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FC 로시얀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FC 로시얀카는 1990년 나데즈다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로 창단된 러시아 여자 축구 클럽이다. 풋살 클럽으로 시작하여 2003년 로시얀카로 이름을 변경한 후, 러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5회, 러시아 컵에서 5회 우승했다.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서 8강에 두 번 진출했으며, 2014년에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박은선이 선수로 활약했다. 2017년 CSKA 모스크바에 합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해체된 축구단 - 와이BOP 유나이티드
    와이BOP 유나이티드는 뉴질랜드 와이카토 지역을 대표하여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했던 축구 클럽으로, 재정난으로 해체되기 전까지 뉴질랜드 축구계에 기여했다.
  • 2016년 해체된 축구단 -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2010년)
    2010년 창단되어 북미 사커 리그를 거쳐 메이저 리그 사커에 합류한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는 세인트폴의 알리안츠 필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PK라는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다.
  • 2003년 설립된 축구단 - 수원 FC
    수원 FC는 2003년 수원시청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내셔널리그를 거쳐 K리그에 참가, K리그1에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수원 더비 등 다양한 경기를 치르고, 2010년 내셔널리그 우승을 포함한 컵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수원시 연고의 프로축구단이다.
  • 2003년 설립된 축구단 - FC 류큐
    FC 류큐는 2003년 창단되어 오키나와현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오키나와 최초의 J리그 참가 클럽을 목표로 J3리그 우승 후 J2리그에 승격했으나 강등되었으며, 벵갈라 색상을 팀 컬러로 사용하고 오키나와현 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한다.
WFC 로시얀카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명WFC 로시얀카
별칭해당사항 없음
창단2003년
해단2017년
홈 구장로디나 스타디움
수용 인원5,083명
회장올레그 슐랴핀
감독게오르기 셰바르신
리그러시아 챔피언십
시즌2016
최종 순위챔피언
로시얀카 로고
로시얀카 로고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적색, 어깨 흰색; 하의: 적색; 양말: 적색
원정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WFC 로시얀카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WFC 로시얀카는 1990년 '''나데즈다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풋살 클럽이었다. 1998년 축구 클럽으로 전환한 후 2000년에 해체되었다가, 2003년 '''로시얀카'''라는 이름으로 다시 창단되어 러시아 여자 축구 리그에 참가했다. 로시얀카는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2017년 CSKA 모스크바에 합병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1. 창단 초기 (1990-2003)

팀은 1990년에 '''나데즈다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로 창단되었으며, 처음에는 풋살 클럽이었다. 1998년까지 풋살 클럽으로 활동하다가, 이후 축구에 집중하기 위해 풋살 클럽으로서의 활동은 중단하였다. 나데즈다는 2부 리그에서 2년 동안 활동하며 5위와 3위를 기록했고, 2000 시즌이 끝날 때 해체되었으며, 대부분의 선수들은 새로 창단된 나데즈다 노긴스크로 이적했다.

남은 선수들은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에서 여자 축구 클럽을 창설했고, 팀명은 '''나데즈다 보예보예 브라트스트보'''가 되었다.

2. 2. 로시얀카 시대 (2003-2017)

2003년, 로시얀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 승격하였다. 2004년 데뷔 시즌에 2위를 기록한 후, 2005년과 2006년에 연속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즈베즈다 페름에 이어 2위를 기록하였고, 2010년에 세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 로시얀카는 다음 시즌에도 우승을 차지하였고, 2012년에 시즌이 종료된 후 짧게 캘린더 형식이 변경되었다.

4시즌 동안 우승을 하지 못한 후, 로시얀카는 2016년에 다섯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듬해 대부분의 선수단은 CSKA 모스크바로 이적하였고, 로시얀카는 2017 시즌 종료 후 CSKA에 합병되었다. 리그의 공석은 로코모티프 모스크바가 채웠다.

로시얀카는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 꾸준히 출전하였으며, 2008년과 2012년에는 8강에 진출하였다. 러시아가 UEFA 리그 랭킹에서 상위 8개 리그에 속했기 때문에, 로시얀카는 러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팀 또는 준우승팀 자격으로 대회에 참가하였다.

2003년 1부 리그 서부 지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2004년에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하였다. 당시 모스크바 주지사였던 보리스 그로모프의 지원을 받아 팀 명칭을 '''FC 로시얀카'''로 변경하였다. 이후 매년 프리미어 디비전에서 우승을 다투는 강팀으로 성장하였다.[5]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여러 차례 상위권에 진출하였으며, WFC 즈베즈다 2005 페름과 함께 러시아 여자 축구를 이끄는 양대 산맥으로 평가받았다.

2. 3. CSKA 모스크바 합병 이후 (2017-현재)

2017년, 로시얀카 선수단 대부분은 CSKA 모스크바로 이적했고, 로시얀카는 2017 시즌 종료 후 CSKA에 합병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5] 로시얀카가 사라지면서 생긴 선수권 대회 공석은 로코모티프 모스크바가 채웠다.

