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ASP-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7은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2008년에 발견된 외계 행성 WASP-7b를 거느린 항성이다. WASP-7b는 목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뜨거운 목성으로, 모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기 때문에 높은 열을 발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미경자리 - 라카유 8760
  • 현미경자리 - WASP-7b
    WASP-7b는 WASP-7 항성 주위를 공전하며 대기에서 나트륨이 검출된, 약 1393 켈빈의 표면 온도를 가진 외계 행성이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WASP-7
식별 정보
명칭WASP-7
다른 명칭HD 197286
CPD-39 8759
PPM 300547
CD-39 13941
GSC 07963-01570
TYC 7963-1570-1
CPC 18 10732
2MASS J20441022-3913309
Gaia DR2 6681720724498802176
관측 정보
별자리현미경자리
겉보기 등급9.51
특징
분광형F5V
B 밴드 겉보기 등급약 9.96
V 밴드 겉보기 등급약 9.54
J 밴드 겉보기 등급8.648 ± 0.027
H 밴드 겉보기 등급8.414 ± 0.042
K 밴드 겉보기 등급8.396 ± 0.023
변광성 여부아니오
위치 정보
시선 속도알 수 없음
고유 운동 - 적경30.480 ± 0.677 밀리초/년
고유 운동 - 적위57.998 ± 0.753 밀리초/년
시차6.32 ± 0.25 마이크로초
물리적 특징
질량1.28 −0.19+0.09 M☉
반지름1.236 −0.046+0.059 R☉
광도알 수 없음
표면 온도6400 ± 100 K
금속 함량0 ± 0.1
표면 중력20 G
자전 속도17 km/s
나이알 수 없음

2. 행성계

2008년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항성 WASP-7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7b가 발견되었다.[7][2] 현재까지 WASP-7 행성계에서 발견된 행성은 WASP-7b 하나이다.

2. 1. WASP-7b

2008년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항성 WASP-7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7b가 발견되었다.[7][2] 이 행성은 목성과 질량이 비슷하며 어머니 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는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된다.[7][2] 항성과의 가까운 거리 때문에 행성 표면이 뜨겁게 가열되어 스스로 빛을 낼 정도의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

2. 1. 1. 물리적 특징

2008년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이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7b가 발견되었다.[7][2] 이 행성은 목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며, 어머니 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고 있어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된다. 항성과의 가까운 거리 때문에 행성 표면이 뜨겁게 가열되어 스스로 빛을 낼 정도의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

'''WASP-7 행성계'''
행성질량
(MJ)
궤도 평균 거리
(AU)
공전 주기
(일)
궤도 이심률반지름
(RJ)
b0.96 +0.12 −0.180.0618 +0.0014 −0.00334.954658 +5.5×10−5 −4.3×10−500.915 +0.046 −0.040


2. 1. 2. 발견과 연구

2008년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항성 WASP-7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WASP-7b가 발견되었다.[7][2] 이 행성은 목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며, 어머니 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돌고 있어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가까운 거리 때문에 행성 표면이 뜨겁게 가열되어, 스스로 빛을 낼 정도의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

행성 WASP-7b의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다.

'''WASP-7 행성계'''
비교 (항성에서 가까운 순서)질량 (MJ)궤도 평균 거리 (AU)공전 주기 (일)궤도이심률궤도 경사 (°)반지름 (RJ)
WASP-7b0.96 +0.12−0.180.0618 +0.0014−0.00334.954658 +0.000055−0.00004300.915 +0.046−0.040



행성 WASP-7b의 궤도 이심률은 거의 0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약 0.0173으로 추정하기도 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HD 197286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5-06
[2] 논문 Wasp-7: A Bright Transiting-Exoplanet System in the Southern Hemisphere 2008
[3] 간행물 Trends in Spitzer Secondary Eclipses 2021
[4] 웹사이트 HD 197286 -- Star https://simbad.u-str[...] ストラスブール天文データセンター|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5-06
[5] 논문 Wasp-7: A Bright Transiting-Exoplanet System in the Southern Hemisphere 2009-01
[6] 웹 SIMBAD query result: HD 197286 -- Star http://simbad.u-stra[...]
[7] 학술 Hellier, Coel; Anderson, D. R.; Gillon, M.; Lister, T. A.; Maxted, P. F. L.; Queloz, D.; Smalley, B.; Triaud, A. H. M. J. et al.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