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P-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3는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된 외계 행성 WASP-3b를 거느린 항성이다. 2007년 WASP-3b가 발견되었고, 2008년 윌리엄 허셜 망원경으로 외계 행성임을 검증했다. 2010년 두 번째 행성 존재가 주장되었으나 2012년 기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형 준거성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 F형 준거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거문고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거문고자리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WASP-3 | |
---|---|
기본 정보 | |
겉보기 등급 | 10.63 |
변광성 | EP |
특징 | |
분광형 | F7V |
B대역 겉보기 등급 | 11.07 |
J대역 겉보기 등급 | 9.603±0.020 |
H대역 겉보기 등급 | 9.407±0.014 |
K대역 겉보기 등급 | 9.361±0.015 |
위치 정보 | |
시차 | 4.07 |
시차 오차 | 0.32 |
물리적 특징 | |
금속함량 | 0 (±0.2) |
표면 온도 | 6400 ± 100 |
식별 정보 | |
명칭 | TYC 2636-195-1 2MASS J18343163+3539415 USNO-B1.0 1256-00285133 GSC 02636-00195 1SWASP J183431.62+353941.4 V838 Lyr 2MASS J18343163+3539415 |
2. 행성계
2007년 슈퍼WASP 프로젝트에서 이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3b를 발견했고,[12] 2008년 윌리엄 허셜 망원경으로 이 천체가 외계 행성임을 검증했다.
2010년 천문학자들은 WASP-3을 공전하는 두 번째 행성이 있다고 주장했으나,[13][14] 2012년 이 제안은 기각되었다.[11]
2. 1. WASP-3b
2007년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외계 행성 WASP-3b가 발견되었다.[12] 윌리엄 허셜 망원경을 통해 이 천체가 외계 행성임이 검증되었다.2010년 천문학자들은 이 별을 도는 두 번째 행성이 있다고 주장했으나,[13][14] 2012년 이 제안은 기각되었다.[11]
WASP-3b의 주요 물리량은 아래 표와 같다.
변수 | 값 |
---|---|
질량 | 1.98 ± 0.06 |
공전 주기 | 1.8468355 ± 0.0000007 일 |
궤도 긴반지름 | 0.0315 ± 0.0003 AU |
궤도 이심률 | 0.003 |
궤도 경사각 | 84.06 ± 0.29 ° |
반지름 | 1.40 ± 0.03 |
2. 2. 추가 행성 존재 가능성
2010년 천문학자들은 WASP-3을 공전하는 두 번째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했다.[13][14][4][5] 그러나 2012년 이 제안은 기각되었다.[11][3]참조
[1]
논문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2000
[2]
SIMBAD
TYC 2636-195-1
2009-05-04
[3]
논문
A new analysis of the WASP-3 system: no evidence for an additional companion
2012-11-02
[4]
뉴스
Planet found tugging on transits
http://www.astronomy[...]
Astronomy Now
2010-07-09
[5]
논문
Transit timing variation in exoplanet WASP-3b
2010
[6]
웹사이트
TYC 2636-195-1 -- Star
https://simbad.u-str[...]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5-04
[7]
논문
WASP-3b: a strongly irradiated transiting gas-giant planet
2008-04
[8]
Citation
The thermal emission of the exoplanet WASP-3b
2014-07
[9]
웹사이트
Planet WASP-3 b
https://exoplanet.eu[...]
2023-12-08
[10]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TYC 2636-195-1 -- Star
http://simbad.u-stra[...]
[11]
논문
M Montalto; Gregorio, J.; Boue, G.; Mortier, A.; Boisse, I.; Oshagh, M.; Maturi, M.; Figueira, P.; Sousa, S.; Santos, N. C.
2012-11-02
[12]
논문
Pollacco; Skillen, I.; Collier Cameron, A.; Loeillet, B.; Stempels, H. C.; Bouchy, F.; Gibson, N. P.; Hebb, L. et al.
2008
[13]
뉴스
Planet found tugging on transits
http://www.astronomy[...]
Astronomy Now
2010-07-09
[14]
arxiv
G.Maciejewski; D.Dimitrov; R.Neuhaeuser; A.Niedzielski; St.Raetz; Ch.Ginski; Ch.Adam, C.Marka; M.Moualla; M.Mugrauer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