3. 역대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성적

시즌대회라운드결과상대팀
2006-07UEFA 여자컵예선 라운드5–2 알마 KTZh
7–0 클루자나
6–1 슬로반 두슬로 샬라
조별 라운드4–5 아스널
1–2 브뢴뷔
4–2 페미나 부다페스트
2007-08UEFA 여자컵예선 라운드7–0 나프레닥 크루셰바츠
18–0 디나모 트빌리시
3–0 하르키우
조별 라운드3–1 우니베르시테트 비테프스크
2–1 클루자나
2–2 우메아
8강0–0, 1–2 프랑크푸르트
2009-10챔피언스 리그예선 라운드11–0 세인트 프란시스
1–0 아폴론 리마솔
7–0 마카비 홀론
32강3–1, 2–1 라요 바예카노
16강0–1, 1–1 우메아
2010-11챔피언스 리그예선 라운드5–0 오시예크
9–0 세인트 프란시스
4–1 1º 데제브루
32강3–1, 4–0 레헨다 체르니히우
16강1–6, 0–5 리옹
2011-12챔피언스 리그32강2–0, 1–0 트벤테
16강4–0, 3–3 에네르기야 보로네시
8강0–2, 0–3 터빈 포츠담
2012-13챔피언스 리그32강4–1, 1–2 덴 하흐
16강1–0, 2–2 스파르타 프라하
8강1–2, 0–2 볼프스부르크
2013-14챔피언스 리그32강4–2, 1–1 스파르타크 수보티차
16강1–0, 0–2 토레스
2016-17챔피언스 리그32강0–0, 2–1 SFK 2000
16강0–4, 0–4 바이에른 뮌헨


4. 주요 선수

다음은 2016년 10월 6일 기준[3]으로 WFC 로시얀카를 거쳐 간 주요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선수국적비고
GK엘비라 토두아 러시아
DF안나 코즈니코바 러시아
DF예카테리나 드미트렌코 러시아
MF올하 보이첸코 우크라이나
MF안나 홀로비아가 러시아
MF옐레나 테레호바 러시아
FW예카테리나 소치네바 러시아
FW조세 나히 코트디부아르
MF크세니야 코발렌코 러시아
GK율리아 그리첸코 러시아
DF나탈리아 페르체바 러시아
MF옐레나 모로조바 러시아
GK아나스타시야 아나니예바 러시아
FW가브리엘 온구에네 카메룬
DF엘비라 지야스니노바 러시아
DF카리나 블린스카야 러시아
MF올레샤 마시나 러시아
FW이네스 누레히 코트디부아르
MF크리스틴 알렉산얀 아르메니아
FW크리스치아니 브라질2011–2012
FW소피아 야콥손 스웨덴2011-2013
DF야엘 아버벅 미국2012


4. 1. 역대 주요 선수

WFC 로시얀카를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엘비라 토두아
  • 안나 코즈니코바
  • 예카테리나 드미트렌코
  • 올하 보이첸코
  • 안나 홀로비아가
  • 옐레나 테레호바
  • 예카테리나 소치네바
  • 조세 나히
  • 크세니야 코발렌코
  • 율리아 그리첸코
  • 나탈리아 페르체바
  • 옐레나 모로조바
  • 아나스타시야 아나니예바
  • 가브리엘 온구에네
  • 엘비라 지야스니노바
  • 카리나 블린스카야
  • 올레샤 마시나
  • 이네스 누레히
  • 크리스틴 알렉산얀
  • 크리스치아니 (2011-2012)
  • 소피아 야콥손 (2011-2013)
  • 야엘 아버벅 (2012)
  • 박은선[3]


위에 언급된 선수들은 2016년 10월 6일 기준 선수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3]

4. 1. 1. 박은선 (2014)

박은선 선수는 2014년에 WFC 로시얀카에서 활동했다. 주어진 자료에는 2014년 박은선 선수의 활약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고, 2016년 10월 6일 기준 선수 명단만 확인할 수 있다.[3]

5. 수상 기록

대회우승
러시아 리그2005, 2006, 2010, 2011–12, 2016
러시아 컵2005, 2006, 2008, 2009, 2010
알베나컵2005, 2006


5. 1. 국내 대회


  • 러시아 리그 5회 우승: 2005, 2006, 2010, 2011–12, 2016
  • 러시아 컵 5회 우승: 2005, 2006, 2008, 2009, 2010

5. 2. 기타 대회

알베나컵에서 2005년, 2006년에 우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футбольного клуба "Россиянка" https://web.archive.[...] 2016-10-02
[2] 간행물 UEFA Rankings http://en.uefa.com/M[...]
[3] 웹사이트 WFC Rossiyanka squad http://en.fc-ross.ru[...]
[4] 웹사이트 КРАТКАЯ ИНФОРМАЦИЯ http://fc-ross.com/c[...]
[5] 간행물 UEFA ASSOCIATION COEFFICIENT RANKING http://www.uefa.com/[...] uef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