 궤도를 가지고, 질량이 커 가스 행성으로 추정된다. - 안드로메다자리 - 안드로메다 은하
지구에서 약 254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는 964년 알수피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고, 1920년대 허블에 의해 독립된 은하임이 밝혀졌으며, 우리 은하와 충돌하여 거대한 은하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는 나선 은하이다.
WASP-1b | |
---|---|
기본 정보 | |
![]() | |
발견 | |
발견자 | Cameron 외 (슈퍼WASP, SOPHIE) |
발견 장소 | 남아프리카 천문대(SAAO) |
발견 국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
발견일 | 2006년 9월 25일 |
발견 방법 | 통과 |
항성 정보 | |
항성 | WASP-1 |
궤도 정보 | |
궤도 긴반지름 | 0.0382 ± 0.0013 AU (571만4720 ± 19만4480 km) |
궤도 이심률 | 0 |
공전 주기 | 2.5199464 ± 0.0000008 일 |
궤도 경사 | 88.65 ± 0.55 ° |
통과 시각 | 2454461.863 ± 0.0002 JD |
준진폭 | 125 ± 5 m/s |
물리적 특징 | |
평균 반지름 | 1.484 RJ (21만2188.3 km) |
질량 | 0.86 ± 0.07 MJ |
평균 밀도 | (0.263 ρJ) |
표면 중력 | (9.7 m/s2) (1.27 g) |
표면 온도 | 1,800 K (1,800 K) |
2. 발견
WASP-1b는 외계 행성 탐사 프로젝트인 SuperWASP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2006년에 또 다른 외계 행성인 WASP-2b와 함께 발표되었는데, 이는 WASP 프로젝트가 보고한 최초의 외계 행성들이자 영국 주도의 관측 계획에서 발견된 첫 행성들이었다.[4] WASP-1b는 발견 당시 목성형 행성과 유사한 질량과 반지름을 가지지만, 모항성에 매우 가까이 공전하는 핫 쥬피터로 분류되었다.
2. 1. 탐색 방법
WASP-1b는 별과 행성의 이름 유래가 된 SuperWASP 프로젝트에 의해 통과법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이후 시선 속도 측정을 통해 보이지 않는 동반 천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WASP-1b의 질량을 결정할 수 있었다.식 탐지법으로 행성을 탐사하던 SuperWASP 계획은 2004년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안드로메다자리의 항성 WASP-1에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2006년에는 오트프로방스 천문대의 1.93m 망원경에 설치된 분광 관측 장비 SOPHIE를 이용한 관측이 이루어졌고, 행성의 공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항성의 시선 속도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행성의 존재를 확증했다. 이 발견으로 행성과 모항성은 각각 WASP-1b와 WASP-1으로 명명되었다.[3]
WASP-1b는 또 다른 외계 행성인 WASP-2b와 함께 2006년에 발표되었다. 이 두 행성은 WASP 계획이 보고한 최초의 외계 행성이었으며, 영국 주도의 관측 계획에서 발견된 첫 행성이기도 했다.[4]
2018년에는 로시터-맥러플린 효과 관측을 통해 WASP-1b의 궤도가 항성의 자전축에 대해 79.0 ± 4.3/4.5 도로 크게 기울어져 있어 거의 '극 궤도'에 해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
3. 궤도와 물리적 특성
WASP-1b는 질량과 반지름으로 볼 때 목성과 유사한 조성을 가진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태양계의 목성과는 달리, 중심별인 WASP-1에 매우 가까이 붙어 약 2.5일[5] 만에 공전하는 핫 쥬피터이다. 이러한 유형의 행성은 페가수스자리 51 b 이후 많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SuperWASP 프로젝트에 의해 통과법으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시선 속도 측정을 통해 그 존재가 확증되었다. WASP-1b는 매우 낮은 평균 밀도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5][6], 로시터-맥러플린 효과 관측 결과 별의 자전축에 대해 공전 궤도가 크게 기울어져 있다는 점도 밝혀졌다.[1]
3. 1. 궤도
WASP-1b는 질량과 반지름으로 볼 때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되며, 목성과 유사한 조성을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목성과는 달리 모성 WASP-1에 매우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어, 핫 쥬피터로 분류된다.이 행성은 SuperWASP 프로젝트 팀이 통과법을 이용하여 처음 발견했으며, 이것이 별과 행성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이후 시선 속도 측정을 통해 행성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질량을 결정할 수 있었다.
2018년에는 로시터-맥러플린 효과 관측을 통해 WASP-1b의 궤도가 모성의 자전축에 대해 79.0 ±4.3/4.5 도로 매우 크게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거의 극궤도에 가까운 형태이다.[1]
3. 2. 물리적 특성
WASP-1b는 목성과 비슷한 전체 조성을 가진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태양계의 목성과는 달리, 중심별인 WASP-1에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는 핫 쥬피터이다.이 행성은 SuperWASP 프로젝트에 의해 통과법으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시선 속도 측정을 통해 그 존재가 확증되었다. WASP-1b의 구체적인 질량, 반지름, 그리고 낮은 밀도 등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또한, 로시터-맥러플린 효과 관측을 통해 밝혀진 특이한 공전 궤도 역시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1]
3. 2. 1. 질량과 반지름
WASP-1b는 목성과 비슷한 조성을 가진 목성형 행성이다. 하지만 목성과는 달리 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돌고 있어, 핫 쥬피터로 분류된다. 이 행성은 SuperWASP 프로젝트팀이 통과법을 이용해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시선 속도 측정을 통해 행성의 존재가 확인되고 질량이 결정되었다.
WASP-1b의 질량은 목성의 0.9배 수준이다.[5]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항성 빛을 가리는 정도를 측정하여 계산한 반지름은 목성의 1.5배에 달한다.[5] 이 질량과 반지름 값을 통해 계산한 평균 밀도는 0.33 g/cm3으로, 목성(1.3 g/cm3)이나 토성(0.7 g/cm3)보다 훨씬 낮다. WASP-1b는 발견 당시 기준으로 세 번째로 확인된 저밀도 외계 행성이었으나[6], 이후 통과법을 이용한 핫 쥬피터 관측이 활발해지면서 이처럼 밀도가 낮은 핫 쥬피터가 드물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WASP-1b는 항성 주위를 불과 2.5일 만에 한 바퀴 공전한다.[5] 2018년 로시터-맥러플린 효과를 관측한 결과, 행성의 궤도면이 항성의 자전축에 대해 79.0 ± 4.3 / 4.5도 기울어져 있어 거의 극궤도에 가까운 형태로 공전하고 있음이 밝혀졌다.[1]
3. 2. 2. 밀도
WASP-1b는 목성 질량의 0.9배[5], 반지름은 목성의 1.5배[5]로 추정되는 거대 가스 행성이다. 이 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평균 밀도는 0.33g/cm3이다. 이는 목성의 밀도인 1.3g/cm3이나 토성의 0.7g/cm3과 비교할 때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WASP-1b는 이러한 저밀도 외계 행성 중 세 번째로 발견된 천체였지만[6], 이후 식 검출법을 이용한 핫 쥬피터 관측이 활발해지면서, 낮은 밀도를 가진 핫 쥬피터가 드물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추가 정보
WASP-1b는 목성의 0.9배의 질량을 가진 거대 가스 행성이지만, 태양계의 가스 행성과는 달리 항성의 지근거리를 2.5일 만에 한 바퀴 돈다.[5] 이러한 행성은 최초의 외계 행성인 페가수스자리 51 b의 발견 이후 수없이 발견되었으며, 핫 쥬피터라고 불린다.
WASP-1b가 식을 일으킬 때 가리는 항성의 빛의 비율로 볼 때, 행성의 반지름은 목성의 1.5배로 추정된다.[5] 질량과 반지름으로 계산된 평균 밀도는 0.33g/cm3로, 목성의 1.3g/cm3이나 토성의 0.7g/cm3에 비해 상당히 낮다. WASP-1b는 이러한 종류의 저밀도 외계 행성으로는 세 번째로 발견된 천체였지만[6], 이후 식 검출법에 의한 핫 쥬피터 관측이 진행되면서, 저밀도의 핫 쥬피터는 드문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spin-orbit angles of the transiting exoplanets WASP-1b, WASP-24b, WASP-38b and HAT-P-8b from Rossiter-Mc ''Laughlin'' observations★
[2]
웹사이트
SuperWASP Finds a Strongly-Irradiated Transiting Gas-Giant Exoplanet
http://www.ing.iac.e[...]
Isaac Newton Group of Telescopes
2010-02-28
[3]
논문
WASP-1b and WASP-2b: two new transiting exoplanets detected with SuperWASP and SOPHIE
https://ui.adsabs.ha[...]
[4]
간행물
Planet Hunting with SuperWASP
https://ui.adsabs.ha[...]
[5]
논문
Improved Parameters for Extrasolar Transiting Planets
https://ui.adsabs.ha[...]
[6]
뉴스
Third 'puffed-up planet' discovered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06-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